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354B1 -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354B1
KR102405354B1 KR1020210014154A KR20210014154A KR102405354B1 KR 102405354 B1 KR102405354 B1 KR 102405354B1 KR 1020210014154 A KR1020210014154 A KR 1020210014154A KR 20210014154 A KR20210014154 A KR 20210014154A KR 102405354 B1 KR102405354 B1 KR 10240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upply
cup
unit
supp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1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튜브가 연결되는 노즐블록이 하측에 위치하는 컵을 향하여 상기 음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음료공급부를 가지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로서, 상기 노즐블록의 부근에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용기이송부; 상기 용기이송부에 의해 상기 노즐블록의 하측과 대기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용기; 상기 공급튜브에 공급되기 위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셔; 및 상기 콤프레셔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튜브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공급튜브 내의 음료를 상기 노즐블록을 통해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클리닝용기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공급라인;을 포함하도록 한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다양한 탄산음료나 쥬스 등의 제조와 공급을 위한 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클리닝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인 음료 제공을 가능하도록 하고, 소비자가 음료를 안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음료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ing device of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beverage supply unit installed to supply the beverage toward a cup located below a nozzle block to which a supply tube that provides a path for supplying a beverage is connected, the nozzle block A container transfer unit installed to provide a horizontal transfer force in the vicinity; a cleaning container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and the standby position by the container transfer unit; a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to be supplied to the supply tube; and an air supply lin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in the supply tube to the cleaning container located at the lower side through the nozzle block by injecting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into the supply tub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gienic beverage by performing effective cleaning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coffee, various carbonated drinks or juices, etc.,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beverages so that consumers can safely enjoy beverage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Description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Cleaning apparatus for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다양한 탄산음료나 쥬스 등의 제조와 공급을 위한 장치에 대한 클리닝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인 음료 제공을 가능하도록 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for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 hygienic beverage by performing cleaning of an apparatus for production and supply of coffee, various carbonated drinks or juices, etc. of the cleaning device.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쥬스, 커피 등과 같은 각종 음료를 제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manufacture various beverages such as carbonated beverages, juice, coffee, and the like, and provide them to consumers, cleaning devices for various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는 기존의 음료를 수작업에 의해 직접 제조하기 위한 공간에 비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적고, 운영에 필요한 인원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그 효용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요구되는 비대면 서비스와도 부합되는 점에서,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The cleaning device of such a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occupies less space compared to a space for directly manufacturing a beverage by han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ople and costs required for operation, and thus its effectivenes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recently In terms of meeting the non-face-to-face service required due to COVID-19, th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종래의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와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954255호의 "주스 제조장치 및 제공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기체와; 기체의 상부 중앙으로 배치되는 이송로봇과; 컵을 공급하는 컵공급기와; 냉장 상태로 투입되는 과일을 분쇄 및 착즙하여 주스로 제조하여 컵공급기에서 공급된 컵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주스제조기와; 캔이나 유리용기, 머그컵을 공급하는 용기공급부와; 캔에 뚜껑을 닫는 캔머신 및 유리용기에 뚜껑을 닫는 유리용기머신과; 주스제조기에서 제조된 주스가 담긴 컵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기체의 전방이나 측면 또는 별도로 설치된 단말기로 구성하되; 상기 컵공급기와 주스제조기와 용기공급부와 캔머신와 유리용기머신 및 배출부는 이송로봇의 작동반경에 위치하도록 배치 구성한 것이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clean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Juice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54255 has been proposed, which includes a gas; a transfer robot dispos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aircraft; a cup feeder for supplying a cup; a juice maker configured to pulverize and juice the inputted fruit in a refrigerated state to produce juice,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cup supplied from the cup feeder; a container supply unit for supplying cans, glass containers, and mugs; A can machine for closing a lid on a can and a glass container machine for closing a lid on a glass container; It consists of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 cup containing juice manufactured by the juice maker and a terminal installed in front or on the side or separately of the gas; The cup feeder, the juice maker, the container feeder, the can machine, the glass container machine, and the discharge part are arranged so as to be located within the operating radius of the transport robo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위생적인 사용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어서, 소비자에게 안전한 음료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no consideration for sanitary use, and has a limit in providing a safe beverage to consumer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다양한 탄산음료나 쥬스 등의 제조와 공급을 위한 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클리닝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인 음료 제공을 가능하도록 하고, 소비자가 음료를 안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음료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hygienic beverage by performing effective cleaning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coffee, various carbonated drinks or juices, etc., and enables consumers to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beverage quality so that you can enjoy the beverage with confid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튜브가 연결되는 노즐블록이 하측에 위치하는 컵을 향하여 상기 음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음료공급부를 가지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로서, 상기 노즐블록의 부근에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용기이송부; 상기 용기이송부에 의해 상기 노즐블록의 하측과 대기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용기; 상기 공급튜브에 공급되기 위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셔; 및 상기 콤프레셔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튜브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공급튜브 내의 음료를 상기 노즐블록을 통해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클리닝용기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zzle block to which the supply tube that provides a path for supplying the beverage is connected is installed to supply the beverage toward the cup located at the lower side. A cleaning apparatus for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supply unit, comprising: a container conveying unit installed to provide a horizontal conveying force in the vicinity of the nozzle block; a cleaning container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and the standby position by the container transfer unit; a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to be supplied to the supply tube; and an air supply lin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in the supply tube to the cleaning container located at the lower side through the nozzle block by injecting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into the supply tube. A cleaning device is provided.

상기 클리닝용기는,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아, 내측으로 하강하는 커피제조기의 스팀파이프 또는 상기 음료공급부의 믹서에 대한 수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연결되는 급수튜브; 상기 급수튜브에 세정수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급수밸브; 세정을 마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튜브; 및 상기 드레인튜브에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container may include: a water supply tube connected to a steam pipe of a coffee maker that receives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descends to the inside or a mixer of the beverage supply unit to be washed with water; a water supply valv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wash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tube; a drain tu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fter washing to the outside; and a drain valve installed in the drain tub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본체 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를 수집하도록 하는 집수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y in the body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tube.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상기 공급튜브에서 음료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공급밸브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밸브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다.The ai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a supply valve tha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beverages in the supply tube, and it is possible to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supply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valve is blocked.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다수로 분기되어, 음료 각각을 공급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급튜브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공급튜브에 압축공기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The air supply line, branched into a plurality, by being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ly tube consisting of a plurality to supply each beverage, it is possible to supply compressed air to a plurality of the supply tub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에 의하면, 커피, 다양한 탄산음료나 쥬스 등의 제조와 공급을 위한 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클리닝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인 음료 제공을 가능하도록 하고, 소비자가 음료를 안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음료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 cleaning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coffee, various carbonated beverages or juices, etc. is performed, thereby enabling the provision of hygienic beverages and providing consumers with peace of mind for beverage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beverage quality so that you can enjoy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의 컵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의 커피제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의 커피제조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D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의 음료대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1A.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p supply unit of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B of FIG. 1 .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C of FIG. 1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everage supply unit of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ffee maker of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ffee maker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direction.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1D.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waiting unit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leaning apparatus of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10)가 구비된 음료 제조 장치(10)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이는 본체(100), 컵공급부(200), 셔틀(300), 음료공급부(400; 도 7 참조), 제빙기(520), 커피제조기(600) 및 음료인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컵공급부(120), 셔틀(300) 및 음료공급부(400; 도 7 참조) 등은 본체(100)에서 양측에 각각 대칭적으로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각각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 to 3, first,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 equipped with the cleaning apparatus 10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ich is the main body 100, the cup supply unit ( 200 ), a shuttle 300 , a beverage supply unit 400 (see FIG. 7 ), an ice maker 520 , a coffee maker 600 , and a beverage dispenser 700 . Here, the cup supply unit 120 , the shuttle 300 and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see FIG. 7 ) may be installed to form a pair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configured to operate respectively.

본체(100)는 음료 제조용 원액을 공급하는 원액용기(5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다양한 음료, 예컨대, 탄산음료, 쥬스 등의 제조에 필요한 원액이 각각 저장된 다수의 원액용기(510)가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undiluted solution container 510 for supplying the undiluted solution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to be detachably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undiluted solution containers 510 each containing the undiluted solution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various beverages, for example, carbonated drinks, juices, etc. are inside.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removably arranged on the.

본체(100)는 예컨대 동작의 선택에 필요한 조작부로서 키오스크(120)가 노출되도록 마련되는데, 키오스크(120)를 통해서, 제조 가능한 다수의 음료 중에서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여 주문하도록 하고, 선택된 음료에 해당하는 금액의 결제, 예컨대 카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결제는 매장별 부여되는 포인트 등을 사용한 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어부(130), 예컨대 PC는 키오스크(120)를 통해 주문된 음료의 제조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각 구성들이 수행되는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is provided to expose the kiosk 120 as a manipulation unit necessary for selection of an operation. Through the kiosk 120, a desired beverage is selected and ordered from among a plurality of beverages that can be manufactured, and the selected beverage corresponds to the selected beverage. It is possible to perform payment of an amount, for example, card payment. Here, the card payment may include payment using points, etc. given to each stor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PC to perform the control for the manufacture of the beverage ordered through the kiosk 12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trol for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컵공급부(200)는 본체(100)에서 컵(1,2)이 다수로 적층되는 컵적층체 중에서 최하단의 컵(1)을 하나씩 하방으로 공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지지플레이트(240), 컵공급구동부(210), 이격가이드(220) 및 걸림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o 5 , the cup supply unit 200 supplies the lowermost cups 1 one by one downward among the cup laminates in which a plurality of cups 1 and 2 are stacked in the body 100 . However,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s in this embodiment, i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240 , a cup supply driver 210 , a spacing guide 220 and a locking support 230 .

지지플레이트(240)는 컵적층체가 하방으로 통과하도록 지지홀(241)이 형성될 수 있고, 컵적층체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 1 컵(1)이 지지홀(241)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즉, 지지플레이트(240)는 후술하게 될 이격가이드(220)에 의해 제 1 컵(1)이 하방으로 낙하시 제 1 컵(1)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그 하측에 위치하는 셔틀(300)의 홀더(350) 내에 정확하게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40 may have a support hole 241 formed so that the stacked cup body passes downward, and the first cup 1 located at the lowest end of the stacked cup body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support hole 241 . to limi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240 is suppor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first cup 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limited when the first cup 1 is dropped downward by the spacing guide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plate 24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reof. It can be accurately dropped into the holder 350 of the shuttle 300 located in the .

컵공급구동부(210)는 컵적층체의 부근에서 수평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고, 수평이송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볼스크루 및 리드스크루, 또는 래크와 피니언 등과 같은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부재를 사용하거나, 리니어모터를 사용하거나, 작동유체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The cup supply driver 210 is installed to provide a horizontal transport force in the vicinity of the cup stack, and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tion such as a ball screw and a lead screw, or a rack and pinion, in order to provide the horizontal transport force. A member may be used, a linear motor may be used, or a cylinder operated by a working fluid may be used, and a pneumatic cylinder may be used as in this embodiment.

이격가이드(220)는 컵공급구동부(210)에 의해 수평 왕복 이동하도록 수평되게 설치되고, 컵공급구동부(210)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컵적층체가 일측으로 개방되는 수용홈(225) 내에 수용시, 제 1 컵(1; 도 4 참조)의 바로 위에 끼워진 제 2 컵(2; 도 4 참조)의 컬링부(2a; 도 4 참조)를 상부컵지지홈(221)에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부컵지지홈(221)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컵분리부(222)에 의해 제 1 컵(1)의 컬링부(1a; 도 4 참조)를 하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제 1 컵(1)이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한다. 하부컵분리부(222)는 제 2 컵(2)의 컬링부(2a)가 상부컵지지홈(221)에 끼워져서 지지된 상태에서 이격가이드(220)의 계속적인 수평이동시, 제 1 컵(1)의 컬링부(1a)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1 컵(1)이 제 2 컵(2)으로부터 빠져나와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컵(1)은 지지홀(241)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컵적층체가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하부컵분리부(222)는 제 1 및 제 2 컵(1,2)의 컬링부(1a,2a) 사이에 쉽게 끼워지면서 컬링부(1a,2a)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전단 하측에 끝단으로 갈수록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삽입가이드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spacing guide 220 is horizontally installed to reciprocate horizontally by the cup supply driving unit 210, and horizontally moved by the cup supply driving unit 210 to accommodate the cup stacked body in a receiving groove 225 that is opened to one side. While supporting the curling part 2a (refer to FIG. 4) of the second cup 2 (refer to FIG. 4) fitted directly over the first cup 1 (refer to FIG. 4) in the upper cup support groove 221, the upper cup is supported By pushing the curling part 1a (refer to FIG. 4 ) of the first cup 1 downward by the lower cup separating part 222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221 , the first cup 1 falls downward. guide you to do The lower cup separating part 222 is a first cup ( By pressing the curling portion 1a of 1) downward, the first cup 1 comes out of the second cup 2 and falls downward.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up 1 is positioned in the support hole 241 , the movement of the cup stacked bod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uppressed. In addition, the lower cup separating part 222 is easily fitted between the curling parts 1a and 2a of the first and second cups 1 and 2 and is sheared to gradually increase the interval between the curling parts 1a and 2a. An insertion guide portion 223 that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e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걸림지지부(230)는 수용홈(225)의 개방측 양단에 수평되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컵공급구동부(210)에 의해 이격가이드(220)가 수평으로 복귀하여 컵적층체로부터 이탈시, 상부컵지지홈(221)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컵(2)의 컬링부(2a)를 제 1 컵(1)의 컬링부(1a)가 위치했던 높이까지 낙하하도록 전달받아 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 2 컵(2)이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컵공급구동부(210)에 의한 이격가이드(220)가 컵적층체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 2 컵(2)이 후속적으로 하방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locking support part 230 may be provided to extend horizontally on both ends of the open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25, and when the separation guide 220 returns to the horizontal level by the cup supply driver 210 and departs from the cup stack, The curling part 2a of the second cup 2 supported by the upper cup support groove 221 can be transmitted and supported so as to fall to the height at which the curling part 1a of the first cup 1 was located, For this reas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up 2 is support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the spacing guide 220 by the cup supply driver 210 moves toward the cup stacked body, thereby repeat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up 2 can subsequently be fed downwards.

걸림지지부(230)는 예컨대 제 2 컵(2) 등의 컬링부(2a)에 대한 걸림 지지를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측에 수평으로 절곡지게 또는 단턱지게 걸림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지지부(230)는 컵(1,2)의 규격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위치가변홀(231)을 통해서 이격가이드(220)에 형성되는 고정홀(224)에 볼트 체결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가변홀(231) 내에서 볼트 체결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이격가이드(220)로부터 인출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cking support 230 may be bent horizontally or stepped locking part 232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to support the hooking of the curling part 2a, such as the second cup 2, for example. In addition, the locking support 230 has a fixing hole 224 formed in the spacing guide 220 through a position variable hole 23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ups 1 and 2 . It can be fixed to the bolt fastening, by changing the bolt fastening position in this position variable hole 231 can be made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drawn out from the spacing guide (220).

도 1, 도 3,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셔틀(300)은 컵공급부(200)에 의해 공급되는 컵(1)을 그립핑하여 음료 공급 위치와 음료 인출 위치로 각각 이송시키도록 한다. 1, 3, 6 and 11 , the shuttle 300 grips the cup 1 supplied by the cup supply unit 200 and transfers it to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and beverage withdrawal position, respectively. .

셔틀(300)은 예컨대, 컵(1)의 수평 이동 경로에 나란하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가이드(310)와, 수평가이드(310)에 가이드되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송부재(320)와, 수평이송부재(320)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홀더수평이송부(330)와, 홀더수평이송부(330)에 승강을 위해 마련되는 홀더승강부(340)와, 홀더승강부(340)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컵(1)이 상측에서 하방으로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끼움부(352)가 형성되며, 끼움부(352)에 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개방부(351)가 형성될 수 있고, 컵(1)을 하측에 위치하는 음료인출부(700)의 스테이지(720)로 전달하기 위하여 하강시, 끼움부(352)에 스테이지(720)가 통과하면서 개방부(351)에 스테이지(720)의 목부(721)가 통과하도록 하는 홀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uttle 300 includes, for example, a horizontal guide 310 installed horizontally so as to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movement path of the cup 1, and a horizontal transfer member 320 guided by the horizontal guide 310 to be horizontally movable. , a holder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for reciprocating the horizontal transfer member 3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holder elevating unit 340 provided for elevating the holder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and a holder elevating unit 340 is installed to ascend and descend by the, the fitting portion 352 is formed so that the cup 1 is fitted and supported from the top side down, and the opening portion 351 can be formed to open laterally to the fitting portion 352, and , When descending to deliver the cup (1) to the stage 720 of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stage 720 passes through the fitting portion 352 while the stage 720 passes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51. ) may include a holder 350 to allow the neck 721 to pass.

수평가이드(310)는 본체(100)에 마련되는 고정부(311)에 의해 양단이 고정되어 수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수평이송부(330) 및 홀더승강부(340)는 홀더(350)의 수평 이송 및 승강을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볼스크루 및 리드스크루, 또는 래크와 피니언 등과 같은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부재를 사용하거나, 리니어모터를 사용하거나, 작동유체에 의해 동작하는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홀더수평이송부(33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수평가이드(310)에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수평이송부재(320)에 볼스크루 등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리드스크루(331)와, 리드스크루(331)를 회전시키는 셔틀모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셔틀모터(332)는 기어어셈블리, 또는 풀리와 벨트 또는 기어박스 등을 통해서 리드스크루(331)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회전량 제어를 위하여, 스텝모터나 서보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승강부(34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rizontal guide 310 may be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fixed by the fixing part 311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horizontal. In addition, the holder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and the holder elevating unit 340 are members that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linear motion such as a ball screw and a lead screw, or a rack and pinion, for horizontal transfer and elevating of the holder 350 . , a linear motor, or a cylinder operated by a working fluid can be used. The holder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guide 310 as in this embodiment, and the horizontal transfer member 320 ) may include a lead screw 331 screwed by a ball screw or the like, and a shuttle motor 332 for rotating the lead screw 331 . The shuttle motor 332 may rotate the lead screw 331 through a gear assembly, a pulley, a belt, or a gear box.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rotation, a step motor or a servo motor may be used. In addition, the holder lifting unit 340 may be made of a pneumatic cylinder as in this embodiment.

도 1, 도 3, 도 7, 도 8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음료공급부(400)는 셔틀(300)에 의해 음료 공급 위치에 도달한 컵(1)에 원액, 탄산수, 커피를 각각 제공받아 펌핑하여 공급한다.1, 3, 7, 8 and 14,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is provided with a raw solution, carbonated water, and coffee to the cup 1 that has reached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by the shuttle 300, respectively. pumped and supplied.

음료공급부(40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튜브(411)가 연결되는 노즐블록(410)이 하측에 위치하는 컵(1)을 향하여 음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공급튜브(411)는 다양한 음료 각각을 공급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이 노즐블록(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블록(410)은 공급튜브(411) 각각에 대응하는 토출구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Beverage supply unit 400, for example, as in this embodiment, the nozzle block 410 to which the supply tube 411 providing a path for supplying the beverage is connected is installed to supply the beverage toward the cup 1 located at the lower side. However, such a supply tube 411 may be made in plurality to supply each of the various beverages, each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block (410). In this case, the nozzle block 41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upply tubes 411 .

공급튜브(411)에는 음료의 펌핑을 위한 펌프(420)가 설치될 수 있고, 음료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공급밸브(412)가 설치됨으로써, 공급밸브(412)의 개방에 의해 음료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공급튜브(411)에는 공급되는 음료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43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유량계(430)로부터 출력되는 유량 감지신호를 제어부(130)가 수신받아 정해진 양만큼의 음료가 공급되도록 펌프(420) 및 공급밸브(412)를 제어하게 된다.A pump 420 for pumping the beverage may be installed in the supply tube 411, and the supply valve 412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the beverage, thereby supplying the beverage by opening the supply valve 412.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a flow meter 430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beverage may be installed in the supply tube 411,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flow rat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flow meter 430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to control the pump 420 and the supply valve 412 to be supplied.

음료공급부(400)는 컵(1)에 대한 음료를 혼합시키기 위한 믹서(440)가 믹서승강부(450)에 의해 음료 공급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믹서(440)는 예컨대 블레이드 등이 믹서모터(44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믹서승강부(450)는 일례로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mixer 440 for mixing the beverage for the cup 1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by the mixer lifting unit 450 . The mixer 4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or example, blades are rotated by the mixer motor 441 . Here, the mixer lifting unit 450 may be, for example, a pneumatic cylind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빙기(520)는 음료 공급 위치에 도달한 컵(1)에 공급하기 위한 얼음을 제조한다. 제빙기(520)는 얼음을 필요로 하는 탄산수, 쥬스, 커피 등에 얼음을 공급하도록 하는데, 본체(100) 내에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되, 제조된 얼음을 공급라인을 통해서 얼음배출부(521) 측으로 공급하여 음료 공급 위치에 도달한 컵(1)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얼음배출부(521)는 모터나 실린더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100)에서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음료 공급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되게 되고, 이로 인해 한 쌍의 음료 공급 위치 각각에 위치하는 컵(1)에 대한 얼음 공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1 to 3 , the ice maker 520 manufactures ice to be supplied to the cup 1 that has reached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The ice maker 520 supplies ice to carbonated water, juice, coffee, etc. that require ice. It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in the body 100, and the manufactured ice is supplied to the ice discharge unit 521 through a supply line. It can be supplied to the cup (1) that has reached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ice discharging unit 521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motor or a cylinder to reciprocate between beverage supply position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causing each of the pair of beverage supply positions. It may be possible to supply ice to the cup (1) located in the .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산수제조기(530)는 음료공급부(400)에 제공하기 위한 탄산수를 제조하도록 한다. 탄산수제조기(520)는 음료 제조용 원액에 탄산을 제공함으로써, 탄산 음료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한다. 1 and 3 , the carbonated water maker 530 prepares carbonated water to be provided to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 The carbonated water maker 520 provides carbonic acid to the undiluted solution for beverage production, thereby enabling the production of carbonated beverages.

도 1 내지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커피제조기(600)는 음료공급부(400)에 제공하기 위한 커피를 제조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그라인더(610), 그라인더이송부(620), 포터필터(630), 필터회전구동부(631), 필터승강부(640), 이송블록(650), 필터수평이송부(660), 추출기(670), 보일러(680) 및 스팀파이프(69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9 and 10, the coffee maker 600 makes coffee to be provided to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for example, a grinder 610, a grinder transfer unit 620, Portafilter 630, filter rotation driving unit 631, filter lifting unit 640, transfer block 650, filter horizontal transfer unit 660, extractor 670, boiler 680 and steam pipe 690. may include

그라인더(610)는 원두를 분쇄하도록 마련되는데, 예컨대, 원두용기(611)에 저장된 원두를 인출하여 그라인더모터(61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이용하는 분쇄모듈(612)에 의해 분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인더모터(613)는 일례로 감속기(614)를 통해서 분쇄모듈(61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분쇄모듈(612)은 일종의 커터를 구비함으로써, 원두를 분쇄시킬 수 있다.The grinder 610 is provided to grind coffee beans, for example, it may take out the beans stored in the bean container 611 and grind it by the grinding module 612 using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grinder motor 613 . Here, the grinder motor 613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nding module 612 through, for example, a reduction gear 614 . The grinding module 612 may grind coffee beans by providing a kind of cutter.

그라인더이송부(620)는 그라인더(610)를 수평 왕복 이송시키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공압실린더나 리니어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그라인더(610)가 설치되는 이송부재(624)와, 이송부재(6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되게 설치되는 가이드축(621)과, 가이드축(621)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송부재(624)에 볼스크루 등을 매개로 나사 결합되는 리드스크루(622)와, 리드스크루(622)를 회전시키는 필터이송모터(6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이송모터(623)는 회전량의 제어를 위하여 스텝모터나 서보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감속기 등을 이용하여 리드스크루(62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grinder transfer unit 620 is to horizontally reciprocate the grinder 610,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pneumatic cylinder or a linear motor may be used. 624), a guide shaft 621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transfer member 624 and installed horizontally, and a guide shaft 621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guide shaft 621 and screwed to the transfer member 624 via a ball screw or the like. It may include a lead screw 622 that is used, and a filter transfer motor 623 that rotates the lead screw 622 . Here, as the filter transfer motor 623 , a step motor or a servo motor may be used to control the amount of rotation, and a rotational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lead screw 622 using a reducer or the like.

포터필터(630)는 에스프레소의 배출을 위하여, 다공구조를 가지는데, 그라인더(6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그라인더(610)로부터 원두분말을 각각 공급받으며, 추출되는 에스프레소를 음료공급부(400)를 통해 컵(1)에 공급하도록 음료공급부(400)의 공급튜브(411)에 연결될 수 있다.The portafilter 630 has a porous structure for discharging espresso,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rinder 610, respectively, and receives coffee bean powder from the grinder 610, and the extracted espresso is supplied by a beverage supply unit ( It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tube 41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to supply the cup 1 through the 400).

필터회전구동부(631)는 포터필터(630) 각각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데, 일례로 모터가 사용되거나,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로터리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회전구동부(631)는 포터필터(630)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포터필터(630)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집용기(632)에 추출을 마친 원두분말이 떨어져서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포터필터(630)로부터 원두분말이 쉽게 떨어지도록 진동을 가하거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lter rotation driving unit 631 is installed to rotate each of the portafilters 630, for example, a motor may be used, or as another example, a rotary cylinder may be used as in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e filter rotation driving unit 631 rotates the portafilter 630 to face downward, so that the coffee bean powder that has been extracted falls into the collection container 632 located below the portafilter 630 and can be collected. . If necessary, vibration may be applied so that the coffee bean powder is easily removed from the portafilter 630, or the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필터승강부(640)는 필터회전구동부(631) 각각을 승강시키도록 하는데, 예컨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거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ilter lifting unit 640 raises and lowers each of the filter rotation driving units 631, for example, using a driving force of a motor, or a pneumatic cylinder may be used as in this embodiment.

이송블록(650)은 필터승강부(640) 각각이 설치됨으로써, 이동시 필터승강부(640)와 함께 이송되도록 한다.Since the transfer block 650 is provided with each of the filter lifting units 640 , it is transported together with the filter lifting unit 640 during movement.

필터수평이송부(660)는 이송블록(650) 각각을 수평 왕복 이송시키도록 하는데, 일례로 실린더를 사용하거나, 본 실시례에서처럼, 이송블록(6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61)과, 가이드레일(661)에 나란하도록 설치되고, 이송블록(650)에 볼스크루 등으로 나사 결합되는 리드스크루(662)와, 리드스크루(662)를 감속기(664)를 매개로 회전시키는 필터이송모터(6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horizontal transfer unit 660 is to horizontally reciprocate each of the transfer blocks 650, for example, using a cylinder, or as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block 650 is slidably coupled and installed horizontally. The guide rail 661 and the lead screw 662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661 and screwed to the transfer block 650 with a ball screw, etc., and the lead screw 662 are interposed with the reducer 664 It may include a filter transfer motor 663 for rotating the .

추출기(670)는 필터수평이송부(660)에 의해 이송되어 필터승강부(640)에 의해 상승하여 밀착되는 포터필터(630)에 헤드(671)가 밀착시 고온수를 제공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도록 한다.The extractor 670 is transported by the filter horizontal transfer unit 660 and rises by the filter lifting unit 640 to provide hot water when the head 6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afilter 630 to extract espresso. do.

보일러(680)는 추출기(670)에 고온수를 제공하도록 설치되는데, 고온수의 제공을 위해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일례로 히터 등에 의해 공급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The boiler 680 is installed to provide hot water to the extractor 670 , and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unit to provide hot water, and for example, the water supplied by a heater may be heated.

스팀파이프(690)는 음료 공급 위치에 파이프승강부(692)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냉장부(550)로부터 음료공급부(400)에 의해 컵(1)에 공급되는 우유에 대한 거품의 제조를 위해 보일러(680)로부터 전달되는 스팀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스팀파이프(690)는 스팀밸브(691)의 개방에 의해 스팀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승강부(692)는 예컨대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The steam pipe 69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pipe elevating unit 692 at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and the foam of the milk supplied to the cup 1 by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from the refrigerating unit 550 . Steam delivered from the boiler 680 may be supplied for manufacturing. The steam pipe 69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steam by opening the steam valve 691 . The pipe lifting unit 692 may be, for example, a pneumatic cylinder.

도 1,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음료인출부(700)는 음료공급부(400)에 의해 음료가 공급된 컵(1)을 셔틀(300)로부터 전달받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인출한다.1, 3 and 11 ,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receives the cup 1 supplied with the beverage by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from the shuttle 300 and withdraws it to be provided to the customer.

음료인출부(700)는 예컨대, 음료 인출 위치에 전후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인출구동부(710)와, 인출구동부(710)에 연결부(72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인출구동부(710)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컵(1)이 안착되도록 안착면을 제공하며, 연결부(722)와의 사이에 목부(721)가 형성되는 스테이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구동부(710)는 예컨대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beverage take-out unit 700 is, for example, connected to the withdrawal driving unit 710, which is installed to provide a forward and backward transport force to the beverage withdrawal position, and the withdrawal driving unit 710 by a connection unit 722, so that by the withdrawal driving unit 710 It may be installed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and may include a stage 720 that provides a seating surface so that the cup 1 is seated, and a neck 721 is formed between it and the connection part 722 . Here, the withdrawal driving unit 710 may be, for example, a pneumatic cylind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a linear motion.

도 1, 도 3,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클리닝 장치가 구집된 음료 제조 장치(10)는 음료인출부(700)로부터 음료가 담긴 컵(1)을 제공받아 대기시킨 후, 음료인출부(700)가 새로운 컵(1)을 음료와 함께 인출하면, 대기시킨 컵(1)을 음료인출부(700)에 제공함으로써 연속해서 음료가 담긴 컵(1)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대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3, 11 and 12 ,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10 having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p 1 containing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withdrawing unit 700 . After receiving and waiting, when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withdraws a new cup 1 together with the beverage, the cup 1 continuously containing the beverage is provided to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by providing the waiting cup 1 to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 It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waiting unit 800 to be withdrawn.

음료대기부(80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음료인출부(700) 부근에 수직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그립퍼승강부(810)와, 그립퍼승강부(810)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휘하는 한 쌍의 그립퍼구동부(820)와, 그립퍼구동부(820) 각각에 의해 서로 이동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사이에 컵(1)을 그립핑하거나 그립핑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음료인출부(700)로부터 컵(1)을 전달받아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대기 위치로부터 컵(1)을 음료인출부(700)에 전달하도록 하는 그립퍼(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립퍼승강부(810)와 그립퍼구동부(820)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립퍼(830)는 각각의 끝단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스테이지(720)의 목부(721)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The beverage waiting unit 800 may be installed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gripper elevating unit 810 and the gripper elevating unit 810, which are installed to provide a vertical transfer force in the vicinity of the beverage withdrawing unit 700, as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nd a pair of gripper driving units 820 that exert driving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 pair of gripper driving units 820 to move with each other, gripping or gripping the cup 1 between them By releasing it, a gripper 830 that receives the cup 1 from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and moves it to the standby position or transfers the cup 1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may be included. can Here, the gripper lifting unit 810 and the gripper driving unit 820 may be formed of a pneumatic cylind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rotational force of a motor may be used. In addition, each end of the gripper 8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neck 721 of the stage 720 .

음료대기부(800)는 스테이지(720) 상의 컵(1)을 그립퍼구동부(820)에 의해 그립퍼(830)가 모이도록 함으로써 그립핑하게 되면, 스페이지(72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립퍼승강부(810)에 의해 하강하여 대기하게 되며, 스테이지(720)가 새로운 컵(1)을 인출하여 고객에게 인출하면, 대기하고 있던 컵(1)을 그리퍼승강부(810)에 의해 상승시킨 다음, 그 하측으로 위치하는 스테이지(720) 상에 위치시키도록 하강한 후, 그립퍼(830)가 그립퍼구동부(820)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여 컵(1)을 스테이지(720)에 전달하면, 음료인출부(700)는 스테이지(720)에 의해 인출하여 연속해서 음료가 수용된 컵(1)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음료대기부(800)는 스테이지(720)로부터 대기위치로 컵(1)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고객이 일정시간 동안 찾아가지 않은 컵(1)을 하측의 수집용기(미도시)에 폐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beverage waiting unit 800 grips the cup 1 on the stage 720 so that the gripper 830 is gathered by the gripper driving unit 820, the spag 7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gripper It descends by the elevating unit 810 and waits, and when the stage 720 withdraws a new cup 1 and withdraws it to the customer, the waiting cup 1 is raised by the gripper elevating unit 810 and then , when the cup 1 is delivered to the stage 720 by moving the gripper 830 to be opened by the gripper driving unit 820 after descending to be positioned on the stage 720 located below it, the beverage dispensing unit 700 can be drawn out by the stage 720 and continuously provide the cup 1 in which the beverage is accommodated to the customer. On the other hand, the beverage waiting unit 800 discards the cup 1 that the customer has not visi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the process of moving the cup 1 from the stage 720 to the standby position in the lower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t may be configured to be so.

도 1, 도 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900)는 용기이송부(910), 클리닝용기(920), 콤프레셔(930) 및 에어공급라인(940)을 포함할 수 있다.1, 3, 13 and 14, the cleaning apparatus 900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transfer unit 910, a cleaning container 920, a compressor 930 and It may include an air supply line 940 .

용기이송부(910)는 노즐블록(410)의 부근에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용기이송부(910)는 일례로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공압실린더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ainer transfer unit 910 is installed to provide a horizontal transfer force in the vicinity of the nozzle block 410 . The container transfer unit 910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nd u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linear motion, for example, or, as another example, may be configured to use a pneumatic cylinder as in this embodiment.

클리닝용기(920)는 용기이송부(910)에 의해 노즐블록(410)의 하측과 대기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클리닝용기(920)는 대기위치에 위치시, 노즐블록(410)의 하측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노즐블록(410)의 하측으로 로딩된 컵(1)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할 수 있다.The cleaning container 92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410 and the standby position by the container transfer unit 910 . Accordingly, when the cleaning container 920 is positioned in the standby position, it is moved away from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410 , thereby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cup 1 loaded o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410 .

클리닝용기(92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아, 내측으로 하강하는 커피제조기(600)의 스팀파이프(690) 또는 음료공급부(400)의 믹서(440)에 대한 수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연결되는 급수튜브(921)와, 급수튜브(921)에 세정수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급수밸브(922)와, 세정을 마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튜브(923)와, 드레인튜브(923)에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드레인밸브(92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용기(920)에 채워진 세정수는 제어부(130)에 의해 일정 회수 또는 일정 시간 사용후, 드레인밸브(924)의 개방에 의해 비워지고, 드레인밸브(924)의 차단 및 급수밸브(922)의 개방에 의해 새로운 세정수를 정해진 용량만큼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세정수는 예컨대 온수제조기(540)로부터 제공되는 온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시수 또는 급수탱크 등으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ing container 920 is, for example, as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mixer 440 of the steam pipe 690 of the coffee maker 600 or the beverage supply unit 400 descending to the inside by receiv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 water supply tube 921 connected to perform washing, a water supply valve 922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wash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tube 921, and a lower part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fter washing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drain tube 923 connected to the , and a drain valve 924 installed in the drain tube 923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ly,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cleaning container 920 is emptied by the opening of the drain valve 924 after a certain number of times or a certain time is used by the controller 130 , and the drain valve 924 is block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922 is closed. ) can be opened so that new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as much as a predetermined amount. The washing water may be, for example, hot water provided from the hot water maker 5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from an externally supplied city water or a water supply tank.

한편, 드레인튜브(923)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는 집수용기(950) 내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집수용기(950)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10)의 본체(100) 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드레인튜브(923)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를 수집하도록 드레인튜브(923)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tube 923 may be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950 .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95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of the cleaning device 10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tube 923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tube 923 . have.

콤프레셔(930)는 공급튜브(411)에 공급되기 위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도록 한다.The compressor 930 generates compressed air to be supplied to the supply tube 411 .

에어공급라인(940)은 콤프레셔(93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공급튜브(411)에 주입함으로써, 공급튜브(411) 내의 음료를 노즐블록(410)을 통해서 하측에 위치하는 클리닝용기(920)로 배출시키도록 한다.The air supply line 940 injects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930 into the supply tube 411, thereby injecting the beverage in the supply tube 411 through the nozzle block 410 into the cleaning container 920 located on the lower side. to be discharged with

에어공급라인(940)은 공급튜브(411)에서 음료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공급밸브(412)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고, 공급밸브(412)가 차단된 상태에서 공급튜브(411)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튜브(411)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급튜브(411)에 잔존하는 음료가 원액용기(510) 등으로 역류되는 방지함으로써, 비위생적인 원인을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The air supply line 94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ly valve 412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beverage in the supply tube 411, and to the supply tube 411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valve 412 is blocked. Compressed air can be injected. Therefore, by preventing the beverage remaining in the supply tube 411 from flowing back into the undiluted solution container 510 by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supply tube 411, it is possible to solve the unsanitary cause.

에어공급라인(940)은 다수로 분기되어, 음료 각각을 공급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지는 공급튜브(411)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공급튜브(411)에 압축공기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튜브(411)를 수시로 클리닝하면서도 공급튜브(411) 각각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제어로 인한 불필요한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line 940 is branched into a plurality and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supply tubes 411 to supply each beverage, thereb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a plurality of supply tubes 411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nnecessary parts due to control of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to each of the supply tubes 411 while frequently cleaning the supply tube 411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커피, 다양한 탄산음료나 쥬스 등의 제조와 공급을 위한 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클리닝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인 음료 제공을 가능하도록 하고, 소비자가 음료를 안심하고 즐길 수 있도록 음료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leaning apparatus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gienic beverage by performing effective cleaning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supplying coffee, various carbonated drinks or juices, etc. I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beverage quality so that you can enjoy it with confiden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ose claims and equivalents.

1,2 : 컵 1a,2a : 컬링부
10 : 전체 100 : 본체
110 : 컵저장부 120 : 키오스크
130 : 제어부 200 : 컵공급부
210 : 컵공급구동부 220 : 이격가이드
221 : 상부컵지지홈 222 : 하부컵분리부
223 : 삽입가이드 224 : 고정홀
225 : 수용홈 230 : 걸림지지부
231 : 위치가변홀 232 : 걸림부
240 : 지지플레이트 241 : 지지홀
300 : 셔틀 310 : 수평가이드
311 : 고정부 320 : 수평이송부재
330 : 홀더수평이송부 331 : 리드스크루
332 : 셔틀모터 340 : 홀더승강부
350 : 홀더 351 : 개방부
352 : 끼움부 400 : 음료공급부
410 : 노즐블록 411 : 공급튜브
412 : 공급밸브 420 : 펌프
430 : 유량계 440 : 믹서
441 : 믹서모터 450 : 믹서승강부
510 : 원액용기 520 : 제빙기
521 : 얼음배출부 530 : 탄산수제조기
540 : 온수제조기 550 : 냉장부
600 : 커피제조기 610 : 그라인더
611 : 원두용기 612 : 분쇄모듈
613 : 그라인더모터 614 : 감속기
620 : 그라인더이송부 621 : 가이드축
622 : 리드스크루 623 : 그라인더이송모터
624 : 이송부재 630 : 포터필터
631 : 필터회전구동부 632 : 수집용기
640 : 필터승강부 650 : 이송블록
660 : 필터수평이송부 661 : 가이드레일
662 : 리드스크루 663 : 필터이송모터
664 : 감속기 670 : 추출기
671 : 헤드 680 : 보일러
690 : 스팀파이프 691 : 스팀밸브
692 : 파이프승강부 700 : 음료인출부
710 : 인출구동부 720 : 스테이지
721 : 목부 722 : 연결부
800 : 음료대기부 810 : 그립퍼승강부
820 : 그립퍼구동부 830 : 그립퍼
831 : 이격단부 900 : 클리닝부
910 : 용기이송부 920 : 클리닝용기
921 : 급수튜브 922 : 급수밸브
923 : 드레인튜브 924 : 드레인밸브
930 : 콤프레셔 940 : 에어공급라인
950 : 집수용기
1,2: cup 1a, 2a: curling part
10: all 100: body
110: cup storage unit 120: kiosk
130: control unit 200: cup supply unit
210: cup supply driving unit 220: separation guide
221: upper cup support groove 222: lower cup separation part
223: insertion guide 224: fixing hole
225: receiving groove 230: jamming support part
231: position variable hole 232: locking part
240: support plate 241: support hole
300: shuttle 310: horizontal guide
311: fixed part 320: horizontal transfer member
330: holder horizontal transfer unit 331: lead screw
332: shuttle motor 340: holder elevating part
350: holder 351: opening
352: fitting part 400: beverage supply part
410: nozzle block 411: supply tube
412: supply valve 420: pump
430: flow meter 440: mixer
441: mixer motor 450: mixer elevating unit
510: undiluted container 520: ice maker
521: ice discharge unit 530: carbonated water maker
540: hot water maker 550: refrigeration unit
600: coffee maker 610: grinder
611: bean container 612: grinding module
613: grinder motor 614: reducer
620: grinder transfer unit 621: guide shaft
622: lead screw 623: grinder transfer motor
624: transfer member 630: portafilter
631: filter rotation driving unit 632: collection container
640: filter lifting unit 650: transfer block
660: filter horizontal transfer unit 661: guide rail
662: lead screw 663: filter transfer motor
664: reducer 670: extractor
671: head 680: boiler
690: steam pipe 691: steam valve
692: pipe lifting unit 700: beverage withdrawal unit
710: withdrawal driving unit 720: stage
721: neck 722: connection part
800: beverage waiting unit 810: gripper elevating unit
820: gripper driving unit 830: gripper
831: spaced end 900: cleaning unit
910: container transfer unit 920: cleaning container
921: water supply tube 922: water supply valve
923: drain tube 924: drain valve
930: compressor 940: air supply line
950: collecting container

Claims (5)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튜브가 연결되는 노즐블록이 하측에 위치하는 컵을 향하여 상기 음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음료공급부를 가지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로서,
상기 노즐블록의 부근에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용기이송부;
상기 용기이송부에 의해 상기 노즐블록의 하측과 대기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용기;
상기 공급튜브에 공급되기 위한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콤프레셔; 및
상기 콤프레셔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튜브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공급튜브 내의 음료를 상기 노즐블록을 통해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클리닝용기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공급라인;
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용기는,
외부로부터 세정수를 공급받아, 내측으로 하강하는 커피제조기의 스팀파이프 또는 상기 음료공급부의 믹서에 대한 수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연결되는 급수튜브;
상기 급수튜브에 세정수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급수밸브;
세정을 마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튜브;
상기 드레인튜브에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드레인밸브;
상기 음료 제조 장치의 본체 내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를 수집하도록 하는 집수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상기 공급튜브에서 음료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공급밸브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밸브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튜브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
As a cleaning device for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beverage supply unit installed to supply the beverage toward the cup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to which the supply tube providing a path for supplying the beverage is connected,
a container transfer unit installed to provide a horizontal transfer force in the vicinity of the nozzle block;
a cleaning container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block and the standby position by the container transfer unit;
a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to be supplied to the supply tube; and
an air supply lin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in the supply tube to the cleaning container located at the lower side through the nozzle block by injecting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into the supply tube;
including,
The cleaning container,
a water supply tube connected to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to perform water washing on the steam pipe of the coffee maker or the mixer of the beverage supply unit descending to the inside;
a water supply valv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wash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tube;
a drain tu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after washing to the outside;
a drain valve installed in the drain tube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of washing water;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llects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drain tube;
including,
The air supply line is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ly valve tha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the beverage in the supply tube, and to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supply tub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ly valve is blocked, a cleaning device for a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다수로 분기되어, 음료 각각을 공급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급튜브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상기 공급튜브에 압축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클리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line is
Branched into a plurality, by being connected to each of the supply tube made of a plurality to supply each beverag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a plurality of the supply tube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device of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0210014154A 2021-02-01 2021-02-01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405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54A KR102405354B1 (en) 2021-02-01 2021-02-01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54A KR102405354B1 (en) 2021-02-01 2021-02-01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354B1 true KR102405354B1 (en) 2022-06-08

Family

ID=8198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154A KR102405354B1 (en) 2021-02-01 2021-02-01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3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33B1 (en) * 2002-02-08 2004-03-30 한양이엔지(주) Ionized Cleaning Apparatus for Plastic Bottles
KR20120121908A (en) * 2010-02-03 2012-11-0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KR20180134245A (en) * 2017-06-08 201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Baverage maker and beverage maker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31516B1 (en) * 2019-04-11 2019-10-11 이용두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33B1 (en) * 2002-02-08 2004-03-30 한양이엔지(주) Ionized Cleaning Apparatus for Plastic Bottles
KR20120121908A (en) * 2010-02-03 2012-11-0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Beverage dispenser with safe cleaning arrangement
KR20180134245A (en) * 2017-06-08 201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Baverage maker and beverage maker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31516B1 (en) * 2019-04-11 2019-10-11 이용두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43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US6234071B1 (en) Automatic machine for dispensing natural juices
US916793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JP2008512144A (en) Coffee and tea dispenser with removable pod turret wheel
RU2752302C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with drop limiter
EP3315458A1 (en) Dispensing appliance for the control of froth formation during dispensing of a malt based fermented beverage (mbfb) produced in situ by mixing an mbfb concentrate with a carbonated diluent
CN106998940A (en) Fluid dispenser device with compact drop stop part
WO2007091265A2 (en) Vending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s that contain fruits or vegetables
RU2753221C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with speed regulator
CN109665475B (en) Self-service vending machine for refined beer
US10152842B2 (en) Beverage vending machine
KR10240535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beverag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284159B1 (en)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CN113273894B (en) Beverage brewing equipment
US6095205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in which a cup holder can be washed at an inner washing position
GB2475290A (en) Nozzle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JP2020114501A (en) Stirring tool of cup type vending machine
JPH1118951A (en) Bevarage supply device
CN114617414B (en) Full-automatic lemon slice preparing and tamping machine applying intelligent control system
CN217610550U (en) Milk coffee machine
CN209842776U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12419596A (en) Beverage robot and beverage vending equipment
JP2972391B2 (en)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N111784920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18141237A (en) Three-station coffee automatic preparation process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