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454B1 -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 Google Patents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454B1
KR102405454B1 KR1020210102825A KR20210102825A KR102405454B1 KR 102405454 B1 KR102405454 B1 KR 102405454B1 KR 1020210102825 A KR1020210102825 A KR 1020210102825A KR 20210102825 A KR20210102825 A KR 20210102825A KR 102405454 B1 KR102405454 B1 KR 10240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protrusion
sole
blad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스웰
Priority to KR102021010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을 제공한다. 상기 신발은 커버; 상기 커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상기 밑창에 끼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SHOES HAVING STRUCTURAL DURABILITY AND ADVANTAGES IN PRODUCTION PROCESS DUE TO STRUCTURAL COMBINATION OF MIDSOLE AND SOLE}
본 발명은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일체로 형성된 커버와 밑창에 중창을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종래에는 신발의 중창과 밑창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미싱기를 사용한 오버로크에 의해 고정을 시켰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은 접착제 고정 방식은 제조자가 설계적 요청에 의한 정확한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결합력이 약해 신발의 가동년한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오버로크 고정 방식은 협소한 커버 내부의 공간에서 밑창과 중창을 오버로크에 의해 고정해야하며 생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선행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303호(2004.03.30. 공고)
(선행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6872호(2016.07.20.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은 커버; 상기 커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밑창; 상기 밑창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상기 밑창에 끼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창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창의 상면에는 상기 중창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와, 상기 중창의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창의 블레이드는 상기 밑창의 블레이드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창의 돌출부 수용부에는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는 육각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밑창의 돌출부 수용부의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에서는 중창의 블레이드가 밑창의 블레이드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동시에 중창의 육각기둥 형태의 돌기가 밑창의 홈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결합 방식에 의해, 접착제 도포나 오바로크와 같은 부가적인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편한 끼임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되어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동시에 중창과 밑창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을 나타낸 분해투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의 중창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을 나타낸 분해투시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의 중창을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은 커버(100), 밑창(200) 및 중창(3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로서, 상면에는 착용자의 발이 인입되는 홀(1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밑창(200)은 커버(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이며, 중창(300)은 밑창(200)의 상면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로서, 착용자의 발바닥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은 중창(300)이 밑창(200)에 끼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접착제 도포나 오버로크와 같이 부가적인 공정을 거치지 않으며, 제조자의 숙련 정도에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창(30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블레이드(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밑창(200)의 상면에는 중창(300)의 돌출부(310)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210)와, 중창(300)의 블레이드(320)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창(300)의 블레이드(320)는 밑창(200)의 블레이드 수용부(220)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에서는 중창(300)의 돌출부(310)가 밑창(200)의 돌출부 수용부(210)에 수직 방향으로 인입되는 동시에 측부에서 중창(300)의 블레이드(320)가 밑창(200)의 블레이드 수용부(220)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고, 밑창(200)의 돌출부 수용부(220)에는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를 수용하는 복수의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 각각은 육각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밑창(200)의 돌출부 수용부(220)의 복수의 홈(230)은 복수의 돌기(33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330)와 복수의 홈(230)은 수직 방향으로 도킹되어 끼임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은 중창(300)의 돌출부(310)가 밑창(200)의 돌출부 수용부(21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중창(300)의 블레이드(320)가 밑창(200)의 블레이드 수용부(220)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가 밑창(200)의 돌출부 수용부(220)의 복수의 홈(230)에 도킹되어 수평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듀얼 락킹에 의해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와 밑창(200)의 돌출부 수용부(220)의 복수의 홈(230)은 육각기둥 형태로서, 육각형의 단면에 의해 높은 단면 모멘트를 가져 마치 캔틸레버와 같은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가 지지되기 위한 필요응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원형이나 사각 단면과 비교하여 수평 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중창(300)의 상면이 중창(300)의 블레이드(320)와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와 복수의 채널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에어 포켓으로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의 변형례에서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여 중창(300)의 상면을 가압하면, 에어 포켓의 공기가 중창(300)의 블레이드(320)와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로 이동하여 블레이드(320)와 복수의 돌기(330)가 팽창함으로써 밑창(200)의 블레이드 수용부(220)와 복수의 홈(230)과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착용시에 끼임 결합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내구성이 더 향상됨).
또한,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부는 특정 가열 온도 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성장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중창(300)을 밑창(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싶은 경우, 밑창(200)에서 복수의 인출부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는 부분을 가열하면, 복수의 인출부의 수직 방향 성장에 의해 중차(300)이 상측으로 리프팅되며 밑창(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1000)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중창(300)의 돌출부(310)의 복수의 돌기(330) 각각에는 6개의 측면에 하나씩 총 6개의 압력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6개의 압력 센서는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여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6개의 압력 센서 중 압력값이 기준치보다 높게 책정되는 부분의 측면과 연장선상에 있는 부위에 발바닥의 압력이 높게 작용한다는 점을 파악하여 보행습관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커버;
    상기 커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밑창; 및
    상기 밑창의 상면에 위치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상기 밑창에 끼임 결합하며,
    상기 중창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창의 상면에는 상기 중창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와, 상기 블레이드가 수용되는 블레이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창의 블레이드는 상기 밑창의 블레이드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창의 돌출부 수용부에는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는 육각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밑창의 돌출부 수용부의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중창의 상면이 상기 중창의 블레이드와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채널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에어 포켓으로 커버되고,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 각각의 하단에 배치되는 복수의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인출부는 특정 가열 온도 이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성장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뤄지며,
    상기 중창의 돌출부의 복수의 돌기 각각에는 6개의 측면에 하나씩 총 6개의 압력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6개의 압력 센서는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여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2825A 2021-08-04 2021-08-04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KR10240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825A KR102405454B1 (ko) 2021-08-04 2021-08-04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825A KR102405454B1 (ko) 2021-08-04 2021-08-04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454B1 true KR102405454B1 (ko) 2022-06-07

Family

ID=8198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825A KR102405454B1 (ko) 2021-08-04 2021-08-04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4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03Y1 (ko) * 2003-12-23 2004-03-30 이선배 신발 밑창 구조
KR20160086872A (ko) * 2013-11-12 2016-07-2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육각형 밑창 요소를 형성하는 사이프를 갖춘 분절식 밑창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303Y1 (ko) * 2003-12-23 2004-03-30 이선배 신발 밑창 구조
KR20160086872A (ko) * 2013-11-12 2016-07-2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육각형 밑창 요소를 형성하는 사이프를 갖춘 분절식 밑창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8434B2 (en) Footwear
US7367142B2 (en) Open shoe, such as a slipper, sandal and the like
US7757411B2 (en) Shock absorbing footwear construction
KR20090124313A (ko) 신발 밑창
IT8921926A1 (it) Sistema di smorzamento di impatti applicabile a scarpe sportive.
USD450437S1 (en) Footwear midsole
KR102405454B1 (ko) 중창과 밑창의 구조적 결합에 의해 구조적 내구성과 생산공정에서 이점을 가지는 신발
KR101240927B1 (ko) 조립식 구두
TWI809141B (zh) 鞋底
KR101873016B1 (ko) 교체 가능한 보조굽
KR200240638Y1 (ko) 샌들 겸용 운동화
KR102631800B1 (ko)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
KR200418404Y1 (ko) 신발밑창
KR100446018B1 (ko) 신발의 제조방법
WO2005077218A1 (en) Shoe with removable insole
USD1026432S1 (en) Shoe midsole periphery
KR102562813B1 (ko)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JPS6371205A (ja) スキーブーツの中靴
USD1026431S1 (en) Shoe midsole periphery
KR200163313Y1 (ko) 슬리퍼
CN217851605U (zh) 一种用于鞋底的碳纤维构件、鞋底和鞋
CN219661065U (zh) 一种新型压底模
CN214710785U (zh) 一种高跟女靴
CN210353429U (zh) 一种具有织物支撑的气垫鞋底及鞋
EP3479718B1 (en)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