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310B1 -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310B1
KR102408310B1 KR1020210142727A KR20210142727A KR102408310B1 KR 102408310 B1 KR102408310 B1 KR 102408310B1 KR 1020210142727 A KR1020210142727 A KR 1020210142727A KR 20210142727 A KR20210142727 A KR 20210142727A KR 102408310 B1 KR102408310 B1 KR 102408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line
supply termina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희
권대윤
유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14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력 충전이 요구되는 전력 수급 전기차와, 상기 전력 수급 전기차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력 수급 단말과, 충전된 전력을 판매할 전력 공급 전기차와, 상기 전력 공급 전기차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력 공급 단말과,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전력 공급 단말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며,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전력 공급 단말을 매칭시켜 안내하여, 충방전장치를 이용한 개인간 전력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력 거래 종료시 전력 수급 단말의 전자 지갑에서 전력 공급 단말의 전자 지갑으로 거래 대금을 이체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Power trading system that allows for trading of personal to personal}
본 발명은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인이 소유한 전기차간의 전력 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및 「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58.6GW의 재생에너지 확보를 추진 중에 있으며, 원활한 재생에너지 확대보급과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2019년 2월부터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을 개설하고 있다.
이처럼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에서 더욱 확대된 전력 거래의 일환으로, 개인간(또는 전기차간)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공개특허 10-2021-0076708호(2021년 6월 24일 공개, 차량, 차량 충전 관리 서버 및 서버의 통신 방법)에는 전력 수급 차량 및 전력 공급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충전을 실행할 장소를 결정하고, 위치를 각 차량에 표시하여 전력 공급 차량의 전력을 전력 수급 차량에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간 전력의 공급은 공개특허 10-2021-0018695호(2021년 2월 18일 공개, 이동형 V2L-V2V 충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별도의 충방전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차량간 전력 거래를 위하여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항상 충방전 장치를 휴대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개인간 전력 거래를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전력의 기준 가격이 명시되어야 하지만, 개인이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간 전력 거래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인이 충방전 장치를 구매 및 휴대하지 않고도, 다른 개인과 전력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충방전 전력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력의 기준 가격을 제시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력 수급측의 거래 대금을 미리 확인하여 전력 거래량을 제한하며, 거래 완료 상태에서 자동으로 거래 대금을 지급할 수 있는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은, 전력 충전이 요구되는 전력 수급 전기차와, 상기 전력 수급 전기차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력 수급 단말과, 충전된 전력을 판매할 전력 공급 전기차와, 상기 전력 공급 전기차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력 공급 단말과,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전력 공급 단말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며,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전력 공급 단말을 매칭시켜 안내하여, 충방전장치를 이용한 개인간 전력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력 거래 종료시 전력 수급 단말의 전자 지갑에서 전력 공급 단말의 전자 지갑으로 거래 대금을 이체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방전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거래 방식에 따라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내부의 스위치를 절환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 한전 등 전력 공급자의 전력을 이용한 전기차의 충전 거래 또는 전력 공급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상기 전력 공급자에게 판매하는 거래를 수행하는 릴레이부와, 거래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전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전력 공급자의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한 쌍의 전기차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제1라인 및 제2라인과, 개인간 전력 거래시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제3스위치와,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제1라인,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제2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및 제3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전력 공급자에게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수급라인과, 상기 수급라인과 상기 제1라인, 상기 수급라인과 상기 제2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개인간 전력 거래시, 상기 전력 수급 단말의 전자 지갑의 잔액을 고려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를 중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간 전력 거래를 하는 개인이 별도의 충방전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간 전력 거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개인이 부담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간 전력 거래 시점에서의 기준 가격을 제시하여, 전력 가격 변동에 따른 분쟁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의 전자지갑에 보유한 대금의 유무 및 금액을 확인하여, 기준 가격에 따른 충전량을 제한함과 아울러 대금의 자동 이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거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방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V2V 거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전력 공급자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의 예시도이다.
도 5는 V2G 거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용전원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개인간 전력 거래가 가능한 충방전장치(100)와, 상기 충방전장치(100)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거나 개인간 전력 거래를 수행하는 전력 수급 전기차(200) 및 전력 공급 전기차(300)와, 상기 전력 수급 전기차(200)와 전력 공급 전기차(300) 각각의 사용자의 단말이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라이트 노드로 작용하고, 각각 전자 지갑을 생성하는 전력 수급 단말(210) 및 전력 공급 단말(310)과, 상기 전력 수급 단말(210) 및 전력 공급 단말(310)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풀 노드로 작용하며,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을 매칭시킴과 아울러 거래 시점에서의 전력 기준가격을 제공하며, 개인간 전력 거래가 완료되면 전력 수급 단말(210)의 전자 지갑의 금액을 전력 공급 단말(310)의 전자 지갑으로 자동 이체하는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충방전장치(100)는 전기차 충전소에 고정 설치되어 전력 공급자(한전)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장치이며, 하나의 전기차 충전소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 하나의 충방전장치(100)를 도시하였으나, 충방전장치(100)는 지역별 전기차 충전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충방전장치(100)는 선택에 따라 전력 공급자가 공급하는 전력으로 전력 수급 전기차(200)를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 공급 전기차(300)의 전력으로 전력 수급 전기차(200)를 충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전력 수급 전기차(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체에 따라 전력 요금에 차등을 둘 수 있다. 개인간 전력 거래를 활성화하고, 전력 공급자의 예비전력의 확보를 위하여 개인간 거래시 전력 요금이 더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사용량이 많은 전력 피크 시간대에는 전력 공급자의 전력 요금과 개인간 전력 거래의 전력 요금에 차이를 더 크게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를 더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간 전력 거래시 전력 기준 요금은 서비스 서버(400)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서비스 서버(400)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배포하며,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각각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전력 수급 및 전력 공급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역할을 특정하여 명명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역할에 따라 전력 수급 단말(210)이 전력 공급 단말(310)로 작용할 수 있고, 반대로 전력 공급 단말(310)이 전력 수급 단말(210)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명명과 설명의 예는 전력 수급 전기차(200)와 전력 공급 전기차(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 휴대 가능한 검퓨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수급 단말(210) 및 전력 공급 단말(310)은 각각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과정에서 서비스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약관에 동의하고, 전자 지갑의 생성 및 전자 지갑에 대한 서비스 서버(400)의 접근 권한에 동의하는 것으로 한다.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서비스 서버(400)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며,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각각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라이트 노드(Light Node)로 작용하고, 서비스 서버(400)는 풀 노드(Full Node)로 작용한다.
서비스 서버(400)는 원장 블록을 생성하고, 각 라이트 노드의 전자 지갑의 변동에 대한 정보 헤더를 각 라이트 노드에 분산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지만, 상기 충방전장치(100)를 운영하는 충전소 운영자의 단말도 네트워크의 라이트 노드로 작용하며, 전자 지갑을 생성할 수 있다.
충전소 운영자 단말의 전자 지갑에는 개인간 전력 거래 성사시, 충방전장치(100)의 사용 대가로서 수수료가 입력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전력 수급 단말(210)이 신청한 개인간 전력 수급 요청 및 전력 공급 단말(310)의 개인간 전력 공급 요청을 확인하여, 동일 지역, 유사 시간의 신청 내용을 확인하고 매칭하여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에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매칭 정보를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 양측에서 모두 수용하는 경우 거래가 성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 각각의 전자 지갑에 소정의 약속된 금액을 충전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의 약속된 금액은 현금이거나, 현금과 교환된 포인트 또는 현금과 교환된 가상 화폐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400)는 허락을 받은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을 이용하여 채굴 그룹을 생성하고, 가상 화폐의 채굴을 통해 가상 화폐를 획득하고, 획득된 가상 화폐를 참여한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의 전자 지갑에 분배할 수 있다.
거래가 성사된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의 사용자는 약속된 시간 및 장소로 각각 전력 수급 전기차(200)와 전력 공급 전기차(300)로 이동하고, 해당 위치에서 충방전장치(100)를 이용하여 전력 거래를 수행한다.
도 2는 충방전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방전장치(100)는 서비스 서버(400)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130)와,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정보 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릴레이부(120)를 제어하여 전력 거래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릴레이부(120)를 통해 거래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검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릴레이부(120)는 한전 등의 전력 공급자가 제공하는 공급라인(121) 및 수급라인(122)과, 전기차에 각각 연결 가능한 제1라인(L1), 제2라인(L2), 제3라인(L3), 제4라인(L4)과, 상기 공급라인(121)과 제1라인(L1) 및 제2라인(L2)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S1) 및 제2스위치(S2)와, 상기 수급라인(122)과 제3라인(L3), 제4라인(L4)을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4스위치(S4) 및 제5스위치(S5)와, 상기 제1라인(L1)과 제2라인(L2)을 직접 연결하는 제3스위치(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충방전장치(100)를 이용한 충/방전 시나리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개인간 전력 거래 시나리오의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간 거래가 성립되어, 전력 공급 전기차(300)가 제1라인(L1)에 연결되고, 전력 수급 전기차(200)가 제2라인(L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 각각에서 개인간 전력 거래의 준비가 완료됨을 서비스 서버(400)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전력 수급 단말(210)과 전력 공급 단말(310)은 사용할 충방전장치(100)의 식별번호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입력하거나, 충방전장치(100)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코드를 스캔하여 서비스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에서는 개인간 전력 거래가 준비됨을 확인한 후, 확인된 충방전장치(100)로 개인간 전력 거래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400)의 정보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고, 제어부(140)에 의해 확인되어, 제어부(140)는 릴레이부(120)의 스위치들의 상태를 제어한다.
개인간 전력 거래의 경우, 제3스위치(S3)가 닫힌 상태, 제1, 제2, 제4 및 제5스위치(S1, S2, S4, S5)는 열린 상태가 되어, 전력 공급자의 공급라인(121) 및 수급라인(122)의 연결을 차단하고, 제1라인(L1)과 제2라인(L2)을 직접 연결한다.
따라서 전력 공급 전기차(300)에 충전된 전력은 전력 수급 전기차(200)로 공급되어, 전력 수급 전기차(200)를 충전한다.
이때 전력 수급 전기차(200)에 공급되는 전력은 전력 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되며, 이는 충방전장치(100)의 표시부(도면 미도시)에 표시됨과 아울러 통신부(130)를 통해 서비스 서버(400)로도 제공된다.
서비스 서버(400)는 현재 전력 수급 전기차(200)로 제공되는 전력량 정보와 전력 수급 단말(210)의 전자 지갑의 잔액 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시점에서의 전력 기준 가격을 이용하여 전자 지갑의 잔액이 부족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잔액이 부족하기 이전에 서비스 서버(400)는 충방전장치(100)로 전력 거래를 중단하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충방전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제3스위치(S3)를 열어 개인간 전력 거래를 중단시킬 수 있다.
잔액이 충분한 경우에는 전력 거래가 계속되도록 개입하지 않는다.
입력부(160) 또는 전력 수급 단말(210) 또는 전력 공급 단말(310)을 이용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를 중단할 수 있다.
전력 거래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400)는 충방전장치(100)의 전력 검출부(150)로부터 거래된 전력량을 수신하고, 전력 기준 가격을 이용하여 총 거래 대금을 산출한다.
산출된 총 거래 대금은 서비스 서버(400)에 의해 전력 수급 단말(210)의 전자 지갑에서 전력 공급 단말(310)의 전자 지갑으로 이체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충방전장치(100)를 운영하는 충전소 운영자 단말에 소정 비율의 수수료가 이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개인간 전력 거래의 매칭과, 대금의 결제까지 관리함으로써, 개인간 전력 거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방전장치(100)는 개인간 전력 거래(V2V, Vehicle to Vehicle)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자가 공급하는 전력으로 전기차를 충전하거나,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그리드로 공급하는 V2G(Vehicle to Grid) 거래도 가능하다.
도 4는 충방전장치(100)를 이용한 전기차의 충전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이 필요한 전력 수급 전기차(200)에 전력 공급자가 공급하는 전력으로 충전하기 위해서는, 입력부(160) 또는 전력 수급 단말(210)을 이용하여 충전 방식을 선택한다. 여기서 충전 방식은 전력 공급자가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라인(121)을 제1라인(L1) 또는 제2라인(L2)에 직접 연결하여 제1라인(L1) 또는 제2라인(L2)을 통해 충방전장치(100)에 연결된 전력 수급 전기차(200)를 충전한다.
도면에서는 제2라인(L2)을 이용한 충전 상태를 도시하였다.
제2라인(L2)을 이용한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제2스위치(S2)를 닫고, 다른 모든 스위치들을 열어 충전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의 결제는 신용카드 등의 지불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전력 수급 단말(210)의 전자 지갑에서 전력 공급자 또는 충전소 운영자의 전자 지갑으로 이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V2G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 공급 전기차(300)의 전력을 수급라인(122)을 통해 전력 공급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때의 거래 형태 선택은 입력부(160) 또는 전력 공급 단말(310)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60)를 통한 입력 또는 전력 공급 단말(310)로부터 V2G 거래 형태의 요청을 받은 서비스 서버(400)의 요청을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제어부(140)는 릴레이부(120)의 스위치들을 절환하여 제3라인(L3) 또는 제4라인(L4)을 수급라인(122)에 연결하여 V2G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제4스위치(S4) 또는 제5스위치(S5)를 닫아 제3라인(L3) 또는 제4라인(L4)을 수급라인(122)에 연결한다. 도면에서는 제3라인(L3)을 이용한 거래를 도시하였다.
이때의 거래 전력량은 충방전장치(100)의 전력 검출부(150)에서 검출되며, 전력 기준 가격을 고려하여 서비스 서버(400)에서 전력 공급자의 전자 지갑에서 비용을 인출하여 전력 공급 단말(310)의 전자 지갑으로 이체한다.
위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라인(L1)과 제3라인(L3)을 구분하고, 제2라인(L2)과 제4라인(L4)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제1라인(L1)과 제3라인(L3)은 동일하며, 제2라인(L2)과 제4라인(L4)도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소의 충전장치를 충방전이 가능한 충방전장치로 전환하여, V2V 및 V2G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거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충방전장치 120:릴레이부
130:통신부 140:제어부
150:전력 검출부 160:입력부
200:전력 수급 전기차 210:전력 수급 단말
300:전력 공급 전기차 310:전력 공급 단말
400:서비스 서버

Claims (5)

  1. 전력 충전이 요구되는 전력 수급 전기차;
    상기 전력 수급 전기차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력 수급 단말;
    충전된 전력을 판매할 전력 공급 전기차;
    상기 전력 공급 전기차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력 공급 단말;
    상기 전력 수급 전기차와 상기 전력 수급 전기차가 전력 거래를 수행하는 충방전장치;
    상기 충방전장치 운영자의 충전소 운영자 단말; 및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전력 공급 단말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며,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전력 공급 단말을 매칭시켜 안내하여, 충방전장치를 이용한 개인간 전력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력 거래 종료시 전력 수급 단말의 전자 지갑에서 전력 공급 단말의 전자 지갑으로 거래 대금을 이체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풀노드, 상기 전력 수급 단말과 상기 전력 공급 단말과 상기 충전소 운영자 단말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라이트 노드로 작용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라이트 노드를 그룹화하여 채굴을 지원하고, 채굴된 가상 화폐를 채굴 참여도에 따라 라이트 노드의 전자 지갑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거래 방식에 따라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에 따라 내부의 스위치를 절환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 한전 등 전력 공급자의 전력을 이용한 전기차의 충전 거래 또는 전력 공급 전기차의 충전 전력을 상기 전력 공급자에게 판매하는 거래를 수행하는 릴레이부; 및
    거래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전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전력 거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전력 공급자의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라인;
    한 쌍의 전기차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제1라인 및 제2라인;
    개인간 전력 거래시 상기 제1라인과 제2라인을 상호 연결하는 제3스위치; 및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제1라인,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제2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및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거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전력 공급자에게 전력을 판매할 수 있는 수급라인; 및
    상기 수급라인과 상기 제1라인, 상기 수급라인과 상기 제2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거래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개인간 전력 거래시,
    상기 전력 수급 단말의 전자 지갑의 잔액을 고려하여,
    개인간 전력 거래를 중단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거래 시스템.
KR1020210142727A 2021-10-25 2021-10-25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KR102408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727A KR102408310B1 (ko) 2021-10-25 2021-10-25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727A KR102408310B1 (ko) 2021-10-25 2021-10-25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310B1 true KR102408310B1 (ko) 2022-06-14

Family

ID=8198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727A KR102408310B1 (ko) 2021-10-25 2021-10-25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63B1 (ko) * 2022-07-27 2023-02-20 (주) 아이테크 가상화폐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요금 결제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0757A (ja) * 2013-09-30 2015-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数の電力会社契約に対応した分電盤
KR102182321B1 (ko) * 2020-01-08 2020-11-24 (주)시그넷이브이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79768A (ko) * 2019-12-20 2021-06-30 한예지 블록체인 기반 전기자동차 전력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0757A (ja) * 2013-09-30 2015-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数の電力会社契約に対応した分電盤
KR20210079768A (ko) * 2019-12-20 2021-06-30 한예지 블록체인 기반 전기자동차 전력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82321B1 (ko) * 2020-01-08 2020-11-24 (주)시그넷이브이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63B1 (ko) * 2022-07-27 2023-02-20 (주) 아이테크 가상화폐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기 요금 결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41045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商业银行间用户在线跨境转移支付方法
KR10123379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US10528930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s) having offline functionality
CN108010137A (zh) 一种城市轨道交通实名制载体检票系统及方法
CN107743633A (zh) 自动售货机交易
KR102182321B1 (ko)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3946884B (zh) 一种用于用户进行跨时间支付的装置及包含该装置的系统
CN101763688A (zh) 基于非接触式手持支付终端支付公交费用的系统及方法
US9677909B2 (en) Electricity meter
CN102521921A (zh) 一种费控装置、预付费售电系统、售电系统及方法
CN104794613B (zh) 一种基于销售终端的移动设备鉴权方法
WO2012119853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charging spots for electrical cars
CN103413389A (zh) 基于银行账户对非银行账户管理和支付方法
CN102214335A (zh) 结算系统
KR102408310B1 (ko) 개인간 거래가 가능한 전력 거래 시스템
CN107784748A (zh) 一种基于分布式记账的自助收费终端
CN104715362A (zh) 利用实时信息通信确认交易的支付系统和方法
CN109389396A (zh) 交通卡账户自动充值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200700220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application payment processing
KR101922912B1 (ko)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N206209867U (zh) 非联网数据处理装置、非联网数据交互系统
KR101681002B1 (ko)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CN109285001A (zh) 可支付交通费用的设备、组合设备、系统及方法
CN114118989A (zh) 一种基于dcep本地物联网支付的电能表交易终端
CN202008710U (zh) 支持非接触ic卡的自助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