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813B1 -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813B1
KR102562813B1 KR1020230059236A KR20230059236A KR102562813B1 KR 102562813 B1 KR102562813 B1 KR 102562813B1 KR 1020230059236 A KR1020230059236 A KR 1020230059236A KR 20230059236 A KR20230059236 A KR 20230059236A KR 102562813 B1 KR102562813 B1 KR 10256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
hole
fitting
deco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저스틴
안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크
Priority to KR102023005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과 접촉되는 아웃솔(100); 상기 아웃솔(100)의 상측에 조립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미드솔(200); 상기 아웃솔(1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데코부재(300);를 포함하는 슬리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데코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퍼의 형상 및 색이 동일하더라도 장착된 데코부재를 통해 슬리퍼 사용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Slippers}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미드솔과 지면과 맞닿는 아웃솔과 발등을 감싸는 스트랩으로 구성되는데, 미드솔은 통상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발포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아웃솔은 내마모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비한다.
근래 생활수준이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각종 생활물품들은 단순한 기능적인 용도로 사용되던 것에서 각자의 개성을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의류, 신발, 가방 등과 같이 착용하거나 휴대하는 물품의 경우 자기표현의 일부라고 인식되어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하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신발 또는 슬리퍼에 자신만의 장식을 하려는 사람에게 신발끈을 가진 운동화 또는 캐주얼화의 경우 끈이 달린 정면에 다양한 장식품을 장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기출원된 기술에서도 볼 수 있다.
종래 기술 특허등록 제1037290호에서는 신발끈을 삽입하는 삽입홀에 장식구를 장착하여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신발용 장식구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장식구는 단순히 특정 형상을 이루는 장식구 본체가 신발끈 체결부위에 나타내어지게 됨으로 나만의 차별성을 표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야간에는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72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883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699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780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탈부착이 용이하고, 데코부재 부착 시 강한 충격에도 슬리퍼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슬리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과 접촉되는 아웃솔(100); 상기 아웃솔(100)의 상측에 조립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미드솔(200); 상기 미드솔(2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데코부재(300);를 포함하는 슬리퍼를 제공한다.
상기 미드솔(200)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미드바디(210); 상기 미드바디(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등 일부를 커버하는 토캡부(250); 상기 미드바디(210)의 외측면(211)을 따라 안쪽으로 오목한 커버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캡부(2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2 데코홀(305)을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데코(310); 상기 데코(3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데코베이스(320); 상기 데코베이스(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데코컬럼(330); 상기 데코컬럼(33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블럭(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데코홀(305)이 타원형상, 직사각형 형상, 마름모 또는 비정형 형상이고, 상기 형상블럭(340)이 상기 제 2 데코홀(305)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캡부(2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1 데코홀(255)을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데코(310); 상기 데코(3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데코베이스(320); 상기 데코베이스(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데코컬럼(330); 상기 데코컬럼(33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블럭(345); 상기 데코컬럼(330)에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조립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부재(350);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350)는, 상기 데코컬럼(330)이 관통되는 끼움홀(351a)이 형성된 끼움고정부(351); 상기 끼움고정부(35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끼움연장부(352); 상기 끼움연장부(352)의 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바디(353); 상기 끼움바디(35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끼움관통부(354); 상기 끼움관통부(354)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토캡부(250)의 저면과 상하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끼움걸림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데코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리퍼의 형상 및 색이 동일하더라도 장착된 데코부재를 통해 슬리퍼 사용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토캡부에 형성된 데코홀을 원형이 아닌 방향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데코부재의 형상블럭이 데코홀에 대응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형상블럭이 데코홀을 통과한 후 회전되어 토캡부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코부재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토캡부에 형성된 데코홀을 원형으로 형성하더라도 데코어셈블리를 설치한 후, 끼움부재를 통해 데코홀을 폐쇄하여 장착된 데코어셈블리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끼움부재를 데코홀에 끼움고정 한 후, 끼움부재를 관통하는 팽창부재를 추가 설치하여, 끼움부재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또는 팽창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끼움부재 및 데코홀의 끼움결합의 신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데코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코부재 및 슬리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데코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끼움부재의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데코부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는 사용자의 발가락 전방이 막힌 클로그(나막신) 타입 슬리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는, 바닥과 접촉되는 아웃솔(100)과, 상기 아웃솔(100)의 상측에 조립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미드솔(200)과, 상기 미드솔(2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데코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솔(100) 및 미드솔(200)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고정된다.
상기 미드솔(200)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미드바디(210)와, 상기 미드바디(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가락 및 발등 일부를 커버하는 토캡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예에서 상기 미드바디(210)의 외측면(211)을 따라 안쪽으로 오목한 커버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홈(220)에 상기 아웃솔(100)이 결합되어 상기 외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홈(220)은 우측면에 형성된 제 1 커버홈(221)과, 상기 제 1 커버홈(221)과 연결되고 전면에 형성된 제 2 커버홈(222)과, 상기 제 2 커버홈(222)과 연결되고 좌측면에 형성된 제 3 커버홈(2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버홈(221) 및 제 3 커버홈(223)을 연결하고, 후면에 형성되는 제 4 커버홈(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커버홈(221), 제 2 커버홈(222) 및 제 3 커버홈(223)이 연속되게 연결되고, 상기 미드바디(2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버홈(221), 제 2 커버홈(222) 및 제 3 커버홈(223)으로 인해 상기 토캡부(250)의 폭보다 상기 제 1 커버홈(221) 및 제 3 커버홈(223) 사이의 폭이 더 짧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토캡부(250)는 전방이 개구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이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커버홈(221), 제 2 커버홈(222) 및 제 3 커버홈(223)의 상단(221a)(222a)(미도시)이 연속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커버홈(221) 및 제 3 커버홈(223)의 상단(221a)(미도시)과 상기 제 4 커버홈(224)의 상단(224a)을 연결하기 위해 경사부(22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25)는 미드바디(210)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경사부(225)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단이 높게 위치되고 후단이 낮게 위치된다.
상기 제 4 커버홈(224)의 높이가 상기 제 1 커버홈(221) 및 제 3 커버홈(223)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25)가 이러한 높이차를 연결하여 해소한다.
발 뒷꿈치에 하중이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미드바디(210)의 부피를 크게 형성시켜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경사부(225)는 상기 제 1 커버홈(221) 및 제 3 커버홈(223)의 후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우측 및 좌측의 경사부을 구분할 경우, 제 1 경사부(225a) 및 제 2 경사부(225b)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4 커버홈(224)의 전단이 상기 제 1 경사부 및 제 2 경사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 1 삽입부(231) 전체가 상기 제 제 1 경사부 및 제 2 경사부의 전단 및 제 3 커버홈(223)의 후단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토캡부(250)는 전방이 막힌 형태이다.
상기 토캡부(250)를 관통하게 복수개의 배기홀(251)들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홀(251)이 토캡부(25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우측에 배치된 것을 제 1 배기홀이라 하고, 좌측에 배치된 것을 제 2 배기홀이라 한다.
또한, 상기 배기홀(251)의 상측에 상기 토캡부(250)를 관통하는 제 1 데코홀(255)이 더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데코홀(255)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데코부재(3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300)가 상기 제 1 데코홀(255)에서 분리가능하고, 다른 모양의 데코부재(300)로 교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양과 달리 상기 데코부재(300)는 원형, 세모, 별, 네모 또는 회사의 심볼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3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여러켤레의 동일한 슬리퍼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데코부재(3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솔(100)은, 상기 미드바디(2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아웃바디부(110)와, 상기 미드바디(2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홈(220)을 감싸게 밀착되는 커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아웃바디부(110)의 우측에 형성된 제 1 커버부(121), 상기 제 1 커버부(121)와 연결되고 전방에 형성된 제 2 커버부(122), 상기 제 2 커버부(122)와 연결되고 좌측에 형성된 제 3 커버부(123), 상기 제 1 커버부(121) 및 제 3 커버부(123)을 연결하고, 후방에 형성되는 제 4 커버부(124), 상기 제 1 커버부(121) 및 제 4 커버부(124)를 연결하는 제 1 경사커버부(125), 상기 제 3 커버부(123) 및 제 4 커버부(124)를 연결하는 제 2 경사커버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버부(121)가 상기 제 1 커버홈(221)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커버부(122)가 상기 제 2 커버홈(222)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커버부(123)가 상기 제 3 커버홈(223)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4 커버부(124)가 상기 제 4 커버홈(224)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커버부(125)가 상기 제 1 경사부(225a)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제 2 경사커버부(126)가 상기 제 2 경사부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제 1 커버부(121), 제 2 커버부(122), 제 3 커버부(123) 및 제 4 커버부(124)가 상기 미드솔(200)의 외측면(21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데코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데코부재(300)가 제 2 데코홀(305)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토캡부(250)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데코홀(305)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원형이 아닌 방향성을 갖는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데코홀(305)이 타원형상, 직사각형 형상, 마름모 또는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데코(310)와, 상기 데코(3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데코베이스(320)와, 상기 데코베이스(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데코컬럼(330)과, 상기 데코컬럼(33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블럭(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블럭(340)이 삼각형 또는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코(310)는 잎이 3개인 꽃잎 형상이고, 각각이 12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데코베이스(320)는 상기 제 2 데코홀(305)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코베이스(320)는 상기 제 2 데코홀(305)의 외접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데코베이스(320)가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면(253)에 밀착된다.
상기 데코컬럼(330)이 상기 제 2 데코홀(305)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형상블럭(340)이 상기 토캡부(25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형상블럭(340)이 상기 제 2 데코홀(305)을 관통한 후 회전되어 상기 토캡부(250)의 내측면(252)과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데코홀(305) 및 형상블럭(320)이 방향성을 갖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데코홀(305) 및 형상블럭(320)이 정확하게 일치한 후 상기 데코부재(30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야만 상기 데코부재(300)가 토캡부(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데코홀(305) 및 형상블럭(320)의 형상을 통해 상기 데코부재(300)가 상기 토캡부(250)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코부재 및 슬리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데코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끼움부재의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코부재(30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데코홀(255)을 통해 토캡부(250)에 조립된 후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데코(310)와, 상기 데코(3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데코베이스(320)와, 상기 데코베이스(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데코컬럼(330)과, 상기 데코컬럼(33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블럭(345)과, 상기 데코컬럼(330)에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조립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코(310), 데코베이스(320), 데코컬럼(330) 및 형상블럭(345)을 데코어셈블리라고 정의한다.
상기 끼움부재(350)를 상기 데코컬럼(330)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형상블럭(345) 및 데코컬럼(330)이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데코컬럼(330) 및 데코베이스(32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데코베이스(320) 및 데코(31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데코베이스(320)가 상기 데코(310)에 접착 또는 용접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데코베이스(320)의 저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베이스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홀(321)의 내주면에 베이스나사산(322)이 형성된다.
상기 데코컬럼(330)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데코컬럼(330)의 외주면에 컬럼나사산(3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나사산(332)이 상기 데코컬럼(330)의 상단 일부에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컬럼나사산(332) 및 베이스나사산(322)을 통해 상기 데코베이스(320) 및 데코컬럼(330)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코홀(255)은 상기 형상블럭(345)이 삽입되는 메인데코홀(301)과, 상기 메인데코홀(301)과 연통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데코슬릿(302)과, 상기 데코슬릿(302)의 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데코홀(30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서브데코홀(303)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데코홀(301)의 직경을 제 1 직경(D1)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형상블럭(345)의 직경이 상기 제 1 직경(D1)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데코홀(303)의 직경이 상기 제 1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데코컬럼(33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컬럼(330) 및 형상블럭(340)이 상기 메인데코홀(301)을 관통한 후 상기 데코슬릿(30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서브데코홀(30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데코홀(303)이 상기 데코컬럼(330)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350)는, 상기 데코컬럼(330)이 관통되는 끼움홀(351a)이 형성된 끼움고정부(351)와, 상기 끼움고정부(35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끼움연장부(352)와, 상기 끼움연장부(352)의 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바디(353)와, 상기 끼움바디(35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끼움관통부(354)와, 상기 끼움관통부(354)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토캡부(250)의 저면과 상하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끼움걸림부(355)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부재(350)는 상기 토캡부(25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온도변화로 인해 상기 토캡부(250)와 이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부(351)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끼움홀(351a)이 형성된다. 데코컬럼(330)이 상기 끼움홀(351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끼움고정부(351)가 상기 데코컬럼(330)의 외주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데코컬럼(33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부(351)가 상기 서브데코홀(30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끼움연장부(352)는 상기 데코슬릿(302)에 삽입되어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끼움연장부(352)의 일단에 상기 끼움고정부(351)가 배치되고, 타단에 상기 끼움바디(353)가 배치된다.
상기 끼움고정부(351), 끼움연장부(352) 및 끼움바디(3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바디(353)가 원기둥 또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직경(D1)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바디(353)가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삽입되어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끼움바디(353)에서 상측으로 융기되어 배치되고,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면(253)에 밀착되는 끼움돔(35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돔(356)이 상기 끼움바디(353)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끼움부재(350)를 분리할 때, 사용자가 상기 끼움돔(356)을 잡아서 메인데코홀(301)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끼움돔(356)이 없을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끼움바디(353)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토캡부(250) 내부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끼움부재(350)의 설치위치를 수정해야 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돔(356)의 하측면이 상기 토캡부(250)의 상측면(253)에 밀착되고, 하측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돔(356)이 상기 제 1 직경(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관통부(354)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제 3 직경(D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직경(D3)은 상기 메인데코홀(301)의 제 1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끼움관통부(354)가 메인데코홀(301)에 관통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슬리퍼를 착용한 상태에서 걸을 때, 상기 토캡부(250)가 탄성변형될 수 있고, 상기 끼움관통부(354) 및 메인데코홀(301)의 이격을 통해 탄성변형을 보상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끼움바디(353)가 상기 메인데코홀(301)에서 빠지더라도 상기 끼움관통부(354)가 상기 메인데코홀(301)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끼움걸림부(355)가 상기 끼움관통부(354)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끼움걸림부(355)가 원판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2 직경(D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직경(D2)이 상기 제 1 직경(D1) 보다 10% 내지 20% 크게 형성된다.
상기 끼움걸림부(355)가 탄성을 갖는 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직경(D1)다 크게 형성되더라도 압축한 후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메인데코홀(301)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끼움걸림부(355)가 상기 토캡부(250)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고, 상측 방향 이동에 대해 상기 토캡부(25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끼움걸림부(355)가 끼움돔부(356)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끼움바디(353)가 상기 메인데코홀(301)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는 상기 데코어셈블리를 메인데코홀(301)을 통해 설치한 후, 서브데코홀(303)로 이동시켜 고정하고, 상기 데코슬릿(302) 및 메인데코홀(301)에 상기 끼움부재(35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슬리퍼를 신고 걷더라도 의도치 않게 상기 데코어셈블리가 메인데코홀(301)을 통해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메인데코홀(301)을 상기 제 2 실시예의 제 2 데코홀(305)과 같이 방향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데코바디, 끼움관통부(354) 및 끼움걸림부(355)를 상기 제 2 데코홀(30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경하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데코부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끼움부재(350)는, 상기 데코컬럼(330)이 관통되는 끼움홀(351a)이 형성된 끼움고정부(351)와, 상기 끼움고정부(35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끼움연장부(352)와, 상기 끼움연장부(352)의 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바디(353)와, 상기 끼움바디(35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끼움관통부(354)와, 상기 끼움관통부(354)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토캡부(250)의 저면과 상하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끼움걸림부(355)와, 상기 끼움바디(353), 끼움관통부(354) 및 끼움걸림부(355)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홀(357)과, 상기 고정홀(357)을 관통하게 설치되고, 상기 끼움바디(353), 끼움관통부(354) 및 끼움걸림부(355)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팽창부재(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재(360)는, 상기 끼움바디(353), 끼움관통부(354) 및 끼움걸림부(355)의 고정홀(357)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팽창바디(361)와, 상기 팽창바디(361)와 조립되는 팽창캡(362)을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재(360)는 상기 끼움부재(350) 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부재(360) 중 적어도 상기 팽창바디(361)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바디(361)는 상기 토캡부(25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끼움걸림부(355)에 밀착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팽창헤드(36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팽창바디(361)의 직경이 상기 고정홀(35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57)에 상기 팽창바디(361)가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될 경우, 상기 끼움바디(353), 끼움관통부(354) 및 끼움걸림부(355)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확장 또는 팽창된 끼움바디(353), 끼움관통부(354) 및 끼움걸림부(355)를 통해 상기 메인데코홀(301)과의 억지끼움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끼움바디(353)의 상단에 바디나사산(361a)이 형성되고, 상기 팽창캡(362)에 상기 바디나사산(361a)과 나사결합되는 캡나사산(362a)이 형성된다.
상기 팽창캡(362)의 직경이 상기 제 1 직경(D1) 보다 크게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직경의 1.5배 내지 2배로 형성된다.
상기 팽창캡(362)이 팽창바디(361)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되고, 상기 팽창캡(362)이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면(253)에 밀착되며, 상기 토캡부(250)를 가압하며 고정될 수 있다.
조립 시 상기 팽창캡(362)의 저면이 상기 메인데코홀(301)을 덮어 밀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데코부재(300)의 조립 신뢰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아웃솔 110 : 아웃바디부
120 : 커버부 200 : 미드솔
210 : 미드바디 220 : 커버홈
230 : 삽입부 250 : 토캡부
300 : 데코부재 310 : 데코
320 : 데코베이스 330 : 데코컬럼
340 : 형상블럭 350 : 끼움부재
351 : 끼움고정부 352 : 끼움연장부
353 : 끼움바디 354 : 끼움관통부
355 : 끼움걸림부 356 : 끼움돔
360 : 팽창부재 361 : 팽창바디
362 : 팽창캡

Claims (5)

  1. 바닥과 접촉되는 아웃솔(100);
    상기 아웃솔(100)의 상측에 조립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미드솔(200);
    상기 미드솔(200)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데코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솔(200)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미드바디(210);
    상기 미드바디(2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등 일부를 커버하는 토캡부(250);
    상기 미드바디(210)의 외측면(211)을 따라 안쪽으로 오목한 커버홈(220);을 포함하고,
    상기 토캡부(2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2 데코홀(305)을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데코(310);
    상기 데코(3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데코베이스(320);
    상기 데코베이스(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데코컬럼(330);
    상기 데코컬럼(33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블럭(3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코홀(305)이 타원형상, 직사각형 형상, 마름모 또는 비정형 형상이고, 상기 형상블럭(340)이 상기 제 2 데코홀(305)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토캡부(25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1 데코홀(255)을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재(300)는,
    상기 토캡부(25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데코(310);
    상기 데코(3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데코베이스(320);
    상기 데코베이스(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데코컬럼(330);
    상기 데코컬럼(33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블럭(345);
    상기 데코컬럼(330)에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조립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부재(350);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350)는,
    상기 데코컬럼(330)이 관통되는 끼움홀(351a)이 형성된 끼움고정부(351);
    상기 끼움고정부(351)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끼움연장부(352);
    상기 끼움연장부(352)의 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폐쇄시키는 끼움바디(353);
    상기 끼움바디(35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데코홀(255)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끼움관통부(354);
    상기 끼움관통부(354)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토캡부(250)의 저면과 상하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끼움걸림부(355);를 포함하는 슬리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59236A 2023-05-08 2023-05-08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KR10256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236A KR102562813B1 (ko) 2023-05-08 2023-05-08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236A KR102562813B1 (ko) 2023-05-08 2023-05-08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813B1 true KR102562813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236A KR102562813B1 (ko) 2023-05-08 2023-05-08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81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58Y1 (ko) 2004-12-17 2005-03-14 주식회사 남광정밀 신발끈 장식구
KR200440030Y1 (ko) * 2007-04-23 2008-05-20 김광필 신발
KR101037290B1 (ko) 2010-09-03 2011-05-27 (주)슈추어 신발용 장식구
US20120222331A1 (en) * 2006-10-31 2012-09-06 Blunden Douglas P Charm attachable to an object
KR101648834B1 (ko) 2015-04-08 2016-08-17 주식회사 세마글로벌 장식품의 탈 부착이 가능한 신발
KR200486991Y1 (ko) 2017-12-07 2018-07-24 김지혜 신발용 장식구
KR102484342B1 (ko) * 2022-11-04 2023-01-04 주식회사 바크 슬리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058Y1 (ko) 2004-12-17 2005-03-14 주식회사 남광정밀 신발끈 장식구
US20120222331A1 (en) * 2006-10-31 2012-09-06 Blunden Douglas P Charm attachable to an object
KR200440030Y1 (ko) * 2007-04-23 2008-05-20 김광필 신발
KR101037290B1 (ko) 2010-09-03 2011-05-27 (주)슈추어 신발용 장식구
KR101648834B1 (ko) 2015-04-08 2016-08-17 주식회사 세마글로벌 장식품의 탈 부착이 가능한 신발
KR200486991Y1 (ko) 2017-12-07 2018-07-24 김지혜 신발용 장식구
KR102484342B1 (ko) * 2022-11-04 2023-01-04 주식회사 바크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712B1 (en) Replaceable shoe sole
US6931766B2 (en) Footwear with a separable foot-receiving portion and sole structure
US1000429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rotective member for a control device
US8516719B2 (en) Article of footwear construction with binding portions
US8322052B2 (en) Modular shoe system
EP2792263A1 (en) Footwear
JP2006334400A (ja) 履き物の靴底
JP2010523174A (ja) 交換可能な構成の靴システム
US20130255106A1 (en) Assembled footwear
US11160326B2 (en) Component shoe
US20130160325A1 (en) Diy shoe
US11064759B2 (en) Shoe constructions
US7234248B2 (en) Footwear
KR102562813B1 (ko) 탈부착 가능한 데코부재을 포함하는 슬리퍼
KR200440030Y1 (ko) 신발
KR200390374Y1 (ko) 갑피가 착탈되는 신발
KR200437192Y1 (ko)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디자인의 하이힐
US6338205B2 (en) Footwear with molded web platform for attaching outsole
KR20110136507A (ko) 조립식 구두
WO2005077218A1 (en) Shoe with removable insole
KR100509657B1 (ko) 조립식 신발
KR200469584Y1 (ko) 신발용 밑창
KR200447942Y1 (ko) 신발 악세사리 및 그 악세사리가 구비된 신발
USD1022427S1 (en) Footwear upper and midsole
USD1024520S1 (en) Footwear upper and mid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