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608B1 -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08B1
KR102405608B1 KR1020200031464A KR20200031464A KR102405608B1 KR 102405608 B1 KR102405608 B1 KR 102405608B1 KR 1020200031464 A KR1020200031464 A KR 1020200031464A KR 20200031464 A KR20200031464 A KR 20200031464A KR 102405608 B1 KR102405608 B1 KR 102405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seudo signal
human body
detection
p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545A (ko
Inventor
유광석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센 filed Critical (주)아이센
Priority to KR102020003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08B1/ko
Priority to KR1020200187773A priority patent/KR20210116205A/ko
Publication of KR2021011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등을 교체하지 않고도 센서등의 재실 센싱 기능을 개선시켜 안정적인 지속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자체 인체 감지 센서로 감지하여 인체가 감지되면 점등이 이루어지는 센서등의 감지 범위 내에 배치되며, 인체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 상기 재실 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슈도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체 감지에 따른 슈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도 신호 발생부; 및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슈도 신호는 상기 센서등의 인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PSEUDO SIGNAL GENERATION DEVICE FOR IMPROVING FUNCTION OF OCCUPANCY SENSOR}
본 발명은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등을 교체하지 않고도 센서등의 재실 센싱 기능을 개선시켜 사람이 전등 아래 존재하는 경우 안정적인 지속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건물 등의 계단, 현관 출입구, 주차장 등에는 전력의 과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이나 차량 등 이동하는 대상이 설치 위치 주변의 일정 범위 내로 진입하면 일정 시간 동안만 점등하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소등되는 센서등이 설치되어 있다.
기존의 센서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기존의 센서등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인체 감지 센서와 연동되는 제어 방식이 개발되어 왔다.
일 예로, 종래 재실/공실 센서로 주로 사용되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감지 센서의 경우, 움직이는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열과 배경 공간 사이의 차이를 검출하여 사람의 재실 또는 공실 여부를 탐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PIR 감지 센서(11)가 적용된 종래 센서등(10)은 PIR 감지 센서(11)를 통해 이동 물체를 감지하게 되며, 이 감지 신호에 따라 광원부가 점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하지만 이러한 PIR 감지 센서의 경우 열 변화량을 감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인체의 저속 이동 시 혹은 정지 시 재실 여부를 탐지하지 못한다. 또한 일정한 양의 적외선을 띄고 있는 이동물체가 처음 감지된 후 고정된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번 소등된 이후 재점등을 위해서는 사람이 몸을 크게 움직이거나 팔을 휘두르는 등의 부가 동작을 원하지 않는 소등시마다 반복적으로 해줘야만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최근 센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PIR 감지 센서의 상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센서들이 이미 개발되어 있지만, 기존 PIR 감지 센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구조상 센서등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큰 비용부담을 이유로 이 같은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기존 센서등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등을 교체하지 않고도 센서등의 재실 센싱 기능을 개선시켜 사람이 전등 아래 존재하는 경우 안정적인 지속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전력으로 동작해 상용 배터리로도 장시간 동안 센서등의 재실 센싱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결착 수단에 의해 간단히 기존 센서등에 결착시킬 수 있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자체 인체 감지 센서로 감지하여 인체가 감지되면 점등이 이루어지는 센서등의 감지 범위 내에 배치되며, 인체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 상기 재실 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슈도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체 감지에 따른 슈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도 신호 발생부; 및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슈도 신호는 상기 센서등의 인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등의 인체 감지 센서는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감지 센서이며,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는 열 신호를 슈도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는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는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 발열체는 2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서로 교차되어 발열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를 내장시키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결착 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등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등을 교체하지 않고도 센서등의 재실 센싱 기능을 개선시켜 사람이 전등 아래 존재하는 경우 안정적인 지속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전력으로 동작해 상용 배터리로도 장시간 동안 센서등의 재실 센싱 기능을 보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결착 수단에 의해 간단히 기존 센서등에 결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등과 그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와 기존 센서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존 센서등의 PIR 감지 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출력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부로 인가되는 전원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와 기존 센서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는 PIR 감지 센서를 채용하고 있는 기존 센서등에 대하여 센서등의 교체 없이 센서등 주위에 설치되는 것만으로 기존 센서등의 PIR 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즉 기존 PIR 센서가 열 변화량을 감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인체의 저속 이동 시 혹은 정지 시 재실 여부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해 사람이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소등되는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자체 인체 감지 센서인 PIR 감지 센서(11)로 감지하여 인체가 감지되면 점등이 이루어지는 기존 센서등(10)의 감지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의 배치 위치는 기존 센서등(10)의 주위에서 PIR 감지 센서(11)의 감지 범위 내라면 어디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이 PIR 감지 센서(11)의 감지 범위 내에 배치된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에서 자체적인 인체 감지를 수행하고 더불어 자체적으로 인체 감지에 따른 슈도 신호를 인체가 감지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PIR 감지 센서(11)에 가짜 인체 신호(슈도 신호)를 보내는 것에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가 슈도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됨으로써 인체가 감지 범위 내에 머므르는 동안에는 인체에 별다른 움직임이 없더라도 센서등(10)이 안정적으로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는, 인체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23), 상기 재실 감지부(23)로부터 발생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슈도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22), 상기 동작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인체 감지에 따른 슈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도 신호 발생부(21), 그리고 상기 재실 감지부(23), 동작 제어부(22) 및 슈도 신호 발생부(21)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가 발생시키는 슈도 신호는 상기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에서 감지되는 신호이며, 이 신호를 감지한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는 슈도 신호를 인체 감지 신호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상기 재실 감지부(23)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인체 감지를 수행하며,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재실 감지부(23)는 열 변화량을 감지하는 방식의 PIR 센서를 제외한 모든 방식의 인체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유발되는 초음파 에너지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패치안테나를 통해 전파의 위상변화를 검출해 인체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 등 다양한 방식의 인체 감지 센서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이 재실 감지부(23)는 열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와 달리 인체에 움직임이 없더라도 인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다.
상기 동작 제어부(22)는 상기 재실 감지부(23)로부터 발생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 같은 동작 제어부(22)의 슈도 신호 발생부(21)에 대한 동작 제어는 재실 감지부(23)의 인체 감지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함께 지속될 것이다.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는 상기 동작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인체 감지에 따른 슈도 신호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발생시키게 된다.
도 4는 기존 센서등의 PIR 감지 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는 감지 범위 내로 사람이 들어오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PIR 감지 센서(11)는 인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열)을 받아서 감지하게 된다. 즉 프레넬(Fresnel) 렌즈에 의해 결정 되는 감시 영역 내에 외부 조건(인체)에 의해 온도 변화가 발생시 이 온도 변화량을 초전소자가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일정 기준(신호 크기/펄스발생 수) 이상이 되었을 때 인체 감지 상황을 외부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감지 범위 내 사람이 움직이지 않을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사람이 움직이지 않으면 열 변화량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흐르면 더이상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기준 이상의 열을 발생시켜 기존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가 지속적으로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는 열 신호를 슈도 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는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LED의 발광 주기는 상기 PIR 감지 센서(11)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점등 후 소등까지의 주기보다 짧아야 한다. 적외선 LED는 광과 함께 일정한 열을 발생시켜 상기 PIR 감지 센서(11)에 맞춰진 슈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는 주기적으로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저항 발열체의 발열 주기는 상기 PIR 감지 센서(11)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점등 후 소등까지의 주기보다 짧아야 한다. 저항 발열체는 인가 전원에 따라 일정한 열을 발생시켜 상기 PIR 감지 센서(11)에 맞춰진 슈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다른 예의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에서 저항 발열체는 2 개로 구성되며, 서로 교차되어 발열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발열체는 저항값의 조정을 통해 저전력으로 슈도 신호 발생부(21)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특히 각 저항 발열체에 인가되는 전원을 PWM 파형으로 인가함으로써 전원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를 구성하는 저항 발열체는 반드시 2개일 필요는 없으며 단일 구성이라도 그 발열 주기가 상기 PIR 감지 센서(11)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점등 후 소등까지의 주기보다 짧다면 구성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기존 센서등(10)은 PIR 감지 센서(11)를 통해 인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체가 감지되면 점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는 기존 센서등(10)의 주위에서 PIR 감지 센서(11)의 감지 범위 내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의 전원부(24)는 기존의 실내 상용 전원으로 구성되거나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배치에서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는 자체적으로 인체를 감지하여 이에 따른 슈도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슈도 신호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 내 재실 감지부(23)의 인체 감지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PIR 감지 센서(11)는 인체 움직임과 관계없이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에서 발생되는 슈도 신호에 종속하여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슈도 신호 발생 장치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의 전원부(24)를 배터리로 구성하게 되면 전체적인 장치의 사이즈는 극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부(24)를 포함한 슈도 신호 발생부(21), 동작 제어부(22) 및 재실 감지부(23)의 전체 구성을 하나의 하우징(30)에 내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같은 하우징(30)을 결착 수단(25)을 이용해 기존 센서등(10)에 결착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결착시 슈도 신호 발생부(21)가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와 최소한의 간격으로 근접하도록 결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구조에서는 슈도 신호 발생부(21)가 보다 작은 열 신호를 발생하더라도 근거리의 PIR 감지 센서(11)가 충분히 열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결국 슈도 신호 발생 장치(20)의 전원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만들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결착 수단은 PIR 감지 센서(11)나 센서등(10)에 상기 하우징(30)을 결착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예로, 상기 결착 수단은 접착제로서 구성되어 PIR 감지 센서(11)나 센서등(10)에 상기 하우징(30)에 단단히 접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 수단은 하우징(30)의 홈에 걸 수 있는 걸림 돌기로서 구성되어 PIR 감지 센서(11)나 센서등(10)에 상기 하우징(30)에 단단히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 수단은 하우징(30)의 나사홈에 끼울 수 있는 나사산 돌기로서 구성되어 PIR 감지 센서(11)나 센서등(10)에 상기 하우징(30)에 단단히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21)를 별도의 튜브나 엔클로저에 내장시켜 슈도 신호 발생부(21)가 센서등(10)의 PIR 감지 센서(11)와 최소한의 간격으로 근접하게 만들 수도 있다. 이때 튜브나 엔클로저의 재질은 슈도 신호가 통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슈도 신호 발생부(21)에서 발생된 슈도 신호가 근거리의 PIR 감지 센서(11)에 쉽게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같은 구성을 통해 슈도 신호 발생부(21)와 PIR 감지 센서(11)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슈도 신호 발생부(21)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슈도 신호에 대한 감지성능이 높아져 보다 신뢰도 있는 기기동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센서등 11 : PIR 감지 센서
20 : 슈도 신호 발생 장치 21 : 슈도 신호 발생부
22 : 동작 제어부 23 : 재실 감지부
24 : 전원부 25 : 결착 수단
30 : 하우징

Claims (7)

  1. PIR(Pyroelectric Infrared Ray) 감지 센서에 의해 이동 인체의 열 변화량을 감지하여 점등되는 센서등에 대해 센서등 교체없이 적용되고, 이 센서등의 PIR 감지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등의 PIR 감지센서와 별개로 자체적인 인체 감지를 수행하고, 인체에 움직임이 없더라도 인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실 감지부;
    상기 재실 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인체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가짜 인체 감지 신호인 슈도 신호의 발생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기준 이상의 열을 발생시켜 인체 감지에 따른 슈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슈도 신호 발생부; 및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슈도 신호는 상기 센서등의 PIR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며, 슈도 신호를 감지한 센서등의 PIR 감지 센서는 슈도 신호의 발생을 인체의 열 변화량 발생으로 인식해 센서등을 점등시키며,
    상기 슈도 신호 발생부는 발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발열체로 구성되거나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LED로 구성되며, 상기 저항 발열체의 발열 주기나 적외선 LED의 발광 주기는 상기 센서등의 PIR 감지 센서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점등 후 소등까지의 주기보다 짧으며,
    상기 센서등의 PIR 감지센서는 이동 인체의 열 변화량을 감지하거나 상기 슈도 신호를 감지하여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는 2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서로 교차되어 발열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
  7. 제 1항, 제5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슈도 신호 발생 장치를 내장시키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결착 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등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 신호 발생 장치.
KR1020200031464A 2020-03-13 2020-03-13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KR102405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64A KR102405608B1 (ko) 2020-03-13 2020-03-13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KR1020200187773A KR20210116205A (ko) 2020-03-13 2020-12-30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64A KR102405608B1 (ko) 2020-03-13 2020-03-13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773A Division KR20210116205A (ko) 2020-03-13 2020-12-30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45A KR20210115545A (ko) 2021-09-27
KR102405608B1 true KR102405608B1 (ko) 2022-06-10

Family

ID=779255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64A KR102405608B1 (ko) 2020-03-13 2020-03-13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KR1020200187773A KR20210116205A (ko) 2020-03-13 2020-12-30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773A KR20210116205A (ko) 2020-03-13 2020-12-30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56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29B2 (ja) * 1995-05-26 2000-09-0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電動式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KR200281921Y1 (ko) 2002-04-09 2002-07-13 주식회사 한빛일렉콤 적외선 발광 소자와 원적외선 방사체를 이용한 원적외선발생 장치
JP2008147100A (ja) * 2006-12-13 2008-06-26 Fujimori Sangyo Kk 発熱体の制御装置
KR101767485B1 (ko) 2016-02-19 2017-08-11 송창환 엘이디의 발생열을 이용한 원적외선 조사 장치
JP2018522384A (ja) 2015-08-13 2018-08-09 キム、セ ヨンKIM, Se Yeong 発熱体の製造方法とその発熱体及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729U (ko) * 1989-12-12 1991-08-26
JP3083729U (ja) * 2001-07-30 2002-02-15 株式会社新栄電器製作所 自動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点灯システム
KR200472449Y1 (ko) * 2012-07-18 2014-04-29 김경일 센서 설치가 용이한 전등
KR101701126B1 (ko) * 2015-01-13 2017-02-03 주식회사 보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729B2 (ja) * 1995-05-26 2000-09-04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電動式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KR200281921Y1 (ko) 2002-04-09 2002-07-13 주식회사 한빛일렉콤 적외선 발광 소자와 원적외선 방사체를 이용한 원적외선발생 장치
JP2008147100A (ja) * 2006-12-13 2008-06-26 Fujimori Sangyo Kk 発熱体の制御装置
JP2018522384A (ja) 2015-08-13 2018-08-09 キム、セ ヨンKIM, Se Yeong 発熱体の製造方法とその発熱体及び使用方法
KR101767485B1 (ko) 2016-02-19 2017-08-11 송창환 엘이디의 발생열을 이용한 원적외선 조사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3729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205A (ko) 2021-09-27
KR20210115545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5840B2 (en) Sensing within a region
US5598066A (en) Two-level security lighting system
US20150156845A1 (en) Led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444007A (zh) 一种智能led灯具
JP2017508260A (ja) 多方式感知
KR100977006B1 (ko) 인체감지 센서 및 조도 센서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그 제어 방법
RU23549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я в устройствах с батарейным питанием
US10330279B2 (en) Luminaire with rear-mounted sensing assembly
KR200421150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센서등
EP0799461B1 (en) Infrared motion detector with 180-degree detecting range
JP4811312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及びワイヤレス受信器
KR20120088126A (ko) 모션감지용 양방향센서
KR102405608B1 (ko) 재실 센싱 기능의 개선을 위한 슈도 신호 발생 장치
JP4888352B2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195907B1 (ko) 포토커플러의 입력신호 제어를 이용한 센서등 제어장치
JP5016445B2 (ja) 照明器具
JP2013065452A (ja) 照明システム
JP2016201347A (ja) 夜間照明灯
JP3760713B2 (ja) 照明制御装置
JPH10125475A (ja) 照明制御装置
JPH08180975A (ja) 熱形赤外線検知器を使用した照明装置
KR101364665B1 (ko) 엘이디 등기구
KR200420070Y1 (ko) 태양광을 이용한 야외 화장실용 조명장치
KR20050111475A (ko) 인체 감지를 통한 에너지 절약방법 및 그 장치
WO2017120401A1 (en) An led ligh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