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834B1 -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 Google Patents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834B1
KR102405834B1 KR1020200104049A KR20200104049A KR102405834B1 KR 102405834 B1 KR102405834 B1 KR 102405834B1 KR 1020200104049 A KR1020200104049 A KR 1020200104049A KR 20200104049 A KR20200104049 A KR 20200104049A KR 102405834 B1 KR102405834 B1 KR 10240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user
attached
nostril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736A (ko
Inventor
황윤도
Original Assignee
이투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투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투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8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패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박형 시트로 이루어져 코와 입술 사이 피부 표면에 부착되되, 내부공간은 수분저장영역과 수분증발영역으로 구획형성되고, 수분증발영역과 연결된 수분 유도용 돌출편이 외부노출 시트면의 중앙부위 양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형성됨에 따라 증발되는 수분을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유도하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의 설정 면적 부위가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되어 사용자의 양측 콧구멍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증발영역(212)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콧구멍으로 유도하는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체부착식 가습패드{Body attachable pad for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가습패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박형 시트로 이루어져 코와 입술 사이 피부 표면에 부착되되, 내부공간은 수분저장영역과 수분증발영역으로 구획형성되고, 수분증발영역과 연결된 수분 유도용 돌출편이 외부노출 시트면의 중앙부위 양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형성됨에 따라 증발되는 수분을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유도하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에 관한 것이다.
가습패드는 수분 증발을 유도하여 가습효과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비염 등 코 점막이 예민하거나 호흡기 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유용하게 활용된다. 더불어 가습패드는 살균제처럼 세균 번식을 막는 물질을 수분과 함께 증발시켜 질병 전파를 방지하는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습패드는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다공성 흡습재로 이루어져, 일정량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증발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가습패드를 마스크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귀에 걸어 고정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784호 "휴대용 가습 마스크"이 있다. 이 경우 패드에 저장된 수분량이 많을 시 가습패드가 무거워져 아래로 쳐지거나, 코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장기간 착용 시 호흡이 어렵고 피부호흡도 방해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취침 시 사용할 때는 수분 함량 패드가 코를 완전히 덮어버리도록 구성되어 편안한 수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 등으로 사용자의 코 아래에 가습패드를 부착하는 방식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246호 "일회용 슬림형 가습밴드"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습패드가 단순 일자형태로 형성될 시 코로 유도되는 증발수분량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자형태의 패드 상부에 콧구멍 삽입형 가습패드를 추가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가습패드는 콧구멍에 직접적으로 막힘삽입되어 장기간 호흡이 여전히 어렵고,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기 쉬웠으며, 가습패드가 코 점막에 닿기 쉬워 관리의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이제까지 가습패드는 동일한 두께의 흡습재만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경우 가습패드가 저장하고 있는 수분량을 눈으로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고, 가습패드에 수분 저장 시 단순 손동작 만으로 다량의 수분이 흡수되도록 유도하기가 어려웠다.
한편, 종래의 코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거나 코 속에 삽입고정하여 화재 등으로 인한 미세먼지, 매연, 악취 등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되었으며, 관련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0633호 "소방용 코 마스크 포장체"가 있다.
그러나 코마스크의 경우에도 상기의 가습패드와 같이 호흡에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착용 내내 이물감을 느끼기 쉬웠다.
나아가, 최근들어 도시오염이나 업무환경 등으로 인해 높은 강도의 미세먼지,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한 매연 등에 자주 노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만성비염 등 코 질환 발생 건 수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습패드와 코마스크는 동시 또는 수시로 변환 사용할 수 있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784호 "휴대용 가습 마스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246호 "일회용 슬림형 가습밴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0633호 "소방용 코 마스크 포장체"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외부노출 시트면의 중앙부위 양측에 수분 유도용 돌출편이 사용자의 양측 콧구멍 하측에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에 직접 삽입되지 않고서 다량의 증발 수분이 사용자의 코로 유도되도록 하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저장영역의 시트면이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수분저장영역의 부피가 저장된 수분량에 비례하여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수분저장영역 부피를 통해 저장 수분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노출 시트면의 중앙부위와 연결되어 통공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필터를 구비하여, 가습패드 모드와 코마스크 모드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전환 활용할 수 있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와 입술 사이 피부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박형(薄形) 시트로 이루어지는 피부부착 시트면(10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박형(薄形)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부부착 시트면(100)과 일체를 이루면서 연결되어 수분저장영역(211)과 수분증발영역(212)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210)을 형성하고, 수분 통과가 가능한 표면을 가져 상기 내부공간(210)으로 수분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내부공간(210)의 수분 증발에 의한 외부 가습을 유도하는 외부노출 시트면(200);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의 설정 면적 부위가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되어 사용자의 양측 콧구멍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증발영역(212)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콧구멍으로 유도하는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에서 상기 내부공간(210)은 수분증발영역(212)의 좌우측으로 수분저장영역(211)이 구획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을 감싸는 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막구조로 이루어지는 수분저장면(221); 상기 수분증발영역(212)을 감싸는 면으로 이루어지고, 수분 통과가 가능한 다공성 막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이 형성되어 있는 수분증발면(2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에서 상기 피부부착 시트면(100) 중앙부위 양측에 형성된 통공(110)과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상기 통공(110)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부위로 전달하는 공기필터(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부부착 시트면(100)이 사용자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을 통해 가습 기능이 수행되는 가습패드 모드,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이 사용자 콧구멍을 둘러싸게 고정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부부착 시트면(100)과 공기필터(400)를 통해 공기여과 기능이 수행되는 코마스크 모드 중에서 선택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에서 상기 공기필터(400)는 상기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에 연결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상기 코마스크 모드에서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이 사용자 콧구멍에 배치되게 사용자 코부위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의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의 크기에 따라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의 수분 흡수 또는 배출 시 함께 확장 또는 축소되는 수분저장면(221);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의 부피 변화를 통해 수분 저장량 식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에 의하면, 증발된 수분이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수분 유도용 돌출편을 통해 장시간 착용 시에도 편안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수분저장영역의 시트면이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저장수분량에 따라 축소 또는 확장 가능하고, 사용자는 외부 시트면을 통해 수분저장영역의 부피를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노출 시트면의 중앙부위와 연결된 공기필터가 구비되어 가습패드 모드와 코마스크 모드를 동시에 또는 수시로 변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의 가습패드 모드 시 사용자의 코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의 코마스크 모드 시 사용자의 코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는 도 1 내지 3과 같이 피부부착 시트면(100), 외부노출 시트면(200),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 공기필터(400)를 포함한다.
피부부착 시트면(100)은 박형시트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코와 입술 사이 피부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피부부착 시트면(100)은 점착제가 부착부위에 배포되어 신체에 부착될 수 있다.
피부부착 시트면(100)은 도 1과 같이 통공(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110)은 피부부착 시트면(100) 중앙부위 양측에 형성되고, 수분증발영역(212)의 피부부착 시트면(100) 측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공(110)은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에 연결되게 배치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필터(400)를 통하도록 유도한다.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피부부착 시트면(100)과 일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피부부착 시트면(100)과 같이 박형시트로 이루어진다.
외부노출 시트면(200)과 피부부착 시트면(100) 사이 내부에는 설정 규모 이상의 내부공간(210)이 포함되는데, 내부공간(210)은 수분저장영역(211)과 수분증발영역(212)으로 구획된다. 이때 내부공간(210)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피부부착 시트면(100)을 통해 체온을 전달받게 되므로, 수분증발영역(212)에서의 증발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공간(210)은 중앙부위에 배치되는 수분증발영역(212)의 좌우측으로 수분저장영역(211)이 배치되며, 이때 수분저장영역(211)은 외부노출 시트면(200)과 피부부착 시트면(100)이 접하는 부위일 수 있다. 이렇듯 수분저장영역(211)과 수분증발영역(212)이 내부공간(21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므로, 별도의 동력장치나 연결관 등의 복잡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높은 가습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수분저장영역(211)은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막 구조의 수분저장면(221)으로 감싸지고, 수분증발영역(212)은 수분 통과가 가능한 다공성 막 구조의 수분증발면(222)으로 감싸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수분증발면(222)은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게 됨에 따라,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에서 다량의 수분이 증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수분저장영역(211)에는 수분 증발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분저장용 흡습재가 배치되고, 수분증발영역(212)에는 수분 증발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분증발용 흡습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저장용 흡습재와 수분증발용 흡습재는 서로 연결배치되어, 수분저장영역(211)에서의 수분이 수분증발영역(212)으로 쉽게 이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저장영역(211) 내부에는 흡수한 수분 양과 부피가 비례하는 수분저장용 흡습재로 채워지고, 수분저장영역(211)을 둘러싸는 수분증발면은 내부영역의 크기에 따라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분저장영역(211)의 부피는 내부에 저장된 수분량에 비례하여 축소 또는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저장영역(211)의 부피를 반영하여 함께 축소 또는 확장되는 수분증발면을 통해, 사용자는 수분저장영역(211)의 수분 저장량을 수분저장용 흡습재의 부피를 통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분저장영역(211)의 부피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수분 보충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분저장영역(211)은 도 1과 같이 수분증발영역(212)에 비해 큰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분저장영역(211)은 큰 부피에 따라 수분 저장량이 높아 장기간 가습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력을 가해 압착할 시, 수분저장영역(211)은 수분증발영역(212)에 비해 부피 압축율이 더 높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분저장영역(211)의 높은 부피 압축율은 이후 외력을 제거할 시 내부압력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수분이 수분저장영역(211)으로 보다 쉽게 빨아당겨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양측의 수분저장영역(211)을 양 엄지손가락으로 꽉 누른 후 수분증발영역(212)이 물에 접하거나 잠기도록 하여 수분저장영역(211)의 압력을 풀면, 수분저장영역(211)이 원래의 부피로 복귀됨에 따라 수분증발영역(212)을 통해 다량의 수분을 전달받아 저장시키게 된다.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은 증발되는 수분을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측 콧구멍 하측에 위치한다.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은 설정 면적 부위가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되어 수분증발영역(212)에서 증발된 수분이 수직방향 이동하여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은 사용자의 콧구멍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코 이면에 접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편안하고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때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은 사용자 호흡 시 콧바람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므로, 더욱 높은 수분 증발율을 나타낼 수 있다.
수분저장영역(211)과 연결된 수분증발영역(212)이 수분을 공급받아 수분증발면(222)을 통해 외부로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은 상기 수분증발면(222)에 배치형성되어 수분저장영역(211)에서 전달받은 수분을 증발시켜 외부로 공급한다.
공기필터(400)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통공(110)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부위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필터(400)는 도 1과 같이 필터보호망(410)과 필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보호망(410)은 피부부착 시트면(100)에 형성된 통공(110)에 배치결합되어 필터(4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필터(420)는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필터링 수단으로, 미세먼지 또는 매연, 악취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러한 필터(420)는 시트면 사이의 내부공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터(42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필터(420)는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과 통공(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부직포 등이 두루말이 형태로 압착고정되되 통공(110)에서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필터(420)에 의해, 통공(110) 측 필터(420)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압력 상승에 따라 분산되지 않고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을 통해 사용자의 코로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는 부착 위치 또는 형태에 따라 가습패드 모드와 코마스크 모드로 선택되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가습패드 모드는 피부부착 시트면(100)이 사용자 피부에 부착되어 외부노출 시트면(200)을 통해 가습 기능이 수행되며, 코마스크 모드는 외부노출 시트면(200)이 사용자 콧구멍을 둘러싸게 고정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부착 시트면(100)과 공기필터(400)를 통해 공기여과 기능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가습패드 모드에서는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피부부착 시트면(100)을 코와 입술 사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코마스크 모드에서는 도 5와 같이 외부노출 시트면(200)이 콧구멍 사이 또는 양측의 콧볼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켜 공기필터(400)가 외부로 노출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의 경우 가습패드 모드와 반대로 피부부착 시트면(100)이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만, 이러한 모드별 가습패드 탈착 방식은 가습패드의 모양이나 형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코마스크 모드에서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도 5와 같이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이 사용자의 콧구멍에 배치되므로 외부 공기 필터링 속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수분증발영역(212)에서 수분이 증발되어 사용자의 콧구멍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기적 결합관계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공기 필터링과 코 가습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부착식 가습패드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피부부착 시트면
110 : 통공
200 : 외부노출 시트면
210 : 내부공간
211 : 수분저장영역
212 : 수분증발영역
220 : 외부면
221 : 수분저장면
222 : 수분증발면
300 : 수분 유도용 돌출편
400 : 공기필터
410 : 필터보호망
420 : 필터

Claims (5)

  1. 사용자의 코와 입술 사이 피부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박형(薄形) 시트로 이루어지는 피부부착 시트면(100);
    외부로 노출형성되는 박형(薄形)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부부착 시트면(100)과 일체를 이루면서 연결되어 수분저장영역(211)과 수분증발영역(212)으로 구획되는 내부공간(210)을 형성하고, 수분 통과가 가능한 표면을 가져 상기 내부공간(210)으로 수분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내부공간(210)의 수분 증발에 의한 외부 가습을 유도하는 외부노출 시트면(200);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 중앙부위 양측의 설정 면적 부위가 볼록한 곡면을 이루면서 상향 돌출되어 사용자의 양측 콧구멍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증발영역(212)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상기 콧구멍으로 유도하는 수분 유도용 돌출편(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노출 시트면(200)은,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의 크기에 따라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의 수분 흡수 또는 배출 시 함께 확장 또는 축소되는 수분저장면(221);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상기 수분저장영역(211)의 부피 변화를 통해 수분 저장량 식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KR1020200104049A 2020-08-19 2020-08-19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KR10240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49A KR102405834B1 (ko) 2020-08-19 2020-08-19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049A KR102405834B1 (ko) 2020-08-19 2020-08-19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36A KR20220022736A (ko) 2022-02-28
KR102405834B1 true KR102405834B1 (ko) 2022-06-07

Family

ID=8049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049A KR102405834B1 (ko) 2020-08-19 2020-08-19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8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671A (ja) 2001-03-05 2002-09-10 Abc Twenty One:Kk 呼吸用保護具
KR100844246B1 (ko) 2006-02-03 2008-07-07 (주)국제이엔티 일회용 슬림형 가습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936A (ja) * 1997-03-13 1998-09-22 Seiichi Yamazaki 鼻の下に貼る加湿具「ちょっと加湿」
KR200365784Y1 (ko) 2004-05-12 2004-10-27 신기현 휴대용 가습 마스크
KR101740633B1 (ko) 2015-08-11 2017-05-29 정진구 소방용 코 마스크 포장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671A (ja) 2001-03-05 2002-09-10 Abc Twenty One:Kk 呼吸用保護具
KR100844246B1 (ko) 2006-02-03 2008-07-07 (주)국제이엔티 일회용 슬림형 가습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736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4446B2 (ja) 加湿フェイス・マスク
JPWO2003097168A1 (ja) 鼻マスク
JP2009511146A (ja) 呼吸用保護具
JP2001178837A (ja) 呼吸加湿具並びにマスク等の補助具
KR20160094153A (ko) 필터 마스크
US20200154800A1 (en) Arrangement applied to humidifier and protection mask
KR102405834B1 (ko) 신체부착식 가습패드
JP4716487B2 (ja) 二重構造マスク
JPH10118183A (ja) 鼻被覆具
CN111567954B (zh) 一种加湿防护口罩
JP2020044150A (ja) 鼻水吸収部材
TW202012016A (zh) 口罩
CN212465003U (zh) 一种防眼镜起雾的口罩
KR100844246B1 (ko) 일회용 슬림형 가습밴드
CN109464733B (zh) 鼻炎护理装置
JP2002253671A (ja) 呼吸用保護具
CN207575572U (zh) 一种复合材料层及含有该复合材料层的鼻孔即时贴
CN215083865U (zh) 一种鼻腔保湿器
KR200365784Y1 (ko) 휴대용 가습 마스크
CN210583299U (zh) 鼻炎护理装置
JP2012139449A (ja) 鼻水吸収パッド
CN209915083U (zh) 一种可加入温湿气体的口罩
CN214630108U (zh) 一种具有人工鼻功能的口罩
CN218790701U (zh) 一种抑菌除臭口鼻分离式口罩
CN210583297U (zh) 鼻炎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