KR102408521B1 -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 Google Patents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521B1
KR102408521B1 KR1020200136482A KR20200136482A KR102408521B1 KR 102408521 B1 KR102408521 B1 KR 102408521B1 KR 1020200136482 A KR1020200136482 A KR 1020200136482A KR 20200136482 A KR20200136482 A KR 20200136482A KR 102408521 B1 KR102408521 B1 KR 102408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bbin
gear
spring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485A (ko
Inventor
강동헌
안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to KR102020013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521B1/ko
Priority to JP2023524316A priority patent/JP2023547095A/ja
Priority to PCT/IB2021/058683 priority patent/WO2022084769A1/ko
Priority to US18/032,769 priority patent/US20230392915A1/en
Publication of KR2022005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3/1043Details of internal structure thereof, e.g. means for coupling separately moulded casing h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23Winding mechanisms
    • G01B2003/103Winding mechanisms operated by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2003/1058Manufacturing or assembling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는 제1 하우징 모듈, 장착형 보빈 및 제2 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모듈은 일측으로 스프링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스프링 공간 내에서 일단이 제1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결속되어,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스프링 공간을 덮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모듈은 제1 하우징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 및 회전축의 회전을 보빈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보빈은 제1 하우징 모듈 중 회전축 또는 제1 커버에 밀착되면서 회전축 주변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보빈이 제1 하우징 모듈에 장착되고, 제2 하우징 모듈이 제2 하우징 모듈과 조립되면서, 제1 하우징, 스프링, 회전축, 동력 전달부 및 보빈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TAPE MEASURE HAVING INSTALLABLE BOBBIN}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나 작업자가 보빈과 블레이드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줄자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릴(reel), 릴에 코일 형태로 감겨진 블레이드(blade), 블레이드의 단부에 결합된 엔드 훅(end hook)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측정을 위해서 블레이드를 엔드 훅이 결합된 단부에서부터 인출하며,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대상의 길이 또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릴(reel)은 태엽 스프링 및 태엽 스프링을 수용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며, 보빈의 외면에 블레이드가 감긴 상태로 제공되어 하우징으로 인출되고, 상기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인출된 블레이드는 보빈에 감기는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6,751,883호(2004.06.22.등록)에 "REEL ROTATION MOUNT ARRANGEMENT EQUIPPED WITH FRICTION REDUCTION MEANS FOR TAPE MEASURE"가 개시된다. 상기 릴 장착에 관한 내용을 보면, 블레이드와 스프링은 하나의 릴 내에 수용되며, 스프링의 일단이 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릴 또는 블레이드에 고정된다. 따라서, 최초 장착을 위해서 스프링을 최대한 감아서 장착해야 하며, 한번 릴을 장착하게 되면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미국공개특허 제2011/0099828호(2011.05.21. 공개)에는 "COMPACT TAPE MEASURE"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컴팩트 줄자에서도 리턴 스프링의 일단이 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풀에 고정되어 일단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프링과 결속된 스풀을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물론,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스프링을 감는 것부터 스풀을 하우징 내에 고정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를 감기 위한 릴, 스풀 또는 보빈을 줄자에 장착함에 있어서, 장착 과정이 용이하고 필요하다면 교체도 용이한 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과 보빈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스프링과 별개로 보빈을 장착, 분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줄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는 제1 하우징 모듈, 장착형 보빈 및 제2 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모듈은 일측으로 스프링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스프링 공간 내에서 일단이 제1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결속되어,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스프링 공간을 덮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모듈은 제1 하우징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 및 회전축의 회전을 보빈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보빈은 제1 하우징 모듈 중 회전축 또는 제1 커버에 밀착되면서 회전축 주변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보빈이 제1 하우징 모듈에 장착되고, 제2 하우징 모듈이 제2 하우징 모듈과 조립되면서, 제1 하우징, 스프링, 회전축, 동력 전달부 및 보빈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버는 회전축의 외면을 수용하도록 돌출된 실린더형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전축 또는 연장부의 외면이 보빈의 내면과 접하면서, 보빈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보빈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빈이 회전축의 외면에 대응하여 밀착하도록 장착됨으로써, 보빈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과 축 사이의 공간이 생략됨으로써, 보빈에 감기는 블레이드를 다양한 길이로 제공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길이를 증가시키면서도 하우징의 전체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25ft, 35ft, 45ft, 50ft 등과 같이 다양한 길이의 블레이드와 보빈의 조합을 이용하여도, 보빈과 동렬 전달부 간의 결합 구조만 유지하면, 하우징 및 회전축, 스프링 등을 분리할 필요도 없이 보빈만 교체하여 다양한 길이의 줄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착과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일반 사용자도 보빈과 블레이드를 쉽게 교체하게 할 수도 있다.
제2 하우징 모듈의 동력 전달부는 기어 또는 기어열을 이용하여 회전축의 자유 단부와 보빈을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동력 전달부는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며 회전축의 타단과 맞물리는 제1 기어,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제2 기어와 맞물려 보빈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모듈은 제1 기어 및 제2 기어가 장착된 기어 공간을 덮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어도 기어 공간에 장착되거나 보빈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어가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면, 제2 하우징 모듈이 제1 하우징 모듈에 결속될 때, 제3 기어가 제2 커버를 통과하여 제2 기어와 맞물릴 수 있으며, 제3 기어가 보빈과 분리되어 기어 공간에 장착되면, 제2 하우징 모듈이 제1 하우징 모듈에 결속될 때, 제3 기어가 보빈과 결속될 수 있다.
스프링을 기준으로 제1 하우징은 스프링의 외측에서 연결될 수 있지만, 스프링의 내측에서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은 스프링 공간의 외연을 따라 회전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외측에 위치한 타단은 플랜지에 결속되고,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한 일단은 스프링 공간의 중앙부에서 제1 하우징에 결속될 수 있다.
회전축이 플랜지를 포함하여 스프링의 외측에서 연결되는 경우, 고정 돌기를 이용하여 조립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가 스프링의 내측에 위치한 일단과 직접 고정되고, 플랜지의 회전 중심에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돌기는 회전축에 결속되지만, 상기 고정 돌기가 조립된 제1 하우징의 비원형 돌기에 결속되면서, 스프링의 일단은 제1 하우징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회전축에 고정되도록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는 제1 하우징 모듈, 장착형 보빈 및 제2 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모듈은 일측으로 스프링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스프링 공간 내에서 일단이 제1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결속되어,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스프링 공간을 덮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모듈은 제1 하우징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보빈은 제1 하우징 모듈 중 회전축 또는 제1 커버에 밀착되면서 회전축 주변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보빈이 제1 하우징 모듈에 장착되면서 회전축의 자유 단부와 직접 결속되고, 제2 하우징 모듈이 제1 하우징 모듈과 조립되면서, 제1 하우징, 스프링, 회전축 및 보빈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다르게 기어나 기어열 등을 이용한 동력 전달부 없이, 보빈이 회전축 또는 제1 커버에 밀착 장착되면서 회전축의 자유 단부가 보빈에 직접 결속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축의 자유 단부를 사각, 삼각 등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보빈에 그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회전축의 타단과 보빈을 물리적으로 직접 결속할 수도 있다.
제1 커버는 회전축의 외면을 수용하도록 돌출된 실린더형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빈의 내면은 회전축 또는 연장부의 외면에 접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자는 실질적으로 제1 하우징 모듈, 제2 하우징 모듈과 같은 반제품 모듈로 제공되며, 그 사이에 블레이드를 감기 위한 보빈을 장착하고, 하우징 모듈을 조립함으로써 장착 과정이 용이하고 교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존의 줄자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보빈, 블레이드의 순으로 전달되었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줄자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하우징을 기준으로 회전축, 동력 전달부, 보빈 및 블레이드의 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줄자는 스프링과 보빈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스프링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별개로 보빈과 블레이드를 장착, 분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줄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줄자의 제2 하우징 내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줄자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과 유사한 구조의 줄자들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길이를 다양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줄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줄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줄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줄자의 제2 하우징 내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줄자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줄자(100)는 장착, 분리 또는 교체가 가능한 보빈(140)을 포함하며, 보빈(140)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 모듈(I)과 제2 하우징 모듈(Ⅱ)이 조립되어 줄자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 모듈(I)에 원하는 블레이드(180)와 보빈(140)의 장착하고, 제2 하우징 모듈(Ⅱ)로 반대측을 덮어 조립함으로써 기존 줄자에 비해 조립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100)는 제1 하우징 모듈(I), 보빈(140) 및 제2 하우징 모듈(Ⅱ)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모듈(I)은 내부에 스프링 공간(112)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110), 제1 하우징(1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30), 스프링 공간(112) 내에서 일단이 제1 하우징(110)에 결속되고, 타단이 회전축(130)에 결속되어, 제1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축(130)을 복원 회전시키는 스프링(190) 및 스프링 공간(112)을 덮는 제1 커버(160)를 포함하며, 이들 요소들이 반제품 형태로 반조립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 모듈(I)에서 회전축(130) 또는 제1 커버(160)가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 도출된 회전축(130)에 블레이드(180)가 전부 감겨져 있는 보빈(140)을 끼워 회전축(130)에 조립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모듈(Ⅱ)은 제1 하우징(110)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120) 및 회전축(130)의 회전을 보빈(14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모듈(Ⅱ)이 제1 하우징 모듈(I)에 조립되면서, 보빈(140)을 덮고, 회전축(130)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기존의 줄자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보빈, 블레이드의 순으로 전달되었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줄자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하우징을 기준으로 회전축, 동력 전달부, 보빈 및 블레이드의 순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줄자에서 2개의 하우징 중 하나를 분리하면 스프링이 모두 풀릴 수 있으며, 일단 풀린 스프링은 보통 사람의 힘으로는 전부 감을 수가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가 전부 감긴 상태에서의 보빈(140)을 회전축(130)에 끼우고, 그대로 제2 하우징 모듈(Ⅱ)을 조립하거나 회전축(130)을 약 90도 정도면 감아 제2 하우징 모듈(Ⅱ)을 고정하는 과정만으로도 조립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하우징 모듈(I)과 제2 하우징 모듈(Ⅱ)을 분리한다고 하여도, 스프링(190)은 스프링 공간(112)에 가둬 둔 상태에서 있어 분리될 염려도 없고, 스프링 공간(112) 내에서 최대한 풀린 상태에 있어서 위험하지도 않다.
또한, 스프링(190)과 보빈(140)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스프링(190)과 보빈(140)이 회전하는 회전축(130) 및 동력 전달부(150)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스프링(190)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보빈(140)과 블레이드를 줄자로부터 분리 또는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90)은 태엽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좁은 폭 및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90)은 블레이드(180)를 감기 위한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된 블레이드(180)가 하우징 내부로 복귀하여 보빈(140) 중앙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스프링은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프링 대신 전자 모터로 복원력을 대신하거나 보조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는 회전축(130), 제1 커버(160), 보빈(140), 제2 커버(170) 및 동력 전달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3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스프링 공간(112)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190)의 외측이 제1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스프링(190)의 내측이 회전축(130)에 스프링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스프링(190)과 회전축(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실린더형 연장부(162)가 형성된 제1 커버(160)가 제1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버(160)가 제1 하우징(110)에 장착되면서, 도 5의 우측과 같이, 제1 하우징(110)을 기본으로 스프링(190), 회전축(130) 및 제1 커버(160)가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반조립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20)의 내측으로 기어 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 공간(122)에는 제1 기어(152) 및 제2 기어(154)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어(154)는 기어 공간(122)에 형성된 3개의 돌기축(124)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기어(152)를 중심으로 3개의 제2 기어(154)가 맞물려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기어(154)들의 내측으로 제3 기어(156)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3 기어(156)의 중심은 중공으로 제공되어 제1 기어(152)의 결속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5의 좌측과 같이, 제2 하우징(120)을 기본으로 제1 기어(152), 제2 기어(154), 제3 기어(156) 및 제2 커버(170)가 일체로 연결된 또 하나의 반조립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80)가 감긴 보빈(140)이 제공되고, 보빈(140)을 회전축(130) 및 실린더형 연장부(162)가 돌출된 부분에 삽입하고,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모듈(Ⅱ)을 제1 하우징 모듈(I)에 조립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토퍼(118) 등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모듈(I)과 제2 하우징 모듈(Ⅱ)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회전축(130)의 단부 결속부(132)는 제1 기어(152)와 결속될 수 있으며, 제3 기어(156) 역시 보빈(140)의 내측과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0)의 회전은 단부 결속부(132)를 통해서 제1 기어(152)로 전달되고, 제1 기어(152)의 회전은 제2 기어(154)를 거쳐 제3 기어(156)로 전달되고, 제3 기어(156)의 회전은 다시 보빈(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기어의 감속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스프링(190)의 회전과 보빈(140)의 회전 비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다.
도 6은 도 1과 유사한 구조의 줄자들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길이를 다양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을 보면,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회전축(130), 스프링(190), 제1 커버, 제2 커버, 기어들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다양한 길이에 대응하는 블레이드와 보빈을 장착 또는 교체할 수 있다.
(a)와 같이, 약 35ft 길이의 블레이드(180)를 위한 보빈(140)을 기준으로, 약 45ft 및 50ft 등으로 그 측정 가능한 길이를 증가시키고자 할 때에도, (b)와 (c) 같이, 생산자나 사용자는 동일 구조에 끼워지는 블레이드(180-m, 180)와 보빈(140-m, 140)을 달리 장착하여 그 측정 길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하우징(110, 120)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되고, 보빈에서의 블레이드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산자는 동일 구조 및 동일 사이즈의 하우징을 이용하되, 블레이드와 보빈을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상품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역시 필요하면 블레이드와 보빈을 교체하여 새로운 제품처럼 사용하거나 다른 길이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80)가 감긴 보빈(140)을 장착할 때에도, 생산자 등은 제1 기어(152)와 회전축(130)을 결속하기 전에 제2 하우징(120)의 중앙 관통홀(126)을 통해 회전축(130)을 작은 각도만큼, 예를 들어 약 90도 정도만 돌리고, 이 상태에서 제1 기어(152)와 회전축(130)을 결속하면서, 하우징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조립 전에 스프링을 거의 끝까지 돌려서 최대 텐션을 유지하게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커버(160)는 전체적으로 T-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중앙에는 회전축(130)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실린더형 연장부(162)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린더형 연장부(162)는 내면으로 회전축(130)의 축 베어링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회전축(130)과 연장부(162)는 외면으로는 보빈(140)의 축 베어링 기능을 할 수 있다. 실린더형 연장부(162)에 의해서 회전축(130)과 보빈(14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거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회전축(130)과 보빈(140) 간의 미끄러짐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동력 전달부(150)는 제1 기어(152), 제2 기어(154) 및 제3 기어(156)를 이용한 기어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기어열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커버(170)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기어를 이용한 동력 전달부(150)에 의해서 보빈(140)의 회전수에 비해 스프링(190)과 연결된 회전축(130)의 회전수를 상대적으로 적게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블레이드(180)의 측정 가능 길이가 길어질수록 보빈은 충분한 회전수를 확보해야 하므로, 기어열을 이용한 감속비를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줄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줄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의 (a)를 보면, 제3 기어(156-a)를 보빈(140-a)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 전달부의 제3 기어(156-a)가 보빈(140-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20)의 제2 커버(170)에는 제3 기어(156-a)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과 제1 하우징(110)이 결합되면서, 보빈(140-a)과 일체인 제3 기어(156-a)가 제2 커버(170)를 통과하여 제2 기어(154)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일단 맞물리면 회전축(130)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원력을 보빈(14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의 (b)를 보면, 동력 전달부 없이 회전축(130-b)의 단부 결속부(132-b)와 보빈(140-b)의 내측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속비는 기대할 수 없지만, 회전축(130-b)의 회전은 보빈(140-b)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30)의 단부 결속부(132-b)는 원형이 아닌 비원형, 예를 들어 사각 기둥, 삼각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보빈(140)에 결속되는 부분도 다각 기둥 형상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여 회전축(130-b)의 타단과 물리적으로 직접 결속될 수 있다.
도 8의 (c)를 보면, 제1 커버(160-c)는 실린더형 연장부 없이 디스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회전축(130-c)은 제1 기어(152), 제2 기어(154) 및 제3 기어(156-c)를 통해서 보빈(140-c)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의 (d)를 보면, 동력 전달부 및 실린더형 연장부 없이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축(130-d)의 단부 결속부(132-d)와 보빈(140-d)이 직접 결속될 수 있다. 참고로, 단부 결속부(132-d)에서 보빈(140-d)과 결속되는 부분은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0-d)에 삽입되는 부분은 원기둥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커버(160-d)는 실린더형 연장부 없이 디스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어 공간과 함께 제2 커버도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줄자는 반제품 조립 상태의 제1 하우징 모듈(I) 및 제2 하우징 모듈(Ⅱ)로 제공되며, 그 사이에 장착되는 보빈(14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모듈(I)의 회전축(130-e)은 단순 샤프트 구조 외에도 플랜지(134-e)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30)의 베이스에는 스프링(190)을 수용할 수 있는 플랜지(134-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랜지(134-e)에 의해서 스프링(190-e)의 외측이 회전축(130-e)에 연결되고, 스프링(190-e)의 내측이 제1 하우징(110-e)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134-e)는 회전축(130-e)과 일체로 형성되며, 스프링 공간(112-e)의 외연 또는 테두리를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고정 돌기(114-e)를 이용하여 회전축(130-e)은 제1 하우징(110-e)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돌기(114-e)는 제1 하우징(110-e)에 대해 비원형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0-e)은 비원형 홈에 대응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114-e)는 스프링(190-e)의 내측 단부와 결속될 수 있으며, 플랜지(134-e)의 내면은 스프링(190-e)의 외측 단부와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30-e), 플랜지(134-e), 고정 돌기(114-e) 및 스프링(190-e) 역시 마치 하나의 반조립 부품처럼 제공될 수 있으며, 생산자는 제1 하우징(110-e)에 회전축(130-e)을 포함하는 반제품 부품을 장착하고, 그 위에 블레이드(180)와 보빈(140-e)을 삽입한 후, 마지막으로 제1 기어(152)와 제2 기어(154)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120)을 조립하여 줄자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보빈(140-e)과 제3 기어(156-e)는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되면서 제3 기어(156-e)는 제2 기어(154)와 맞물리게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줄자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130 : 회전축
140 : 보빈 150 : 동력 전달부
152 : 제1 기어 154 : 제2 기어
156 : 제3 기어 160 : 제1 커버
170 : 제2 커버 180 : 블레이드
190 : 스프링

Claims (10)

  1. 줄자에 있어서,
    일측으로 스프링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스프링 공간 내에서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결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공간을 덮는 제1 커버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모듈;
    상기 제1 하우징 모듈 중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제1 커버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전축 주변으로 장착되며, 블레이드가 감기는 보빈;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상기 보빈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이 상기 제1 하우징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이 상기 제2 하우징 모듈과 조립되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스프링, 상기 회전축, 상기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보빈이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의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과 맞물리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려 상기 보빈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장착된 기어 공간을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이 상기 제1 하우징 모듈에 결속될 때, 상기 제3 기어가 상기 제2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2. 줄자에 있어서,
    일측으로 스프링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 상기 스프링 공간 내에서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결속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공간을 덮는 제1 커버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모듈;
    상기 제1 하우징 모듈 중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제1 커버에 밀착되면서 상기 회전축 주변으로 장착되며, 블레이드가 감기는 보빈;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응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상기 보빈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이 상기 제1 하우징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이 상기 제2 하우징 모듈과 조립되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스프링, 상기 회전축, 상기 동력 전달부 및 상기 보빈이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의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의 타단과 맞물리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려 상기 보빈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가 장착된 기어 공간을 덮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제2 커버 내의 상기 기어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하우징 모듈이 상기 제1 하우징 모듈에 결속될 때, 상기 제3 기어가 상기 보빈과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회전축의 외면을 수용하도록 돌출된 실린더형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회전축 또는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스프링 공간의 외연을 따라 회전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상기 타단은 상기 플랜지에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기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공간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플랜지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6482A 2020-10-21 2020-10-21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KR10240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82A KR102408521B1 (ko) 2020-10-21 2020-10-21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JP2023524316A JP2023547095A (ja) 2020-10-21 2021-09-23 装着型ボビンを含む巻き尺
PCT/IB2021/058683 WO2022084769A1 (ko) 2020-10-21 2021-09-23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US18/032,769 US20230392915A1 (en) 2020-10-21 2021-09-23 Tape measure having installable bobb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82A KR102408521B1 (ko) 2020-10-21 2020-10-21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85A KR20220052485A (ko) 2022-04-28
KR102408521B1 true KR102408521B1 (ko) 2022-06-13

Family

ID=8129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482A KR102408521B1 (ko) 2020-10-21 2020-10-21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92915A1 (ko)
JP (1) JP2023547095A (ko)
KR (1) KR102408521B1 (ko)
WO (1) WO2022084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7684S1 (en) * 2021-08-04 2024-05-21 Apex Brands, Inc. Measuring tap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7507A2 (en) 1994-02-11 1995-08-16 Fisco Products Limited Improvements to tape measures
US20200033108A1 (en) * 2018-07-24 2020-01-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Retraction Spring Adjacent to Tape Re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201A (ja) * 1992-12-15 1994-06-28 Sekisui Jushi Co Ltd 巻 尺
WO2018067716A1 (en) * 2016-10-05 2018-04-1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US10836603B2 (en) * 2017-03-22 2020-11-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epicyclic gear drive for tape retra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7507A2 (en) 1994-02-11 1995-08-16 Fisco Products Limited Improvements to tape measures
US20200033108A1 (en) * 2018-07-24 2020-01-3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Retraction Spring Adjacent to Tape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85A (ko) 2022-04-28
US20230392915A1 (en) 2023-12-07
JP2023547095A (ja) 2023-11-09
WO2022084769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4344A (en) Clock spring connector
CN102625968B (zh) 具有多层扭杆弹簧的铰链组件
KR102408521B1 (ko)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WO2010079656A1 (ja) コードリール
JP5830447B2 (ja) 回転コネクタ
EP0641288B1 (en) Improved cord take-up device
KR20160142813A (ko)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EP1180831B1 (en) Rotary connector capable of largely increasing height of space accomodating flexible cable
JP2018002087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8018195A (ja) ゼンマイ機構並びにゼンマイ駆動ユニット
US8087503B2 (en) Driving mechanism and wheel assembly for toy car
JP5351434B2 (ja) 建築用開閉装置における巻取り装置
GB2615226A (en) Tape measure having installable bobbin
JP2003329851A (ja) 光ファイバ収納具及び光ファイバ収納方法
US4569490A (en) Counterbalance mechanism
CN210763427U (zh) 一种打印机
JP5268726B2 (ja) 回転運動伝達装置及び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7319071B2 (ja) 開閉部材駆動装置および便蓋開閉ユニット
JP7309408B2 (ja) 開閉部材駆動装置および便蓋開閉ユニット
US10765097B2 (en) Dual-bearing reel
JP2019186127A (ja) 回転コネクタ
US20220408708A1 (en) Spinning fishing reel
GB2223596A (en) Film winding device
US1208424A (en) Eyeglass-chain reel.
TWI810315B (zh) 釣魚用電動捲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