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579B1 -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579B1
KR102404579B1 KR1020200137293A KR20200137293A KR102404579B1 KR 102404579 B1 KR102404579 B1 KR 102404579B1 KR 1020200137293 A KR1020200137293 A KR 1020200137293A KR 20200137293 A KR20200137293 A KR 20200137293A KR 102404579 B1 KR102404579 B1 KR 10240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ar
key
button
command
ca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3162A (en
Inventor
박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카
Priority to KR102020013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79B1/en
Publication of KR2022005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는 차량 제어를 위한 택트 스위치 동작 버튼이 외부에 다수 마련된 자동차키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마련되고 상기 동작 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푸시바(push bar)가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앞으로 수평 이동한 후 푸시바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제어되는 키조작모듈과,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수신하면, 해당 버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버튼 앞으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푸시바(push bar)를 이동시킨 후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푸시바(push bar)를 해당 버튼을 향해 돌출시켜 가압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phone.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tact switch operation buttons for vehicle control are accommodated and fixed on the outside, and a case is provided in the case and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 key operation module that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press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vehicle key by a push bar driving means after a push bar capable of moving horizontally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of the vehicle key by means of a movement mean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a smartphone together with an encryption key, and when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a smartphone together with an encryption key, moves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means to move the push bar and then controls the push bar driving means to protrude the push bar toward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press it.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car key using a smartphone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비치한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들을 스마트폰에서의 명령에 따라 사람의 손가락을 대신하여 눌러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들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car key provided inside the vehicle in place of a person's finger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smartphone, I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phone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assigned to operation buttons.

렌트카, 법인차량 등은 한대의 자동차를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시간을 달리하여 자동차를 셰어링한다. 이러한 카셰어링을 위해서는 자동차 사용자가 바뀔 때마다 자동차키를 전달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동차 사용자가 이전 사용자로부터 자동차키를 전달 받거나 다음 사용자에게 자동차키를 전달하는 과정은 시간이 소용되고 번거러운 절차이다. In the case of rental cars and corporate vehicles, a single car is shared by multiple people at different hours of use. For such car sharing, a car key must be delivered whenever a car user changes. However, the process in which the car user receives the car key from the previous user or the car key to the next user is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따라서, 자동차키를 자동차 내부에 비치하고 자동차 사용권한이 있는 사람이 외부에서 자동차키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거나, 도어를 닫거나, 트렁크를 열거나, 경적을 울릴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주차장에서 주차를 하고 자동차키를 주차관리인에게 맡겨야 하는 상황이거나, 발리파킹을 하거나, 자동차 수리를 맡기거나, 세차를 맡기거나 할 때는 자동차키를 자동차 내부에서 수거하여, 작업자에게 맡길 필요가 있다. 일시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하거나, 트렁크를 열거나, 운행할 필요가 있는 사람에게 정상적인 사용자와 같이 외부에서 자동차키를 조작할 수 있는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부적합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car key inside the car and enable a person with the authority to use the car to open the door, close the door, open the trunk, or sound the horn by operating the car key from the outside. Even in this case, when parking in a parking lot and leaving the car key to the parking manager, volley parking, car repair, or car washing,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car key from the inside of the car and leave it to the operator. there is This is because it is inappropriate to grant the right to operate the car key from the outside like a normal user to a person who needs to temporarily open or close the car door, open the trunk, or driv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3089호(공개일자 : 2016.6.3)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3089 (published date of publication: 2016.6.3)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6335호(공개일자 : 2011.8.30)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6335 (published date: August 30, 20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40023호(공개일자 : 2011.12.30)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40023 (published date: 2011.12.30)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8031호(공개일자 : 2017.03.13)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8031 (published date: March 13, 2017) 등록특허공보 제10-1885226호(등록일자 : 2018.7.3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85226 (Registration Date: July 30, 2018) 등록특허공보 제10-1653384호(등록일자 : 2016.8.26)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53384 (Registration Date: 2016.8.26)

자동차키를 자동차 내부에 비치하고 자동차 사용권한이 있는 사람이 외부에서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하여 자동차키를 사람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것처럼 조작하여 도어를 열거나, 도어를 닫거나, 트렁크를 열거나, 경적을 울리는 등 자동차키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Keep the car key inside the car and use a smartphone application from outside to open the door, close the door, open the trunk, or horn by operating the car key as if using a human fing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 phone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a car key, such as sounding.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제어를 위한 택트 스위치 동작 버튼이 외부에 다수 마련된 자동차키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마련되고 상기 동작 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푸시바(push bar)가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앞으로 수평 이동한 후 푸시바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제어되는 키조작모듈과,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수신하면, 해당 버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버튼 앞으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푸시바(push bar)를 이동시킨 후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푸시바(push bar)를 해당 버튼을 향해 돌출시켜 가압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a car ke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act switch operation buttons on the outside for vehicle control, and a push bar provided in the case and capable of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A key operation module that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press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vehicle key by a push bar driving means after horizontally moving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car key by means of a moving means, and a button operation command together with an encryption key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receiving wirelessly from a smartphone, and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the smartphone together with an encryption key, control the moving means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to push the After moving the bar), it can be solved by a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 phone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push bar driving means to protrude the push bar toward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pressurizes it. .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케이스 바닥에 고정되고 스크류축과 가이드축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가이드축에 결합되는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축과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푸시바(push bar)와 푸시바 구동수단이 고정되는 가동블록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상기 가동블록 및 이에 고정된 푸시바(push bar)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버튼 앞으로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rame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e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screw shaft and the guide shaf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nut coupled to the screw shaft, and a through hole coupled to the guide shaft are screwed together with the screw shaft, A movable block which is slide-coupled with the guide shaft and to which the push bar and the push bar driving means are fixed on the upper part, and the movable block and the push bar fixed thereto by rotating the screw shaf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 Push bar) can be configured including a step motor that moves along the screw axis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은 상기 가동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블록과 함께 이동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푸시바는 상기 서보모터에 고정된 푸시바홀더내에 상기 동작 버튼을 지향하도록 설치하고, 푸시바에는 상기 피니언에 치합하는 래크부를 마련하여 상기 피니언이 회전할 때 직진 돌출할 수 있게 하고, 푸시바의 후방에는 일단이 푸시바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푸시바홀더 후면 내벽에 고정된 복원스프링을 마련하여 서보모터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 돌출된 푸시바가 푸시바홀더 내로 복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push bar driving means includes a servo motor fixed to the movable block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able block, and a pinion coupled to a drive shaft of the servo motor, wherein the push bar is a push bar fixed to the servo motor. It is installed in the holder so as to face the operation button, and a rack portion that meshes with the pinion is provided on the push bar so that it can protrude straight when the pinion rotates, and at the rear of the push bar, one end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 bar and the other end A restoration spring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bar holder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protruding push bar to return to the push bar holder when the servo motor is stopped.

상기 버튼 조작 명령과 암호키는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and the encryption key may be transmitted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상기 버튼 조작 명령에는 적어도 도어 록킹 명령, 도어 언록킹 명령, 트렁크 언록킹 명령, 경적울림 명령을 포함한다.The button manipulation command includes at least a door locking command, a door unlocking command, a trunk unlocking command, and a horn sounding command.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키를 항상 자동차 내부에 비치하고 외부에서 무선으로 암호키와 버튼 조작 명령을 전송하면, 키조작모듈의 푸시바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대신하여 스마트폰 앱으로 지정한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을 눌러 자동차키를 조작할 수 있다. 암호키는 사용권한을 받은 시점에 렌트카나 법인 차량등의 카셰어링 관리 서버로부터 받게 함으로써, 렌트카, 법인차량 등의 자동차 이용자간에 자동차키의 전달 없이도 자동차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ar key is always kept inside the car and the encryption key and button operation command are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push bar of the key operation module replaces the user's finger with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ar key designated by the smartphone app. You can operate the car key by pressing . By receiving the encryption key from a car sharing management server such as a rental car or corporate vehicle at the time when the right to use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a car without transferring the car key between car users such as a rental car or corporat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케이스에 키홀더, 키조작모듈 및 배터리를 내장하여 도시한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키홀더에 자동차키를 삽입한 상태로 도시한 부분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키조작모듈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스와 키조작모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키조작모듈의 푸시바가 서보모터의 회전으로 돌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의 콘트롤러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의 키조작모듈에 의하여 자동차키의 도어록킹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의 키조작모듈에 의하여 자동차키의 도어 언록킹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의 키조작모듈에 의하여 자동차키의 트렁크 언록킹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의 키조작모듈에 의하여 자동차키의 경적울림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key holder, a key operation module, and a battery are embedded in the case of FIG. 1 .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in FIG. 2 .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key operation module by partially cutting the case.
5 is a front view of the case and the key operation module shown in FIG. 4 .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bar of the key operation module in FIG. 4 protrudes due to rotation of the servo motor.
7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of a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door locking button of the car key by the key operation module of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the car key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FIG. 7 .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door unlocking button of the car key by the key operation module of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the car key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FIG. 9 .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trunk unlocking button of the car key by the key operation module of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the car key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FIG. 11 .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horn sound button of the car key by the key operation module of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the car key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of FIG. 13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자동차키는 사용자에 의한 차량 제어를 위해 택트 스위치가 내부 회로기판에 다수 실장되어 있고, 자동차키 외부에는 각 택트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는 택트 스위치 동작 버튼이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 버튼은, 도어 록킹 버튼, 도어 언록킹 버튼, 트렁크 언록킹 버튼, 경적울림 버튼 등을 포함한다. In the car key,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are mounted on an internal circuit board for vehicle control by the user, and a tact switch operation button capable of driving each tact switch is exposed outside the car key. Such operation buttons include a door locking button, a door unlocking button, a trunk unlocking button, a horn sounding button, and the lik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는 차량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작은 케이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27) 내부에는 자동차키(도 3의 부호 K)가 분해나 리드선에 의한 외부 장치에의 연결 없이 평소 사용 상태 그대로 수용된다. 상기 케이스(27)는 자동차키(K)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낮은 격벽(33)에 의하여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공간은 격벽(33)을 사이에 두고 키홀더수용부(31)와 키조작모듈수용부(29)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키홀더수용부(31)에는 자동차키(K)의 형상이나 두께에 맞게 조정된 어댑터인 키홀더(39)를 삽입한다. 키홀더(39)에는 자동차키(K)를 삽입하는 키삽입부(41)와 삽입된 자동차키의 동작버튼(도 3의 부호 B1~B4)을 상기 키조작모듈수용부(29)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버튼노출개구(43)가 형성된다. 1 to 3,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ll case that can be stored inside the vehicle. Inside the case 27, the car key (symbol K in FIG. 3) is accommodated as it is in its usual use state without disassembly or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by a lead wire. In order to fix the case 27 in a state in which the car key K is accommodated, the inner space may be divided by a low partition wall 33 . The divided space may be divided into a key holder accommodating part 31 and a key operation module accommodating part 29 with the partition wall 33 interposed therebetween. A key holder 39 that is an adapter adjusted to the shape or thickness of the car key K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receiving part 31 . In the key holder 39, the key insertion part 41 for inserting the car key (K) and the operation buttons (symbols B1 to B4 in FIG. 3) of the inserted car key are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key operation module accommodating part 29 A button exposure opening 43 is formed.

상기 키조작모듈수용부(29)는 사용자가 무선으로 선택한 자동차키(K)의 버튼(B1~B4)을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제어되는 키조작모듈(1)이 설치된다. 키조작모듈(1)은 상기 케이스(27)내에 설치되는 키홀더(39)에 인접한다. The key operation module accommodating unit 29 is provided with a key operation module 1 that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press the buttons B1 to B4 of the car key K selected by the user wirelessly. The key operation module (1) is adjacent to the key holder (39) installed in the case (27).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조작모듈(1)은 상기 키홀더(39)에 삽입된 자동차키(K)의 동작 버튼(B1~B4)을 가압할 수 있는 푸시바(17)와, 상기 푸시바(17)를 상기 자동차키(K)의 동작 버튼(B1~B4) 중 어느 하나의 앞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과, 상기 푸시바(17)가 상기 자동차키(K)의 동작 버튼(B1~B4)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제어하는 푸시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푸시바(17)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앞으로 수평 이동한 후 푸시바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제어된다. 4 to 6 , the key operation module 1 has a push bar 17 capable of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s B1 to B4 of the car key K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39 . And, a moving means capable of horizontally moving the push bar 17 in front of any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B1 to B4 of the car key K, and the push bar 17 is the car key K It includes a push bar driving means for controlling to selectively press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B1 ~ B4) of the. The push bar 17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press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vehicle key by the push bar driving means after horizontally moving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car key by the moving means.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케이스(27) 바닥에 고정되고 스크류축(7)과 가이드축(5)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3a,3b,3c)과, 상기 스크류축(7) 및 가이드축(5)에 결합되는 가동블록(12)과, 상기 스크류축(7)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축(7)을 회전시켜 상기 가동블록 및 이에 고정된 푸시바(17)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버튼(B1~B4) 앞으로 스크류축(7)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텝모터(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a,3b,3c)은 수평부(3a)와 수평부(3a) 양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3b,3c)를 포함하고, 상기 스텝모터(9)는 수직부중 하나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블록(12)에는 상기 스크류축(7)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와 상기 가이드축(5)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관통공이 마련된다. 따라서, 스크류축(7)이 회전하면 상기 가동블록(12)은 스크류축(7)을 따라 진선운동하고, 상기 가이드축(5)과 가동블록(12) 사이에는 슬라이딩이 일어난다.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축(5)과 결합하는 관통공에는 부시타입의 오일리스 베어링을 더 마련할 수 있다. The moving means includes frames (3a, 3b, 3c)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e (27)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screw shaft (7) and the guide shaft (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crew shaft (7) and The movable block 12 coupled to the guide shaft 5 and the movable block 1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7 rotate the screw shaft 7 to operate the movable block and the push bar 17 fixed thereto. Operation buttons (B1 to B4) corresponding to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motor (9) for moving along the screw shaft (7) forward. The frame 3a, 3b, 3c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3a and vertical portions 3b and 3c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3a, and the stepper motor 9 is one of the vertical portions. installed outside. The movable block 12 is provided with a nut screw-coupled to the screw shaft 7 and a through hole slide-coupled to the guide shaft 5 . Accordingly, when the screw shaft 7 rotates, the movable block 12 moves linearly along the screw shaft 7 , and sliding occurs between the guide shaft 5 and the movable block 12 . In order to facilitate sliding, a bush-type oilless bearing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coupled to the guide shaft 5 .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은 상기 가동블록(12)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블록(12)과 함께 이동하는 서보모터(11)와, 상기 서보모터(11)의 구동축(23)에 결합된 피니언(1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서버모터(11)를 상기 가동블록(12)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별도의 고정부재(10)를 이용할 수 있다. The push bar driving means includes a servo motor 11 fixed to the movable block 12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able block 12 , and a pinion 13 coupled to a drive shaft 23 of the servo motor 11 . consists of including In fixing the server motor 11 to the movable block 12 , a separate fixing member 10 may be used.

상기 푸시바(push bar)(17)는 사각단면의 막대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서보모터(11) 또는 상기 고정부재(10)에 결합되어 고정된 푸시바홀더(15)내에 자동차키(K)의 동작 버튼(B1~B4)을 지향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푸시바(17)에는 상기 피니언(13)에 치합(齒合)하는 래크부(19)를 상면 후부에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피니언(13)이 서보모터(11)에 의하여 회전할 때 푸시바(17)가 직진 돌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시바(17)의 후방에는 일단이 푸시바(17)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푸시바홀더(15) 후면 내벽에 고정된 복원스프링(21)을 마련하여 서보모터(11)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 돌출된 푸시바(17)가 푸시바홀더 내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The push bar 17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car key ( Install so that it faces the operation buttons (B1~B4) of K). In addition, the push bar (17) has a rack portion (19) meshing with the pinion (13)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By doing this, when the pinion 13 is rotated by the servo motor 11, the push bar 17 can protrude straight. At the rear of the push bar 17, one end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 bar 17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estoration spring 21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ar side of the push bar holder 15, so that the driving of the servo motor 11 is stopped. When done, the protruding push bar 17 can be returned to the push bar holder.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원격 무선 명령에 따라 상기 키조작모듈(1)을 제어하기 위하여 콘트롤러(45)를 구비한다. 콘트롤러(45)는 제어회로에 대한 PCB기판(47)과 키조작모듈(1)의 이동 범위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용 택트스위치(4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7)에 조립되는 커버(51)를 마련하고, 상기 콘트롤러(45)는 커버(51)내에 조립할 수 있다. 1 to 3 again, as can be see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45 for controlling the key operation module 1 according to a user's remote wireless command. The controller 45 includes a PCB board 47 for the control circuit and a tact switch 49 for calibration for the movement range of the key operation module 1 . A cover 51 assembled to the case 27 may be provided, and the controller 45 may be assembled in the cover 51 .

상기 콘트롤러(45)는 사용자의 원격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수신하면, 해당 버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자동차키(K)의 동작 버튼(B1~B4) 앞으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푸시바(17)를 이동시킨 후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푸시바(17)를 해당 버튼을 향해 돌출시켜 가압한다. The controller 45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wirelessly receive the user's remote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the smartphone together with the encryption key, and when receiving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the smartphone together with the encryption key, the corresponding button operation After moving the push bar 17 by controlling the moving means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s B1 to B4 of the car key K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he push bar 17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button by controlling the push bar driving means. Press it by pushing it toward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45)는 스텝모터(11)의 구동을 위한 스텝모터 콘트롤러(118)와, 자동차의 다른 전장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캔통신모듈(110)과, 오동작에 대한 경고 등을 알리는 부저(112)와, 전원이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엘이디(114)와, 상기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 모듈 기능을 하는 블루투스모듈(102)과,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120)와, 이들 모두를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콘트롤러유닛(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버모터(9)는 마이크로콘트롤러유닛(100)에서 직접 PWM제어할 수 있다. 7, the controller 45 includes a step motor controller 118 for driving the step motor 11, a CAN communication module 110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electric devices of the vehicle, and A buzzer 112 for notifying a warning, etc., an LED 114 for indicating power or operation status, a Bluetooth module 102 functioning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smart phone, an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120 and a microcontroller unit 100 capable of controlling all of them. The server motor 9 may be directly PWM controlled by the microcontroller unit 100 .

본 발명은 배터리(37)의 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7)에는 배터리(37)의 실장을 위한 배터리수용부(35)를 마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the power of the battery 37 .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35 for mounting the battery 37 may be provided in the case 27 .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배터리(37)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106)와 입력된 DC전압을 충전회로 입력전압에 맞게 조정하는 DC컨버터(10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106 for charging the battery 37 and a DC converter 108 for adjusting the input DC voltage to the charging circuit input voltage.

본 발명은 블루투스모듈(102)을 통하여 스마트폰 앱과 통신을 통하여, 자동차키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스텝모터(11)를 이용하여 푸시 대상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위치로 이동하여, 서보모터(9)로 푸시바(17)를 구동하여 버튼을 누르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보모터(9)는 스텝모터로 대체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ar key control comm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pp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02, and moves to the operation button position of the car key to be pushed by using the step motor 11, and the servo motor 9 ) to drive the push bar 17 and press the button. The servo motor 9 may be replaced with a step motor.

도 7에서 리미트 스위치는 키조작모듈(1)의 이동범위 캘리브레이션용 택트스위치이고, 오버로드 센서는 서버모터에 의한 푸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이다. 수평축 이동 범위 조정을 위하여, 전원 투입 직후, 제한된 작동범위를 넘어서 움직이지 않도록 캘리브레시션(calibration)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조작모듈(1)에는 리미터(25)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축으로 정해진 범위 초과시 상기 택트스위치(tact switch)(49)가 눌려지며, 마이크로콘트롤러유닛(100)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을 제한한다. 푸시바(17) 스트로크(푸시 압력) 조정을 위하여, 전원 투입 직후, 푸시바(17)의 작동이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서, 리모컨 키를 무리하게 누르지 않도록 캘리브레시션(calibration)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오버로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7, the limit switch is a tact switch for calibra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key operation module 1, and the overload sensor is a sensor for adjusting the push pressure by the server motor. To adjust the horizontal axis movement range, calibration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power is turned on so as not to move beyond the limited operating range.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4, a limiter 25 is provided in the key operation module 1, and the tact switch 49 is pressed when the range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axis is exceeded, and the microcontroller unit 100. detects this and limits its operation. In order to adjust the stroke (push pressure) of the push bar 17 , immediately after power is supplied, the operation of the push bar 17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nd calibration is performed so as not to forcefully press the remote control key. For this purpose, an overload sensor may be provided.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을 누르는 방법을 보여준다. 택트스위치(49)는 도 1에서 처럼 콘트롤러(45)에 접속부재에 의하여 부착되고 케이스(27)에 조립될 때 케이스의 내에 배치되지만, 도 8 내지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택트스위치(49) 및 이의 접속부재를 콘트롤러에서 분리하여 케이스(27)에 설치한 것처럼 도시하였다.8 to 15 show a method of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ar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ct switch 49 is attached to the controller 45 by a connection member as in FIG. 1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se when assembled to the case 27, but in FIGS. 8 to 15, the tact switch 49 and It is shown as if the connection member was separated from the controller and installed in the case 27 .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에서 도어록킹 버튼을 누르면, 본 발명은 실제 자동차키의 도어록킹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키조작모듈(1)을 자동차키의 도어록킹 버튼 앞으로 이동시킨 후 푸시바(17)를 돌출시켜 버튼을 누르고 복귀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에서 도어 언록킹 버튼을 누르면, 본 발명은 실제 자동차키의 도어 언록킹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키조작모듈(1)을 자동차키의 도어 언록킹 버튼 앞으로 이동시킨 후 푸시바(17)를 돌출시켜 버튼을 누르고 복귀한다. 도 12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에서 트렁크 언록킹 버튼을 누르면, 본 발명은 실제 자동차키의 트렁크 언록킹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키조작모듈(1)을 자동차키의 트렁크 언록킹 버튼 앞으로 이동시킨 후 푸시바(17)를 돌출시켜 버튼을 누르고 복귀한다. 도 14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에서 경적울림 버튼을 누르면, 본 발명은 실제 자동차키의 경적울림 버튼을 누르기 위하여 키조작모듈(1)을 자동차키의 경적울림 버튼 앞으로 이동시킨 후 푸시바(17)를 돌출시켜 버튼을 누르고 복귀한다. 8 and 9, when the user presses the door locking button in the smartphone app,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key operation module 1 in front of the door locking button of the car key in order to press the door locking button of the actual car key. After moving the push bar 17 to protrude, press the button and return. 10 and 11, when the user presses the door unlocking button in the smartphone app,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key operation module 1 to unlock the door of the car key to actually press the door unlocking button of the car key. After moving the locking button forward, the push bar 17 is protruded to press the button and return. 12 and 13, when the user presses the trunk unlocking button in the smartphone app,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key operation module 1 to unlock the trunk of the car key in order to actually press the trunk unlocking button of the car key. After moving the locking button forward, the push bar 17 is protruded to press the button and return. 14 and 15, when the user presses the horn sound button in the smartphone app,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key operation module 1 in front of the horn sound button of the car key in order to actually press the horn sound button of the car key. After moving the push bar 17 to protrude, press the button and return.

본 발명은 일반적인 볼륨형 자동차키나 카드형 자동차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카드형 자동차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홀도(39)의 구조를 변경한다. 또한, 버튼식 무선 키(remote keyless entry)나 버튼이 마련된 스마트키(passive start and entry)((이하, 버튼조작 자동차키라고 함)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제조사가 제공한 자동차키를 분해하여 OBD-II에 연결하거나, 자동차키 내부의 콘트롤러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자동차키에 어떤 변경도 가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여 자동차키의 공동 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a general volume-type car key or a card-type car key. In order to be applied to a card-type car key, the structure of the key hole diagram 39 is changed.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both a button-type wireless key (remote keyless entry) or a smart key provided with a button (passive start and ent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tton-operated car ke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key provided by a car manufacturer Disassemble and connect to OBD-II, or use it without changing the controller inside the car key,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ar key provided by the car manufacturer as it is without making any changes to prevent joint use of the car key. that made it possible

1 : 키조작모듈
3a,3b,3c : 프레임
5 : 가이드축
7 : 스크류축
9 : 스텝모터
10 : 고정부재
11 : 서보모터
12 : 가동블록
13 : 피니언
15 : 푸시바홀더
17 : 푸시바
19 : 레크부
21 : 복원스프링
23 : 구동축
25 :리미터
27 : 케이스
29 : 키조작모듈 수용부
31 : 키홀더 수용부
33 : 격벽
35 : 배터리 수용부
37 : 배터리
39 : 키홀더
41 : 키삽입부
43 : 버튼노출개구
45 : 콘트롤러
47 : PCB
49 : 택트스위치
51 : 커버
100 : 마이크로콘트롤러유닛
102 : 블루투스 모듈
104 : 안테나
106 : 충전회로
108 : DC컨버터
110 : 캔통신모듈
112 : 부저
114 : 엘이디
116 : 이동거리 및 압력조절부
118 : 서보모터 콘트롤러
1: key operation module
3a, 3b, 3c : frame
5: guide shaft
7: screw shaft
9: step motor
10: fixing member
11: servo motor
12: movable block
13 : pinion
15: push bar holder
17 : push bar
19: Recbu
21: restoration spring
23: drive shaft
25: limiter
27 : case
29: key operation module receiving part
31: key holder receiving part
33: bulkhead
35: battery receiving part
37: battery
39: key ring
41: key insertion part
43: button exposure opening
45: controller
47: PCB
49: tact switch
51 : cover
100: microcontroller unit
102: bluetooth module
104: antenna
106: charging circuit
108: DC converter
110: can communication module
112: buzzer
114: led
116: moving distance and pressure control unit
118: servo motor controller

Claims (5)

차량 제어를 위한 택트 스위치 동작 버튼이 외부에 다수 마련된 자동차키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에 마련되고 상기 동작 버튼을 가압할 수 있는 푸시바가 이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앞으로 수평 이동한 후 푸시바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키의 동작 버튼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도록 제어되는 키조작모듈;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버튼 조작 명령을 암호키와 함께 수신하면, 해당 버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버튼 앞으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푸시바를 이동시킨 후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푸시바를 해당 버튼을 향해 돌출시켜 가압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케이스 바닥에 고정되고 스크류축과 가이드축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가이드축에 결합되는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축과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부에는 상기 푸시바와 푸시바 구동수단이 고정되는 가동블록과,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상기 가동블록 및 이에 고정된 푸시바를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버튼 앞으로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푸시바 구동수단은 상기 가동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가동블록과 함께 이동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푸시바는 상기 서보모터에 고정된 푸시바홀더내에 상기 동작 버튼을 지향하도록 설치하고, 푸시바에는 상기 피니언에 치합하는 래크부를 마련하여 상기 피니언이 회전할 때 직진 돌출할 수 있게 하고, 푸시바의 후방에는 일단이 푸시바 후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푸시바홀더 후면 내벽에 고정된 복원스프링을 마련하여 서보모터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 돌출된 푸시바가 푸시바홀더 내로 복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
A case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a car ke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act switch operation buttons on the outside for vehicle control;
A push bar provided in the case and capable of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is controlled to selectively press one of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vehicle key by a push bar driving means after horizontally moving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ar key by a moving means a key oper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a smartphone together with an encryption key, and when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command from a smartphone together with an encryption key, moves in front of the opera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means to move the push bar and then controls the push bar driving means to protrude the push bar toward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press it; and
The 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 frame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e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screw shaft and the guide shaf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nut coupled to the screw shaft, and a through hole coupled to the guide shaft are screwed to the screw shaf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mmand to operate a movable block provid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which is slide-coupled with the guide shaft and to which the push bar and the push bar driving means are fixed at an upper portion, and rotates the screw shaft to operate the movable block and the push bar fixed thereto It consists of a stepper motor that moves along the screw axis in front of the button,
The push bar driving means comprises a servo motor fixed to the movable block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able block, and a pinion coupled to a drive shaft of the servo motor,
The push bar is installed to face the operation button in a push bar holder fixed to the servomotor, and a rack portion that meshes with the pinion is provided on the push bar to protrude straight when the pinion rotates, and the push bar A restoration spring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ush ba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ear inner wall of the push bar holder so that the protruding push bar can return to the push bar holder when the servo motor is stopped. A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 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작 명령과 암호키는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vice for remote operation of a car key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and the encryption key is transmitted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작 명령에는 적어도 도어 록킹 명령, 도어 언록킹 명령, 트렁크 언록킹 명령, 경적울림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차키 원격조작을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operation command includes at least a door locking command, a door unlocking command, a trunk unlocking command, and a horn sounding command.

KR1020200137293A 2020-10-22 2020-10-22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KR1024045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93A KR102404579B1 (en) 2020-10-22 2020-10-22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293A KR102404579B1 (en) 2020-10-22 2020-10-22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62A KR20220053162A (en) 2022-04-29
KR102404579B1 true KR102404579B1 (en) 2022-06-02

Family

ID=8142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293A KR102404579B1 (en) 2020-10-22 2020-10-22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7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59B1 (en) * 2016-11-04 2018-05-04 주식회사 티비씨 Remote door system using vehicle original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door control method
JP2019512630A (en) * 2016-04-01 2019-05-16 ワイ シェア エス アール エルY.Share S.r.l. Secure device for holding and sharing key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335A (en) 2010-02-22 2011-08-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key for vehic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10140023A (en) 2010-06-24 2011-12-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key using obd ii
KR20160063089A (en)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 서연전자 Vehicle System for connecting smart key and smart phone to Electronic Control Unit for vehicles
KR101653384B1 (en) 2014-12-17 2016-09-02 주식회사 유디테크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key for vehicles
KR20170028031A (en) 2015-09-03 2017-03-13 주식회사 소마테크 smart key controling system using bluetooth and OBD
KR101885226B1 (en) 2018-05-18 2018-08-03 주식회사 스페셜원 Commercial smart key compatible OBD-Ⅱ scanner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2630A (en) * 2016-04-01 2019-05-16 ワイ シェア エス アール エルY.Share S.r.l. Secure device for holding and sharing keys
KR101840259B1 (en) * 2016-11-04 2018-05-04 주식회사 티비씨 Remote door system using vehicle original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door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62A (en)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5475B1 (en) Electrical cylinder lock
EP1539545B1 (en) Driver authorisation system
WO2001025572A1 (en) Vehicle access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key and a valet mode of operation
US11340649B2 (en) Two button remote control actuator
GB2381034A (en) Latch arrangement
KR102190894B1 (en) Car management system
KR20080038313A (en) System for a keyless activation of a lock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JPH0771165A (en) Driven device for moving member of car
KR20150136526A (en) Electronic key
KR102404579B1 (en) Device for remote pushing buttons of car key by application of smart phone
EP2460147B1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CN114270003B (en) Storage box and vehicle rental system
DE102015103329A1 (en) Device for actuating a signal generator
EP2332788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equipment with prime mover
EP4186736A1 (en) Interface for vehicles charging sockets with integrated safety system
US8171764B2 (en) Electronic lock
JP4980845B2 (en) Electronic key with integrated telephone function
US11383674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security method
DE102007043973A1 (en) door fittings
US20080142349A1 (en) Programmable switch and method for programming the same
KR20220005706A (en) Device for pushing buttons of car key
CN220774818U (en) Vehicle-mounted electronic accessory
WO2012111005A1 (en) Device for emulating remote control for a vehicle and method of use
WO2023100456A1 (en) Electronic key operating device
CN209443950U (en) A kind of bottle electronic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