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541B1 -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541B1
KR102406541B1 KR1020210184741A KR20210184741A KR102406541B1 KR 102406541 B1 KR102406541 B1 KR 102406541B1 KR 1020210184741 A KR1020210184741 A KR 1020210184741A KR 20210184741 A KR20210184741 A KR 20210184741A KR 102406541 B1 KR102406541 B1 KR 10240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box
tracking
location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용
박용택
Original Assignee
(주)대산라이팅
박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라이팅, 박용택 filed Critical (주)대산라이팅
Priority to KR1020210184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2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child unit emits, i.e. the child unit incorporates the emit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01S1/0423Mounting or deploymen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5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네의 좁은 골목길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안등의 점멸기함(또는 가로등의 제어함)을 이용하여 치매환자나 애완동물 또는 분실물 등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추적대상체가 휴대하는 발신수단과, 보안등의 점멸기함 내에 설치하여 발신수단의 발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수단과, 여러 위치의 수신수단이 수신된 신호데이터를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통합운영센터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에는 수신된 시각과 보안등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시 추적대상체가 보안등을 경유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Dementia patient or lost item location tracking system using security light flasher box or street light control box}
본 발명은 동네의 좁은 골목길마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보안등의 점멸기함 또는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의 제어함을 이용하여 가족이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출한 치매환자나 애완동물 또는 분실물 등의 최종 위치를 효과적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dementia)는 정신지체(精神遲滯)와 마찬가지로 지능의 장애로서, 발병 전에는 정상적이던 지능이 대뇌의 질환 때문에 저하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매 환자들은 기억 및 이해의 장애, 계산능력의 저하, 사고의 빈곤화, 보속(保續: 일정한 언동을 실현하는 충동이 존속하여 같은 언동을 되풀이한다)의 증상 등을 나타내고 있다.
근래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치매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치매환자에 대한 돌봄은 크나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가정이나 시설에서 보호자가 돌보고 있던 치매환자는 잠깐 한눈을 파는 사이 혼자 집 밖을 나가는 경우가 잦고 이후 기억력 저하로 인해 집을 찾아오지 못하고 행방불명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치매환자가 보호자 없이 밖으로 돌아다니며 배회하게 되면 여러 사고를 당하거나 사람이 없는 장소까지 이동을 하게 되면 목숨까지 위협받게 되는 위험한 상황이 되므로 행방을 놓치는 경우 최대한 이른 시간 내에 행방을 찾아내야 한다.
종래 위치 통신시스템에 의한 추적시스템에 의하지 않고 치매환자를 찾는 경우에는 가장 쉽게 근접할 수 있는 방법은 길거리에 설치된 CCTV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많은 문제가 뒤따른다.
먼저, 치매환자가 CCTV가 설치된 장소를 통과하여야 하는 조건이 먼저 성립되어야 하는데, 근래 많은 숫자의 CCTV가 설치되고는 있지만, 그 숫자가 아직 치매환자 등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기에는 부족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보호자는 치매환자의 이동이 예상되는 여러 경로를 이동하면서 CCTV가 설치된 장소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고 확인 후 각각의 CCTV가 녹화한 화면을 하나씩 긴 시간 범위 내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CCTV에 실종된 치매환자가 확인되었다 하더라도 이후 어느 방향으로 이동을 하였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최초 확인된 CCTV 이후의 경로를 또다시 찾고 녹화내용을 확인하는 순서를 반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매우 오랜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근래 개발된 다른 위치확인 시스템의 한 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04409호인데, 이 선행문헌은 피보호자가 착용하며 주기적으로 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위치발신기 및 보호자와 피보호자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수신기를 포함한다. 위치수신기는 위치발신기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다가 위치발신기가 소정 거리 이상 떨어질 경우 경고를 울리는 방법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피보호자가 보호자로부터 멀어지는 순간을 체크하는 기술이므로, 피보호자가 보호자로부터 멀어진 이후에는 더 이상 피보호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특허문헌은 기본적으로 보호자가 항상 피보호자 주변에 함께 있어야만 하는데, 현실적으로 보호자가 피보호자와 늘 함께 생활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더욱 큰 문제는 능동형 위치추적기와 미아 발생감지기 사이의 위치추적 시스템이 폐쇄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과 문제점은 치매환자를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애완동물의 무단가출이나 귀중품 도난 등의 경우에도 동일한 범주의 문제가 있고, 역시 그에 따른 해결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0-0104409(2010년09월29일)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가족이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출한 치매환자나 애완동물 또는 분실물의 최종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함을 주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보안등의 점멸기함이나 가로등의 제어함을 이용하여 수신장치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시설투자 없이도 효율적이고 정확한 현재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면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발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추적 시스템을 구현하고, 효율적인 통신수단을 적용하여 관리운영에 비용이 최소화되면서 효율적인 위치추적이 가능하게 되는 추적 시스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제어함 및 보안등의 점멸기함의 작동상태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안출하였다.
추적대상체가 휴대하거나 장착되는 발신기로서 일정한 시각마다 근거리 범위내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발신수단과, 특히 보안등의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의 제어함 내에 설치하여 발신수단의 발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수단과, 여러 위치의 수신수단이 수신된 신호데이터를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통합운영센터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에는 수신된 시각과 보안등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시 추적대상체가 보안등을 경유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추적대상체에는 비콘 발신기를 착용, 장착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되도록 하고 가로등의 제어함 또는 보안등의 점멸기함(이하 보안등의 점멸기함으로 통칭함) 내에는 점멸기함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비콘 리더기를 설치하여 주변을 통과하는 비콘 발신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수신된 신호는 로라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로 송신한 후, 이를 다시 통합운영센터로 송신하여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추적대상체의 이탈이 발생할 경우 곧바로 최종 수신된 보안등의 위치로 이동하여 수색하면 되므로 신속한 발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저전력이면서 효율적인 통신수단인 비엘이통신과 비콘기술 및 로라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설비 비용과 관리운영에 따르는 비용이 최소화되면서 효율적인 위치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가로등의 제어함 및 보안등의 점멸기함의 작동상태를 비콘 리더기가 인식하여 비콘 발신기의 신호와 동시에 통합운영센터로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가로등 및 보안등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수단 연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신수단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점멸기 함에 설치되는 수신수단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에 대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전체적 구성은 우선 기구적으로 치매환자를 예시로 하는 사람이나 귀중품 또는 애완동물 등의 추적대상체에 휴대하게 하거나 또는 착용 내지 장착하는 방식으로 일체화할 수 있는 발신수단(100)과, 상기 발신수단(10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리더기를 포함하고 보안등의 점멸기함 내에 설치되는 수신수단(200), 여러 수신수단(2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서버(400)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 로라통신을 이용하는 로라 게이트웨이(300), 송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서버(400), 그리고 네트워크 서버(400)의 정보를 운영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501)를 구비한 통합운영센터(500)로 구비된다.
또한, 발신수단(100)으로부터 통합운영센터(500)까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을 살펴보면, 발신수단(100)에서부터 수신수단(200)까지는 비엘이(BLE) 통신방식의 비콘(BEACON)이고, 수신수단(200)으로부터 게이트웨이(300)까지는 로라(LoRa)통신망이며, 이후 네트워트 서버(400)를 거쳐 통합운영센터(500)까지는 유선을 사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추적대상체에 일체화되는 발신수단(100)으로서의 비콘 발신기(101)와, 비콘 발신기(101)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보안등의 점멸기함(20) 내부에 비콘 리더기(201) 및 로라 통신모듈(202)이 장착되는 수신수단(200), 수신된 신호를 로라통신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400)로 전달하기 위한 송신수단으로서의 로라 통신모듈(202) 및 로라 게이트웨이(300), 로라 게이트웨이(300)를 통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운영센터(500)로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서버(400),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목적에 맞게 운영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501)를 구비하는 통합운영센터(500), 그리고 PC 등의 관리 및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관리자가 필요시 확인할 수 있는 관리사무실(502)로 전체 시스템이 구비된다.
발신수단(100)은 외형적으로 사람(치매환자)의 경우에 적합하게는 목걸이형이나 손목에 착용가능한 밴드 형태로 구성함이 적절하다. 휴대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추적대상체가 치매환자이면 집이나 시설을 나갈 때 반드시 휴대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망각할 우려가 많기 때문에 쉽게 분리할 수 없는 형태가 적당할 것이다.
기타 추적대상체가 동물인 경우에도 목걸이 형태가 적합할 것이며, 자전거나 기타 고가의 물품인 경우에는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 방식이나 위치의 장착수단이 요구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발신수단 및 수신수단으로서 비엘이(BLE) 무선통신 방식의 비콘 발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였다.
BLE통신(Bluetooth Low Energy)은 Bluetooth 4.0 이자, 기존 블루투스의 단점인 많은 전력소비를 보완한 저전력 무선통신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저전력 통신인 BLE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 워치 같은, 배터리로 구동되는 웨어러블 블루투스 장치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수단이다.
BLE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은 기본적으로 Advertise(Broadcast) 모드와 Connection 모드라는 방법으로 외부와 통신하는데, Advertise Mode ( = Broadcast Mode)는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의 모든 디바이스에게 Signal을 보낸다. 다시 말해, 주변에 디바이스가 있건 없건, 다른 디바이스가 Signal을 듣는 상태이건 아니건, 자신의 Signal을 일방적으로 또한 일정 주기로 보내는 것이다.
Connection Mode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Advertising Packet으로만 전달하기에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목적상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필요가 없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도 없으므로 적용할 필요가 없는 모드이며, 따라서 이러한 Advertise Mode만을 사용함에 의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비콘(BEACON)은 비엘이(BLE)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기기로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발신수단(100)의 비콘 발신기(101)와 비콘 발신기(101)의 발신신호 수신을 위한 수신수단(200)의 비콘 리더기(201)로 구성된다. 이러한 비콘은 사물인터넷에 특화된 BLE(저전력 블루투스 4.0 LE)의 기능을 사용하여 일정한 반경 이내에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사물인터넷에 가장 최적화된 기술중의 하나이며, 가격도 저렴하여 활용도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엘이 비콘을 이용하여 추적대상체에 일체화되어 같이 이동하는 비콘 발신기(101)로부터 발신하는 데이터 신호를 비콘 리더기(201)가 수신하는 방법을 안출하여 저렴한 가격이면서 길거리에서 위치 추적에 최적화된 방법을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이러한 비엘이와 비콘기술을 이용하되 비콘 수신기를 설치하는 위치를 골목길마다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보안등의 점멸기함(20)에 설치하여 점멸기함(20)의 자체전력을 이용하여 구동 가능하고 점멸기함(20)의 작동상태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콘 수신기(201)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로라(LoRa; Long Range) 통신모듈(202)을 이용하여 및 로라 통신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400)로 송신하는 것도 하나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로라 통신모듈(202)에서 발신한 데이터는 로라 게이트웨이는(300)로 전달되는데, 로라 게이트웨이(300)는 통신 가능한 일정한 범위 내의 여러 점멸기함(20)에 설치된 로라 통신모듈(202)의 신호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서버(400)로 전달한다.
로라통신은 사물들 간의 인터넷(IoT)을 위한 전용 통신수단으로서, 근래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운영·관리하는 사설 사물인터넷 전용 로라(LoRa)망이 국내 처음 상용화된 바 있다. 이러한 로라통신은 통신 업체와 별도 무선망으로 구축돼 보안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내부에서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LoRa망은 비면허 대역인 920 또는 940M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신호 전달 속도는 0.3kbps에서 5kbps다. 전파 최장 도달 범위는 반경 20㎞로, 넓은 지역 내에서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쓴다. LTE 기반 IoT 전용망 'LTE-M'에 비해 중계기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하다는 게 장점이다. 또한, 통신업체의 무선망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통신에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BLE처럼 저전력(Low Energy)으로 동작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부분적으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추적대상체에 일체화되는 발신수단은(100) 착용 내지 장착이 가능한 형태로서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102)이 구성되고, BLE MCU(103)가 장착되어 2.4G 안테나(104)를 통하여 비엘이 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3.3V 배터리(105)가 연결되어 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비엘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200)은 특히 보안등의 점멸기함(2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비엘이 신호를 수신하면서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BLE MCU(203)가 구성되고, 조작버튼(204)과 GPS모듈(205) 및 상태확인용 LCD(206)가 연결구성된다.
또 수신한 데이터를 네트워크 서버(400)로 전달하기 위하여 로라 통신모듈(202)이 연결되어 로라 게이트웨이(300)를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통신구성은 보안등의 점멸기함(20) 내에 설치되는 것이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데, 상기 통신에 필요한 전원은 점멸기함(20)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전원블록(207)을 연결하고, 보안등 제어블록(208)과 연결함으로써 보안등제어 상태를 BLE MCU(203)가 전달받아 위치추적을 위한 정보와 함께 보안등제어 상태를 통합운영센터(500)로 송신함으로써 보안등의 제어 역시 신속하게 통합적/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한 절차의 단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 구청 등의 지방자치단체 관리자에게 사용신청서를 제출함과 동시에 인적사항, 연락처 등을 등록하고 추적대상체 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한 후 통합운영센터(500)의 서비스 서버(501)에 저장하여 추후 고유번호와 관련한 신호를 수신/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단계에서는 치매환자 등 위치추적이 반드시 필요한 사안인지를 확인하는 절차와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겠다는 서약 등의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와 같은 설정이 완료되면 신청자에게 발신수단(100)을 제공하는데, 발신수단에는 고유번호가 저장되어 수신수단(200)에 근접할 경우 고유번호 정보를 발신하도록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발신수단(100)을 착용 내지 장착한 추적대상체가 무단으로 집이나 시설로부터 이탈하여 길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애완동물이나 귀중품 도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동중 가로등이나 보안등이 설치된 위치를 이동하게 되면, 발신수단(100)의 비콘 발신기(101)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신한 신호를 보안등의 점멸기함(20)의 수신수단(200) 즉, 비콘 리더기(201)가 수신하여 이를 로라 통신모듈(202)을 통하여 무선송신하고 다시 로라 게이트웨이(300)를 통하여 네트워크 서버(400)를 통하여 통합운영센터(500)의 서비스 서버(501)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501)에 저장하게 되는 정보는 추적대상체의 고유번호와 보안등 점멸기 함의 고유번호 전송시각 등이다. (예: AAABBB-0003/각산동100-12/2021.11.05.21:40:50)
이러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에서 저장 및 관리중인 상태에서 치매환자의 실종이나 물품의 분실이 발생할 경우, 추적대상체의 관리자(보호자)가 관리사무소에 방문하여 신분을 입증한 후 이동경로의 확인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저장중인 데이터를 확인하면 추적대상체의 고유번호별로 시각별 저장된 데이터를 확보하면 추적대상체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최종 확인된 위치와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를 인력으로 수색하여 위치 추적을 완료하게 된다.
해당 최종적으로 확인된 보안등 점멸기함(20)의 주변에 추적대상체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근처의 CCTV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 후 해당 CCTV의 저장화면을 확인하면 해당 신호를 발신한 발신수단의 소유자가 찾고자 하는 치매환자가 맞는지 또는 보안등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더욱 정확한 확인이 가능한데, 해당 마지막 정보가 기록된 시간의 전후 몇 분만 저장화면을 확인하면 되므로 매우 빠른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보안등의 점멸기함(20)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보안등의 관리 기능도 함께 활용할 수 있게 되는데, 수신수단(200)인 비콘 리더기(201)에 보안등 제어블록(208)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보안등의 작동상태 즉, 보안등의 점등/미점등 상태나 고장 여부 및 작동시간의 준수 여부 등을 서비스 서버(501)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청이나 시청 등의 보안등 관리책임자가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전체적인 보안등의 관리를 실시간 한눈에 쉽게 확인이 가능하고 고장 등에 대한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신수단(200)은 점멸기함(2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보안등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되므로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 없이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20: 점멸기함
100: 발신수단
101: 비콘 발신기 102: 조작버튼 103: BLE MCU
104: 안테나 105: 배터리
200: 수신수단
201: 비콘 리더기 202: 로라 통신모듈 203: BLE MCU
204: 조작버튼 205: GPS모듈 206: LCD
207: 전원블록 208: 보안등 제어블록
300: 로라 게이트웨이
400: 네트워크 서버
500: 통합운영센터
501: 서비스 서버 502: 관리사무소

Claims (4)

  1. 가족이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가출한 치매환자나 애완동물 또는 분실물을 포함하는 추적대상체의 최종 위치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위치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추적대상체가 휴대하거나 장착되는 발신기로서 일정한 시각마다 근거리 범위 내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으며, 추적대상체가 치매환자인 경우 목걸이형 또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인 발신수단과,
    보안등의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의 제어함 내에 설치하여 발신수단의 발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점멸기함의 전원을 사용하는 수신수단과,
    여러 위치의 수신수단이 수신된 신호데이터를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통합운영센터의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에는 수신된 시각과 보안등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필요시 추적대상체가 보안등을 경유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위치추적 시스템의 사용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관리자에게 사용신청서를 제출함과 동시에 인적사항, 연락처를 등록하고 추적대상체 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한 후 통합운영센터(500)의 서비스 서버(501)에 저장하여 추후 고유번호와 관련한 신호를 수신/저장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하는 단계의 설정이 완료되면 신청자에게 발신수단(100)을 제공하되, 발신수단에는 고유번호가 저장되어 수신수단(200)에 근접할 경우 고유번호 정보를 발신하도록 설정되는 단계와,
    데이터가 서비스 서버에 저장 및 관리중인 상태에서 치매환자의 실종이나 물품의 분실이 발생할 경우, 추적대상체의 관리자가 관리사무소에 방문하여 신분을 입증한 후 이동경로의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 서버에 저장중인 데이터를 확인하고 추적대상체의 고유번호별로 시각별 저장된 데이터를 확보하면 추적대상체의 이동경로 및 최종 확인된 위치와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추적을 완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발신수단과 수신수단 간의 통신은 비엘이(BLE) 통신을 이용한 비콘(BEACON)발신기 및 비콘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의 비콘 리더기에는 보안등 제어블록을 연결하여 보안등의 제어상태를 통합운영센터의 서비스 서버에 전달하여 가로등 또는 보안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KR1020210184741A 2021-12-22 2021-12-22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KR102406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41A KR102406541B1 (ko) 2021-12-22 2021-12-22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41A KR102406541B1 (ko) 2021-12-22 2021-12-22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541B1 true KR102406541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741A KR102406541B1 (ko) 2021-12-22 2021-12-22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5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409A (ko) 2009-03-17 2010-09-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아방지시스템 및 이의 미아방지방법
KR101648865B1 (ko) * 2015-03-05 2016-08-17 박우용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분전함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1713297B1 (ko) * 2016-07-12 2017-03-07 주식회사 크레디프 보안등 네트워크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409A (ko) 2009-03-17 2010-09-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아방지시스템 및 이의 미아방지방법
KR101648865B1 (ko) * 2015-03-05 2016-08-17 박우용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분전함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1713297B1 (ko) * 2016-07-12 2017-03-07 주식회사 크레디프 보안등 네트워크 시스템, 이를 이용하는 이동 경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149A (en) Global security system
CN204439826U (zh) 一种基于蓝牙及数字通讯定位技术的防丢失系统
WO2020031924A1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316250B2 (ja) 移動物体の位置検索システム
US20100097237A1 (en) Safety device
CN102469209A (zh) 基于位置的个人紧急响应系统
KR20110037129A (ko)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041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US20150077241A1 (en) System for monitoring, tracking and recording the location of personnel
JP7071362B2 (ja) 盗難検出のための物体
RU174506U1 (ru) Автономное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обнару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а также его управл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истемы GPS/Глонасс
KR101710322B1 (ko) 분실 방지 시스템
KR102406541B1 (ko) 보안등 점멸기함 또는 가로등 제어함을 이용한 치매환자 또는 분실물 위치추적 시스템
JP2009042916A (ja) 防犯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92312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위기상황 제어 시스템
US20080316023A1 (en) Personal warning system
KR101954441B1 (ko) IoT 기반 노인시설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E202006017419U1 (de) Sicheres Ortungs- und Auffindungssystem für Personen und Gegenstände
WO2020044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age of privileges associated with vehicles, drivers and passengers
JP6373905B2 (ja) 個体の位置追跡システム
KR102239801B1 (ko)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US20150310727A1 (en) Campus safety system
KR101006862B1 (ko) 버스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대상 추적 방법 및 시스템
JP4781968B2 (ja) 電子タグを用いた位置情報追跡システム
JP2019096276A (ja) 見守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