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169B1 -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169B1
KR102406169B1 KR1020210121415A KR20210121415A KR102406169B1 KR 102406169 B1 KR102406169 B1 KR 102406169B1 KR 1020210121415 A KR1020210121415 A KR 1020210121415A KR 20210121415 A KR20210121415 A KR 20210121415A KR 102406169 B1 KR102406169 B1 KR 10240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information
area
par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창민
기혜정
Original Assignee
(주)블루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컴 filed Critical (주)블루컴
Priority to KR102021012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169B1/ko
Priority to KR1020220010118A priority patent/KR102473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Image restoration
    • G06T5/003Deblurring; Sharpe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04N5/225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촬영 장치 및 주차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영역에 관한 정보인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성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 상기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주차 영역 정보와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제부,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주차 위반 관리부,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UPANT VEHICLES AND ILLEGAL PARKING}
본 발명은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주차장의 영상을 분석하여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주차 관제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선에 정확하게 주차가 된 상태에서만 주차가 된 것으로 인식하여 주차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대한 오탐지 및 탐지 못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주차 확인을 위한 영상 장비 외에 모션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에 의한 구축 시에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최근 차량 등록 대수가 급증으로 인하여 주차면의 절대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경비 인력과 입주민의 갈등, 경비 인력의 노령화 등에 인하여 주차 관리 효율성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영상 장비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의 경우, 차량 출입 관리를 위해 주차장의 출입구에 번호판 인식이 가능한 고정형 영상 장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차량의 후면 번호판 인식 및 복수의 차량 진입 시 차량 겹침으로 인한 정확한 차량 인식이 불가능하고, 차량의 번호판 인식을 위해 정해진 각도로 촬영이 가능해야 하는 등, 차량 정보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 영상 장비의 설치 조건을 고려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차장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장 내 불법 차량 또는 외부 차량을 감지하여 주차장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입주민 차량의 진출입 여부 및 주차 상태를 확인하여 주차장 관리자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주차 관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정보로부터 차량 및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촬영 장치의 운용 상에 제한이 없이 주차 관리가 가능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은,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영역에 관한 정보인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성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 상기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주차 영역 정보와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제부,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주차 위반 관리부,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인식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인식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 및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영역은 주차 경계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부는,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주차면 상에 입체 영역이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및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내에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장을 이용가능한 차량 정보인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된 주차 차량이 외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 차량이 상기 외부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이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주차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가 무허가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을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 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차 조건 정보는, 상기 주차면에 특정 차량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전용 주차 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기 설정된 입체 영역 크기 이하의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 관제부로부터 주차 가능한 상기 주차면을 판단한 정보인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주차 안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조건 정보에 적합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침범한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 상으로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주차를 위반한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으로 침범한 상기 주차 초과 영역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주차된 상기 주차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이 상기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모두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소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소형 차량 주차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가 소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소형 차량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의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인식부는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진입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는, 상기 등록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상기 등록된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 가능한 연락번호 및 상기 연락번호와 링크된 안심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의 상기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주차 관리 방법은,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촬영 장치 및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촬영 장치가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 단계;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주차 영역과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주차 위반 관리 단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 및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영역은 주차 경계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주차면 상에 입체 영역이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및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내에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장을 이용가능한 차량 정보인 등록 차량 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조건 정보는, 상기 주차면에 특정 차량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전용 주차 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기 설정된 입체 영역 크기 이하의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된 주차 차량이 외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 차량이 상기 외부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이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주차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가 무허가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을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주차 가능한 상기 주차면을 판단한 정보인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주차 안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조건 정보에 적합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 상으로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주차를 위반한 상기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으로 침범한 상기 주차 초과 영역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주차된 상기 주차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이 상기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모두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소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소형 차량 주차면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진입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가 소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소형 차량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의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진입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는, 상기 등록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상기 등록된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 가능한 연락번호 및 상기 연락번호와 링크된 안심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의 상기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영상 정보만을 사용하여 주차 영역 및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주차 관제 정보를 생성하여 입주차 및 불법 주차 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으로부터 차량에 대한 정보 검출이 가능함으로써, 촬영 장치의 설치 및 운용 방식에 제한이 없으며, 차량 정보의 정확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복수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번호판 정보와 같은 차량 정보 검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 및 객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차량 및 객체가 인식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되지 않은 주차 영역 및 주차 영역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인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복수의 이중 주차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 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0)은 촬영 장치(100), 주차 관리 서버(200), 외부 서버(300), 관리자 디바이스(400) 및 사용자 디바이스(50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I)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100)는 주차장의 일정한 구역상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일 수 있으나, 로봇, 임의의 차량 등 이동 가능한 객체에 부착되어 주차장 및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진출입구(50)에 설치되는 차단기의 차단봉 내외에 부착되는 촬영 모듈일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 또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 없이 촬영 영상(I)을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여 차량의 진출입 및 주차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고정식/이동식 폐쇄회로 카메라(CCTV)가 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카메라, 차량에 설치되는 블랙박스와 같은 녹화장치 등,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I)을 생성 가능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상기 주차장의 촬영 영상(I)을 후술할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0)를 이용하여 주차장의 영역을 촬영하여 생성되는 촬영 영상(I)을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장치(100)로부터 수신 받은 촬영 영상(I)을 분석하여 차량(81, 82, 83)에 대한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장 상에 소정의 영역인 주차 영역(20)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영역(20)을 기반으로 주차 관제 정보(VC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장은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차 영역(20)은 주차 경계에 의해 구획되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촬영되는 촬영 영상(I)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VIS)를 포함하는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촬영 장치(100)로부터 주차장의 진출입구(50) 방향에서 촬영된 시계열적으로 나열된 영상을 기반으로 주차장의 진출입구(50)의 진입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진입 차량(81)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바퀴의 움직임, 차량 램프 및 기 설정된 시간 정차 등 정지된 차량이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이용하여 주차된 차량인 주차 차량(82)을 판별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인식된 주차 영역(20)에 관한 정보인 주차 영역 정보(PI) 및 차량의 속성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VI)를 기반으로 주차 관제 정보(VC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제 정보(VCI)는 주차장 상의 주차 현황 및 차량 운행 현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주차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디바이스(500) 및 관리자 디바이스(400) 중 적어도 하나에 실시간 주차장의 주차 관련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200)는 주차장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주차 중인 차량 객체 정보,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 객체 정보,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개수, 차량의 진출입 정보, 주차장 내 차량 운행 현황, 외부 차량 현황, 위반 차량 현황, 입주자 차량 현황, 주차 차량의 연락 가능한 정보, 주차 가능한 주차면의 안내 정보,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 등 촬영 영상(I)으로부터 인식된 결과를 분석한 정보인 주차 관제 정보(VCI)를 사용자 디바이스(500) 및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제공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주차 관제 정보(VCI)를 사용자 디바이스(500) 및 관리자 디바이스(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주차장 진입 시,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대한 안내 정보(GI)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300)는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주차 관리 서버(200)가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 받아,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VR)을 포함하는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 서버(300)는 차종 별 전장, 전폭 및 전고에 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주차 관리 서버(200)가 인식된 차량 객체의 차종이 '현대 제네시스'로 판별될 경우, 외부 서버(300)로부터 '현대 제네시스'의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객체 영역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기반으로 인식되는 차량의 크기를 인식하는 차량 크기 영역(VR)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 크기 영역(VR)은 촬영 영상(I) 상의 인식되는 차량 객체의 영역으로, 차량 크기 영역(VR)과 주차면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과 비교하여 주차된 차량이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됨을 확인 가능함과 동시에 주차면과 인접한 다른 주차면의 주차 영역에 침범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300)는 촬영 영상(I)이 촬영된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촬영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촬영 환경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가 주차 관리 서버(200)로 상기 촬영 환경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촬영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영상(I)을 강인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300)는 교통경찰 업무 관리 시스템(TCS), 형사사법포털(KICS), 체납조회, 차적조회 등 범죄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불법 도주 차량 및 수배 차량 등 불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300)가 주차 관리 서버(200)로 범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불법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차 관리 서버(200)가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VI) 및 불법 차량에 대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불법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리자가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로써,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스마트폰, 모바일 컴퓨터와 같은 소형 디바이스가 될 수 있으며, 퍼스널 컴퓨터, 주차 관제 센터, 키오스크 등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아 주차 관제 정보(VCI)를 출력 및 관리자의 권한으로 주차 관제 정보(VCI)를 수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리 서버(200)가 차량의 번호판 식별 정보(VNI)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가 일치하지 않은 불법 차량,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도난 차량 및 수배 차량이 주차장 상에 인식할 경우,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상기 도난 차량 및 수배 차량이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VI) 및 차량 객체 정보(VI)와 상기 도난 차량 및 수배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20)에 대한 주차 영역 정보(PI)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VCI)를 알림 또는 글자,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불법 차량, 도난 차량 및 수배 차량에 대한 주차 관제 정보(VCI)를 수신 받음으로써, 관리자가 상기 차량들이 주차된 주차 영역(20)에 신속하게 출동하여 상기 차량들을 단속 또는 조치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제 정보(VCI)를 출력하여 주차장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차장의 환경 정보, 위반 차량, 외부 차량 및 입주자 차량 등 주차 영역(20)에 주차된 차량 현황 및 주차장의 진출입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할 수 있어, 주차장 관리자의 주차 단속 및 주차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주차 관제 정보(VCI)를 확인하고, 부정확한 주차 관제 정보(VCI)를 수정하여, 주차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관리자가 관리자 디바이스(400)를 통해 촬영 영상(I) 상에 인식이 정확하지 않은 주차 영역(20)을 보정하기 위해 정확한 주차 영역(20)을 설정하여, 주차 영역 정보(PI)를 보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영역 정보(PI)가 보정된 촬영 영상(I)을 객체 학습 모델(M)에 제공하여, 주차 관리 서버(200)가 강화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주차 영역(20)을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리 서버(200)가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인식한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PEI) 이외에, 추가 환경 정보(PEA)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주차 관리 서버(200)가 추가 환경 정보(PEA)를 반영하여 우선순위 정보(PP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재 상황, 이사 상황, 응급 환자 발생 상황 등이 발생하여 일정 시간동안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하는 주차 영역(20)을 점유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적어도 하나의 주차 영역 사용 시간 및 주차가 필요한 주차 영역(20)에 대한 정보인 추가 환경 정보(PEA)를 입력하고, 주차 관리 서버(200)가 수신된 추가 환경 정보(PEA) 및 환경 정보(PEI)를 기반으로 주차면의 주차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 정보(PPI)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디바이스(400)가 긴급 상황 또는 주차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추가 환경 정보(PEA)를 입력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주차가 필요한 주차 영역(20)이 '주차가 불가능한 후순위'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주차장에 진입하는 진입 차량에게 제공되는 안내 정보(GI)에서 제외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차량에 탑재되는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 랩탑, 스마트 워치 등 사용자가 소지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망으로 주차 관리 서버(200)와 연결되어 주차 관제 정보(VCI)를 수신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때, 무선 네트워크 망은 무선 주파수, 블루투스, Zigbee, Wifi, 3G, 4G, 5G, UWB 및 LoRa 등의 근거리 통신 또는 장거리 통신 네트워크 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차 관리 서버(200)와 연결되어 주차 관제 정보(VCI)를 수신할 있는 어떠한 통신망이든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81)에 사용자 디바이스(500)가 구비될 경우, 주차 관리 서버(200)는 진입 차량(81)에 구비된 사용자 디바이스(500)로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500)는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생성된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한 주차면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정보, 주차가능한 주차면의 위치 정보 및 우선순위 별로 리스트된 주차 가능한 주차면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GI)를 제공받아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마트 또는 백화점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기존 센서 기반의 주차 안내 시스템의 경우, 센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빈 주차구역 인식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촬영 영상(I) 기반으로 빈 주차구역을 인식함으로써, 보다 인식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의 주차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인식부(220), 주차 관제부(230), 주차 위반 관리부(240), 주차 안내 관리부(250), 영상 보정부(260), 통신부(270) 및 저장부(280)를 포함한다.
먼저, 영상 수신부(210)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I)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수신부(210)는 촬영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형태로 연결되어 촬영 영상(I)을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촬영 장치(100)와 주차 관리 서버(200) 사이의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촬영 영상(I)을 수신 받을 수 있다.
영상 인식부(220)는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촬영 영상(I)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에 관한 정보인 주차 영역 정보(PI) 및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영역 정보(PI)는 주차장의 주차 영역에 관한 영역 정보이며, 주차 영역은 의미 분할(Semantic Segmentation), 인스턴스 분할(Instance Segment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주차 영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주차 영역의 영역 정보 이외에 주차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학습 모델(M)은 상기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인식 또는 검출이 가능한 신경망 모델로써, CNN, Faster R-CNN, R-CNN, YOLO, MASK-FCN 등과 같이 임의의 컨볼루션 신경망 알고리즘을 기초로 한 다양한 학습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객체 학습 모델(M)은 촬영 장치(100)가 촬영 장치(100)가 촬영한 차량 및 주차장의 촬영 영상(I) 뿐만 아니라, 주차 영역 및 차량 객체 정보(VI)의 인식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른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차량 및 주차장의 영상이 학습될 수 있다.
차량 객체 정보(VI)는 객체 학습 모델을 통해 검출되는 차량에 대한 속성에 대한 정보이며, 차량 제조사, 차량 모델, 차량 유형, 차량 색상, 차량 방향, 및 차량 번호판 식별 정보 및 촬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검출된 정보이다.
영상 인식부(220)는 촬영 영상(I)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VIS)를 포함하는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영상 인식부(220)는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영상 상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검출하고, 동일한 차량 객체 정보(VI)가 검출되는 복수의 촬영 영상(I)을 추출하여,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차량 상태 정보(VIS)를 포함하여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상 인식부(220)는 촬영 영상(I)에 동일한 차량 객체 정보(VI)가 검출되는 복수의 촬영 영상(I)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차량의 객체 움직임을 분석하여 주차장 내 진입하는 진입 차량(81), 주차 영역에 주차된 주차 차량(82), 주차 영역에서 주차중인 차량(83)을 판별하여 차량 운행 상태 정보인 차량 상태 정보(VIS)를 포함하여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20)가 주차장 내 차량의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VIS)를 생성하여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함으로써, 입주민 차량 또는 외부 차량에 대한 관제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 인식부(220)가 동일한 차량을 연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추적되는 대상의 객체가 존재하는 촬영 영상(I)을 기반으로 인식되는 차량에 대한 차량 객체 정보(VI)가 강인하게 검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영상 인식부(220)는,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VNI)를 검출하고, 검출된 번호판 식별 정보(VNI)를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영상 인식부(220)가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촬영 영상(I)에 포함된 차량 전후면에 존재하는 상기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번호판 식별 정보(VNI)의 검출할 수 있으며, 영상 인식부(220)가 촬영 영상(I)에 포함된 차량의 상기 번호판 영역의 검출이 불가능한 경우, 영상 인식부(220)가 동일한 차량 객체 정보(I)가 검출되는 복수의 촬영 영상(I) 중 상기 차량의 상기 번호판 영역이 식별되는 촬영 영상(I)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식별 정보(VNI)의 검출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 식별 정보(VNI)를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NI)에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촬영 장치(100)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 영상(I)을 분석하여,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NI)에 차량의 고유한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VNI)를 포함시킴으로써,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들의 개별적인 차량 관제가 가능하다.
번호판 식별 정보(VNI)에는, 촬영 영상(I) 내에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이 크롭된 번호판 이미지 및 상기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를 추출한 문자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번호판 식별 정보(VNI)는 번호판 색깔, 차량 번호 및 차량 번호판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한 결과일 수 있다.
이때, 차량에 대한 속성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VI)에 고유한 식별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VNI)를 포함하여, 주차장에서 운행 또는 주차된 차량의 개별적인 관제 또는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영상 인식부(22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VR)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영상 인식부(220)는 촬영 영상(I)에 포함된 차량의 차량의 연식, 차종, 차량 모델, 차량 색깔 및 촬영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VI)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 받아,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VR)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차량 크기 영역(VR)을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20)가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에 관한 정보를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함으로써, 후술할 주차 관제부(230)가 주차 가능한 주차 영역 및 상기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을 기반으로 주차면 상의 주차 가능 여부 및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크기 영역(VR)은 차량의 높이 및 너비를 가지는 입체 영역일 수 있으며, 주차 입체 영역(PR)과 비교 가능한 바운딩 박스 또는 차량 객체의 경계에 따라 형성되는 영역 형태일 수 있다.
주차 영역(20)은 주차 경계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인식부(220)는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주차면 상에 입체 영역이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인식할 수 있다.
주차 입체 영역(PR)은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높이를 가지는 입체 영역으로써, 주차면 상의 주차 가능한 삼차원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입체 영역(PR)은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 상에 형성되는 입체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외로 주차가 가능한 주차 입체 영역(PR)이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20)가 주차면의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주차면 상에 주차 입체 영역(PR)을 인식함으로써,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차량 또는 객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이 주차 입체 영역(PR)을 벗어남을 판단하여, 올바른 주차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인식부(220)는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PEI)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환경 정보(PEI)는, 주차면에서 발생하는 사고 빈도 정보,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는 시간 정보 및 주차면 주변에 검출되는 차량 출현 빈도 정보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주차면과 관련된 상황 발생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주차면에 인접하는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의 영향으로 발생될 수 있는 위험 정보, 그늘짐 시간 정보 등 인접한 환경에 의하여 발생되어 주차 쾌적도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쾌적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20)가 주차면의 환경 정보(PEI)를 함께 인식함으로써, 주차 영역에 대한 주차 환경 개선이 가능하며, 환경 정보(PEI)를 기반으로 주차 환경이 우수한 주차면을 인식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는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주차 영역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인식된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PAI)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상기 주차 영역과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PVI)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VCI)를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주차 관제부(230)는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 및 상기 주차 입체 영역(PR) 내에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V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제부(330)는 주차 입체 영역(PR) 내에 차량 객체 정보(VI)가 검출될 경우, 주차가 불가능한 주차면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주차 입체 영역(PR) 내에 차량 객체 정보(VI)가 검출되지 아니할 경우, 주차가 가능한 주차면으로 판단하여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차 관제부(330)는 주차 입체 영역(PR) 내에 기 설정된 크기의 객체가 검출될 경우, 주차가 불가능한 주차면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는 상기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이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이 주차면과 인접한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 상으로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면이 평행 주차 구역일 경우,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이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입체 영역(PR)의 길이에서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할 수 있는 소형차의 최대 길이를 뺀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차 관제부(230)는 직각주차, 60도 대향 주차, 45도 대향 주차 및 교차 주차 등 주차 형식에 따라 관리자가 침범 비율을 기 설정하여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가 이중 주차 차량을 판단함으로써, 이중 주차면 상에 주차 가능 여부 및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 관제부(230)는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으로 침범한 상기 주차 초과 영역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비교하여,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는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주차된 상기 주차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이 상기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모두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소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소형 차량 주차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주차 관제부(230)가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인접한 주차면에 주차 입체 영역보다 초과하는 차량들이 주차되었음을 판단하고, 주차 관제부(230)가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소형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주차면을 판단 및 설정함으로써, 주차된 차량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콕 현상 및 또는 주차면 상의 주차 및 출차 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는, 차량 객체 정보(VI) 및 환경 정보(PE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PP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관제부(230)가 환경 정보(PEI)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주차면에 따라 점수 또는 등급을 부여할 수 있으며, 후술할, 주차 안내 관리부(250)가 진입 차량에게 우선순위 정보(PPI)를 제공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주차면으로 안내가 가능하다.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위반 유형, 차량 발견 시간, 위반 차량이 주차된 주차 영역의 위치 등 적어도 하나의 위반 정보를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영상 정보, 차량 객체 정보(VI)에 포함된 번호판 식별 정보, 차량 종류, 차량 모델 등을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불법 주차된 차량을 발견하였습니다. 차량 모델은 소나타, 차량 발견 시간 00:00:00, 차량번호 00가 0022"에 대한 문자 또는 영상 형태로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차량 객체 정보(VI)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번호판 식별 정보(VNI) 및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상기 등록 차량 정보(VSI)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된 주차 차량이 외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 차량이 상기 외부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이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주차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가 무허가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을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주차를 위반한 상기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주차 조건 정보(R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조건 정보(RI)는 장애인 주차 구역, 여성 전용 구역 및 입주민 전용 구역, 대형/중형/소형 차량 전용 주차 구역 등 각각의 주차면 마다 특정 차량이 주차되도록 설정된 주차 제한 조건일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VNI)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VSI)의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부(240)가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차량 객체 정보(VI)와 안심번호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이 가능하여, 연락 과정 중에 발생하는 개인 정보 노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차 위반 차량의 단속 및 연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 인식부(220)는 주차 영역 외에 다른 영역 상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VIS)를 검출하고, 주차 위반 관리부(240)가 상기 주차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 상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VIS)를 기반으로 위반 차량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위반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영역 외에 다른 영역 상에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 상태 정보(VIS)가 "주차된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주차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주차된 위반 차량임을 판단하여,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상기 위반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관제부(230)로부터 주차 가능한 상기 주차면을 판단한 정보인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한 주차면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네비게이션 정보, 주차가능한 주차면의 위치 정보 및 우선순위 별로 리스트된 주차 가능한 주차면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GI)를 제공받아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주차 조건 정보(RI)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조건 정보(RI)에 적합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판단 정보(PAI)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가 소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소형 차량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우선순위 정보(PPI) 및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6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촬영 영상(I)의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받아 촬영 영상(I)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보정부(260)는 촬영 영상(I)이 촬영되는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를 반영하여 촬영 영상(I)을 보정함으로써, 영상 인식부(220)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영역에 대한 정보 검출이 정확히 수행될 수 있으며,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보정된 촬영 영상(I)을 제공이 가능하여 위반 차량에 대한 정확한 증거 수집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270)는 관리자 디바이스(400) 및 사용자 디바이스(5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관리자 디바이스(4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500)로부터 주차 관제 서버(400)로부터 생성되는 주차 관제 정보(VCI), 안내 정보(GI), 위반 정보 또는 촬영 영상(I) 등 적어도 하나를 통신부(270)를 통해 관리자 디바이스(400)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5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7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촬영 영상(I)을 보정하기 위한 날씨/기후 정보 및 주차 관리를 위한 수배 차량 정보 등 외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저장부(280)는 상기 주차장을 이용가능한 차량 정보인 등록 차량 정보(VSI)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등록 차량 정보(VSI)는, 상기 등록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상기 등록된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 가능한 연락번호 및 상기 연락번호와 링크된 안심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80)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 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조건 정보(RI)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조건 정보(RI)는, 상기 주차면에 특정 차량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전용 주차 정보(REI) 및 상기 주차면에 기 설정된 입체 영역 크기 이하의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제한 정보(RR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용 주차 정보(REI)는 장애인 주차 구역, 여성 전용 구역 및 입주민 전용 구역 등 각각의 주차면 마다 설정된 주차 제한 조건일 수 있으며, 주차 제한 정보는 소방 차량 전용 주차면, 대형차, 중형차 및 소형차 등 차량의 크기에 따라 제한된 각각의 주차면 마다 설정된 주차 제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리자가 주차 영역의 주차면마다 주차 조건을 설정하여 갱신한 주차 조건 정보(RI)를 저장부(28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어느 하나의 주차면을 등록된 번호판 정보를 가지는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설정하여 주차 조건 정보(RI)를 갱신하여 저장부(28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저장부(280)는 주차 관리 서버(200)에서 수신, 생성 및 인식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자 디바이스(400) 및 사용자 디바이스(500)의 요청에 따라 시간별 및 장소별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 및 객체를 촬영한 촬영 영상(I)을 기반으로 차량 및 객체가 인식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10)의 촬영 장치(100)는 주차 영역(20)의 각각의 주차면(51, 52, 53)에 주차된 차량(90, 91) 및 객체(70)를 촬영하여 촬영 영상(I)을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주차장을 촬영한 촬영 영상(I)의 주차 영역(20)의 주차면(51, 52, 53), 주차된 차량(90, 91) 및 객체(70)를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통해 인식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VI) 및 기타 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200)는 인식된 주차면(51, 52, 53)의 상기 주차 경계(41)를 기반으로 각각의 주차면(51, 52, 53)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입체 영역(60)은 서로 다른 주차 경계를 가지는 주차면(51, 52, 53)에 다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주차 영역 정보(PI)가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좁은 범위를 가지는 주차면의 경우, 넓은 범위를 가지는 주차면 보다 경차 및 오토바이 등 소형 차량이 주차 가능하도록 주차 입체 영역(6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200)는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70)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220)가 각각의 제1 주차면(51), 제2 주차면(52) 상에 검출된 제1 차량(90), 제2 차량(91)에 해당하는 차량 객체 정보(VI)의 차량 종류가 각각 '아반떼', '레인지로버' 일 경우, 각각 '아반떼', '레인지로버'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서로 다른 차량 크기 영역(70)이 형성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는 주차 입체 영역(60) 및 차량 크기 영역(70)을 기반으로 주차면(51, 52) 상에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관제부(230)는 제1 주차면(51) 및 제2 주차면(52) 상에 주차 입체 영역(60) 내에 차량 크기 영역(70)을 포함한 차량 객체 정보(VI)가 검출되었음을 판단하여, 제1 주차면(51) 및 제2 주차면(52) 각각에 대하여 '주차 불가능한 주차면'으로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제부(230)는 제1 주차면(26) 및 제2 주차면(27) 상에 있는 차량 객체 정보(VI)와 주차 영역(20)에 대한 주차 영역 정보(PI)를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PVI)를 포함한 주차 관제 정보(VCI)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 관리 서버(200)로부터 주차 관제 정보(VCI)를 수신받아 제1 주차면(51) 및 제2 주차면(52) 상에 각각 '아반떼', '레인지로버'가 주차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400)는 주차면 상에 차량이 주차 여부뿐만 아니라 주차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3 주차면(53) 상에 장애물(32)과 관련된 기타 객체 정보를 검출하고, 제3 주차면의 주차 영역 정보(PI)와 기타 객체 정보를 매칭하여,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제3 주차면(53) 상에 장애물(32)이 점유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각각의 주차면 및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로 매칭한 정보를 포함한 주차 관제 정보(VC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제공함으로써, 주차장의 주차 영역의 관리가 가능하며, 주차장을 사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500)에게 주차면의 점유 여부에 관한 정보인 주차 관제 정보(VCI)를 제공함으로써,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쉽게 파악이 가능하며, 주차하고자 하는 공간을 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되지 않은 주차 영역 및 주차 영역과 관련된 환경 정보를 인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차량이 주차되지 않는 주차 영역(20)을 촬영한 촬영 영상(I)을 생성하여, 촬영 영상(I)을 주차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의 영상 수신부(21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I)을 수신받고, 주차 관리 서버(200)의 영상 인식부(220)는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주차 영역 정보(PI) 및 주차 영역과 관련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PEI)를 인식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의 영상 인식부(220)는 주차면(21, 24, 25)의 주차 경계면을 기반으로 주차 입체 영역(61, 62, 63)이 형성되며, 주차 입체 영역(61, 62, 63)은 환경 정보(PEI)를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관리 서버(200)의 영상 인식부(230)는 장애물(30)을 인식하고, 인식된 장애물에 영향이 있는 주차면(25)의 주차 가능한 입체 영역인 주차 입체 영역(63)이 인접한 다른 주차면(24)의 주차 입체 영역(62)에 비하여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200)는 촬영 영상(I)으로부터 주차 조건 정보(RI)를 나타내는 표지(40)를 인식하여, 주차 관리 서버(200)의 주차 관제부(230)는 표지(40)를 인식한 주차면(22, 23)에 주차 조건 정보(RI)가 설정될 수 있으며, 주차 관리 서버(200)의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주차 조건 정보(RI)를 비교하여,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조건 정보(RI)에 적합한 주차 가능한 주차면(22, 23)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조건 정보(RI)는 장애인 주차 구역, 여성 전용 구역 및 입주민 전용 구역 등 각각의 주차면 마다 설정된 주차 제한 조건일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의 주차 관제부(230)는 환경 정보(PE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21, 22, 23, 24, 25)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PPI)를 생성하고,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우선순위 정보(PPI) 및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차 관제부(230)는 장애물(30)에 의하여 그늘 영역(31)이 형성되는 주차면(25)을 주차 쾌적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진입 차량에게 우선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주차 관리 서버(200)는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고려하여 진입 차량이 대형 차량일 경우, 그늘 영역(31)이 형성되는 주차면(25)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63)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차 입체 영역(63)에 차량 크기 영역이 포함되는 소형 차량인 진입 차량에게 그늘 영역(31)이 형성되는 주차면(25)을 우선적으로 추천될 수 있으며, 대형 차량인 진입 차량에게는 다른 주차면보다 주차 입체 영역(62)이 넓은 주차면(24)으로 우선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주차 관제부(230)가 우선순위 정보(PPI)를 생성하고,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PAI)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VCI)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주차하고자하는 진입 차량에게 알맞은 안내가 가능하여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복수의 이중 주차 차량을 인식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 관리 서버(200)의 영상 수신부(21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주차 영역(20)을 촬영한 촬영 영상(I)을 수신 받고 주차 관제 서버(200)의 영상 인식부(220)는 주차면(26, 27, 28, 29)의 주차 경계면(41)을 기반으로 주차 가능한 입체 영역인 주차 입체 영역(64, 65, 66, 67)이 주차면(26, 27, 28, 2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의 주차 관제부(230)가 제3 차량(92)의 차량 크기 영역(71)이 주차면(27) 상에 형성된 주차 입체 영역(65)을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3 차량(92)의 차량 크기 영역(72)이 제3 차량(92)이 주차된 주차면(27)과 인접한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28) 상으로 침범될 경우,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VIR)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주차 초과 영역(VIR)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제3 차량(92)을 주차면(27) 및 이중 주차면(28)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92)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관리 서버(200)의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이중 주차 차량(92)이 다른 주차면의 주차를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중 주차 차량(92)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위반 관리부(240)는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이중 주차 차량(92, 93)의 번호판 영역을 식별한 번호판 식별 정보(94, 95)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VSI)의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92, 93)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200)의 주차 관제부(230)는, 이중 주차 차량(92, 93)들이 이중 주차면(28)으로 침범한 주차 초과 영역(VIR) 및 이중 주차면(28)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66)을 비교하여, 이중 주차면(28)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안내 관리부(250)는,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판단 정보(PAI)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이중 주차면(28)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이중 주차면(28)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28)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26, 28)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부(250)가 이중 주차 차량에 의해 협소한 주차면의 영역을 판단하여, 오토바이 및 소형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이중 주차면에 관한 안내 정보(GI)를 제공함으로써, 주차 공간 부족 시, 부족한 주차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1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주차 관리 방법은, 영상 촬영 단계(S100), 영상 수신 단계(S200), 영상 보정 단계(S300), 영상 인식 단계(S400),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 주차 위반 관리 단계(S600), 주차 안내 관리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촬영 장치(100)가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 단계(S100)가 수행된다.
촬영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I)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S200)가 수행된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외부 서버(300)로부터 촬영 영상(I)의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받아 촬영 영상(I)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촬영 영상(I)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영역에 관한 정보인 주차 영역 정보(PI) 및 상기 차량의 속성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VI)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 단계(S400)가 수행된다.
영상 인식 단계(S4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촬영 영상(I)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VIS)를 포함하는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식 단계(S4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VNI), 및 주차 관리 서버(200)가 외부 서버(300)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VR)을 포함하여, 차량 객체 정보(VI)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식 단계(S4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주차면 상에 입체 영역이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인식할 수 있다.
영상 인식 단계(S4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M)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PEI)를 인식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 영역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인식된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PAI)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상기 주차 영역과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PVI)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VCI)를 생성하는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가 수행된다.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 및 주차 입체 영역(PR) 내에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V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이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이 주차면과 인접한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 상으로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VIR)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주차 초과 영역(VIR)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으로 침범한 주차 초과 영역(VIR)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비교하여,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주차 판단 정보(PA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에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주차된 상기 주차 차량의 차량 크기 영역(VR)이 상기 인접하는 복수의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PR)을 모두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소형 차량이 주차 가능한 소형 차량 주차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S5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환경 정보(PE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PPI)를 생성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하는 주차 위반 관리 단계(S600)가 수행된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장을 이용가능한 차량 정보인 등록 차량 정보(VSI)를 저장하는 저장부(280)를 더 포함하고, 주차 위반 관리 단계(S6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번호판 식별 정보(VNI) 및 저장부(280)에 기 저장된 등록 차량 정보(VSI)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된 주차 차량이 외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 차량이 상기 외부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이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주차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가 무허가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을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 단계(S6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는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주차 조건 정보(R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 단계(S6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주차를 위반한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위반 관리 단계(S6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번호판 식별 정보(VNI)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VSI)의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를 관리자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200)가,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관제부(230)로부터 주차 가능한 상기 주차면을 판단한 정보인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주차 안내 관리 단계(S700)가 수행된다.
주차 안내 관리 단계(S7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주차 조건 정보(RI)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조건 정보(RI)에 적합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 단계(S7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 및 주차 판단 정보(PAI)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 단계(S7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영상 인식부(220)로부터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VI)가 소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소형 차량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 안내 관리 단계(S700)에서, 주차 관리 서버(200)가 상기 우선순위 정보 (PPI)및 주차 관제 정보(VCI)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촬영 장치 200 : 주차 관리 서버
300 : 외부 서버 400 : 관리자 디바이스
500 : 사용자 디바이스 210 : 영상 수신부
220 : 영상 인식부 230 : 주차 관제부
240 : 주차 위반 관리부 250 : 주차 안내 관리부
260 : 영상 보정부 270 : 통신부
280 : 저장부 S100 : 영상 촬영 단계
S200 : 영상 수신 단계 S300 : 영상 보정 단계
S400 : 영상 인식 단계 S500 :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
S600 : 주차 위반 관리 단계 S700 : 주차 안내 관리 단계

Claims (29)

  1.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장치;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영역에 관한 정보인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성 정보인 차량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부, 상기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주차 영역 정보와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제부,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주차 위반 관리부,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영역은 주차 경계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부는,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주차면 상에 입체 영역이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및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내에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 관제부로부터 주차 가능한 상기 주차면을 판단한 정보인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주차 안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침범한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 상으로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하며,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으로 침범한 상기 주차 초과 영역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부는,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부는,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장을 이용가능한 차량 정보인 등록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된 주차 차량이 외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 차량이 상기 외부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이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주차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가 무허가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을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차면에 주차 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조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차 조건 정보는,
    상기 주차면에 특정 차량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전용 주차 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기 설정된 입체 영역 크기 이하의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영상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조건 정보에 적합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주차를 위반한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의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5.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부는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부는,
    상기 진입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부는,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는,
    상기 등록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상기 등록된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 가능한 연락번호 및 상기 연락번호와 링크된 안심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반 관리부는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의 상기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17.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촬영 장치 및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촬영 장치가 주차장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 단계;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차량 및 상기 주차장과 관련한 학습 영상이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상기 주차장의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영상 인식 단계;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 영역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한 정보인 주차 판단 정보 및 상기 주차 영역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주차 영역과 매칭한 정보인, 주차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주차 위반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전장, 전폭 및 전고에 대한 정보인 객체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객체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크기를 인식한 차량 크기 영역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영역은 주차 경계에 의해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면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의 상기 주차 경계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주차면 상에 입체 영역이 형성되는 주차 입체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및 상기 주차 입체 영역 내에 인식된 차량 객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인식된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주차 가능한 상기 주차면을 판단한 정보인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주차 안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 상에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상기 주차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초과할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의 상기 차량 크기 영역이 다른 주차면인 이중 주차면 상으로 침범된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주차 초과 영역의 침범 비율이 기 설정된 침범 비율 이상일 경우, 상기 주차된 차량을 상기 주차면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된 이중 주차 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으로 침범한 상기 주차 초과 영역 및 상기 이중 주차면에 형성되는 상기 주차 입체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한 영역인 주차 가능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주차 가능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이중 주차면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 판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진입 차량이 상기 이중 주차면에 주차가 가능할 경우,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이중 주차면을 포함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및 출입 여부를 판단한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판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번호판 정보인 번호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장을 이용가능한 차량 정보인 등록 차량 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주차 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조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조건 정보는,
    상기 주차면에 특정 차량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전용 주차 정보 및 상기 주차면에 기 설정된 입체 영역 크기 이하의 차량만이 주차되도록 기 설정된 조건 정보인 주차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된 주차 차량이 외부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차 차량이 상기 외부 차량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이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주차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가 무허가 차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차량을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외부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에 주차된 주차 차량의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21. 삭제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인식된 상기 진입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주차면 별로 기 설정되는 상기 주차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조건 정보에 적합한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23. 삭제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이 주차를 위반한 상기위반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중 주차 차량의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의 위치에 따른 시간별 날씨 정보, 미세먼지 정보 및 일조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받아 상기 촬영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방법.
  28.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기 학습된 객체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주차 영역의 상기 주차면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주차 관제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진입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차면의 주차 추천 우선순위를 판단한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 안내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우선순위 정보 및 상기 주차 관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입 차량에게 상기 주차 가능한 주차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29.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차량 정보는,
    상기 등록된 차량의 번호판 정보, 상기 등록된 차량의 소유주와 연락 가능한 연락번호 및 상기 연락번호와 링크된 안심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반 관리 단계에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가 상기 위반 차량으로 판별된 상기 번호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등록 차량 정보의 상기 번호판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번호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안심번호 및 상기 위반 차량의 상기 차량 객체 정보를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방법.
KR1020210121415A 2021-09-13 2021-09-13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0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415A KR102406169B1 (ko) 2021-09-13 2021-09-13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10118A KR102473702B1 (ko) 2021-09-13 2022-01-24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415A KR102406169B1 (ko) 2021-09-13 2021-09-13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118A Division KR102473702B1 (ko) 2021-09-13 2022-01-24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169B1 true KR102406169B1 (ko) 2022-06-10

Family

ID=819862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415A KR102406169B1 (ko) 2021-09-13 2021-09-13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220010118A KR102473702B1 (ko) 2021-09-13 2022-01-24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118A KR102473702B1 (ko) 2021-09-13 2022-01-24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61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551A (ko) * 2016-07-19 2018-01-29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JP2019205035A (ja) * 2018-05-22 2019-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駐車監視システム、駐車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60275A (ko) * 2019-11-18 2021-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분석 기반의 차량객체 인식 및 추적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5615A (ko) * 2019-12-31 2021-07-08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영상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551A (ko) * 2016-07-19 2018-01-29 대신네트웍스 주식회사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JP2019205035A (ja) * 2018-05-22 2019-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駐車監視システム、駐車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60275A (ko) * 2019-11-18 2021-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분석 기반의 차량객체 인식 및 추적을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5615A (ko) * 2019-12-31 2021-07-08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영상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702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2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sharing using facial recognition
CN109243005A (zh) 自行车警用监督管理及智能城市管理的行驶记录系统
US20220019810A1 (en) Obje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KR101908611B1 (ko) 차량 주차관리 방법
KR101848236B1 (ko) 차량 촬영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24986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주차관리 통합관제장치
KR101859402B1 (ko) 터널 내 카메라 간 물체 연계 추적 및 차선 변경 차량 탐지 방법
KR101624983B1 (ko) 방범 및 화재 통합관제장치
KR101280874B1 (ko)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KR101639729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20070082980A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624991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102477061B1 (ko) 주차장 내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973933B1 (ko) 승차인원 검지방법 및 그 장치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624997B1 (ko) 스마트 주차 관제 장치
KR20180102284A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329797B1 (ko) 긴급차량을 이용한 위법차량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법차량 단속방법
KR101672780B1 (ko) 어린이 보호 구역 내의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2526194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불법 끼어들기 차량 감지시스템
KR100867336B1 (ko) 주정차단속 시스템 및 방법
CN106611500A (zh) 一种违规取证与处罚装置、方法及违规管理系统
KR102406169B1 (ko) 입주차 및 불법 주차를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870551A (zh) 一种能够鉴别危险和非危险驾驶行为的路侧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