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470B1 -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470B1
KR102406470B1 KR1020170116978A KR20170116978A KR102406470B1 KR 102406470 B1 KR102406470 B1 KR 102406470B1 KR 1020170116978 A KR1020170116978 A KR 1020170116978A KR 20170116978 A KR20170116978 A KR 20170116978A KR 102406470 B1 KR102406470 B1 KR 10240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tank
supply container
water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908A (ko
Inventor
양현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7011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4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가습공기 청정기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급수통과, 급수통이 탈착되도록 가습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며, 급수통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급수통 탈착고정부와, 급수통 탈착고정부에 구비되며, 실내공기의 공기 청정도에 따라 급수통을 조명하는 공기상태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 상태에 따라 급수통을 조명하여 제품의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공기 상태에 따라 급수통을 조명하여 제품의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에 의해 먼지와 세균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토출하는 것으로, 먼지와 세균 또는 오염물질의 제거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공기청정기는 수분을 머금은 가습필터부재로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중의 미세먼지, 황사,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꽃가루 등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가습공기청정기는 가습필터부재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이 담긴 수조를 구비하고, 수조의 물을 필터부재로 공급하여 필터부재를 젖게 한다.
최근에는 수조에 약간 잠겨 회전하는 디스크 조립체로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를 공기를 정화 및 가습하는 디스크 방식인 "에어 워셔"가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 청정도를 확인하기 어렵고, 심미감과 감성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1276호(공개일:2017.05.11)에는 "가습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 상태에 따라 급수통을 조명함으로써, 제품의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가습공기 청정기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이 탈착되도록 상기 가습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통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급수통 탈착고정부과, 상기 급수통 탈착고정부에 구비되며, 실내공기의 공기 청정도에 따라 상기 급수통을 조명하는 공기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통은,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하여 외부로 확산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는, 공기 청정도에 따라 상기 급수통을 다른 색상으로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는, 상기 급수통의 조명영역이 넓어지도록 상기 급수통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는, 상기 급수통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통 탈착부에 구비되며, 빛이 투과되는 디퓨저와, 상기 디퓨저를 고정하도록 상기 급수통 탈착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는, 상기 급수통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통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며,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명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부는 전기분해시 발생되는 기포가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에 의해 조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급수통을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함으로써, 제품의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부의 전기분해시 발생하는 기포가 상기 공기상태표시부에 의해 조명됨으로 인하여, 급수통을 조명하는 빛이 기포에 의해 산란되어 급수통의 색상이 복합적으로 표현되므로,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의 급수통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상태 표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의 급수통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상태 표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100)는, 가습을 위한 물을 가습공기 청정기(10)로 공급하도록 본체(11)의 상단부 일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100)는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가습공기 청정기(10)의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가습공기 청정기(10)로 공급되는 물이 살균되는 상태가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제품의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100)는 급수통(110)과, 급수통 탈착부(120)와, 급수실링부(130)와, 급수통 유동방지부(140)와, 급수통 이탈방지부(150)와, 급수통 감지부(160)와, 살균부(170)와, 공기상태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급수통(110)은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습필터로 물을 공급하며, 급수통 탈착부(120)에 선택적으로 탈착된다. 또한, 급수통(110)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된다.
여기서, 급수통(110)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살균부(170)의 살균되는 물의 살균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살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급수통(110)의 내부가 공기상태 표시부(180)에서 발생하는 빛에 의해 조명되도록 하여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급수통(110)은 본체(11)에서 분리하지 않고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면에 구비되는 개폐덮개(111)와, 급수를 위하여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급수구(113)와, 급수구(113)의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개폐부재(115)를 포함한다.
급수개폐부재(115)는 급수통(110)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탈착됨에 따라 급수구(1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를 위하여, 급수개폐부재(115)는 급수구(113)를 밀폐하는 밀폐캡(115a)과, 밀폐캡(115a)에 결합되는 지지핀(115b)과, 지지핀(115b)을 탄성지지하여 밀폐캡(115a)을 급수구(113)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15c)을 구비한다.
이러한 급수개폐부재(115)는 급수통(110)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안착되면 지지핀(115b)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접촉되어 상측으로 이동하고, 밀폐캡(115a)이 급수구(113)에서 이격되면서 급수구(113)를 개방한다.
또한, 급수통(110)은 지지핀(115b)과 스프링(115c)을 가이드하고, 급수실링부(130)와의 실링성능이 향상되도록 급수구(113)의 둘레에 보조실링리브(117)가 형성된다. 보조실링리브(117)는 급수통(11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급수실링부(130)에 삽입되어 밀착된다.
더하여 급수통(110)은 중앙부 바닥 내면에 살균부(170)가 결합되는 살균고정홈부(119)가 형성되며, 급수통 탈착부(120)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급수통 탈착부(120)는 스크루를 통해 본체(11)에 결합되며, 급수통(110)의 급수구(113)와 연통하는 배수구(121)를 구비한다. 이러한 급수통 탈착부(120)는 상부에 급수통(110)이 장착되며, 급수통(110)이 장착됨에 따라 배수구(121)의 내부로 급수개폐부재(115)의 지지핀(115b)이 삽입되어 접촉하게 된다.
또한, 급수통 탈착부(120)는 중앙부에 공기상태 표시부(180)가 결합되는 관통홀부(123)가 형성되고, 관통홀부(123)의 일측에 배수구(121)가 형성된다. 더하여, 급수통 탈착부(120)는 급수통(110)의 장착을 안정되게 가이드하도록 바닥면이 하측으로 경사기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통 탈착부(120)는 공기상태 표시부(180)가 조립된 후, 본체(11)에 결합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급수통 탈착부(120)과 급수통(110)은 급수통 유동방지부(140)에 의해 장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며, 급수실링부(130)에 의해 급수구(113)와 배수구(121)가 실링이 더욱 긴밀하게 이루어져 누수가 방지된다.
급수실링부(130)는 급수통 탈착부(120)의 배수구(121) 둘레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착리브(131)와, 실링을 위하여 안착리브(131)에 결합되는 실링부재(133)로 이루어진다. 안착리브(131)는 그 내부로 급수통(110)의 보조실링리브(117)가 삽입되어 급수구(113)와 배수구(121)의 연결 부위를 2중으로 커버하게 된다.
실링부재(133)는 급수통(110)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장착됨에 따라 보조실링리브(117)가 삽입되어 밀착된다. 즉, 실링부재(133)는 보조실링리브(117)와 안착리브(131) 사이를 긴밀하게 실링시킨다.
이러한 실링부재(133)는 실링효과가 더욱 향상되도록 안착리브(131)의 내면에 접촉되는 제1링부재(133a)와, 제1링부재(133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안착리브(131)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2링부재(133b)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링부재(133)는 보조실링리브(117)와 안착리브(131)가 접촉되는 모든 부위를 실링하므로, 급수구(113)와 배수구(121) 사이의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한다.
한편, 급수통 유동방지부(140)는 급수통(110)을 급수통 탈착부(120)의 정확한 결합위치로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급수통(110)이 장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급수통 유동방지부(140)는 급수통(110)과 탈착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며, 급수통(11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급수통 유동방지부(140)는 급수통 탈착부(120)에 형성되는 안착지지홈부(141)와, 안착지지홈부(14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급수통(11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장착지지리브(143)를 포함한다.
안착지지홈부(141)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는 안착지지홈부(141)로 장착지지리브(143)의 삽입이 용이하고, 장착지지리브(143)가 안착지지홈부(141)에 완전하게 삽입된 후에는 긴밀하게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착지지리브(143)는 안착지지홈부(141)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삽입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그 두께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장착지지리브(143)는 본체(11)에서 분리된 급수통(110)을 지면에 세울 수 있도록 급수통(110)의 테이퍼진 하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처럼 급수통 유동방지부(140)를 통해 급수통 탈착부(120)에 안정되게 장착되는 급수통(110)은 급수통 이탈방지부(150)에 의해 본체(1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본체(11)가 움직이더라도 급수통(110)이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통 이탈방지부(150)는 급수통(110)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장착된 이후에 본체(11)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급수통 이탈방지부(150)는 급수통(11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 손잡이(151)와, 파지 손잡이(151)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본체(11)에 형성되는 걸림리브(153)를 포함한다.
파지 손잡이(15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급수통(110)에 힌지 결합되되며, 일측에 걸림리브(153)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151a)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 손잡이(151)는 걸림리브(153)에 걸리도록 본체(11)로 회전되면 급수통(110)과 본체(11) 사이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급수통(110)을 본체(11)에서 분리할 때 사용자가 급수통(110)과 본체(11) 사이로 삽입된 파지 손잡이(151)를 급수통(110)의 상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 손잡이(151)에 보조리브(151b)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파지 손잡이(151)가 걸림리브(153)와 정확하게 걸림 고정되면 급수통 감지부(160)가 급수통(110)의 장착을 감지하게 된다. 즉, 급수통 감지부(160)는 급수통 이탈방지부(150)의 고정상태에 따라 급수통(110)의 장착 유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급수통 감지부(160)는 파지 손잡이(151)에 구비되는 자력부재(161)와, 가습공기 청정기(10)의 본체(11)에 구비되어 자력부재(161)를 감지하는 센싱부재(163)를 포함한다. 자력부재(161)는 파지 손잡이(151)의 내부에 결합되며, 파지 손잡이(151)가 걸림리브(153)에 걸리도록 본체(11)로 회전되면 센싱부재(163)에 접하게 된다.
센싱부재(163)는 본체(11)에 구비되어 자력부재(161)의 자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재(163)는 자력부재(161)의 자력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자력부재(161)의 자력이 제거되면 미장착신호를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100)는 급수통(110)이 완전하게 결합되어야만 급수통 감지부(160)가 감지신호를 발생하므로, 급수통(110)이 없거나 급수통(110)이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100)는 급수통(110)이 결합된 후, 본체(11)로 가습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전에 급수통(110)에 저장된 물이 살균부(170)에 의해 살균된 후 공급된다. 이를 통해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에 의해 실내 가습이 이루어지므로, 가습상태를 더욱 쾌적하고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살균부(170)는 급수통(110)의 물을 지속적으로 살균하도록 급수통(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살균고정홈부(119)에 결합되며, 급수통(110)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한다. 이러한 살균부(170)는 살균고정홈부(119)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171)와, 보호케이스(171)에 결합되는 전기분해 전극부재(173)를 포함한다.
보호케이스(171)는 결합링(175a)을 통해 살균고정홈부(119)에 결합되는 하부지지틀(175)과, 하부지지틀(175)에 결합되는 상부그릴(177)을 구비한다. 또한 보호케이스(171)는 전기분해 전극부재(173)가 장착되며, 외면에 결합링(175a)이 삽입되는 링장착홈(175b)이 형성되고, 테두리부에 걸림홀부(175c)가 형성된다. 걸림홀부(175c)에는 상부그릴(177)이 결합된다.
상부그릴(177)은 전기분해 전극부재(173)를 커버하도록 하부지지틀(175)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그릴(177)은 걸림홀부(175c)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훅(177a)이 연장 형성된다.
전기분해 전극부재(173)는 보호케이스(171)에 내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전기가 공급됨에 따라 급수통(110)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한다. 이러한 전기분해 전극부재(173)는 하부지지틀(175)에 결합되는 제1전극판(173a)과, 제1전극판(173a)과 이격되게 하부지지틀(175)에 결합되는 제2전극판(173b)과, 제1전극판(173a) 및 제2전극판(173b)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극핀(173c)을 포함한다.
제1전극판(173a)은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지지틀(175)의 보스에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전극판(173a)은 하면에 접합되는 전극핀(173c)을 통해 전기가 인가된다. 예를 들어 제1전극판(173a)에는 (+)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전극판(173b)은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제1전극판(173a)과 이격되도록 하부지지틀(175)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전극판(173b)은 하부지지틀(175)의 보스에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하면에 접합되는 전극핀(173c)에 의해 전기가 인가된다. 예를 들어 제2전극판(173b)은 (-)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전극핀(173c)은 제1전극판(173a) 및 제2전극판(173b)의 하면에 각각 접합되도록 이격되게 구비되며, 하부지지틀(175)을 관통하여 급수통(110)에 결합된다. 즉, 전극핀(173c)은 급수통(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공기상태 표시부(180)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전극핀(173c) 중 어느 하나는 (+)극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살균부(170)는 전극핀(173c)을 통해 제1전극판(173a) 및 제2전극판(173b)에 전기가 공급되면 급수통(110)의 물을 매개체로 제1전극판(173a)과 제2전극판(173b)가 통전되면서 전기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1전극판(173a)과 제2전극판(173b)가 통전됨에 따라 급수통(110)의 물에 전기가 흐르면서 물에 포함되는 세균을 살균하며, 기포를 발생시킨다.
더하여, 살균부(170)는 전기분해시 발생하는 기포가 공기상태 표시부(180)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170)는 제1전극판(173a) 및 제2전극판(173b)에 의해 전기 분해가 진행되는 동안 오염물이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티타늄(Titanium)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170)는 살균효과가 향상되도록 보호케이스(171)의 내부에 항균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항균부재는 제2전극판(173b)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170)는 전기분해 전극부재(173)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항균물질을 이용하여 물을 살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170)는 보호케이스(171)의 내부에 살균을 위한 별도의 항균부재(178)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상태 표시부(180)는 급수통 탈착부(120)에 구비되며, 실내공기의 공기 청정도에 따라 급수통(110)을 다양한 불빛으로 조명한다.
이를 위하여 공기상태 표시부(180)는 급수통 탈착부(120)에 결합되는 디퓨저(181)와, 디퓨저(181)를 급수통 탈착부(1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커버(183)와, 전극핀(173c)의 접속을 위한 접속플레이트(185)를 포함한다.
디퓨저(181)는 관통홀부(123)를 통해 급수통 탈착부(12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테두리부에 실링을 위한 실링리브(181a)가 돌출 형성된다. 실링리브(181a)는 급수통 탈착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실링홈(125)에 압입된다. 또한, 디퓨저(181)는 중앙부에 접속플레이트(185)가 결합되고, 접속플레이트(185)에 전극핀(173c)이 접속되는 접속단자(185a)가 구비된다.
고정커버(183)는 디퓨저(18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크루를 통해 급수통 탈착부(120)에 결합되며, 내부에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187)를 구비한다. 발광소자(187)는 실내의 공기상태 예를 들어 공기 습도에 따라 빨간색, 녹색, 노란색 등과 같은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특히, 공기상태 표시부(180)는 살균부(170)가 급수통(110)을 전기분해하는 동안 급수통(110)을 조명한다. 그러면 살균부(170)의 전기분해시 발생하는 기포가 공기상태표시부(180)에 의해 조명되므로, 급수통(110)을 조명하는 빛이 기포에 의해 산란되면서 급수통(110)의 색상이 보다 복합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가습공기 청정기(10)의 감성품질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어어워셔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통(110)에 물을 채우고, 급수통 탈착부(120)에 안착한다. 이때, 사용자는 파지 손잡이(151)를 이용하여 급수통(110)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통(110)을 급수통 탈착부(120)에 장착하면, 급수통(110) 하부의 장착지지리브(143)가 급수통 탈착부(120)의 안착지지홈부(141)로 삽입되면서 급수통(110)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때, 장착지지리브(143) 및 안착지지홈부(141)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급수통(110)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이후, 급수통(110)이 완전하고 안정되게 급수통 탈착부(120)에 장착되면 파지 손잡이(151)를 본체(11)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걸림리브(153)가 파지 손잡이(151)의 걸림홈부(151a)로 삽입되어 파지 손잡이(151)가 본체(11)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본체(11)가 흔들리더라도 급수통(110)이 본체(11)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파지 손잡이(151)가 걸림리브(153)에 정확하게 고정되면 급수통 감지부(160)의 자력부재(161)가 본체(11)의 센싱부재(163)와 접하면서 센싱부재(163)가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100)는 급수통 이탈방지부(150)와 급수통 감지부(160)를 통해 급수통(110)을 본체(11)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수통(110)의 장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통(110)이 급수통 탈착부(120)에 장착되면 급수개폐부재(115)의 지지핀(115b)이 배수구(121)의 내부에 접촉하면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밀폐캡(115a)이 함께 이동하여 급수구(113)가 개방된다. 그러면 급수통(110)의 물이 급수구(113)를 통해 배수구(121)로 배수되어 본체(11)로 공급된다.
이때, 급수구(113)와 배수구(121) 사이에 실링부재(133)가 구비되므로, 본체(11)로 급수되는 물이 급수구(113)와 배수구(12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급수통(110)에 저장된 물이 살균부(170)에 의해 살균된 후 본체(11)로 공급되므로, 가습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수되는 물에 의해 가습공기 청정기가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공기상태 표시부(180)에서 발광하는 빛이 급수통(110)을 조명하므로, 살균부(170)의 살균되는 물의 살균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되고, 감성품질과 심미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10 : 가습공기 청정기
11 : 본체 110 : 급수통
111 : 개폐덮개 113 : 급수구
115 : 급수개폐부재 117 : 보조실링리브
119 : 살균고정홈부 120 : 급수통 탈착부
121 : 배수구 123 : 관통홀부
130 : 급수실링부 131 : 안착리브
133 : 실링부재 133a : 제1링부재
133b : 제2링부재 140 : 급수통 유동방지부
141 : 안착지지홈부 143 : 장착지지리브
150 : 급수통 이탈방지부 151 : 파지 손잡이
151a : 걸림홈부 151b : 보조리브
153 : 걸림리브 160 : 급수통 감지부
161 : 자력부재 163 : 센싱부재
170 : 살균부 171 : 보호케이스
173 : 초음파 발생부재 173a : 제1진동판
173b : 제2진동판 173c : 접속핀
175 : 하부지지틀 175a : 결합링
175b : 링장착홈 175c : 걸림홀부
177 : 상부그릴 177a : 걸림훅
178 : 항균부재 180 : 공기상태 표시부
181 : 디퓨저 183 : 고정커버
185 : 접속플레이트 187 : 발광소자

Claims (5)

  1.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가습공기 청정기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급수통; 상기 급수통이 탈착되도록 상기 가습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통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급수통 탈착부; 상기 급수통 탈착부에 구비되며, 실내공기의 공기 청정도에 따라 상기 급수통을 조명하는 공기상태 표시부; 및 상기 급수통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통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하며,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명되는 살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는, 상기 급수통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통 탈착부에 구비되며, 빛이 투과되는 디퓨저;
    상기 디퓨저를 고정하도록 상기 급수통 탈착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고정커버; 및
    상기 살균부에 접속되도록 상기 디퓨저에 결합되는 접속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은,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하여 외부로 확산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는, 공기 청정도에 따라 상기 급수통을 다른 색상으로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상태 표시부는, 상기 급수통의 조명영역이 넓어지도록 상기 급수통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6978A 2017-09-13 2017-09-13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10240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78A KR102406470B1 (ko) 2017-09-13 2017-09-13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978A KR102406470B1 (ko) 2017-09-13 2017-09-13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08A KR20190029908A (ko) 2019-03-21
KR102406470B1 true KR102406470B1 (ko) 2022-06-10

Family

ID=6603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978A KR102406470B1 (ko) 2017-09-13 2017-09-13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4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610A (zh) * 2015-06-30 2017-01-1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979B1 (ko) * 2012-12-28 2019-08-14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물통 캡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2080513B1 (ko) * 2013-01-03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2610A (zh) * 2015-06-30 2017-01-1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08A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05100A (ja) 空気調和機および電解水噴霧装置
JPH09189483A (ja) 冷蔵庫の飲料供給装置
JP2018121706A (ja) 保育器
EP281859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water reservoir
KR102406470B1 (ko)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101740591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102361034B1 (ko)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102453159B1 (ko)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10215962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JP2011206158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2323338B1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US10479705B2 (en) Illuminated ventilation ring for a UV-light water sanitizer
KR20190030249A (ko)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20190029910A (ko) 가습공기 청정기용 급수장치
KR102346621B1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0357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와 살균컵
KR200368440Y1 (ko) 손 소독기
KR20150105012A (ko) 투명창을 가지고 살균력이 증가된 살균수 정수기
JP7134896B2 (ja) 加湿装置
KR101793916B1 (ko)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JP5467911B2 (ja) 洗浄消毒装置及び洗浄消毒装置の制御方法
US20090081089A1 (en) Fluid reservoir and receiver assembly
CN215929947U (zh) 一种加湿器
CN214841360U (zh) 空气调节装置
JP3114482B2 (ja) ポット型浄水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