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993B1 - 블럭 완구 - Google Patents

블럭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993B1
KR102407993B1 KR1020210057769A KR20210057769A KR102407993B1 KR 102407993 B1 KR102407993 B1 KR 102407993B1 KR 1020210057769 A KR1020210057769 A KR 1020210057769A KR 20210057769 A KR20210057769 A KR 20210057769A KR 102407993 B1 KR102407993 B1 KR 102407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oy
binding
fold line
folded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근
Original Assignee
최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근 filed Critical 최영근
Priority to KR102021005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완구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심의 절첩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양측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절첩선의 양측에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기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에 적어도 하나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은 형상이 직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양측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고 절첩선의 양측에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므로 결속돌기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에 결합시켜 간단한 방식을 통해 인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럭 완구 {BLOCK TOYS}
본 발명은 블럭 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블럭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럭 완구는 다양한 형상의 블럭 상하면에 원형 또는 각형의 돌부와 요부를 각각 2열이상 다수열로 형성한 것과, 핀을 비롯한 별도의 조립용 부품을 이용하여 연결 또는 적층조립하도록 된 것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더욱이, 블럭 완구는 통상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면 또는 측면에 1열에서 다수열로 원형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 또는 다른 측면에는 상기한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1열에서 다수열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돌기와 홈의 조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완구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2213369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조립이 단조롭고, 고형화 상태로 제작되면서 서로 결합시키므로 한정된 형상으로 조립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2213369호(2021.02.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절첩이 가능하도록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가능한 블럭 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럭 완구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심의 절첩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양측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절첩선의 양측에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기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에 적어도 하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속돌기 및 결속홈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 완구는 전개 상태의 종이를 접어 형성되거나, 상기 결속돌기 및 결속홈이 형성된 합성수지 또는 연질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럭 완구가 전개 상태의 종이를 접어 형성되는 경우,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종이 판재의 횡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1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접고, 상기 종이 판재의 종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2 절첩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접고, 상기 제2 절첩선을 펼친 상태에서 양측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어 양단부의 연장면이 노출되도록 경사지게 접고, 상기 연장면의 외측단부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어 모서리 부분이 상기 종이 판재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접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면을 제5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는 상태에서 상기 결속돌기가 양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종이 판재를 상기 제2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다.
상기 결속돌기에서 상기 제2 절첩선의 단부를 벌려 원호면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블럭 완구는 세그먼트를 동일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블럭 완구는 세그먼트를 직선 형태 또는 단차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심의 절첩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양측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절첩선의 양측에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기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에 적어도 하나 결합되고, 상기 블럭 완구는 전개 상태의 종이를 접어 형성되되, 직사각 형상을 갖는 종이 판재의 횡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1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접고, 상기 종이 판재의 종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2 절첩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접고, 상기 제2 절첩선을 펼친 상태에서 양측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어 양단부의 연장면이 노출되도록 경사지게 접고, 상기 연장면의 외측단부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어 모서리 끝단 부분이 상기 종이 판재의 내부에 위치되어 풀리지 않도록 접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면을 제5 절첩선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접어 상기 연장면이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결속돌기가 양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종이 판재를 상기 제2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은 형상이 직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양측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고, 절첩선의 양측에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므로 결속돌기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에 결합시켜 간단한 방식을 통해 인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 완구의 세그먼트를 전개 상태에서 입체 모양으로 접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 완구의 세그먼트에서 결속돌기의 단부를 벌려 원호면이 형성되게 하는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 완구의 실시예를 정면, 측면 및 배면으로 도시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럭 완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 완구의 세그먼트를 전개 상태에서 입체 모양으로 접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 완구의 세그먼트에서 결속돌기의 단부를 벌려 원호면이 형성되게 하는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 완구의 실시예를 정면, 측면 및 배면으로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럭 완구(10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종이 판재(110)를 종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2 절첩선(114)을 기준으로 양측에 결속홈(1130) 및 결속돌기(1140)가 형성되도록 직삼각형 형상으로 접어, 결속돌기(1140)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1130)에 결합시키면서 완구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블럭 완구(100)는 도 1과 같이 전개 상태의 종이를 접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종이를 접어 형성된 최종 형상과 대응되도록 결속홈(1130) 및 결속돌기(1140)가 일체 형성된 상태로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재로 제작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블럭 완구(100)를 조립하는 기본 구성인 블럭 완구 세그먼트를 종이 판재(110)를 이용하여 접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각 형상을 갖는 종이 판재(110)를 준비한다.
그리고 종이 판재(110)의 횡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1 절첩선(112)을 기준으로 종이 판재(110)를 상하 방향으로 접는다. 이 경우, 중심의 제1 절첩선(112)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접은 종이 판재(110)는 겹쳐지면서 형성된 상부 틈을 통해 후술할 접이면(1112)의 모서리 부분이 부분 삽입된다.
그리고 종이 판재(110)의 종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2 절첩선(114)을 기준으로 제1 절첩선(112)에서 한 차례 접힌 종이 판재(110)를 좌우 방향으로 재차 접는다.
그리고 제2 절첩선(114)을 기점으로 종이 판재(110)의 양단을 펼친 상태에서 양측에 45°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절첩선(116)을 기준으로 접어 양단부의 연장면(1110)이 노출되도록 경사지게 접는다.
즉,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종이 판재(110)의 양단을 경사진 제3 절첩선(116)을 기준으로 접게 되면 끝단부가 절반으로 접힌 종이 판재(11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면서 연장면(1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면(1110)의 외측단부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절첩선(118)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접어 형성된 접이면(1112)의 모서리 부분이 종이 판재(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접이면(1112)이 형성된 연장면(1110)을 제5 절첩선(120을 기준으로 아래로 접는다.
그리고 연장면(1110)을 접어 이등변삼각 형상의 종이 판재(110)를 제2 절첩선(114)을 기점으로 접어 직삼각 형상을 갖도록 한다.
이렇게, 정삼각 형상의 종이 판재(110)를 제2 절첩선(114)을 기점으로 절반을 접어 직삼각 형상을 하도록 접는 경우 제2 절첩선(114)의 양측에 내부에 결속홈(1130)이 형성된 결속돌기(1140)가 구비되므로 결속돌기(1140)를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1130)에 결합시켜 연장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형 등을 만들게 된다.
한편, 블럭 완구 세그먼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면(1110) 반대측인 제2 절첩선(114)의 단부를 뾰족한 물건(T) 등으로 벌려 각각의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경우 뒷모습이 미려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럭 완구(100)를 이용하여 일실시예의 펭귄 인형을 만드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일실시예의 펭귄 인형을 만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가 총 21개가 필요하며,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구비하게 된다.
즉, 일실시예의 펭귄 인형은 머리(10) 세그먼트 1개, 목(20) 세그먼트 1개, 윗가슴(30) 세그먼트 2개, 가슴(40) 세그먼트 3개, 배몸통(50) 세그먼트 2개, 날개(52) 세그먼트 2개, 골반(60) 세그먼트 3개, 다리(70) 세그먼트 4개, 발(80) 세그먼트 2개 및 꼬리(90) 세그먼트 1개로 구성된다.
더욱이, 펭귄 인형은 아래의 순서를 통해 제작하는데 국한하지 않고 결합 순서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먼저, 배몸통(50)과 날개(52)를 만들기 위해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4개를 연달아 동일 방향(횡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때, 배몸통(50)과 날개(52)를 만들기 위해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에서 결속홈(1130)은 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고 결속돌기(1140)의 모서리는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배몸통(50)과 날개(52)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4개의 결속홈(1130)에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개의 결속돌기(1140)를 각각 결합시킨다.
여기서, 배몸통(50)과 날개(52)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4개의 결속홈(1130)은 총 8군데이고,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의 결속돌기(1140)는 총 6군데이므로 날개(52) 중 외곽쪽에 각각 위치된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의 외측 결속홈(1130)을 제외한 나머지 배몸통(50)과 날개(52)의 결속홈(1130) 6개에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의 결속돌기(1140) 6개를 각각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개의 결속홈(1130)에 윗가슴(3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결속돌기(1140)를 각각 결합시킨다.
여기서,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개의 결속홈(1130)은 총 6군데이고, 윗가슴(3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의 결속돌기(1140)는 총 4군데이므로 가슴(40) 중 외곽쪽에 각각 위치된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의 외측 결속홈(1130)을 제외한 나머지 결속홈(1130) 4개에 윗가슴(3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의 결속돌기(1140) 4개를 각각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윗가슴(3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결속홈(1130)에 목(2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1개의 결속돌기(1140)를 각각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목(2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1개의 결속홈(1130)에 머리(1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1개의 결속돌기(1140)를 결합시킨다. 이때, 머리(1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는 180°를 회전시킨 상태로 목(2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1개의 결속홈(1130)에 결합시키며, 결속돌기(1140)의 양측면에 눈(12)을 붙이게 된다.
다음으로, 배몸통(50)과 날개(52)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4개의 결속돌기(1140)에 골반(6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개의 결속홈(1130)을 결합시킨다.
이때, 날개(52)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외곽쪽 결속돌기(1140)는 펼쳐 날개 역활을 하게 한다.
다음으로, 골반(6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개의 결속돌기(1140)에 다리(7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결속홈(1130)을 결합시킨다. 한편, 다리(70)는 상하 2개를 각각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골반(6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개 중 외곽에 위치된 세그먼트의 결속돌기(1140)는 다리(7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결속홈(1130)에 결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다리(7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결속돌기(1140)에 발(8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의 결속홈(1130)을 결합시킨다.
이때, 발(8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2개는 머리(10)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와 달리 경사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상이하다.
한편, 발(8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는 다리(7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꼬리(9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1개를 골반(6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3 개중 가운데 있는 세그먼트에 고정시킨다.
더욱이, 꼬리(9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는 골반(60) 중 가운데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머리(1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와 목(2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그리고 다리(7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와 발(8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는 직선 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윗가슴(3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배몸통(50) 및 날개(52)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 및 골반(6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는 단차 형태로 연결된다.
이는 윗가슴(3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가 2개이고, 가슴(4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가 3개이고, 배몸통(5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가 2개이고, 날개(52)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가 2개이며, 골반(60)에 해당하는 블럭 완구(100) 세그먼트가 3개와 같이 개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결속돌기(1140)가 이웃한 다른 세그먼트의 결속홈(1130)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머리(10) 세그먼트, 날개(52) 세그먼트, 발(80) 세그먼트 등은 금형 등을 통해 입체 형태를 갖도록 별도 제작한 상태에서 결합 가능하되, 특히, 날개(52) 세그먼트 등의 경우 팔 세그먼트로 교체 가능하며, 날개(52) 세그먼트나 팔 세그먼트의 경우 장난감 로봇 등과 같이 관절부위가 접히고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블럭 완구 110: 종이 판재
1110: 연장면 1112: 접이면
1130: 결속홈 1140: 결속돌기
112: 제1 절첩선 114: 제2 절첩선
116: 제3 절첩선 118: 제4 절첩선
120: 제5 절첩선

Claims (7)

  1.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심의 절첩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양측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절첩선의 양측에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의 내부에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기가 이웃한 블럭 완구의 결속홈에 적어도 하나 결합되고,
    상기 블럭 완구는 전개 상태의 종이를 접어 형성되되, 직사각 형상을 갖는 종이 판재의 횡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1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접고, 상기 종이 판재의 종방향 중심에 형성된 제2 절첩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접고, 상기 제2 절첩선을 펼친 상태에서 양측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어 양단부의 연장면이 노출되도록 경사지게 접고, 상기 연장면의 외측단부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4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어 모서리 끝단 부분이 상기 종이 판재의 내부에 위치되어 풀리지 않도록 접이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면을 제5 절첩선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접어 상기 연장면이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결속돌기가 양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종이 판재를 상기 제2 절첩선을 기준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 및 결속홈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완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에서 상기 제2 절첩선의 단부를 벌려 원호면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완구는 세그먼트를 이웃한 세그먼트에 동일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완구는 세그먼트를 직선 형태 또는 단차 형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완구.
KR1020210057769A 2021-05-04 2021-05-04 블럭 완구 KR102407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69A KR102407993B1 (ko) 2021-05-04 2021-05-04 블럭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769A KR102407993B1 (ko) 2021-05-04 2021-05-04 블럭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993B1 true KR102407993B1 (ko) 2022-06-13

Family

ID=8198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769A KR102407993B1 (ko) 2021-05-04 2021-05-04 블럭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57A (ko) * 2004-02-24 2005-08-31 정성진 접는 소재부품과 이를 이용한 제품
JP3119742U (ja) * 2005-12-19 2006-03-09 泰幸 加藤 軟質合成樹脂製折り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折りブロック組立体
KR102213369B1 (ko) 2019-11-06 2021-02-09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조립식 완구블럭
JP2021030061A (ja) * 2019-08-28 2021-03-01 ユエン トウ、クン 2つの容器及びそれらの間の可撓性ベルトを含む建造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57A (ko) * 2004-02-24 2005-08-31 정성진 접는 소재부품과 이를 이용한 제품
JP3119742U (ja) * 2005-12-19 2006-03-09 泰幸 加藤 軟質合成樹脂製折り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折りブロック組立体
JP2021030061A (ja) * 2019-08-28 2021-03-01 ユエン トウ、クン 2つの容器及びそれらの間の可撓性ベルトを含む建造部材
KR102213369B1 (ko) 2019-11-06 2021-02-09 라이프앤사이언스주식회사 조립식 완구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55891A (ja) ピラミッドパズル
JP3205533U (ja) 組み立て玩具
US20190275436A1 (en) Reversible toy
US9993739B2 (en) Transformable toy robot
JP3119742U (ja) 軟質合成樹脂製折り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折りブロック組立体
KR102407993B1 (ko) 블럭 완구
RU2448754C2 (ru) Конструктор мягкой игрушки
WO1998034695A1 (en) Fold-through picture puzzle
EA012895B1 (ru) Игрушк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трёхмерной головоломкой
KR100895494B1 (ko) 매직큐브 놀이구
Holden Orderly Tangles: Cloverleafs, Gordian Knots, and Regular Polylinks
KR200495487Y1 (ko) 놀이용 이음블럭
CN112272582B (zh) 构造型玩具的立方体元件
RU141779U1 (ru) Головоломка и игра-3d пазлы (варианты)
KR102162953B1 (ko) 스토리 완성형 종이 텔레비전 인형극 놀이기구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CN216777888U (zh) 纸片立体拼图改进构造
CN108290074B (zh) 木制模型
JP2010240310A (ja) 紙製組立部材および組立玩具
KR20010092560A (ko) 직육면체를 이용한 다변형 입체퍼즐
KR0116072Y1 (ko) 탑쌓기 완구용 블럭
TWI571295B (zh) 壓縮可回彈之變形玩偶及其板材
CN217119331U (zh) 一种三角龙纸模
JP6814856B2 (ja) 木製フィギュア
JP2007135798A (ja) 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