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912B1 -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912B1
KR101922912B1 KR1020160028957A KR20160028957A KR101922912B1 KR 101922912 B1 KR101922912 B1 KR 101922912B1 KR 1020160028957 A KR1020160028957 A KR 1020160028957A KR 20160028957 A KR20160028957 A KR 20160028957A KR 101922912 B1 KR101922912 B1 KR 10192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oney
prepaid card
card
digital
transac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824A (ko
Inventor
이승덕
Original Assignee
(주)모아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모아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6002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91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카드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구매를 디지털 화폐 거래소에 요청하는 단계,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상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deposit)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디지털 화폐 예금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됨),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디지털 화폐 전자지갑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카드사 서버로 상기 디지털 화폐 예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카드사 웹 페이지에서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는 사용 시점의 디지털 화폐 거래소의 환전 시세에 따른 전일 종가를 기반으로 거래된다.

Description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CRYPTOCURRENCY PREPAID CARD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화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화폐를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암호체계를 이용한 디지털 화폐(cryptocurrency)가 속속 등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2009년 가장 먼저 생기고 규모도 최대인 비트코인(bitcoin) 외에도 라이트코인(litecoin), 피어코인(peercoin), 네임코인(namecoin) 등이 있다.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비트코인은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 화폐가 아니라 온라인 거래상에서 쓰이는 가상화폐이다. 비트코인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정체불명의 인물이 각국의 중앙은행이 화폐 발행을 독점하고 자의적인 통화정책을 펴는 것에 대한 반발로 고안해 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컴퓨터가 제시하는 매우 난해한 수학 문제를 풀면 그 대가로 비트코인을 지급하는 작동방식으로, MIT 라이선스 를 적용해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컴퓨터 운영체제(OS)인 리눅스처럼 비트코인 역시 프로그래밍 설계도가 공개되어 있어서 개발자라면 누구나 프로그래밍 업그레이드에 참여할 수 있다.
비트코인을 만드는 과정은 광산업에 빗대어 ‘캔다’(mining)라고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만드는 사람을 ‘마이너’(miner), 즉 '광부'라고 부른다. 2009년부터 캐기 시작해, 현재까지 많은 양의 비트코인을 캤다. 처음 설계 당시 2145년까지 총 2100만 비트코인만 캘 수 있도록 설정했으므로 앞으로 약간의 비트코인을 캐면, 비트코인은 고갈된다. 광부가 아닌 사람은 돈을 주고 비트코인을 구입해 거래할 수 있다.
비트코인 다음 유명한 건 라이트코인이다. 지난 2011년 10월 미국 구글사 직원인 찰리 리가 비트코인을 변형시켜 개발했다. 참여자들이 급증하며 채굴이 어려워진 비트코인과는 달리 채굴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피어코인은 지난해 8월 소프트웨어 개발자 서니 킹이 비트코인에 영감을 받아 개발했다. 컴퓨터 에너지 효율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채굴할 수 있는 ‘친환경 통화’ 시스템이다.
이어 그리드코인(Gridcoin), 파이어플라이코인(Fireflycoin), 제우스코인(Zeuscoin) 등 신생 통화들이 속속 개발됐다. 원리는 대부분 비트코인과 비슷하지만 채굴 시스템이나 속도에 약간의 차이를 둬 가치를 결정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지는 비트코인 열풍 이후 시중에 80개가 넘는 가상통화가 등장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디지털 화폐를 유통하고 실제 현금화하여 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가 상품 구매 등과 같이 디지털화폐를 소비하기 위해서, 쉽게 지불을 할 수 있어야 하나, 지불을 위해 계정의 등록, 사적인 정보의 노출 등의 문제가 있고, 디지털 화폐의 사용자마다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110호(2010.12.24.)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3779호(2004.08.21.)
등록특허공보 제10-1591244호(2016.02.0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화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기반으로 생성된 선불카드를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의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카드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구매를 디지털 화폐 거래소에 요청하는 단계,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상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deposit)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디지털 화폐 예금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됨),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디지털 화폐 전자지갑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카드사 서버로 상기 디지털 화폐 예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카드사 웹 페이지에서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는 사용 시점의 디지털 화폐 거래소의 환전 시세에 따른 전일 종가를 기반으로 거래될 수 있다.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 사용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에서 환전 시세의 전일 종가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사용 액수를 선매수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카드를 통한 거래 체결 완료시,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가 상기 선불카드의 선매매 대금을 후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로의 이체는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와 카드사 서버와의 회원 연동 프로세스 및 전자지갑 연동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불카드 내 디지털 화폐는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Cash Dispenser) 기기에서 현금으로 전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불카드는 사용자 단말 내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는 디지털 화폐의 복수 개의 화폐 단위에 대한 실시간 환전 시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선불카드를 통한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서의 사용시,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소는 선구매 예금 금액 정보 및 사용 시점의 디지털 화폐의 전일 종가 정보를 카드사 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수신된 선구매 예금 정보 및 상기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 화폐의 사용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 제공하여 거래의 인증 및 승인을 통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시스템은 카드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구매를 디지털 화폐 거래소에 요청하고,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디지털 화폐 전자지갑에 충전하며, 상기 카드사 웹 페이지에서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deposit)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디지털 화폐를 제공하고, 카드사 서버로 상기 디지털 화폐 예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화폐 거래소(상기 디지털 화폐 예금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불카드 이체 요청에 따라 상기 선매매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에 이체하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 서버(상기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이체는 상기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짐)를 포함하되,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는 사용 시점의 디지털 화폐 거래소의 환전 시세에 따른 전일 종가를 기반으로 거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선구매를 통해 생성된 예금(deposit)을 이용하여 디지털 화폐 구매자가 선불카드를 구입 및/또는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품 구매 및 서비스 이용에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선불카드 충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의 실시간 환전 시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선불카드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디지털 화폐 거래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카드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에 따라 선불카드 현재 잔액을 디지털 화폐 단위와 현금화 단위로 듀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충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선불카드 충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디지털 화폐 거래소(130) 및 카드사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화폐 거래소(130)는 디지털 화폐를 거래하는 수행 주체로써,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와 동일한 의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 명명하여 수행 주체를 기재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고객이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로써, 통신망에 접속하여 카드사 홈페이지(120)에 접속가능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디지털 화폐 구입 및 선불카드에 구입한 디지털 화폐 이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써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폰, PDA, 개인용 컴퓨터(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랩톱 등), 웹 패드 등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카드사 서버(140)가 제공하는 카드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디지털 화폐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를 이용한 거래 시스템은 카드사와의 가맹점에서 가맹점 단말기와 연계하여 사용가능하며 현금 인출시 은행 또는 해당 카드사를 통해 예금 또는 신용으로 현금화하여 사용하고 후정산하는 프로세스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가맹점 또는 CD(Cash Dispenser)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해 현금이 충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화폐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화폐는 현금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고객이 충전한 디지털 화폐는 충전 또는 사용시점의 전일 종가로써 계산하여 현금처럼 충전 또는 사용할 수 있고, 디지털 화폐 자체는 카드사와 제휴되어 있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에서 매매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일 종가로 비트코인을 매매한 경우로 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시세차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카드사 홈페이지(120)를 통해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용자 개인이 부담하도록 하는 동의를 받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카드사 홈페이지(120)에 접속한 경우, 카드사 홈페이지(120)에서 회원 가입 및 본인 인증 등을 통해 카드사 서버(140)의 시스템에 가입할 수 있다. 즉, 최초 카드사 홈페이지(120)에 접속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회원 가입을 수행하고 본인 인증을 통해 해당 카드사의 선불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사로의 회원 가입은 카드사와 제휴되어 있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해당 거래소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카드사 홈페이지(120)를 통해 입력되는 회원 정보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와 연동된 인증서버(132)에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카드사 홈페이지(120)를 통해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로 디지털 화폐 선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구매 요청이 있으면, 이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로 통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전세계 어디서든 카드사 홈페이지(120) 접속을 통해 디지털 화폐를 구매 가능하다. 해외에서 구매한 디지털 화폐는 국내로 반입될 때,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에 등록하여 매매가 가능하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통해, 해외 거래시, 별도의 환전 수수료 없이 디지털 화폐로써 거래가 가능하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화폐를 거래 및/또는 취급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디지털 화폐가 일종의 가상 화폐로써 거래방식이 증권거래소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디지털화폐 대비 현금의 환전 시세를 관리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인증 서버(132)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34)와 연동할 수 있다. 이는 TCP/IP 통신 및/또는 기타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증 서버(132)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 정보는 카드사 서버(140)와 공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34)는 인증 서버(134)와 연동하여 특정 사용자의 디지털 화폐 예금 계좌 정보, 예금 계좌에 포함된 디지털 화폐 액수, 사용 로그 기록, 해당 계좌와 연계된 카드사 및/또는 카드 식별 번호, 환전 시세 내역, 환전 로그 기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상기 디지털 화폐 선매매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에 대한 예금 계좌를 생성하여 예금을 비치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실시간으로 및/또는 주기적으로 환전 시세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구매 당시의 환전 시세를 기반으로 현금을 디지털 화폐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사용자가 현금을 통해 선매매한 디지털 화폐에 대한 구매가 적절히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예금 계좌를 생성하여 해당 환전 시세에 따른 디지털 화폐를 예금해둔다. 이와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34)에 저장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디지털 화폐 선매매 거래 등을 관리하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따라 환전 시세를 관리할 수 있고, 이것이 사용자의 디지털 화폐 선매매에 반영될 수 있다. 다만, 현금의 디지털 화폐로의 전환 시점과 디지털 화폐의 현금 전환 시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시세 차익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거래에 대한 사전 동의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디저털 화폐 예금 계좌는 은행 계좌와 연동하여 은행에서 발급받을 수도 있다. 즉, 예금 계좌 및/또는 선불카드 서비스는 은행 서비스와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실시간 환전 시세
도 2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의 실시간 환전 시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실시간 및/또는 주기적으로 디지털 화폐(본 실시예에서는 비트 코인)과 각 국가별 다양한 화폐 단위의 환전 시세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2월 14일 9시에는 100 비트코인이 한국 원화로 500 만원이었는데, 10시에는 513 만원이 될 수 있다. 또한, 9시에는 100 비트코인이 미국 달러화로 4300 달러이지만, 10시에는 4325 달러가 될 수 있다. 이렇게 관리되는 디지털 화폐의 환전 시세 정보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카드사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거래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매매가 아니라 체결 매매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서 전일 종가로 현금에 대한 디지털 화폐를 선매수하여 주고, 매매대금을 사전 예금해놓고 있다가 카드 사용시 선매매 대금을 선급금으로 처리하고 매매 체결 완료시 후정산하는 구조로 카드 사용을 처리할 수 있다. 즉, 2/15일에 100 비트코인을 선매매 요청하는 사용자는 전일 종가인 5,235,427 원에 해당 비트코인을 선매매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사용시점(예컨대, 2/22일 14:00)에 해당 카드를 가지고 상품 구매 또는 현금화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시점의 전일(2/21일)의 종가에 따라 예금되어 있는 비트코인을 현금화하여 해당 금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플로우에 있어서는 실시간으로 달라지는 환전 시세에 맞춰 선불카드 충전을 위한 디지털 화폐 선매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특정 선불카드를 위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제공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은 카드사 홈페이지 및/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및/또는 주기적으로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또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환전 시세 정보와 전일 종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자신이 예금하기 위하는 디지털 화폐를 위한 현금액수를 확인할 수 있고, 또는 자신이 보유한 현금액수에 대응하는 디지털 화폐 액수를 상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선구매할 디지털화폐 액수를 결정하여 카드사 홈페이지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 선매매 예금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는 디지털 화폐를 선매매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선불카드를 개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드사 홈페이지(120)에서 선불카드 개설 메뉴로 들어가 카드사 서버(140)를 통해 선불카드를 개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매매되어 예금된 디지털 화폐를 전자지갑에 충전할 수 있고, 상기 카드사 홈페이지(120)에서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로 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이체가 가능하다. 즉, 카드 발급시,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와 카드사 서버(140)와의 제휴 관계 및/또는 시스템 연동 설정을 통해 당사간 회원 연동뿐만 아니라 전자지갑 연동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매매 예금 정보 및/또는 그와 관련된 개인 인증 정보가 카드사 서버(140)로 제공되고, 카드사 서버(140)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 검토를 수행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선불카드를 발급할 수 있고, 선불카드에 디지털 화폐를 충전하여 줄 수 있다. 선불카드의 발급은 플라스틱 카드 발급으로도 가능하지만, 사용자 단말(110) 내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카드(앱 카드)로도 발급 가능하다.
카드사 서버(140)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로부터 개인에 대한 디지털 화폐 예금 정보, 인증 정보, 환전 시세 정보(예컨대, 사용시점의 전일 종가 정보 등)을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선불카드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카드사 서버(14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 및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130)와 통신하고 카드사 홈페이지(120)를 사용자 단말(110)의 액세스를 위한 뷰어(viewer)로써 제공한다.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사용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선불카드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10) 내의 앱 카드 또는 선불카드를 상기 카드사 서버(340)와 제휴된 가맹점 단말기(320) 및/또는 CD 기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동의 및 본인 인증 등의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다만, 카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본인 인증 없이, 무기명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가맹점 단말기(320) 및/또는 CD기에서 카드 사용시 카드에 충전된 디저톨 화폐를 현금으로 전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과 동시에 단말기 또는 CD기는 사용자의 선불카드 사용하였다는 정보 및 현금 사용 액수 정보를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330)로 제공한다. 또한, 카드 식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330)는 해당 선불카드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예금 계좌를 기반으로 거래를 진행시킬 수 있다. 선불카드 사용시, 가맹점 단말기(320) 및/또는 CD기는 카드사 서버(340)로도 상기 카드 사용 정보 및 현금 액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330)는 사용자의 선불카드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사용시점의 환전 시세의 전일 종가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다. 그리고는, 현재 선매매를 통해 사전 예금된 디지털 화폐를 현금 전환하여 선급금으로 처리한다. 즉, 전일 종가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사용 금액만큼의 디지털 화폐를 사용자의 예금에서 차감할 수 있다. 이는 카드사 서버(340)로부터의 카드 거래 승인이 확정된 이후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330)는 선불카드 사용에 따른 선급금 처리에 따른 선구매 금액을 전일종가 정보와 함께 카드사 서버(340)로 제공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340)는 선구매 금액 및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예금된 금액에 따른 현금화 전환 가능액수를 계산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340)는 계산된 현금화 전환 가능액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금 사용 액수(예컨대, 상품 구매 또는 현금 인출 등)와 비교하여 현금 사용 액수가 전환 가능액수를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해당 거래의 승인을 판단할 수 있다. 현금 사용액수가 현금 전환 가능액수를 초과한다면, 승인이 불가하다고 판단하고 이를 가맹점 단말기(320)나 CD기로 전송하여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것이고, 초과되지 않으면 해당 거래를 승인할 수 있다. 승인 여부 판단 결과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330)로도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선불카드 거래에 따른 카드 수수료가 일부 발생할 수 있고, 카드 수수료 역시 사용시점의 전일 종가로써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330)로부터 디지털 화폐의 현금 전환을 통해 일부 비율(percentage: 예컨대, 거래액의 2% 등)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환전 시세 관리부(410), 사용자 인증부(420), 예금 관리부(430) 및 통신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및/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기능분할되어 구현될 수 있다.
환전 시세 관리부(410)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클라이언트 장치들)로부터의 환전 요청에 기반하여 증권거래의 방식에 따라 변동하는 환전 시세 정보를 관리한다. 이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환전 시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액수의 디지털 화폐의 선매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420)는 통신부(44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최초 선불카드 개설을 위한 선매매 예금이 이루어질 때 또는 카드 사용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불카드 개설 이후에는 무기명으로 선불카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선불카드를 위한 예금 계좌 개설시에만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고 이후에는 사용자 인증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디지털화폐를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예금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디지털 화폐 예금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계좌와 연동되는 예금을 관리한다. 예금 관리부(430)는 계좌 관리부(432), 현금화 금액 산출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432)는 사용자로부터의 예금 요청에 기반하여 계좌를 개설해주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현금에 대응되는 디지털 화폐에 대한 예금을 생성한다. 그리고는, 각 사용자에게 개설된 선불카드와 관련된 예금 계좌와 현재 디지털 화폐 잔고 액수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현금화 금액 산출부(434)는 환전 시세 관리부(410)로부터 실시간 환전 시세 정보 또는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예금 요청된 현금 금액을 대응되는 디지털 화폐 액수로 전환하고, 또는 현재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 액수를 사용시점의 전일 종가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현금 액수로 환산하여 계좌 관리부(432)로 제공하거나 또는 통신부(440)를 통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가맹점 단말기, CD 기기 및 카드사 서버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세서 및/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인증 정보, 예금 요청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가맹점 단말기 등으로부터 선불카드 사용 정보를 통보받을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의 정보 수신 및 외부로의 정보 전송은 통신부(4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카드사 서버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의 카드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사 서버는 디지털 화폐 예금 정보 관리부(510), 웹페이지 관리부(520), 정산부(530), 선불카드 관리부(540), 인증정보 관리부(550), 환전 시세 정보 관리부(560) 및 통신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사 서버의 구성요소 역시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및/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기능분할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화폐 예금 정보 관리부(510)는 특정 선불카드와 연계된 예금 계좌 저보를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한다.
웹 페이지 관리부(520)는 카드사 홈페이지 및/또는 선불카드 웹 페이지를 수정 및 업데이트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정산부(530)는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 충전 및 현금 지불 금액을 기반으로 선불카드와 관련된 충전 내역 및 사용 내역을 기록 및 관리한다.
선불카드 관리부(540)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선구매 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디지털화폐 선불카드를 개설 및 금액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전자 지갑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전자지갑의 금액이 선불카드 금액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설정으로 변경가능하다.
또한, 가맹점 단말기 또는 CD 기로부터 사용 금액을 통보받은 경우, 사용시점의 전일 종가 정보 및 현재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 예금 금액 정보를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지불해야 할 현금 금액과 현재 현금 전환 가능한 금액을 비교하여 거래의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가맹점 단말기 또는 CD기로 통보할 수 있다.
인증정보 관리부(550)는 선불카드 개설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사용자와 연계된 선불카드의 식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환전 시세 정보 관리부(560)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환전 시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특히, 충전 시점 또는 사용 시점의 환전 시세 정보 및 전일 종가 정보를 관리하여, 디지털 화폐 예금 정보 관리부(510) 및 선불카드 관리부(54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57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가맹점 단말기, CD 기기 및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프로세서 및/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7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드사 가입을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부터 예금 계좌 및 선불카드 개설과 관련된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카드 충전 요청, 선구매금액 정보, 카드 사용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의 정보 수신 및 외부로의 정보 전송이 통신부(57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화폐와 현금 잔액의 듀얼 표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시스템에 따라 선불카드 현재 잔액을 디지털 화폐 단위와 현금화 단위로 듀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카드사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또는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선불카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에 디지털 화폐 잔액 및 그에 대응되는 현금 잔액을 듀얼로써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즉, 카드사 서버는 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디지털 화폐 잔액 정보 및 전일 종가에 기반하여 산출된 현금 잔액 정보를 항시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국내뿐 아니라 국외 어디서나 이용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요구하는 복수 개의 화폐 단위로 변환하여 선불카드 현금 잔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불카드의 발급은 키오스크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키오스크 장치는 가맹점 단말기 근처, CD 기 근처 등에 배치될 수 있고, 무인 발급기로써 24시간 운영될 수 있다. 키오스크는 복수 개의 언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언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불카드 디지털 화폐 선매매 메뉴를 선택하여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서 제공하는 환전 시세 정보(예컨대, 전일 종가 정보)에 따라 원하는 디지털 화폐 액수를 복수 개의 국가 통화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현금 결제 등을 이용하여 해당 액수의 디지털 화폐를 선매매하여 선불카드를 구매할 수 있다. 결제 처리 완료시 선불카드와 영수증이 배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수령하여 가맹점 또는 CD 기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카드사 홈페이지
130: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 132: 인증 서버
134: 데이터베이스 서버 140: 카드사 서버
310: 사용자 단말 320: 가맹점 단말
330: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 332: 인증 서버
334: 데이터베이스 서버 340: 카드사 서버
410: 환전 시세 관리부 420: 사용자 인증부
430: 예금 관리부 432: 계좌 관리부
434: 현금화 금액 산출부 440: 통신부
510: 디지털 화폐 예금 정보 관리부
520: 웹페이지 관리부 530: 정산부
540: 선불카드 관리부 550: 인증 정보 관리부
560: 환전 시세 정보 관리부 570: 통신부

Claims (8)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카드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구매를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가 상기 선구매의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deposit)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됨;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가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디지털 화폐 전자지갑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가 카드사 서버로 상기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카드사 웹 페이지에서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는 사용 시점의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환전 시세에 따른 전일 종가를 기반으로 거래되고,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 사용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서 환전 시세의 전일 종가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사용 액수를 선매수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카드를 통한 거래 체결 완료시,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가 상기 선불카드의 선매매 대금을 후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실질 화폐와 디지털 화폐 간 환전 시세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환전 요청에 기반하여 증권거래 방식에 따라 일자 별로 개장 시간으로부터 폐장 시간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하고,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디지털 화폐의 복수 개의 화폐 단위에 대한 실시간 환전 시세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선불카드를 통한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서의 사용시,
    상기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서는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 식별 번호를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상기 카드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선구매 예금 금액 정보와 사용 시점의 상기 디지털 화폐의 전일 종가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선매매를 통해 사전 예금된 상기 디지털 화폐를 현금으로 전환하여 선급금으로 처리하고,
    상기 선급금 처리에 따른 선구매 금액을 상기 전일 종가 정보와 함께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카드사 서버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의 정보 및 상기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계산된 현금화 전환 가능 액수를 통해 사용자의 현금 사용 액수가 상기 전환 가능 액수를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 제공함으로써 거래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 전송하고,
    (i) 상기 현금 사용 액수가 상기 전환 가능 액수를 초과하면 승인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ii) 상기 현금 사용 액수가 상기 전환 가능 액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승인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상기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사용 금액만큼 상기 디지털 화폐를 사용자의 예금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로의 이체는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와 카드사 서버와의 회원 연동 프로세스 및 전자지갑 연동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 내 디지털 화폐는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Cash Dispenser) 기기에서 현금으로 전환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카드는 사용자 단말 내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6. 삭제
  7. 삭제
  8. 카드사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디지털 화폐에 대한 선구매를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 요청하고,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디지털 화폐 전자지갑에 충전하며, 상기 카드사 웹 페이지에서 전자지갑에 충전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선구매의 요청에 응답하여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deposit)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디지털 화폐를 제공하고, 카드사 서버로 상기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 상기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됨;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선불카드 이체 요청에 따라 상기 선구매된 디지털 화폐를 선불카드에 이체하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 서버, 상기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이체는 상기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짐;를 포함하되,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는 사용 시점의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환전 시세에 따른 전일 종가를 기반으로 거래되고, 상기 선불카드의 디지털 화폐 사용은,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에서 환전 시세의 전일 종가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사용 액수를 선매수하고 상기 선불카드를 통한 거래 체결 완료시,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가 상기 선불카드의 선매매 대금을 후정산하며,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의 실질 화폐와 디지털 화폐간 환전 시세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환전 요청에 기반하여 증권거래 방식에 따라 일자 별로 개장 시간으로부터 폐장 시간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하며,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디지털 화폐의 복수 개의 화폐 단위에 대한 실시간 환전 시세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선불카드를 통한 디지털 화폐의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서의 사용시,
    상기 선불카드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서는 상기 선불카드의 카드 식별 번호를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상기 카드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선구매 예금 금액 정보와 사용 시점의 상기 디지털 화폐의 전일 종가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선매매를 통해 사전 예금된 상기 디지털 화폐를 현금으로 전환하여 선급금으로 처리하고,
    상기 선급금 처리에 따른 선구매 금액을 상기 전일 종가 정보와 함께 상기 카드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카드사 서버는 수신된 상기 디지털 화폐 선구매 예금의 정보 및 상기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화폐의 계산된 현금화 전환 가능 액수를 통해 사용자의 현금 사용 액수가 상기 전환 가능 액수를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장치 또는 CD기에 제공함으로써 거래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로 전송하고,
    (i) 상기 현금 사용 액수가 상기 전환 가능 액수를 초과하면 승인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ii) 상기 현금 사용 액수가 상기 전환 가능 액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승인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화폐 거래 서버는 상기 전일 종가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사용 금액만큼 상기 디지털 화폐를 사용자의 예금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시스템.
KR1020160028957A 2016-03-10 2016-03-10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92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57A KR101922912B1 (ko) 2016-03-10 2016-03-10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57A KR101922912B1 (ko) 2016-03-10 2016-03-10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24A KR20170105824A (ko) 2017-09-20
KR101922912B1 true KR101922912B1 (ko) 2019-02-27

Family

ID=60033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57A KR101922912B1 (ko) 2016-03-10 2016-03-10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620A (ko) 2020-05-20 2021-11-29 주식회사 덩키기프트 정부 재정지출을 위한 화폐단위별 1대1로 태깅된 아이디를 갖는 디지털 화폐 발행 및 운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536B1 (ko) * 2018-08-21 2020-09-18 유한회사 하존솔루션 안면 인식을 사용한 샵앤샵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712359B (zh) * 2020-12-31 2024-01-12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货币的收款方法、收款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3781227B (zh) * 2021-09-17 2024-03-29 北京快来文化传播集团有限公司 虚拟金币兑换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165A (ko) * 2001-06-11 2002-12-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전자 화폐 및 전자 유가 증권의 환전 방법 및 시스템
KR100503944B1 (ko) * 2003-02-14 2005-07-26 (주)씨파트너스 통합 승인 처리, 새로운 충전 기능들 및 카드간송금 기능을 구비하는 선불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119429B1 (ko) 2009-06-16 2012-02-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전자화폐를 이용한 선불카드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620A (ko) 2020-05-20 2021-11-29 주식회사 덩키기프트 정부 재정지출을 위한 화폐단위별 1대1로 태깅된 아이디를 갖는 디지털 화폐 발행 및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24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256B1 (ko) 가상화폐거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Adu Cashless policy and its effects on the Nigerian economy
US83323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changing and/or transferring various forms of value
US20190139033A1 (en) Method for real-time conversion of cryptocurrency to cash and other forms of value at the point of use
US20080301047A1 (en) ATM System For Receiving Cash Deposits From Non-Networked Clients
KR101953162B1 (ko)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방법 및 카드 매출 채권 기반 가상 화폐 발행 장치
WO2014170741A2 (en) Payback payment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he same
KR101922912B1 (ko)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907848B1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이종화폐 송금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1403169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overeign/Non-Sovereign Dual Debit Accounts
CN105981060A (zh) 汇款系统及方法
CA2725424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ayment of monetary transactions
RU2145436C1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розничной торговли
CN1758290B (zh) 银行借记卡的附属卡系统及其处理方法
KR20170073336A (ko) 가상화폐를 이용한 환전 및 송금서비스 방법
KR20010082133A (ko) 기업간 대금결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간대금결제 관리 방법
KR20210100693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가상화폐 이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12688B1 (ko) 환전 서비스용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99545A (ko)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KR101681002B1 (ko)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2913B1 (ko) 디지털 화폐 선불카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935804B1 (ko) 가상 화폐 카드 결제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Omelchuk et al. Management and regulation of electronic money circulation: Information and juridical aspects
KR101195141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송금방법
KR20190050167A (ko) 환율을 반영하며 시간 단위로 표현되는 통합 전자화폐 생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