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755B1 -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755B1
KR102405755B1 KR1020200058155A KR20200058155A KR102405755B1 KR 102405755 B1 KR102405755 B1 KR 102405755B1 KR 1020200058155 A KR1020200058155 A KR 1020200058155A KR 20200058155 A KR20200058155 A KR 20200058155A KR 102405755 B1 KR102405755 B1 KR 10240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recognized
unit
nfc car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0800A (ko
Inventor
경규용
나형주
이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75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800A/ko
Priority to KR1020220066820A priority patent/KR102435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부, 출력 단자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차단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NFC 카드를 인식하는 NFC 리더부,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NFC 리더부를 통한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도록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NFC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동킥보드, 전기자동차와 같은 대형 전자기기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에 앞서 가정 또는 전용 장소에서 배터리를 충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해당 장소를 벗어난 장소에서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이 모두 소모된 경우에는 해당 전자기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여 충전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충전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외부에서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장소를 찾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당 장소에 도착하더라도 이미 다른 사용자가 충전 중인 경우 장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도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인프라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1863호(2018.10.19.)의 ‘스마트 미터 및 원격 검침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력량계가 구비된 외부 장소에서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는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부, 상기 출력 단자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차단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카드를 인식하는 NFC 리더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한 상기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카드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계량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은 NFC 리더부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카드를 인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한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출력 단자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차단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NFC 카드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전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제1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된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생성된 계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NFC 카드를 이용하여 전력량계가 구비된 외부 장소에서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NFC 카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이용한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전력을 이용한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는 출력 단자부(100), 차단부(200), NFC 리더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단자부(100)는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단자부(100)는 220V 상용 전원을 제공하는 콘센트일 수 있다. 다만, 출력 단자부(100)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단자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단자가 출력 단자부(100)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자북, 노트북,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기차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전자기기가 전술한 전자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 단자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통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가 전자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차단부(200)는 출력 단자부(1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200)는 후술하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출력 단자부(100)로부터 전력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출력 단자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도록 차단부(200)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단자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단부(200)는 각 출력 단자(110)의 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NFC 리더부(3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NFC 카드(20)를 인식할 수 있다.
NFC 카드(20)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칩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NFC 카드(20)의 식별번호, NFC 카드(20)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리더부(300)는 NFC 리더기일 수 있고, NFC 카드(20)와 NFC 리더부(300)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예: 10cm) 이하인 경우, NFC 리더부(300)는 NFC 카드(20)를 인식하고, NFC 카드(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는 후술하는 제어부(400)를 통해 생성된 계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NFC 리더부(300)는 전력량계(10)에 구비될 수 있고, 출력 단자부(100)는 전력량계(10) 근처에 전력량계(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력량계(10)가 구비된 장소에서 사용자가 NFC 카드(2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출력 단자부(100)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도록 NFC 리더부(300)를 통한 NFC 카드(20)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차단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전력량계(10)에 구비되어, 출력 단자부(100)에 포함된 각 출력 단자(11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량을 각각 측정하여 각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계량 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NFC 카드(20)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단부(200)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400)는, NFC 카드(20)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단부(200)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NFC 리더부(30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NFC 카드(20)의 인식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NFC 카드(20)의 인식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NFC 카드(20)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리더부(300)를 통해 제1 NFC 카드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인식된 제1 NFC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NFC 리더부(300)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미도시)에 저장한다. 이후, 제2 NFC 카드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인식된 제2 NFC 카드의 사용자 정보를 NFC 리더부(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NFC 카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2 NFC 카드를 제1 NFC 카드와 동일한 카드로 판단하고, 제1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하며, 차단부(200)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반면, 제2 NFC 카드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NFC 카드를 제1 NFC 카드와 다른 카드로 판단하고, 출력 단자부(100)에 포함된 출력 단자 중 이용 중이지 않은 출력 단자(즉, 전력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출력 단자)를 통해 전력을 출력하도록 차단부(200)를 제어함으로써 제2 NFC 카드의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출력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준시간 이내에 NFC 카드(20)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차단기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전자기기를 출력 단자부(100)에서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과도하게 전력이 사용되어 과도한 전력 요금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도한 전력 요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제1 기준시간 이내(예: 12시간)에 NFC 카드(20)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차단부(20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사용자 정보 및 계량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사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기 요금을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미도시)가 외부에 해당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제어부(400)로부터 실시간으로 또는 NFC 카드(20)가 재인식되어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 및 계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 서버는 수신된 계량 정보에 기반하여 전력 요금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 요금을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게 과금시키도록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NFC 카드(20) 발급 시 해당 NFC 카드(20)의 식별번호와 사용자의 인적사항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에게 전력 요금이 과금되도록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FC 카드(20)를 이용하여 전력량계(10)가 구비된 외부 장소에서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FC 카드(20)를 이용하여 전력을 이용한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용이하게 전력을 이용한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과시킬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은 인식하는 단계(S100), 판단하는 단계(S200) 및 제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NFC 리더부(3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NFC 카드(20)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카드(20)와 NFC 리더부(300)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예: 10cm) 이하인 경우, NFC 리더부(300)는 NFC 카드(20)를 인식하고, NFC 카드(2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NFC 리더부(300)를 통한 NFC 카드(20)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NFC 카드(20)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NFC 리더부(300)를 통해 NFC 카드(20)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인식된 NFC 카드(20)의 사용자 정보를 NFC 리더부(300)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 등의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 이후, NFC 카드(20)가 인식되는 경우, NFC 카드(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써 NFC 카드(20)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제어부(400)는 NFC 리더부(300)를 통한 NFC 카드(20)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에 기반하여 출력 단자부(1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차단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NFC 카드(20)가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차단부(200)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NFC 카드(20)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차단부(200)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제1 기준시간 이내에 NFC 카드(20)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400)는 차단부(200)를 제어하여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부(400)가 출력 단자부(100)를 통해 출력된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생성된 계량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은 NFC 카드를 이용하여 전력량계가 구비된 외부 장소에서 손쉽게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NFC 카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이용한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전력을 이용한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과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력량계
20: NFC 카드
30: 디스플레이부
100: 출력 단자부
110: 출력 단자
200: 차단부
300: NFC 리더부
400: 제어부

Claims (12)

  1. 전력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부;
    상기 출력 단자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차단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카드를 인식하는 NFC 리더부; 및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한 상기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NFC 리더부는 전력량계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 단자부는 복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NFC 카드가 처음 인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NFC 카드가 처음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NFC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전력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출력 단자를 통해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전력을 출력하고 있는 출력 단자 중 하나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계량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7. NFC 리더부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NFC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카드를 인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한 NFC 카드의 인식 및 재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도록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출력 단자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차단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FC 리더부는 전력량계에 구비되고,
    상기 출력 단자부는 복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싱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NFC 카드가 처음 인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NFC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카드가 처음 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NFC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 단자 중 전력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출력 단자 중 하나를 통해 전력을 출력하고,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전력을 출력하고 있는 출력 단자 중 하나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
    제1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NFC 카드가 재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 단자부를 통해 출력된 전력량을 측정하여 계량 정보를 생성하고, 과금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생성된 계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KR1020200058155A 2020-05-15 2020-05-15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0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55A KR102405755B1 (ko) 2020-05-15 2020-05-15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66820A KR102435134B1 (ko) 2020-05-15 2022-05-31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155A KR102405755B1 (ko) 2020-05-15 2020-05-15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820A Division KR102435134B1 (ko) 2020-05-15 2022-05-31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800A KR20210140800A (ko) 2021-11-23
KR102405755B1 true KR102405755B1 (ko) 2022-06-08

Family

ID=78695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155A KR102405755B1 (ko) 2020-05-15 2020-05-15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66820A KR102435134B1 (ko) 2020-05-15 2022-05-31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820A KR102435134B1 (ko) 2020-05-15 2022-05-31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57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53B1 (ko) * 2016-07-05 2017-03-15 차동수 Nfc 태그를 포함하는 양방향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04060C (en) * 2004-09-03 2015-08-25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KR101233717B1 (ko) * 2010-12-08 2013-02-18 이점식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20130106598A (ko) * 2012-03-20 2013-09-30 주식회사두리이노 무인 전기충전소의 운영시스템
KR20160034687A (ko) * 2014-09-22 2016-03-30 (주)익스트리플 대기전력 차단장치, 전력공급 장치 및 전원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24435A (ko) * 2017-08-31 2019-03-08 코나아이 (주) 전원 공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53B1 (ko) * 2016-07-05 2017-03-15 차동수 Nfc 태그를 포함하는 양방향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800A (ko) 2021-11-23
KR102435134B1 (ko) 2022-08-23
KR20220080056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55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US6429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battery charge status
EP3635940B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200091780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mount of power for identifying transmission efficiency associated with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132401A (zh) 充电异常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5518967B (zh) 改变电流限制的装置和方法
US20150050881A1 (en) Wireless power charger
WO2021035736A1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充电测试方法及系统、电子设备
US20100060233A1 (en) Charger with USB detection
CN107546803A (zh) 一种无线充电设备、无线充电系统及方法
US9444274B2 (en) Method of detection and display of charging information of power bank
EP351838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US11557923B2 (en) Multi-device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charged by the same
EP37000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based o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CN107239106A (zh) 一种电源适配器的识别方法及装置
US11862990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3475051A (zh) 用于根据无线电力共享提供用户界面的装置和方法
US20180267587A1 (en) Comparing electrical quantity output by power adapter to electrical quantity input by computing device
CN108054794A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充放电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311029B (zh) 一种充电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8196659A (zh) 充电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1585314A (zh) 无线充电发送器和无线电力传送方法
KR102405755B1 (ko) Nfc를 이용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9729157A (zh) 自助终端及其远程监管和升级方法
CN108646662A (zh) 一种管道智能探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