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69B1 -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69B1
KR102395369B1 KR1020190094754A KR20190094754A KR102395369B1 KR 102395369 B1 KR102395369 B1 KR 102395369B1 KR 1020190094754 A KR1020190094754 A KR 1020190094754A KR 20190094754 A KR20190094754 A KR 20190094754A KR 102395369 B1 KR102395369 B1 KR 10239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wning
capsule
scattering
hole
in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690A (ko
Inventor
유형종
유태종
권희택
Original Assignee
유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종 filed Critical 유형종
Priority to KR102019009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로부터 곤충알을 수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로부터 곤충알을 분리하는 작업시 곤충알이 깨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산란홀 내측에 있는 곤충알을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INSECT EGG SEPARATION APPARATUS FOR EASY COLLECTION OF INSECT EGGS}
본 발명은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가 발생된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현재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이 37∼41일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층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든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003312호의 '동애등에 생산 방법' 문헌에는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산란 유도 장치는 산란 홈에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한 후 동애등에 알을 분리하여 수거할 경우, 일반적으로 산란 유도 장치를 뒤집어 털어 내거나 막대기 등으로 산란 홈 내에 있는 알을 꺼내야 하는 바, 이과정에서 동애등에 알이 깨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동애등에 알 수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수거과정에서 알이 깨지지 않도록 하는 장치 또는 방법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란유인부재로부터 곤충알을 수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로부터 곤충알을 분리하는 작업시 곤충알이 깨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산란홀 내측에 있는 곤충알을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곤충이 낳은 알이 저장되는 산란유인캡슐; 및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산란홀로 삽입되어 상기 산란홀 내측의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밀어내고 상기 산란유인캡슐이 상기 산란홀 외측으로 이탈된 후 지지고정되는 탈거로드를 포함하는 탈거부재;를 포함하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로부터 곤충알을 수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로부터 곤충알을 분리하는 작업시 곤충알이 깨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산란홀 내측에 있는 곤충알을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산란유인부재, 산란유인캡슐, 및 탈거부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캡슐수거부재를 통해 산란유인캡슐을 수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산란유인부재, 산란유인캡슐, 및 탈거부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캡슐수거부재를 통해 산란유인캡슐을 수거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201)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101); 산란홀(201)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곤충이 낳은 알이 저장되는 산란유인캡슐(103); 및 베이스부재(105)와, 베이스부재(105)로부터 연장되며 산란홀(201)로 삽입되어 산란홀(201) 내측의 산란유인캡슐(103)을 밀어내고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외측으로 이탈된 후 지지고정되는 탈거로드(107)를 포함하는 탈거부재(1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는,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외측으로 이탈된 후 자력을 통해 탈거로드(107)에 지지고정되도록, 산란유인캡슐(103) 또는 탈거로드(107)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자력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성 폐기물 등을 분해할 수 있는 특수 곤충의 알을 분리/수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특수 곤충 알 중 동애등에 알을 분리/수거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먼저, 산란유인부재(101)는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산란유인부재(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2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산란홀(201)은 원형 홀, 다각형 홀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산란유인부재(101)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을 수 있는 최상의 온도 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내측에 발열부재 또는 냉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발열부재 또는 냉각부재는 일예로, 산란유인부재(101)에 별도로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산란유인부재(101)는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상측면에 산란유인캡슐(103)의 상단이 안착결합되는 안착홈(30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착부(301)는 산란홀(201)의 외측에 산란홀(201)의 둘레를 따라 함몰형성된다.
계속해서, 산란유인캡슐(103)은 산란유인부재(101)의 산란홀(201)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산란유인캡슐(103)은 산란홀(201)과 대응되도록 원기둥, 다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산란유인캡슐(103)은 내측에 곤충이 낳은 알이 저장되는 산란공간(205)이 형성된다.
한편, 산란유인캡슐(103)은 상단 외주면을 따라 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산란홀(201)에 삽입시 앞서 설명한 안착홈(301)에 안착됨으로써 산란홀(201)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안착부(207)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산란유인캡슐(103)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부(207)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로부터 의도치않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다.
한편, 산란유인캡슐(103)은 후술할 캡슐수거부재(401)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홈(303)이 외주면을 따라 함몰형성되는데,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산란유인캡슐(103)의 외주면에 결합홈(303)이 형성됨으로써 캡슐수거부재(401)를 통해 다수개의 산란유인캡슐(103)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산란유인캡슐(103)은 자력에 의해 탈거로드(107)에 결합되도록, 탈거로드(107)와 접하는 바닥면 또는 전체가 금속재질로 이뤄지거나 영구자석으로 이뤄질 수 있다.
계속해서, 탈거부재(109)는 베이스부재(105)와 탈거로드(10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05)는 탈거로드(107)가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이러한 베이스부재(105)는 일예로 나무, 스펀지, 스티로폼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탈거로드(107)는 베이스부재(105)로부터 돌출연장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란홀(201) 내측으로 삽입되어 산란홀(201) 내측의 산란유인캡슐(103)을 산란홀(201)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러한 탈거로드(107)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거로드(107)는 베이스부재(105)로부터 연장되는 탈거가이드(209); 및 탈거가이드(209)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산란홀(201) 내측의 산란유인캡슐(103)을 밀어내고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외측으로 이탈된 후 지지고정되는 탈거지지부(211);를 포함한다.
탈거가이드(209)는 베이스부재(105)의 상측에 형성되며 탈거지지부(21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탈거가이드(209)는 일예로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어 탈거지지부(211)가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는 가이드부(213)와, 가이드부(213)의 개방된 단부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탈거지지부(211)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단턱부(215)를 포함한다.
이어서, 탈거지지부(211)는 일측이 탈거가이드(209)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산란홀(201)로 삽입되어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산란유인캡슐(103)을 밀어낸다.
이러한, 탈거지지부(21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거지지부(211)는, 탈거가이드(209)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7); 및 결합부(217)의 단부에 구비되고 산란유인캡슐(103)이 자력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마그넷부(219);를 포함한다.
결합부(217)는 탈거가이드(209)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결합부(217)는 탈거가이드(209)의 가이드부(213)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부(217)는 이동시 가이드부(213)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 단부 외주면에 단턱부(215)와 걸림되는 스토퍼(221)가 돌출형성된다.
이어서, 마그넷부(219)는 결합부(217)의 단부에 구비되어 산란홀(201)에 삽입시 산란유인캡슐(103)과 접하면서 산란홀(201)의 외측으로 산란유인캡슐(103)을 밀어낸다.
한편, 마그넷부(219)는 바닥면 또는 전체가 금속재질 또는 영구자석으로 이뤄지는 산란유인캡슐(103)과 자력을 통해 결합되도록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이뤄진다.
이때, 산란유인캡슐(103)이 영구자석으로 이뤄지는 경우, 마그넷부(219)는 산란유인캡슐(103)이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지지고정되도록 산란유인캡슐(103)의 바닥면과 접하는 면이 산란유인캡슐(103)의 바닥면의 극성과 다른 극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산란유인캡슐(201)과 접하는 탈거로드(107)의 단부에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외측으로 이탈된 후 자력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마그넷부(219)가 구비됨으로써, 곤충알 분리작업시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의도치않게 쓰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산란공간(205)으로부터 곤충알이 의도치않게 쏟아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거로드(107)는, 산란홀(201) 내측의 산란유인캡슐(103)을 밀어내는 경우 산란유인캡슐(103)로 전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일단이 탈거가이드(209)에 지지되고 타단이 탈거지지부(211)에 지지되어 탈거지지부(211)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2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재(223)은 일예로 코일스프링으로 이뤄지며, 탈거가이드(209)의 가이드부(213) 내측에 구비되어 탈거지지부(211)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탈거지지부(211)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23)가 구비됨으로써, 탈거로드(107)가 산란홀(201)로 삽입되어 산란유인캡슐(103)을 밀어내는 경우 산란유인캡슐(103)과 접하는 탈거지지부(211)에 탄성력이 가해짐에 따라, 곤충알 분리 작업시 산란유인캡슐(103)로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곤충알이 깨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는, 탈거부재(109)에 의해 산란홀(201)로부터 인출된 산란유인캡슐(103)을 수거하는 캡슐수거부재(401)을 더 포함한다.
캡슐수거부재(401)는 산란유인캡슐(103)이 결합되는 수거본체부(403); 및 수거본체부(403)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수거본체부(403)에 결합된 다수의 캡슐수거부재(401)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구속부재(405);를 포함한다.
수거본체부(403)는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산란유인캡슐(103)이 내삽되는 캡슐가이드슬릿(40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수거본체부(403)는 다수의 산란유인캡슐(103)을 한번에 수거할 수 있도록, 캡슐가이드슬릿(407)이 복수개의 산란홀(201)의 가로방향 열 또는 세로방향 열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캡슐가이드슬릿(407)은 앞서 설명한 산란유인캡슐(103)의 결합홈(303)에 결합되며, 산란유인캡슐(103)과 최초 결합시 산란유인캡슐(103)의 외측면과의 간섭이 최소화 되도록 개방된 단부에 경사부(409)가 형성된다.
이어서, 구속부재(405)는 수거본체부(403)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앞서 설명한 캡슐가이드슬릿(407)을 개폐한다.
여기서, 구속부재(405)는 일방향으로 회전시 캡슐가이드슬릿(407)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부재(405)의 단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홈(4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캡슐수거부재(401)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산란홀(201)로부터 인출된 산란유인캡슐(103)을 용이하게 수거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를 통해 곤충알을 수거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곤충알 분리작업시 탈거로드(107)를 산란홀(201)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산란유인캡슐(103)과 탈거로드(107)의 탈거지지부(211)가 밀착되면서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탄성부재(223)의 탄성력에 의해 산란유인캡슐(103)로 전해지는 충격이 감소된다.
계속해서, 탈거로드(107)를 산란홀(201)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 외측으로 완전히 이탈된다.
여기서, 산란유인캡슐(103)은 마그넷부(219)의 자력에 의해 탈거로드(107)의 단부에 지지고정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산란유인캡슐(103)이 산란홀(201)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의도치않게 쓰러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산란공간(205)으로부터 곤충알이 의도치않게 쏟아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산란홀(201)의 외측으로 인출된 다수의 산란유인캡슐(103)의 결합홈(303)에 캡슐수거부재(401)의 캡슐가이드슬릿(407)을 슬라이딩 결합한 뒤, 구속부재(405)를 일방향 회전시켜 끼움결합홈(411)을 수거본체부(403)의 단부에 결합하여, 도 5와 같이 다수의 산란유인캡슐(103)을 한번에 분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101)로부터 곤충알을 수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산란유인부재(101)의 산란홀(201)로부터 곤충알을 분리하는 작업시 곤충알이 깨지는 현상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산란홀(201) 내측에 있는 곤충알을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ㅍ 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산란유인부재
103 : 산란유인캡슐
105 : 베이스부재
107 : 탈거로드
109 : 탈거부재
201 : 산란홀
205 : 산란공간
207 : 안착부
209 : 탈거가이드
211 : 탈거지지부
213 : 가이드부
215 : 단턱부
217 : 결합부
219 : 마그넷부
221 : 스토퍼
223 : 탄성부재
301 : 안착홈
303 : 결합홈
401 : 캡슐수거부재
403 : 수거본체부
405 : 구속부재
407 : 캡슐가이드슬릿
409 : 경사부
411 : 끼움결합홈

Claims (5)

  1. 삭제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곤충이 낳은 알이 저장되는 산란유인캡슐; 및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산란홀로 삽입되어 상기 산란홀 내측의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밀어내고 상기 산란홀 외측으로 이탈된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지지고정하는 탈거로드를 포함하는 탈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유인캡슐이 상기 산란홀 외측으로 이탈된 후 자력을 통해 상기 탈거로드에 지지고정되도록, 상기 산란유인캡슐 또는 상기 탈거로드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자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삽입되며 곤충이 낳은 알이 저장되는 산란유인캡슐; 및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산란홀로 삽입되어 상기 산란홀 내측의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밀어내고 상기 산란홀 외측으로 이탈된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지지고정하는 탈거로드를 포함하는 탈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로드는,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탈거가이드; 및
    상기 탈거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산란홀 내측의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밀어내고 상기 산란홀 외측으로 이탈된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지지고정하는 탈거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로드는,
    상기 산란홀 내측의 상기 산란유인캡슐을 밀어내는 경우 상기 산란유인캡슐로 전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일단이 상기 탈거가이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탈거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탈거지지부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지지부는,
    상기 탈거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산란유인캡슐이 자력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마그넷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KR1020190094754A 2019-08-05 2019-08-05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KR102395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54A KR102395369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54A KR102395369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90A KR20210016690A (ko) 2021-02-17
KR102395369B1 true KR102395369B1 (ko) 2022-05-09

Family

ID=7473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54A KR102395369B1 (ko) 2019-08-05 2019-08-05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3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49B1 (ko) 2015-05-08 2017-08-29 주식회사 바이오그린환경 곤충 알 분리장치
KR101963934B1 (ko) 2016-06-23 2019-03-29 최영범 인공 산란장
KR101980790B1 (ko) 2017-04-20 2019-05-22 대한민국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934B1 (ko) * 2016-12-09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5B1 (ko) * 2017-01-20 2019-10-08 유형종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749B1 (ko) 2015-05-08 2017-08-29 주식회사 바이오그린환경 곤충 알 분리장치
KR101963934B1 (ko) 2016-06-23 2019-03-29 최영범 인공 산란장
KR101980790B1 (ko) 2017-04-20 2019-05-22 대한민국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90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934B1 (ko) 곤충 알 수거장치
KR102029935B1 (ko)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KR101772749B1 (ko) 곤충 알 분리장치
KR20150138992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980790B1 (ko)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KR10140588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946828B1 (ko) 유용곤충 대량 사육 자동화 설비
KR102054623B1 (ko) 곤충알 수거장치
KR102395369B1 (ko) 곤충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분리장치
KR102395368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곤충알 수거장치
KR101403848B1 (ko) 복합 패류 양식장용 가두리 케이스
KR200472827Y1 (ko) 화분 매립형 지렁이먹이통
US10729120B2 (en) External trap for the beetle Aethina tumida
KR102405348B1 (ko) 곤충알 분리장치
CN110558264A (zh) 深海养殖装置及深海养殖箱
EP0321596A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umus
KR102405347B1 (ko) 곤충알 수거장치
KR102405349B1 (ko) 곤충 알 산란유도장치
KR102326367B1 (ko) 곤충알 및 산란캡슐 수거장치
CN203058081U (zh) 径离式人工鱼礁
KR102237223B1 (ko) 동애등에 자동사육장치
CN206721057U (zh) 厨余生物处理装置
KR102326368B1 (ko) 배지를 포함하는 곤충알 산란캡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40082688A (ko)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CN203058084U (zh) 洞穴密集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