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349B1 -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349B1
KR102405349B1 KR1020190094755A KR20190094755A KR102405349B1 KR 102405349 B1 KR102405349 B1 KR 102405349B1 KR 1020190094755 A KR1020190094755 A KR 1020190094755A KR 20190094755 A KR20190094755 A KR 20190094755A KR 102405349 B1 KR102405349 B1 KR 10240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capsule
base plate
inse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691A (ko
Inventor
유형종
유태종
권희택
Original Assignee
유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종 filed Critical 유형종
Priority to KR102019009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분리할 때, 산란유인부재가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할됨으로써,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쉽고 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부에 곤충 알이 있는 상태에서 캡슐모듈 자체를 그대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곤충 알 포장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높아지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알이 들어 있는 캡슐부를 베이스플레이트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판매되는 캡슐부의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INSECT EGG OVIPOSITION INDUC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 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현재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이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약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든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003312호의 '동애등에 생산 방법' 문헌에는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산란 유도 장치는 산란 홈에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한 후 동애등에 알을 분리하여 수거할 경우, 일반적으로 산란 유도 장치를 뒤집어 털어 내거나 막대기 등으로 산란 홈 내에 있는 알을 꺼내야 하는 바, 이 과정에서 동애등에 알이 깨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동애등에 알 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수거 과정에서 알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장치 또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분리할 때, 산란유인부재가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할됨으로써,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쉽고 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캡슐부에 곤충 알이 있는 상태에서 캡슐모듈 자체를 그대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곤충 알 포장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높아지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곤충 알이 들어 있는 캡슐부를 베이스플레이트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판매되는 캡슐부의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되되, 산란홀을 가로질러 분할되도록 하는 분리면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및 베이스플레이트부와;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개구된 입구와 연통되도록 내측에 산란공간부가 형성된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산란유인부재는, 외력에 의해 분리면을 기준으로 밀착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산란유인부재의 둘레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 산란유인부재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캡슐부는, 외력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부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분이, 다른 부분 대비 더 가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분리할 때, 산란유인부재가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할됨으로써,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쉽고 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부에 곤충 알이 있는 상태에서 캡슐모듈 자체를 그대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곤충 알 포장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높아지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알이 들어 있는 캡슐부를 베이스플레이트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판매되는 캡슐부의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101)이 형성되되, 산란홀(101)을 가로질러 분할되도록 하는 분리면(201)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103); 및 베이스플레이트부(105)와; 베이스플레이트부(105)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산란홀(101)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개구된 입구(107)와 연통되도록 내측에 산란공간부(S)가 형성된 캡슐부(203);를 포함하는 캡슐모듈(10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는, 유기성 폐기물 등을 분해할 수 있는 특수 곤충의 알을 분리/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특수 곤충 알 중 동애등에 알(E)을 분리/수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산란유인부재(103)는, 다면체, 다각형의 평판 등의 입체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들에서는 산란유인부재(103)가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산란유인부재(103)는 일예로, 스펀지, 스티로폼 등의 수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산란유인부재(10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101)이 형성되는데, 산란홀(101)은 원형 홀, 다각형 홀 등 다양한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산란유인부재(103)는, 동애등에 성충이 알(E)을 낳을 수 있는 최상의 온도 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내측에 발열부재 또는 냉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발열부재 또는 냉각부재는, 일예로, 산란유인부재(103)에 형성된 산란홀(101) 주변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산란유인부재(103)는, 산란홀(101)을 가로지르는 분리면(201)을 갖는다.
이 분리면(201)은, 산란유인부재(103)가 분리면(201)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후술할 캡슐모듈(109)을 산란유인부재(103)로부터 분리할 때, 산란유인부재(103)가 분리면(201)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됨으로써, 더욱 쉽게 캡슐모듈(109)을 산란유인부재(103)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산란유인부재(103)는, 외력(F)에 의해 분리면(201)을 기준으로 밀착되고, 외력(F)이 제거되었을 때 분리면(201)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100)는, 산란유인부재(103)의 둘레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 산란유인부재(103)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력(F)을 가하는 가압부재(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가압부재(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가압부재(111)는, 절곡된 양단부가 탄성력을 가져서, 작업자가 가압부재(111)를 산란유인부재(103)에 장착했을 때, 가압부재(111)의 탄성력에 의해 산란유인부재(103)의 수축 및 분리면(201)이 밀착되면서, 후술할 캡슐부(203)가 산란홀(101) 내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작업자가 산란유인부재(103)로부터 가압부재(111)를 제거하게 되면, 분리면(201)을 기준으로 밀착되어 있던 산란유인부재(103)가,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캡슐모듈(109)을 산란유인부재(103)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캡슐모듈(109)은 베이스플레이트부(105)와 캡슐부(203)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부(105)는, 다면체, 다각형의 평판 등의 입체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면들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부(105)가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제공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부(105)는 일예로, 나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캡슐부(203)는, 베이스플레이트부(105)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데, 캡슐부(203)는 산란홀(101)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캡슐부(203)에는, 개구된 입구(107)와 연통되도록 내측에 산란공간부(S)가 형성된다.
이 산란공간부(S)는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캡슐부(203)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캡슐부(203)는 입구(107)를 개폐하는 커버를 가질 수 있다.
커버는 캡슐모듈(109)이 산란유인부재(103)로부터 분리될 때, 캡슐부(203) 내의 동에등에 알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캡슐부(203)에 커버가 더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시 동애등에 알이 캡슐부(203)로부터 이탈되어 깨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캡슐부(203)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로 캡슐모듈(109) 전체를 판매할 수 있게 되어서, 포장 과정을 생략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캡슐부(203)는, 외력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부(105)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부(105)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분(203a)이, 다른 부분 대비 더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연결부분(203a)은, 끝단부(즉, 연결부분(203a)이 베이스플레이트부(105)와 연결되는 부위)에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절개홈(H)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분(203a)의 형상, 절개홈(H)의 형성으로 인해, 작업자는 동애등에 알이 들어 있는 캡슐부(203)를 쉽게 베이스플레이트부(105)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판매되는 캡슐부(203)의 개수를 적절히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분리할 때, 산란유인부재가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할됨으로써, 산란유인부재로부터 캡슐모듈을 쉽고 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부에 곤충 알이 있는 상태에서 캡슐모듈 자체를 그대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곤충 알 포장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높아지고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곤충 알이 들어 있는 캡슐부를 베이스플레이트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판매되는 캡슐부의 개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101 : 산란홀
103 : 산란유인부재
105 : 베이스플레이트부
107 : 입구
109 : 캡슐모듈
111 : 가압부재
201 : 분리면
203 : 캡슐부
203a : 연결부분
F : 외력
H : 절개홈
S : 산란공간부

Claims (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되되, 상기 산란홀을 가로질러 분할되도록 하는 분리면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및
    베이스플레이트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되, 상기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개구된 입구와 연통되도록 내측에 산란공간부가 형성된 캡슐부;를 포함하는 캡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와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분이, 다른 부분 대비 더 가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부와 연결되는 부위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절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유인부재는,
    외력에 의해 상기 분리면을 기준으로 밀착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둘레면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 상기 산란유인부재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4. 삭제
KR1020190094755A 2019-08-05 2019-08-05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KR10240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55A KR102405349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55A KR102405349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91A KR20210016691A (ko) 2021-02-17
KR102405349B1 true KR102405349B1 (ko) 2022-06-07

Family

ID=7473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55A KR102405349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3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935B1 (ko) 2017-01-20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KR102029934B1 (ko) 2016-12-09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37Y1 (ko) * 2015-11-19 2017-11-30 남지우 곤충 사육통
KR101963934B1 (ko) * 2016-06-23 2019-03-29 최영범 인공 산란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934B1 (ko) 2016-12-09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5B1 (ko) 2017-01-20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91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934B1 (ko)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5B1 (ko)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KR101772749B1 (ko) 곤충 알 분리장치
ES457400A1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peliculas de material plastico para proteger cultivos agricolas cubiertos contra pestes in-festantes.
BE874775A (fr) Recipient en matiere plastique renforce et procede de fabrication
KR10140588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ATA93287A (de) Vorrichtung zum abtoeten bzw. inaktivieren von eiweiss- bzw. nukleinsaeurehaeltigen organismen
KR102405349B1 (ko)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RU2016132050A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с получением белкового корма и биоудобрения
CN105010244A (zh) 用胡蜂旧巢让准蜂王越冬的方法
IT1127535B (it) Dispositivo per lo sminuzzamento di raccolti agricoli
GB1498805A (en) Piglet weaning
KR102405347B1 (ko) 곤충알 수거장치
KR102395369B1 (ko)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KR100902783B1 (ko) 어류 수정란 부화기
KR102395368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곤충알 수거장치
KR102326367B1 (ko)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BE875302A (fr) Produits manufactures en matiere plastique renforcee par des filaments
JPS5651325A (en) Formation of fiber-reinforced plastic
KR20240082688A (ko)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KR102326368B1 (ko) 배지를 포함하는 곤충알 산란캡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05348B1 (ko) 곤충알 분리장치
CN206721057U (zh) 厨余生物处理装置
Verrell Responses to different densities of males in the smooth newt, Triturus vulgaris:'one at a time, please'
GB2016890A (en) Animal 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