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476B1 -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5476B1 KR102405476B1 KR1020200139342A KR20200139342A KR102405476B1 KR 102405476 B1 KR102405476 B1 KR 102405476B1 KR 1020200139342 A KR1020200139342 A KR 1020200139342A KR 20200139342 A KR20200139342 A KR 20200139342A KR 102405476 B1 KR102405476 B1 KR 102405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elevator
- input
- area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은, 센싱 컨트롤러의 프로세서가 비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세팅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에어센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유효감지영역에 기초하여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에어 터치입력인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로부터 방출되는 파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조작 버튼에 대한 비접촉식 입력을 구현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조작 시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한 감염 등의 위험으로 인하여, 비위생적인 사용 환경으로 인한 건강 상의 위해를 가져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위생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조작 버튼, 도어락의 키 버튼, 은행 ATM기의 키 버튼 및/또는 공공장소에서 사용되는 키패드 등과 같은 버튼 입력 장치에 있어서, 버튼에 대한 직접적인 터치 없이 비접촉식으로 사용자가 버튼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자세히, 종래에는 위와 같은 버튼 입력 장치의 특정 버튼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중 어느 일부를 통해 일정 기준 이상의 힘을 상기 버튼으로 인가하거나, 터치 스크린 등에 접촉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일정 기준 이상의 힘을 해당 버튼 등으로 인가하여 선택하는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버튼 등에 신체 중 어느 일부를 접촉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일정 기준 이상의 힘을 가해야 하는 수고로움을 야기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고 해당 버튼에 손가락을 포함한 신체 중 어느 일부분을 접촉시켜 선택하는 방식은, 신체 중 어느 한 부분을 해당 버튼에 직접 닿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의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버튼에 자신의 신체를 접촉시킴으로써 버튼를 매개로 하여 바이러스의 확산 및 신체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종래에는 소정의 키 버튼을 특정 단말기(예컨대, 엘리베이터 등) 표면에 설치하고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키 버튼 상에서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방법, 2차원적인 바닥 평면이나 벽면에 입력하는 방법, 전원 온/오프(ON/OFF)와 같이 최소한의 물리적인 외부 버튼만을 구현하고 나머지는 터치패널 등을 이용하는 정전압 또는 정저항 형태의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하는 방법 및/또는 사람의 음성을 통한 보이스 인식으로의 데이터 및 실행키를 입력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제스쳐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는 방법으로도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 2차원적인 입력 상의 고전적인 방법 이외의 음성을 통한 보이스 인식으로서의 데이터 및 실행 방법은 노이즈에 약한 문제점으로 인해 공공 장소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하여 다중의 사용자들로부터 특정 목소리를 구별할 수 있는 보다 안정적인 사용자 음성 인식 기술이 필요하고, 제스쳐 기반의 인터페이스 입력 방법은 광원 간섭 문제로 인해 여러 대의 카메라 및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직접적인 장비를 장착하여 상호 작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주변 환경 변화에 민감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 장치에 보다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생이 요구되는 다양한 버튼입력 장치(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에어센서에 기반한 비접촉식 터치감지수단을 기반으로 손가락 등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체에 의한 입력 신호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입력 장치의 버튼을 직접 누른 것과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세히, 본 발명은, 버튼입력 장치의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개별 구획의 영역을 형성하는 가상의 버튼영역인 센싱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센싱영역 상에서 감지되는 물체(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영역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버튼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버튼 패턴을 가지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도록 세팅하는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비접촉 입력 기반의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싱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좌표 및/또는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영역에 대한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비접촉 입력 기반의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시스템 구성 방식을 기반으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구현하여 상기 버튼영역에 대한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비접촉 입력 기반의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은, 센싱 컨트롤러의 프로세서가 비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세팅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에어센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유효감지영역에 기초하여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에어 터치입력인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효감지영역은,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센싱영역이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촬영한 버튼영역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버튼영역 이미지에 기반한 오브젝트 디텍팅을 수행하여 상기 버튼영역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바운딩 박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버튼 바운딩 박스를 상기 유효감지영역 내 유효버튼영역으로 매칭하는 단계; 상기 유효버튼영역과 상기 버튼 바운딩 박스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서 수행되는 기능동작을 매칭하여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 별 세팅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바운딩 박스의 속성을 기초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한 버튼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세팅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에어 터치입력을 기반으로 터치다운 입력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버튼영역에서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크기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버튼영역이 엘리베이터 문열림 버튼과 대응되는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상기 터치다운 입력으로부터 터치업 입력까지 소요되는 터치 경과시간이 소정의 터치 다운-업 경과시간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다운 입력과 상기 터치업 입력이 수행된 위치좌표 간의 거리가 소정의 허용거리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셋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 1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제 1 센싱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버튼에 대한 선택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제 2 에어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센싱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입력을 수행하기 이전의 호버링(hovering)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은, 실물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영역 중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는, 외부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버튼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튼설정 정보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 개수 및 배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설정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된 에어센서의 일 영역에 기준하여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센서의 일 영역을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위생이 요구되는 다양한 버튼입력 장치(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에어센서에 기반한 비접촉식 터치감지수단을 기반으로 손가락 등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체에 의한 입력 신호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입력 장치의 버튼을 직접 누른 것과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접촉하는 버튼 상에 무의식중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염될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의 확산 및 신체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버튼입력 장치의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개별 구획의 영역을 형성하는 가상의 버튼영역인 센싱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센싱영역 상에서 감지되는 물체(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영역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버튼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중 어느 일부를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버튼의 근처에 접근하기만 해도 해당하는 개별 구획의 버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위와 같은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장갑 등 손의 보호장비를 착용한 경우, 자판을 접촉하기 위하여 착용한 보호장비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버튼 패턴을 가지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도록 세팅하는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센싱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좌표 및/또는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영역에 대한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상술된 센싱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물체에 의한 터치입력이 상기 버튼영역에 대한 선택을 목적으로 하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센싱영역에서 감지되는 입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요구사항이나 환경에 따라서 최적화된 시스템 방식으로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행 플레이트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에 기초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에 기초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및 비접촉 터치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센싱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Touch down Input)과 터치업 입력(Touch up Inpu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과 터치업 입력 간의 허용거리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행 플레이트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에 기초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에 기초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및 비접촉 터치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센싱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Touch down Input)과 터치업 입력(Touch up Inpu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과 터치업 입력 간의 허용거리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이하,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에어센서(100), 센싱 컨트롤러(200), 인터페이스 모듈(300), 전원모듈(4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및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상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비접촉식 터치감지수단을 기반으로 소정의 버튼(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물체(실시예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체에 의한 입력신호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을 직접 누른 것과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서비스(이하, 엘리베이터 조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제 1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Parallel plane solu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행 플레이트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제 1 에어센서(101), 센싱 컨트롤러(200), 인터페이스 모듈(300) 및 전원모듈(400)을 포함하는 제 1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평행 플레이트 솔루션 모드(Parallel plane solution mode), 이하 제 1 시스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에어센서(101: 1st air senso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1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B1, B2, B3, …)을 포함하는 제 1 버튼영역(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등)에 대응되어 개별 구획의 영역을 형성하는 가상의 버튼영역인 제 1 센싱영역(10: 1st Sensing Area)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상기 제 1 센싱영역(SA1)을 기초로 상기 제 1 버튼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물체(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대한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위치좌표와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버튼영역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버튼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에어센서(101)는, 실시예에 따라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s sensor, IR sensor), 레이저 센서(Laser sensor) 및/또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에어센서(101)를 적외선 센서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적외선 센서에 기반한 제 1 에어센서(101)는, 소정의 제 1 버튼영역 상에서, 상기 제 1 버튼영역의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 1 에어센서(101)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실시예에서, 실물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및/또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영역 등) 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의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을 가지도록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버튼영역을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의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한 제 1 에어센서(101)는, 위와 같이 출력된 적외선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면적)를 가지는 평행면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의 수평면과 평행하게 방출되는 적외선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를 가지는 평행면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개별 구획의 영역을 형성하는 가상의 버튼영역인 제 1 센싱영역(SA1)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위와 같이 구현된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SA1)을 구현하는 적외선에 기반한 소정의 파장 및/또는 온도를 유발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디지털 신호처리가 가능한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제 1 센싱영역(SA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변환하여 획득된 전기신호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센싱 컨트롤러(200) 및/또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 등)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제 1 에어센서(101)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 상기 적외선이 소정의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등)에 반사되어 수용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에 수용된 적외선량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미드 에어 터치(Mid Air Touch)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미드 에어 터치 기능이란, 소정의 물체(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등)의 표면에 대한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예컨대,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접촉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황 등)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입력(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입력)을 비접촉 고정밀로 획득하게 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제스처 컨트롤(Gesture control)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컨트롤 기능이란, 제 1 에어센서(101)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동작(예컨대, 손가락 스윕 또는 탭 제스처 등)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기능 동작을 제어하게 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오브젝트 디텍션(Object Detec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디텍션 기능이란, 제 1 에어센서(101)를 기반으로 감지되는 물체(실시예에서, 사용자 손가락 등)의 크기, 위치, 모양 및/또는 거리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형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형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환경 제약 최소화(Touch on Any Environmen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환경 제약 최소화 기능이란, 어떠한 환경에서도 사용자 입력을 제 1 에어센서(101)에 기초하여 정밀하게 감지하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에어센서(101)는, 장갑을 끼거나 젖은 손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제 1 에어센서(101)를 기반으로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예시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접촉하는 소정의 버튼 상에 무의식중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염될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의 확산 및 신체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버튼입력 환경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제 1 에어센서(101)를 기초로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제 1 센싱영역(SA1) 상에서의 비접촉(Contactless) 멀티 터치(Multi touch)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어떠한 재질의 표면에서도 센싱기능이 수행되게 할 수 있으며,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 및/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 방지를 위하여 사물의 표면과의 직접 접촉을 회피해야 하는 상황 등에서 혁신적인 피드백 시스템을 제공하여 정확한 센싱 상호작용과 시각적 피드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센싱 컨트롤러(200: Sensing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컨트롤러(200)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이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구동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센싱 컨트롤러(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엘리베이터 조작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기능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가 인터페이스 모듈(300)을 통해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22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구동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메모리(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메모리(220)는, 버튼 세팅값,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 및/또는 유효성 판단 알고리즘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20)는,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220)의 프로그램 영역은, 센싱 컨트롤러(200)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센싱 컨트롤러(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2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운영 체제, 통신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접촉/모션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그래픽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텍스트 입력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및 애플리케이션들(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00: Interface module) 및 전원모듈(400: Power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센싱 컨트롤러(200)와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 등)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로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각종 포트 및/또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300)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220)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및/또는 이어폰 포트(port)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모듈(400)은, 프로세서(210)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는, 전원저장부,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된 구성요소들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제 1 시스템은, 제 1 에어센서(10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버튼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더라도 선택하고자 하는 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접촉하는 버튼 상에 무의식중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염될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의 확산 및 신체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시스템 세팅(Setting)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소정의 영역 상에 기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버튼의 버튼 패턴(예컨대, 버튼 모양, 버튼 크기, 버튼 위치 및/또는 버튼 간격 등)을 기반으로,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별로 매칭되는 기능 동작을 제 1 시스템 상에 설정하는 세팅(setting)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제 1 시스템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구축하는 제 1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는, 제 1 시스템의 제 1 에어센서(101)를 소정의 버튼 패턴으로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주변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면적)로 적외선을 출력 가능한 위치라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주변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에어센서(101)에 대한 설치 용이성과 사용성 등의 측면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 가장 인접한 모서리 영역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한 실시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에어센서(101)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측면과 수직하게 인접하는 제 2 측면이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모서리 영역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는, 위와 같이 소정의 위치에 제 1 에어센서(101)를 설치하면, 제 1 에어센서(101) 또는 센싱 컨트롤러(200)의 제어를 기초로 상기 제 1 에어센서(101)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된 제 1 에어센서(101)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 대응되는 위치 상에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하여 활성화된 제 1 에어센서(101)는,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를 가지는 제 1 센싱영역(SA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는, 활성화된 제 1 에어센서(101)를 기초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제 1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는, 활성화된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내 버튼 별 매칭되는 기능 동작을 상기 제 1 센싱영역(SA1) 내 개별 구획 별로 매칭하는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제 1 시스템 구축 프로세스는, 카메라 시스템에 기초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내 버튼 별로 매칭되는 기능 동작을, 상기 제 1 센싱영역(SA1) 내 대응되는 개별 구획 별로 매칭하여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이미지를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은, 제 1 시스템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 수행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버튼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이미지 센서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주위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컴퓨팅 디바이스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 같은 물리적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싱유닛과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싱유닛(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싱유닛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21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위와 같은 이미지 센싱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101)에 기초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시 돌아와서,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카메라 시스템에 기초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내 버튼 별로 매칭되는 기능 동작을 상기 제 1 센싱영역(SA1) 내 대응되는 개별 구획 별로 매칭하는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촬영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이미지(이하, 버튼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제 1 시스템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 수행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버튼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시스템(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으로부터 획득된 버튼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오브젝트 디텍팅(Object Detecting)을 수행할 수 있다. (S103)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버튼영역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버튼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오브젝트 디텍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상기 버튼영역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오브젝트 별 바운딩 박스를 추출할 수 있다. (S105)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바운딩 박스란, 버튼영역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오브젝트 각각에 기준하여 설정된 소정의 영역에 대한 경계를 표시하는 박스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버튼영역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버튼 오브젝트 각각에 기준하여 설정되는 소정의 영역에 대한 경계를 표시하는 박스(예컨대, 해당하는 버튼 오브젝트를 에워싸는 소정의 영역을 경계로 표시하는 사각형 박스 등)인 바운딩 박스를 생성해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운딩 박스 각각을 소정의 비접촉버튼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S107)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버튼영역이란, 상기 버튼 별 바운딩 박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구획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비접촉버튼영역은, 층 버튼의 바운딩 박스와 대응되는 층 비접촉버튼영역과, 개폐버튼(즉, 문열림 버튼 및 문닫힘 버튼)의 바운딩 박스와 대응되는 개폐 비접촉버튼영역(즉, 문열림 비접촉버튼영역과 문닫힘 비접촉버튼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버튼 별 바운딩 박스에 대한 클레시피케이션(class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10)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버튼 별 바운딩 박스 내 소정의 기호를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상기 버튼 별 바운딩 박스로부터 숫자기호, 문열림 기호 또는 문닫힘 기호 중 어느 하나를 딥러닝을 기초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추출된 기호에 기초하여 상기 버튼 별 바운딩 박스를 소정의 비접촉버튼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특정 버튼영역에 대한 바운딩 박스로부터 숫자기호가 추출된 경우, 해당 바운딩 박스 영역을 층 비접촉버튼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특정 버튼영역에 대한 바운딩 박스로부터 개폐기호(문열림 기호 또는 문닫힘 기호)가 추출된 경우, 해당 바운딩 박스 영역을 개폐 비접촉버튼영역(문열림 비접촉버튼영역 또는 문닫힘 비접촉버튼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버튼 별 바운딩 박스 내 기호에 따라서 상기 바운딩 박스 영역을 층 비접촉버튼영역 또는 개폐 비접촉버튼영역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버튼 별로 대응되는 각각의 비접촉버튼영역을 제 1 센싱영역(SA1)과 매칭하여 유효버튼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S109)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유효버튼영역이란, 제 1 센싱영역(SA1) 상에서 상기 버튼 별 바운딩 박스 각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구획영역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유효버튼영역은, 층 비접촉버튼영역과 대응되는 층 유효버튼영역과, 개폐 비접촉버튼영역(즉, 문열림 비접촉버튼영역과 문닫힘 비접촉버튼영역)과 대응되는 개폐 유효버튼영역(즉, 문열림 유효버튼영역과 문딛힘 유효버튼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결정된 비접촉버튼영역 별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면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버튼 별 바운딩 박스의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비접촉버튼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비접촉버튼영역에 대한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획득된 비접촉버튼영역 별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제 1 센싱영역(SA1) 내에서 상기 비접촉버튼 영역 각각의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정보와 대응되는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버튼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 1 센싱영역(SA1) 상에서 비접촉버튼영역 각각의 위치 및/또는 크기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각각의 비접촉버튼영역과 대응되는 유효버튼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상술된 버튼영역 이미지 내 버튼 각각에 대한 영역을 제 1 센싱영역(SA1)의 유효버튼영역으로 매칭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각각의 엘리베이터 버튼 별 위치좌표 및 면적에 대응되는 유효버튼영역이 제 1 센싱영역(SA1) 상에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 1 센싱영역(SA1) 내 유효버튼영역에 기반한 사용자의 비접촉식 입력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결정된 유효버튼영역 별 기능동작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S111)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서로 다른 기능동작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별 유효버튼영역에 기초하여, 각 유효버튼영역 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UX)를 세팅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소정의 유효버튼영역이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실시예에서, 에어 터치입력 등)을 기반으로 선택되었을 시 수행되는 기능 동작을, 각 유효버튼영역 별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층 유효버튼영역인 경우, 해당하는 층 유효버튼영역 내 숫자기호가 나타내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는 기능 동작을 매칭하여 해당 층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세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는, 층 유효버튼영역 내 숫자기호가 '1'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한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을 기반으로 해당 1층 유효버튼영역이 선택되었을 시 해당하는 엘리베이터를 1층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동작을, 상기 1층 유효버튼영역에 매칭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개폐 유효버튼영역인 경우, 해당하는 개폐 유효버튼영역에 엘리베이터 문에 대한 개폐제어를 수행하는 기능 동작을 매칭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세팅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문열림 유효버튼영역이 선택될 시 해당하는 엘리베이터의 문을 개방하는 기능 동작이 수행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고, 문닫힘 유효버튼영역이 선택될 시 해당 엘리베이터 문을 폐쇄하는 기능 동작이 수행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소정의 유효버튼영역이 선택되는 에어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센싱영역(SA1) 내 소정의 유효버튼영역에 대하여 감지되는 에어 터치입력을, 해당하는 유효버튼영역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기능동작을 수행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 1 센싱영역(SA1)에서 에어 터치입력을 유발하는 반사체인 오브젝트와 제 1 에어센서(101)까지의 거리값(즉,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발된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위치값)을 바탕으로 획득되는 디지털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AS1)는, 제 1 센싱영역(SA1) 상에서 유효 터치입력을 유발하는 반사체인 오브젝트(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등)와 제 1 에어센서(AS1)까지의 거리값(즉, 실시예에서 상기 유효 터치입력이 유발된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위치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에어센서(AS1)는, 상기 획득된 거리값을 디지털 변환과정을 거쳐 수치화하고, 이를 통해 상기 거리값에 대한 디지털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AS1)는, 위와 같이 생성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에어센서(AS1)로부터 상기 디지털 전기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210)는, 수신된 디지털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터치버튼에 대한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을 상기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여 세팅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추후 제 1 센싱영역(SA1) 상에서 소정의 유효버튼영역에 대해 감지되는 에어 터치입력을, 해당 유효버튼영역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매칭되어 세팅된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CAN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연동할 시, 해당 엘리베이터 내 설치된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한 제 1 센싱영역(SA1)으로부터 획득된 에어 터치입력이 1층 유효버튼영역 상에서 발생되면, 상기 에어 터치입력을 해당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1층으로 이동하는 기능동작을 수행시키는 CAN 통신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다양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을 가지는 버튼들의 기능동작을 각기 세팅함으로써, 기존의 엘리베이터가 어떠한 형태의 버튼 패턴을 가지고 있더라도,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각각에 대한 기능동작을 해당 엘리베이터 맞춤형으로 소상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엘리베이터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에 형성되는 센싱영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센싱영역을 통해 획득된 입력을 기초로 해당 엘리베이터의 기능동작이 조작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버튼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해당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응되는 허공 상의 소정의 영역(센싱영역)에서의 제스처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10)는, 바이러스(예컨대, 코로나) 등에 의한 감염 방지를 위해 사물의 표면과의 직접 접촉을 회피해야 하는 상황 등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비접촉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회 전반에 걸친 감염병을 예방함과 동시에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에어센서(101)에 기초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시스템(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에 기초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상에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 별 세팅값을 기설정할 수 있고, 기설정된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설명과 중복되는 기재는 요약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상에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 별 세팅값을 기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S201)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에 따른 기본값을 기설정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본값은, 버튼 패턴에 따른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즉, 버튼 별로 매칭되는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위치좌표, 크기(면적) 및/또는 기능동작 세팅값) 및/또는 엘리베이터 내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10)는, 버튼 제조회사 및/또는 품번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예컨대, 버튼 모양, 버튼 크기, 버튼 위치 및/또는 버튼 간격 등)에 따른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 및/또는 엘리베이터 내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 등을 메모리(220)에 기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는,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으로 구현되는 제 1 버튼 패턴 및 제 2 버튼 패턴에 대하여, 제 1 버튼 패턴에 기반한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 및/또는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메모리(220)에 기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제 2 버튼 패턴에 기반한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 및/또는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메모리(220)에 기설정하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20) 상에 버튼 패턴에 따른 기본값을 기설정한 프로세서(210)는,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촬영된 버튼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203)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세팅 수행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버튼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획득된 버튼영역 이미지에 기반하여 오브젝트 디텍팅(Object Detecting)을 수행할 수 있다. (S205)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상기 버튼영역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버튼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오브젝트 디텍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 디텍팅을 수행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버튼영역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오브젝트 별 바운딩 박스를 추출할 수 있다. (S207)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버튼영역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버튼 오브젝트 각각에 기준하여 설정되는 소정의 영역에 대한 경계를 표시하는 박스(예컨대, 해당하는 버튼 오브젝트를 에워싸는 소정의 영역을 경계로 표시하는 사각형 박스 등)인 바운딩 박스를 생성해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운딩 박스의 속성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S209)
여기서, 상기 바운딩 박스의 속성이란, 바운딩 박스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실시예에서 바운딩 박스의 위치좌표, 크기(면적) 및/또는 배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버튼 별 바운딩 박스의 위치좌표, 크기 및/또는 배열 정보 등을 토대로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버튼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버튼 패턴을 검출한 프로세서(210)는, 검출된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S211)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제조회사 및/또는 품번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버튼 패턴 별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메모리(2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버튼영역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된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상기 버튼 패턴 별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20)를 탐색하여 독출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는, 제 1 회사에서 제조된 제 1 품번을 가지는 제 1 버튼 패턴이 검출된 경우, 해당 제 1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에어센서(100) 설치위치 정보를 메모리(220)를 탐색해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제공된 에어센서(100) 설치위치에 배치된 에어센서(100)를 활성화할 수 있다. (S213)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제공된 설치위치에 배치된 제 1 에어센서(101) 활성화하여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로세서(210)는,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는 제 1 센싱영역(SA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에어센서(100)를 활성화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검출된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을 메모리(22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S215)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제조회사 및/또는 품번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버튼 패턴에 따른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을 메모리(2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버튼영역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된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을, 상기 버튼 패턴에 따른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20)를 탐색하여 독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메모리(220)로부터 독출된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에어센서(100)의 제 1 센싱영역(SA1)에 대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S217)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독출된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에 기초하여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센싱영역(SA1)에 대한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로부터 독출된 해당 버튼 패턴에 대한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즉, 버튼 별로 매칭되는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위치좌표, 크기(면적) 및/또는 기능동작 세팅값)을 기반으로, 활성화된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하여 형성된 제 1 센싱영역(SA1)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버튼영역을 세팅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제 1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으로부터, 제 1 버튼 패턴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별로 매칭되는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위치좌표와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위치좌표와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제 1 센싱영역(SA1) 상에 상기 제 1 버튼 패턴 내 버튼 별로 대응되는 위치좌표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유효버튼영역을 세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제 1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버튼 별 기능동작 세팅값으로부터, 상기 버튼 별로 매칭되는 유효버튼영역 별 기능동작 세팅값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획득된 기능동작 세팅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SA1) 상에 세팅된 유효버튼영역 별로 매칭되는 기능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로세서(210)는, 제 1 버튼 패턴 내 버튼 별로 매칭되어 상기 버튼 별 기능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세팅된 유효버튼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센싱영역(SA1)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센싱영역(SA1)에 대한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10)는,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에 따른 세팅 환경을 메모리(220)에 저장해 놓고 필요시 상기 메모리(220)로부터 독출해 적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에 따른 세팅 프로세스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세팅 수행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 설치된 버튼 세팅 어플리케이션(Button Setting Application)과 연동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SA1)에 대한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자세히,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인터페이스 모듈(300)에 기초하여 외부의 컴퓨팅 디바이스 내 버튼 세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버튼 세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최적화 세팅을 수행하려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 개수 및/또는 배열 정보를 설정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설정 정보(이하,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버튼 세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된 제 1 에어센서(101)의 일 영역에 기준하여,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버튼설정 정보 입력의 기준이 되는 기준좌표(예컨대, x, y 좌표 등)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 및/또는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상기 촬영영상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 및/또는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영상 내 제 1 에어센서(101)에 대한 일 영역(예컨대, 하단 좌측 모서리 등)을 나타내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에 대한 좌표값(예컨대, x, y 좌표값 등)을 산출하여 기준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상기 설정된 기준좌표에 기준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는, 제 1 에어센서(101)의 하단 좌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 개수 및/또는 배열 정보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버튼 설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상기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 개수 및/또는 배열 정보를 설정하는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210)는, 외부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센싱영역(SA1)에 대한 최적화 세팅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구축을 보다 소상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다.
- 제 2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Gesture&Contactless touch solution system)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및 비접촉 터치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제 1 에어센서(101), 제 2 에어센서(102), 센싱 컨트롤러(200), 인터페이스 모듈(300), 전원모듈(40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를 포함하는 제 2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제스처 및 비접촉 터치 솔루션 모드(Gesture&Contactless touch solution mode), 이하 제 2 시스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제 2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된 제 1 시스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내용은, 상기 제 1 시스템에서의 해당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과 차별화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제 2 시스템은, 제 1 에어센서(101) 및 제 2 에어센서(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시스템은, 상기 제 1 에어센서(101) 및 제 2 에어센서(102)에 기초하여 더블 센싱 레이어(Double sensing layer)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센싱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더블 센싱 레이어란, 제 1 에어센서(101)를 기반으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1 센싱영역(SA1)과, 제 2 에어센서(102)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센싱영역(SA1)과는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센싱영역(20: 2nd Sensing Area)에 기초하여 단계적인 센싱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센싱 계층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센싱영역(SA2)은,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 제 1 센싱영역(SA1) 사이의 간격보다 엘리베이터 버튼영역과의 간격이 더 이격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제 1 센싱영역(SA1)은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으로부터 근거리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제 2 센싱영역(SA2)은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으로부터 제 1 센싱영역(SA1) 보다 원거리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더블 센싱 레이어의 제 1 에어센서(101)는, 제 1 센싱영역(SA1)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비접촉식 선택 입력을 감지하는 클릭 센서(click sensor)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제 2 에어센서(102)는, 제 2 센싱영역(SA2)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 입력이 수행되기 이전의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호버링 센서(hovering senso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더블 센싱 레이어의 제 1 에어센서(101) 및 제 2 에어센서(102)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가 두 개의 센서 각각에 의해 독립적으로 정의된 방식으로 기능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제 1 에어센서(101: 1st air sensor)>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시스템의 제 1 에어센서(10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디스플레이 화면영역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의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그래픽 이미지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에어센서(101)는, 출력된 적외선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면적)를 가지는 평행면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에어센서(101)는, 위와 같이 구현된 평행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으로 표시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개별 구획의 영역을 형성하는 가상의 버튼영역인 제 1 센싱영역(SA1)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위와 같이 구현된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SA1)을 구현하는 적외선에 기반한 소정의 파장 및/또는 온도를 유발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 2 시스템의 제 1 에어센서(101)는, 제 1 센싱영역(SA1)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선택입력을 획득하는 클릭 센서(Click sensor)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초하여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엘리베이터 버튼을 비접촉식으로 선택하는 에어 터치입력을 획득하는 클릭 센서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제 1 에어센서(101)는, 제 1 센싱영역(SA1)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행하는 에어 터치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에어 터치입력을 센싱 컨트롤러(200) 등에 제공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능 동작이 조작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로, 클릭 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제 1 에어센서(101)는, 사용자 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측으로 향하는 사용자의 제 1 에어 터치입력(즉, 터치다운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향하는 사용자의 제 2 에어 터치입력(즉, 터치업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에어센서(101)는, 획득된 제 1 및 2 에어 터치입력을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 1 에어센서(101)로부터 상기 제 1 및 2 에어 터치입력을 수신한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는, 수신된 제 1 및 2 에어 터치입력을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제공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에어센서(102: 2nd air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에어센서(102)는, 제 1 에어센서(101)와 구성적인 특징은 동일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 1 에어센서(10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제 2 에어센서(10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의 디스플레이 화면영역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의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에어센서(102)는,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에 대한 수평각(0도)으로부터, 사용자 측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각도(예컨대, 10도 등)만큼 기울어진 방향으로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 2 에어센서(102)는, 위와 같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방출되는 적외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SA1)과는 소정의 이격된 거리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제 2 센싱영역(SA2)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제 2 에어센서(102)는, 제 2 센싱영역(SA2)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행하기 이전의 레디 제스처를 감지하는 호버링 센서(Hovering sensor)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제 2 에어센서(102)는,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으로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선택입력을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좌표를 탐색하는 동작인 레디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어센서(102)는, 위와 같이 감지된 레디 제스처에 따른 소정의 기능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제 2 에어센서(102)는, 제 2 센싱영역(SA2) 상에서 감지되는 레디 제스처의 위치좌표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어센서(102)는, 트래킹되는 레디 제스처의 위치좌표 정보를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 2 에어센서(102)로부터 상기 레디 제스처의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한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는, 수신된 레디 제스처의 위치좌표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에 대한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영역 상에서, 제 2 에어센서(102)에 의해 구현되는 제 2 센싱영역(SA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좌표(예컨대, 제 2 센싱영역(SA2)에서의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좌표 등)를 트래킹할 수 있고, 트래킹된 사용자 입력의 위치좌표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에서의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제 2 센싱영역(SA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위치좌표를 트래킹하며 마우스 포인터를 제공하다가,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센싱영역(SA1)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다운 입력(즉, 사용자 측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측으로 향하는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 및/또는 터치업 입력(즉, 디스플레이 화면 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향하는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영역으로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 2 에어센서(102)를 기반으로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한 제 1 센싱영역(SA1)과는 다른 각도로 구현되는 제 2 센싱영역(SA2)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센싱영역(SA1)과 제 2 센싱영역(SA2)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입력에 대한 서로 다른 기능 동작이 구현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에 기초한 보다 직관적인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접촉식 입력에 기반한 엘리베이터 조작 서비스의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대체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엘리베이터에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는 영역 상에 배치되어 해당하는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그래픽 이미지화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즉, 에어센서(100)를 기반으로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버튼이 구현하는 기능 동작이 실행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복수의 층 버튼 및 개폐 버튼(즉, 문열림 버튼 및 문닫힘 버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출력된 엘리베이터 버튼 이미지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을 토대로 해당하는 엘리베이터의 기능 동작이 컨트롤되게 보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된 구성요소들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제 2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00)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의 마우스 포인터에 대한 컨트롤 기능을 제공하는 제 2 에어센서(102)와,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선택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에어센서(10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그래픽 이미지에 기반한 엘리베이터 버튼 제공을 통해 엘리베이터 초기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제 1 에어센서(101)와 제 2 에어센서(102)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입력에 대한 서로 다른 기능 동작의 구현을 가능케하여 제 2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는 비접촉식 입력이 보다 정밀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 제 3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Holographic solution system)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솔루션 모드를 구현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다른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은, 에어센서(100), 센싱 컨트롤러(200), 인터페이스 모듈(300), 전원모듈(400) 및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하는 제 3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홀로그래픽 솔루션 모드(Holographic solution mode), 이하 제 3 시스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3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된 제 1 시스템 및/또는 제 2 시스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내용은, 상기 제 1 시스템 및/또는 제 2 시스템에서의 해당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시스템 및/또는 제 2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과 차별화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 Hologram display equipmen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시스템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3차원 그래픽 이미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소정의 영역 상에 어디든지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성의 측면에서 유리한 엘리베이터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엘시디 모듈(610: LCD Module)과, 상기 엘시디 모듈(61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이미지로부터 방출되는 빛에 기반하여 3차원화된 그래픽 이미지를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 Holographic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엘시디 모듈(610)은,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화하여 2차원의 평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엘시디 모듈(610)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 내 소정의 영역에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엘시디 모듈(610)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상기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가 배치된 경우, 상기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의 일단에 기준하여 소정의 각도(예컨대, 45도 등)만큼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이러한 엘시디 모듈(61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는, 상술된 엘시디 모듈(610)에서 출력되는 그래픽 이미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용하여 소정의 간섭 현상(예컨대, 빛의 진폭 변화 등)을 유발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는, 상기 엘시디 모듈(610)에서 출력되는 2차원 평면의 그래픽 이미지를 3차원 입체 영상화한 디스플레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는, 엘시디 모듈(610)과 소정의 각도(예컨대, 45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픽 플레이트(62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엘시디 모듈(610)과 상호 연동하여, 상기 엘시디 모듈(610)에서 출력되는 2차원 평면 그래픽 이미지를 3차원화하여 제공하는 홀로그램화 영상을 구현해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된 구성요소들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제 3 시스템은, 2차원 평면 그래픽 이미지의 엘리베이터 버튼을 3차원화하여 표시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최신 기술에 기초한 고품질의 엘리베이터 버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비접촉식 선택 입력 서비스의 성능 또한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시스템에 기반하여 구현 가능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요구사항이나 환경에 따라서 최적화된 시스템 방식으로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또는 사용자 경험)를 제공할 수 있다.
- 비접촉 입력 기반의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 컨트롤러(200)의 프로세서(210)가 상술된 제 1 시스템 내지 제 3 시스템 중 하나의 시스템에 기초하여 비접촉 입력을 기반으로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을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자세히,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S30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보다 상세히,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이란, 제 1 에어센서(101)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에 의해 형성된 제 1 센싱영역(SA1)(즉, 유효감지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유효감지영역이란,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하게 허용되는 소정의 영역으로서,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실시예에서, 실물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및/또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영역 등)의 최외곽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센싱영역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 상에, 에어센서(100)를 기초로 형성된 유효감지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한 직접적인 터치 입력이 아니더라도, 상기 유효감지영역에 기반한 비접촉식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효감지영역을 실물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는 제 1 센싱영역(SA1)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제 1 센싱영역(SA1)이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 1 에어센서(101)와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상에 형성된 유효감지영역(SA1)에 기반한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유효감지영역(SA1)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버튼영역(30-1, 30-2, …, 30-10)에 대한 사용자의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유효버튼영역(30)이란, 유효감지영역(SA1) 내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각각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소정의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은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하여 동시에 감지되는 에어 터치입력의 최대 유효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을 선택하는 에어 터치입력이 적어도 둘 이상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해당하는 복수의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최대 유효개수에 제한을 주어,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한 선택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의 액션 이외의 무효한 액션에 의한 에어 터치입력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한 다중 에어 터치입력 감지 시 최대 유효개수에 제한을 주어, 해당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려는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손가락 등) 이외의 특정 물체(예컨대, 이삿짐 등)에 의하여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한 다중 입력이 수행되는 상황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에어 터치입력이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에 매칭되는 유효버튼영역(30)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유효 에어 터치입력의 최대 유효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감지영역(SA1)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효버튼영역(30)을 적어도 둘 이상의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을 각각의 엘리베이터 층 버튼에 매칭되는 층 유효버튼영역(40)과, 문열림 버튼에 매칭되는 문열림 유효버튼영역(50-1) 및 문닫힘 버튼에 매칭되는 문닫힘 유효버튼영역(50-2)을 포함하는 개폐 유효버튼영역(50) 등의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다중 에어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유효버튼영역(30)이 위와 같이 구분되는 유효버튼영역(30)의 카테고리 중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다중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최대 유효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다중 에어 터치입력이 감지된 유효버튼영역(30)이 모두 층 유효버튼영역(40)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다중 에어 터치입력 중 가장 먼저 감지된 하나의 에어 터치입력만을 유효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다중 에어 터치입력이 감지된 유효버튼영역(30)이 모두 개폐 유효버튼영역(50)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다중 에어 터치입력 중 가장 먼저 감지된 하나의 에어 터치입력만을 유효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층 유효버튼영역(40) 카테고리 및 개폐 유효버튼영역(50) 카테고리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에어 터치입력이 감지되는 다중 에어터치 입력이 발생한 경우, 층 유효버튼영역(40) 카테고리에 속하는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터치입력 중 가장 먼저 감지되는 하나의 에어 터치입력과, 개폐 유효버튼영역(50) 카테고리에 속하는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해 감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 터치입력 중 가장 먼저 감지되는 하나의 에어 터치입력을 포함하는 최대 두 개의 에어 터치입력을 유효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다중 에어 터치입력이 감지된 유효버튼영역(30)이 모두 층 유효버튼영역(40) 카테고리 또는 개폐 유효버튼영역(50) 카테고리에 속하는 경우, 상기 다중 에어 터치입력 모두를 무효 입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할 시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유효버튼영역(30)의 카테고리(실시예에서, 층, 문열림 또는 문닫힘 카테고리 등)에 따라서 허용 가능한 최대 입력 유효개수를 설정함으로써, 유효버튼영역(30)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을 선택하는 제스처 이외의 특수 동작에 의하여 에어 터치입력이 오감지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효버튼영역(30)에 기반한 에어 터치입력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의 액션을 보다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어 터치입력 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위와 같이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한 프로세서(210)는,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303)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감지영역(SA1)에 기반하여 감지되는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인지 또는 무효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감지영역(SA1) 내 유효버튼영역(30)에서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다운 입력(Touch down Input)이 발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1)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Touch down Input)과 터치업 입력(Touch up Inpu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61)이란, 사용자 측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측으로 향하는 에어 터치입력(즉,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르는 제스처의 에어 터치입력)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 내에서 터치다운 입력(61)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해당 에어 터치입력을 무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에서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다운 입력(61)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유효버튼영역(30)에서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크기(a)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3)
자세히, 도 13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을 수행한 오브젝트의 크기(a)를 기반으로 해당 오브젝트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을 수행한 오브젝트(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가 소정의 크기(예컨대, 30mm 등) 이내를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상기 오브젝트가 소정의 크기를 불충족하는 경우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무효한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고, 해당 오브젝트에 의해 발생된 에어 터치입력을 무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210)는, 상기 오브젝트가 소정의 크기를 충족하는 경우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유효한 오브젝트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에서 감지된 오브젝트의 크기(a)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 유효 오브젝트이면, 해당 유효버튼영역(30)이 엘리베이터 문열림 버튼과 대응되는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S405)
이때,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유효버튼영역(30)이 엘리베이터의 문열림 버튼과 대응되는 경우, 해당 에어 터치입력을 유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문열림 버튼에 대한 유효입력이 판단된 이후, 해당 유효버튼영역(30)에서의 터치업 입력(62)이 수행되면, 해당 에어 터치입력 또한 유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업 입력(62)이란, 터치다운 입력(61) 이후, 엘리베이터 버튼 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향하는 에어 터치입력(즉, 엘리베이터 버튼을 눌렀다가 떼는 제스처의 에어 터치입력)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문열림 버튼의 경우에는 후술되는 터치 다운-업 경과시간에 의한 제약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만큼 문열림 버튼을 선택하고 유지하다가 선택해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버튼영역(30)에서 감지되는 에어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의 크기(a)가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 유효 오브젝트이나, 해당 유효버튼영역(30)이 문열림 버튼과 대응되지 않는 경우,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이 소정의 터치 다운-업(Touch down-up) 경과시간(이하, 터치 경과시간)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7)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경과시간이란,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다운 입력(61)으로부터 상기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업 입력(62)까지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다운 입력(61)이 수행된 이후, 소정의 터치 경과시간(예컨대, 10초 등) 이내에 터치업 입력(62)이 수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는, 소정의 터치 경과시간 이내에 터치업 입력(62)이 미수행되는 경우,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을 무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이 소정의 터치 경과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즉,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다운 입력(61)이 수행된 이후 소정의 터치 경과시간 이내에 터치업 입력(62)이 수행된 경우, 해당하는 터치다운 입력(61)과 터치업 입력(62) 간의 거리(b)가 소정의 허용거리를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409)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다운 입력(61)과 터치업 입력(62) 간의 허용거리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터치다운 입력(61)이 수행된 위치좌표와 터치업 입력(62)이 수행된 위치좌표 간의 거리(b)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에 의한 터치다운 입력(61)의 위치좌표와 터치업 입력(62)의 위치좌표 간 거리(b)가 소정의 허용거리(예컨대, 엘리베이터 제 1 버튼의 대각방향 양끝 꼭지점 간 거리 등)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을 무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에어 터치입력의 터치다운 입력(61)과 터치업 입력(62) 간의 거리(b)가 소정의 허용거리를 충족하면, 해당하는 에어 터치입력을 유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감지영역(SA1)을 기초로 감지되는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유효성을 다단계에 걸쳐 확인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버튼의 기능 별 작동방식 고려한 유효/비유효 액션을 판단할 수 있고,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려는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손가락 등) 이외의 특정 물체(예컨대, 이삿짐 등)나 어린아이 등에 의해 발생되는 특수 동작에 의한 비유효 액션을 필터링할 수 있으며, 유효버튼영역(3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액션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효감지영역(SA1)에서 감지되는 입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와서, 위와 같이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한 프로세서(210)는,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유효 에어 터치입력(이하,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S305)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하여 형성된 유효감지영역(SA1) 내 소정의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하여 감지되는 유효 터치입력을, 해당하는 유효버튼영역(30)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기능동작을 수행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유효감지영역(SA1) 상에서 유효 터치입력을 유발하는 반사체인 오브젝트(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등)와 제 1 에어센서(101)까지의 거리값(즉, 실시예에서 상기 유효 터치입력이 유발된 유효버튼영역(30)에 대한 위치값)을 바탕으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변환과정을 거쳐 수치화하고, 각 수치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유효 터치입력을 상기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이 감지된 유효버튼영역(30)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이 층 버튼인 경우, 기설정된 층(floor)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키는 상기 층 버튼을 선택 또는 선택해제하는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상기 유효 터치입력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이 감지된 유효버튼영역(30)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이 개폐 버튼(즉, 문열림 버튼 또는 문닫힘 버튼)인 경우, 엘리베이터의 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버튼을 선택 또는 선택해제하는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상기 유효 터치입력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CAN 통신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연동할 시, 해당 엘리베이터 내 설치된 제 1 에어센서(101)에 의한 유효감지영역(SA1)으로부터 획득된 유효 터치입력이 1층 유효버튼영역(40) 상에서 발생되면, 상기 유효 터치입력을 해당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서 1층으로 이동하는 기능동작을 수행시키는 CAN 통신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위와 같이 변환된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송신할 수 있다. (S307)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을 변환한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여, 상기 유효 터치입력에 기반한 엘리베이터 제어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에 매칭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로세서(210)는, 상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와 연동해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한 조작신호를 인가하여 유효 터치입력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S309)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동작을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이 제대로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7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조명을 동작(on)시키는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이하, 버튼조명 제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획득된 버튼조명 제어신호를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10)는, 상기 버튼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송신된 버튼조명 제어신호를 수신한 엘리베이터 컨트롤러가 상기 유효 터치입력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조명을 동작(on)하게 함으로써,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7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예컨대, 층 별 음성멘트 데이터, 열림 음성멘트 데이터 또는 닫힘 음성멘트 데이터 등)를 출력시키는 엘리베이터 통신 프로토콜 신호(이하, 오디오 제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10)는, 획득된 오디오 제어신호를 해당하는 엘리베이터 컨트롤러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로세서(210)는, 상기 오디오 제어신호를 수신한 엘리베이터 컨트롤러가 상기 유효 터치입력에 매칭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게 하여, 유효 터치입력에 대한 피드백 신호(7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유효 터치입력의 감지에 따른 소정의 피드백 신호(70)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비접촉식 입력에 기반한 엘리베이터 조작 서비스가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위생이 요구되는 다양한 버튼입력 장치(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에어센서(100)에 기반한 비접촉식 터치감지수단을 기반으로 손가락 등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체에 의한 입력 신호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입력 장치의 버튼을 직접 누른 것과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접촉하는 버튼 상에 무의식중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염될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의 확산 및 신체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버튼입력 장치의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개별 구획의 영역을 형성하는 가상의 버튼영역인 센싱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센싱영역 상에서 감지되는 물체(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위치좌표와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영역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버튼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중 어느 일부를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버튼의 근처에 접근하기만 해도 해당하는 개별 구획의 버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위와 같은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장갑 등 손의 보호장비를 착용한 경우, 자판을 접촉하기 위하여 착용한 보호장비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버튼 패턴을 가지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도록 세팅하는 최적화 세팅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센싱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좌표 및/또는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버튼영역에 대한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상술된 센싱영역으로부터 감지되는 물체에 의한 터치입력이 상기 버튼영역에 대한 선택을 목적으로 하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센싱영역에서 감지되는 입력에 의한 엘리베이터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요구사항이나 환경에 따라서 최적화된 시스템 방식으로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22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 센싱 컨트롤러의 프로세서가 비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에어센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유효감지영역에 기초하여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에어 터치입력인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제 1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제 1 센싱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버튼에 대한 선택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제 2 에어센서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센싱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입력을 수행하기 이전의 호버링(hovering)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감지영역은,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센싱영역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센싱 컨트롤러의 프로세서가 비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세팅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에어센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유효감지영역에 기초하여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에어 터치입력인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촬영한 버튼영역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버튼영역 이미지에 기반한 오브젝트 디텍팅을 수행하여 상기 버튼영역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바운딩 박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버튼 바운딩 박스를 상기 유효감지영역 내 유효버튼영역으로 매칭하는 단계;
상기 유효버튼영역과 상기 버튼 바운딩 박스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에서 수행되는 기능동작을 매칭하여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버튼 패턴 별 세팅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바운딩 박스의 속성을 기초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한 버튼 패턴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버튼 패턴에 매칭되는 세팅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버튼영역에 대한 에어 터치입력을 기반으로 터치다운 입력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버튼영역에서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크기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버튼영역이 엘리베이터 문열림 버튼과 대응되는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 터치입력에 대한 상기 터치다운 입력으로부터 터치업 입력까지 소요되는 터치 경과시간이 소정의 터치 다운-업 경과시간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다운 입력과 상기 터치업 입력이 수행된 위치좌표 간의 거리가 소정의 허용거리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중 적어도 셋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은,
실물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버튼영역 중 적어도 하나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적외선을 출력하여 가상의 버튼영역인 제 1 센싱영역을 형성하는 제 1 에어센서;
상기 제 1 에어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에 기반한 에어 터치입력을 기초로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센싱 컨트롤러; 및
상기 제 1 에어센서와 상기 센싱 컨트롤러 간의 데이터 통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컨트롤러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고, 상기 세팅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상기 제 1 에어센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유효감지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에어 터치입력인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상기 제 1 에어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제 2 에어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버튼영역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에어센서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수평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상기 적외선을 출력하여 제 2 센싱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센싱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센싱영역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버튼에 대한 선택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센싱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센싱영역에 기초한 선택입력이 수행되기 이전의 호버링 제스처를 감지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2차원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3차원 그래픽 이미지화하여 제공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 컨트롤러는,
상기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반으로 3차원 그래픽 이미지화되어 출력되는 엘리베이터 버튼영역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센싱영역에 기반한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를 수행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 센싱 컨트롤러의 프로세서가 비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조작하는 방법으로서,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세팅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의 에어센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유효감지영역에 기초하여 에어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에어 터치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에어 터치입력이 유효입력으로 판단되면, 상기 유효입력으로 판단된 에어 터치입력인 유효 터치입력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통신 프로토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는, 외부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단계와,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버튼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설정 정보는,
엘리베이터 버튼의 위치, 개수 및 배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설정한 정보인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된 에어센서의 일 영역에 기준하여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센서의 일 영역을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컨트롤러는,
외부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고, 상기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공된 버튼 세팅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버튼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버튼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을 세팅하는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342A KR102405476B1 (ko) | 2020-10-26 | 2020-10-26 |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9342A KR102405476B1 (ko) | 2020-10-26 | 2020-10-26 |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5158A KR20220055158A (ko) | 2022-05-03 |
KR102405476B1 true KR102405476B1 (ko) | 2022-06-07 |
Family
ID=8159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9342A KR102405476B1 (ko) | 2020-10-26 | 2020-10-26 |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547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01033A (zh) | 2012-05-08 | 2012-10-03 | 华南理工大学 |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电梯按键及方法 |
KR101242301B1 (ko) | 2012-05-22 | 2013-03-11 | 윤일식 | 엘리베이터용의 광센서형 층선택 스위치판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층선택 방법 |
US20150232300A1 (en) * | 2014-02-14 | 2015-08-20 |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 Elevator Operator Interface |
CN204802795U (zh) * | 2015-05-25 | 2015-11-25 | 北京索德电气工业有限公司 | 一种智能全息投影呼梯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91247B2 (ja) * | 2010-03-25 | 2014-05-14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光センサを用いた近接センサ |
KR101258969B1 (ko) | 2012-06-08 | 2013-05-07 | 주식회사 케이엠티글로벌 | 비접촉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입력장치 |
-
2020
- 2020-10-26 KR KR1020200139342A patent/KR102405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01033A (zh) | 2012-05-08 | 2012-10-03 | 华南理工大学 |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电梯按键及方法 |
KR101242301B1 (ko) | 2012-05-22 | 2013-03-11 | 윤일식 | 엘리베이터용의 광센서형 층선택 스위치판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층선택 방법 |
US20150232300A1 (en) * | 2014-02-14 | 2015-08-20 |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 Elevator Operator Interface |
CN105980286A (zh) | 2014-02-14 | 2016-09-28 | 蒂森克虏伯电梯公司 | 升降机操作接口 |
CN204802795U (zh) * | 2015-05-25 | 2015-11-25 | 北京索德电气工业有限公司 | 一种智能全息投影呼梯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5158A (ko) | 202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72669B1 (en) | Depth-based user interface gesture control | |
KR102335132B1 (ko) | 하나의 단일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는 멀티 모드 제스처 기반의 상호작용 시스템 및 방법 | |
CN105229582B (zh) | 基于近距离传感器和图像传感器的手势检测 | |
US20170024017A1 (en) | Gesture processing | |
JP2019087279A (ja) | デジタルデバイスとの対話のための直接的なポインティング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9703398B2 (en) | Pointing device using proximity sensing | |
TWI612442B (zh) | 用於使用者手勢辨識之裝置與方法以及相關電腦程式 | |
US2013024183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behavior of virtual objects on a display | |
US20150262004A1 (en) | Information input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20120274550A1 (en) | Gesture mapping for display device | |
KR20140114913A (ko) | 사용자 기기의 센서 운용 방법 및 장치 | |
US20150220150A1 (en) | Virtual touch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 |
US2015022014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virtual grasping user interface | |
JP2012515966A (ja) | 物体の挙動を監視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 |
US9639167B2 (en) |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having non-contact gesture sensitive region | |
KR102372045B1 (ko) | 컨택리스 에어터치 기반 키오스크 입력 방법 및 디바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
KR102405476B1 (ko) | 비접촉 입력에 기초한 엘리베이터 조작 방법 및 시스템 | |
US20230146023A1 (en) | Interactiv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TW201545050A (zh) | 電子裝置的控制方法 | |
US20200050336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Lik-Hang et al. | Interaction methods for smart glasses | |
Nakamura et al. | Distinction system of left and right hands placed on a keyboard of laptop computers | |
CN105824462B (zh) | 一种检测方法及电子设备 | |
KR20140066378A (ko) |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제어방법 | |
KR20140133358A (ko) | 다중 사용자 인식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