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688A -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 Google Patents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688A
KR20240082688A KR1020220166564A KR20220166564A KR20240082688A KR 20240082688 A KR20240082688 A KR 20240082688A KR 1020220166564 A KR1020220166564 A KR 1020220166564A KR 20220166564 A KR20220166564 A KR 20220166564A KR 20240082688 A KR20240082688 A KR 2024008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apsule
spawning
inse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종
유태종
Original Assignee
유형종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종 filed Critical 유형종
Publication of KR2024008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6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캡슐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캡슐에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이 구비됨으로써, 곤충이 알캡슐에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INSECT EGG SPAWNING DEVICE FOR EASY COLLECTION OF EGG CAPSULE}
본 발명은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시간이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의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든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6758호에는 수집된 동애등에 알을 깨지지 않게 하면서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곤충 알 수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곤충 알 수거장치의 경우, 캡슐부재의 재활용이 어려워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고, 곤충이 캡슐부재에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유인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캡슐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알캡슐에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이 구비됨으로써, 곤충이 알캡슐에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유인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캡슐과, 상기 하우징캡슐의 상기 공간 내에 구비되되 내측에 곤충이 알을 낳는 산란공간이 개방된 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을 포함하는 알캡슐; 및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산란유인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산란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알캡슐을 상기 산란홀로부터 빼내는 탈거로드를 포함하는 곤충알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캡슐은, 외측과 내측이 연통되어 통기되도록 통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캡슐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캡슐에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이 구비됨으로써, 곤충이 알캡슐에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알캡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손잡이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알캡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손잡이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100,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101)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103); 산란홀(1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캡슐(201)과, 하우징캡슐(201)의 공간 내에 구비되되 내측에 곤충이 알(E)을 낳는 산란공간이 개방된 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203)을 포함하는 알캡슐(105); 및 산란유인부재(103)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몸체(107)와, 베이스몸체(107)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산란유인부재(103)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산란홀(101)에 삽입되면서 알캡슐(105)을 산란홀(101)로부터 빼내는 탈거로드(109)를 포함하는 곤충알분리부재(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산란유인부재(10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101)을 갖는다.
산란홀(101)은, 곤충의 알(E)이 산란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산란유인부재(103)는 다면체, 다각기둥 등의 입체적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산란유인부재(103)는, 스티로폼 등 연질이면서도 소정의 강도를 갖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어서, 알캡슐(105)은 하우징캡슐(201)과 먹이캡슐(203)을 포함한다.
하우징캡슐(201)은, 산란홀(10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캡슐(20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캡슐(201)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란 박테리아나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캡슐(201')은, 외측과 내측이 연통되어 통기되도록 하는 통기홀(301)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홀(301)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홀(301)을 통해 후술할 먹이캡슐(203)의 수분량이 조절될 수 있다.
먹이캡슐(203)은, 하우징캡슐(201)의 공간 내에 구비된다.
먹이캡슐(203)은, 내측에 곤충이 알을 낳는 산란공간이 개방된 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먹이캡슐(203)은, 곤충의 먹이로 이용된다.
먹이캡슐(203)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곤충알분리부재(111)는, 베이스몸체(107)와 탈거로드(109)를 포함한다.
베이스몸체(107)는, 산란유인부재(103)의 하부에 위치한다.
베이스몸체(107)는 다면체, 다각기둥 등의 입체적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107)는, 플라스틱, 나무, 스티로폼 등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탈거로드(109)는, 베이스몸체(107)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탈거로드(109)는, 산란유인부재(103)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산란홀(101)에 삽입되면서 알캡슐(105)을 산란홀(101)로부터 빼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탈거로드(109)는, 산란홀(10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예로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된다.
탈거로드(109)는, 산란홀(101)에 인입출될 수 있도록 산란홀(101)의 직경보다 미세히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탈거로드(109)가 산란홀(101) 내부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탈거로드(109)의 외주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는 윤활유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100')는, 산란유인부재(103)의 양측면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401);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부재(401)는, 일단이 산란유인부재(103)의 양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401a); 제1플레이트(401a)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꺾여 연장형성되는 제2플레이트(401b); 및 제2플레이트(401b)의 단부에서 수평하게 꺾여 연장형성되는 제3플레이트(401c);를 포함할 수 있다.
산란유인부재(103)의 측면에 가압되면서 삽입되는 제1플레이트(401a)는, 그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플레이트(401a)를 가압하며 눌러서 산란유인부재(103)의 측면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작업자가 곤충알분리부재(111) 위에 산란유인부재(103)을 배치하고 눌러서 산란홀(101)로부터 알캡슐(105)을 분리할 때, 작업자는 산란유인부재(103)의 양측면에 손잡이부재(401)를 결합한 후, 손잡이부재(401)를 눌러서 산란유인부재(103)가 하강하게 함으로써 산란홀(101)로부터 알캡슐(105)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산란유인부재의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캡슐을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캡슐에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이 구비됨으로써, 곤충이 알캡슐에 알을 낳을 수 있도록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100' :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101 : 산란홀
103 : 산란유인부재
105 : 알캡슐
107 : 베이스몸체
109 : 탈거로드
111 : 곤충알분리부재
201,201' : 하우징캡슐
203 : 먹이캡슐
301 : 통기홀
401 : 손잡이부재
401a : 제1플레이트
401b : 제2플레이트
401c : 제3플레이트
E : 곤충의 알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홀이 형성된 산란유인부재;
    상기 산란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캡슐과, 상기 하우징캡슐의 상기 공간 내에 구비되되 내측에 곤충이 알을 낳는 산란공간이 개방된 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곤충의 먹이로 이용되는 먹이캡슐을 포함하는 알캡슐; 및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몸체와,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산란유인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산란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알캡슐을 상기 산란홀로부터 빼내는 탈거로드를 포함하는 곤충알분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캡슐은,
    외측과 내측이 연통되어 통기되도록 통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유인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KR1020220166564A 2022-12-02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KR20240082688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688A true KR20240082688A (ko) 2024-06-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mmaggio Syrphidae: can they be used as environmental bioindicators?
KR102029934B1 (ko) 곤충 알 수거장치
KR101772749B1 (ko) 곤충 알 분리장치
US9844223B2 (e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Axtell Poultry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atus and future
Brown et al. How earthworms affect plant growth: burrowing into the mechanisms
Lavelle et al. Soil macrofauna.
KR101815115B1 (ko) 동애등에 산란장치
KR20190110257A (ko) 유충 사육 자동화 장치
KR102029935B1 (ko) 곤충 알 산란유인캡슐
WO2014193034A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20140146298A (ko) 공간절약형 3차원 동애등에 연속처리장치 및 방법
KR20120097205A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Butt et al. The earthworm inoculation unit technique: an integrated system for cultivation and soil-inoculation of earthworms
KR20170092659A (ko) 포충기
Butt et al. Resource distribution and surface activity of adult Lumbricus terrestris L. in an experimental system: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arthworm ecology· Cardiff· Wales· 2002
KR20110015340A (ko) 동애등에 사육 및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Thomas et al. Parasites of the horn fly in Missouri
GB2426196A (en) A method and device for dissemination of entomopathogens involving a temporary trap with an insect attractant & an entomopathogen
KR20240082688A (ko) 알캡슐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KR20240082687A (ko) 알캡슐을 포함하는 곤충알 산란장치
KR100566945B1 (ko) 지렁이 사육상자
KR20240082686A (ko) 알 수거가 용이한 곤충알 산란장치
US6342085B1 (en) Composting method for agricultural animal manure
Stanley et al. Pesticide toxicity to earthworms: exposure, toxicity and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