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429B1 -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429B1
KR102404429B1 KR1020200168454A KR20200168454A KR102404429B1 KR 102404429 B1 KR102404429 B1 KR 102404429B1 KR 1020200168454 A KR1020200168454 A KR 1020200168454A KR 20200168454 A KR20200168454 A KR 20200168454A KR 102404429 B1 KR102404429 B1 KR 10240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experiencer
level
item
physical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연국
김민준
채승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429B1/ko
Priority to PCT/KR2020/017685 priority patent/WO20221190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6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6Children, e.g. for attention deficit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은 a)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PLAY EXPERIENCE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LEVEL OF DIFFICULTY THEREOF}
본 발명은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놀이 형태의 재미와 흥미를 일으킬 수 있고 개인맞춤형 난이도 제공이 가능하며, 측정된 체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아동별 신체발달 상태에 따른 난이도 기준을 정하고, 난이도에 따라 체험기구물을 실시간으로 가변화시킬 수 있는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동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아동의 신체발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놀이 체험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놀이 체험 시스템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복수의 체험기구가 코스 형태로 연결되어 체험자인 아동의 신체발달 상태를 획득할 수 있는 특허문헌 1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체험실 각각의 통과 시간을 조절하거나, 터치 센서의 버튼을 터치하는 시간 또는 횟수를 조절하거나, 복수의 체험실 각각에 제공되는 놀이 컨텐츠에 변화를 주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은 기본적으로 통과 시간의 조절 및/또는 버튼 터치의 시간 또는 횟수와 같은 각각의 체험실을 통과하기 위한 규칙 변경에 한정되어 있거나, 각각의 체험실에 제공되는 놀이 컨텐츠에 변화를 주는 것과 같이 관리자가 직접 체험실에 구비되어 있는 장치를 실질적으로 새로운 장치로 변경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은 체험자의 재미와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고,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36168호 (공고일:2020.07.22.)
본 발명의 목적은 체험자의 재미와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면서 난이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신체발달 항목에 특화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은 a)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특징에 따르면, 놀이 체험 시스템은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놀이 형식의 체험을 제공하는 복수의 체험기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가지는 감지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 기구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체험자의 재미와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면서 난이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2. 각각의 신체발달 항목에 특화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복수의 체험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복수의 체험기구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제1 체험기구(100a)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2 체험기구(100b)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제3 체험기구(100c)의 사시도이고, 도 2d는 제4 체험기구(100d)의 사시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a에 표시된 도면부호 '410', '420', 도 2c에 표시된 도면부호 '430', 및 도 2d에 표시된 도면부호 '440'에 의해 가리켜지는 점선 영역은, 각각, 기구물에 의해 가려져 보여지지 않는 외나무 다리 회전용 모터(410), 볼 이동용 모터(420, 430), 손잡이 이동용 모터(440)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d에 표시된 도면부호 '310' 내지 '390'에 의해 가리켜지는 점선 영역은, 각각, 제1 센서부(310) 내지 제9 센서부(390)가 위치하는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3b는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센서부별 측정정보가 도 3b의 상관표에 의해 변환되어 도출된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에 기재된 번호 '1', '2', '3', '4', '5', '6', '7', '8', 및 '9'는 각각 제1 센서부(310), 제2 센서부(320), 제3 센서부(330), 제4 센서부(340), 제5 센서부(350), 제6 센서부(360), 제7 센서부(370), 제8 센서부(380), 및 제9 센서부(390)를 나타낸다.
먼저,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10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놀이 체험 시스템(1000)은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 표시 장치(200), 감지 장치(300), 구동 장치(400), 및 제어 장치(600)를 포함한다. 또한, 놀이 체험 시스템(1000)은 저장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는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놀이 형식의 체험을 제공하는 기구이다. 복수의 체험기구(100a ~100d)는 체험자가 각각의 체험기구(100a ~100d)를 순서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나의 코스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는 도 1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체험기구(100a ~ 100d)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체험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 체험기구(100a ~ 100d)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체험기구(100a)는 제1 체험기구(100a)를 형성하는 기구물에 해당하는 출발 계단(100a3), 도착 계단(100a4), 외나무 다리(100a1), 볼(100a2), 및 지지부(100a5)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 계단(100a3) 및 도착 계단(100a4)은 각각 외나무 다리(100a1)의 일단과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나무 다리(100a1)는 출발 계단(100a3)과 도착 계단(100a4)을 서로 잇도록 배치되며, 외나무 다리(100a1)의 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회전 각도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번갈아 회전할 수 있다. 볼(100a2)은 외나무 다리(100a1) 위에 배치되며, 좌우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00a5)는 볼(100a2)이 외나무 다리(100a1) 위에 배치되도록 볼(100a2)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체험자는 장애물에 해당하는 움직이는 볼(100a2)을 피하면서 외나무 다리(100a1)를 건너는 방식으로 제1 체험기구(100a)를 체험할 수 있다.
제2 체험기구(100b)는 제2 체험기구(100b)를 형성하는 기구물에 해당하는 복수의 기둥(100b1), 및 복수의 기둥(100b1)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100b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둥(100b1)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I2)로부터 출구(O2)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달라지도록 체험자가 제2 체험기구(100b)를 통과하는 경로(입구(I2)로부터 출구(O2)를 향하는 경로)의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험자는 문제 제시용 표시판(220)을 통해 문제가 제시되면, 복수의 기둥(100b1)에 형성된 보기 표시판(230)에 표시된 복수의 보기 중 정답인 보기에 대응하는 기둥(100b1)의 버튼(100b2)을 터치하거나 누름으로써 복수의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제2 체험기구(100b)를 체험할 수 있다.
제3 체험기구(100c)는 제3 체험기구(100c)를 형성하는 기구물에 해당하는 복수의 디딤 발판(250), 볼(100c1), 및 지지부(100c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딤 발판(250)은,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딤 발판(250)은 입구(I3) 쪽으로부터 출구(O3)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볼(100c1)은 복수의 디딤 발판(250)보다 출구(O3) 쪽에 배치되며, 전후 방향 및/또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00c3)는 볼(100c1)이 이동 가능하게 공중에 위치하도록 볼(100c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체험자는 복수의 디딤 발판(100c2)에 형성된 디딤 발판 등(250)의 점등 패턴을 따라 디딤 발판(100c2)을 디딘 후, 볼(100c1)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제3 체험기구(100c)를 체험할 수 있다.
제4 체험기구(100d)는 제4 체험기구(100d)를 형성하는 기구물에 해당하는 손잡이(100d1), 지지부(100d2), 제1 착지 발판(100d3), 및 제2 착지 발판(100d4)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00d1)는 체험자가 잡고 매달릴 수 있도록 지지부(100d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손잡이(100d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착지 발판(100d3) 및 제2 착지 발판(100d4)은, 위에서 봤을 때, 손잡이(100d1)와 출구(O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착지 발판(1004d)이 제1 착지 발판(100d3)보다 출구(O4)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체험자는, 손잡이(100d1)를 잡은 후, 신체에 반동을 주어 착지 발판 등(260a, 260b)의 점등에 따라 제1 착지 발판(100d3) 또는 제2 착지 발판(100d4)에 착지하는 방식으로 제4 체험기구(100d)를 체험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0)는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표시 장치(200)는 복수의 출발/도착 신호 등(210a ~ 210d), 문제 제시용 표시판(220), 보기 표시판(230), 터치/누름 알림 등(240), 디딤 발판 등(250), 제1 착지 발판 등(260a), 및 제2 착지 발판 등(260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출발/도착 신호 등(210a ~ 210d)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험기구(100a ~ 100d)의 입구(I1~I4) 및 출구(O1~O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체험자가 입구(I1~I4)로부터 출발하도록 지시하고 체험자가 출구(O1~O4)에 도착하였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문제 제시용 표시판(220)은 체험자가 풀어야 할 문제를 제시하는 표시판이다. 보기 표시판(230)은 문제 제시용 표시판(220)을 통해 제시된 문제의 보기를 표시하는 표시판이다. 터치/누름 알림 등(240)은 체험자가 버튼(100b2)을 터치하거나 눌렀을 때 점등됨으로써 체험자의 버튼(100b2)에 대한 터치 또는 누름을 알리는 등이다. 디딤 발판 등(250)은 복수의 디딤 발판(100c2) 중 체험자가 디뎌야 할 디딤 발판(100c2)을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에 의해 표시하는 등이다. 제1 착지 발판 등(260a) 및 제2 착지 발판 등(260b)은 체험자가 착지 해야 할 착지 발판(260a, 260b) 및 착지 위치를 점등에 의해 표시하는 등이다.
감지 장치(300)는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에 설치되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310 ~ 390)를 가지는 구성요소이다. 복수의 센서부(310 ~ 390)는 도 1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센서부(310 ~ 390)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내지 8개 또는 10개 이상의 센서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센서부(310) 및 제2 센서부(320)는,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험기구(100a)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센서부(310)는 체험자가 외나무 다리(100a1)를 지나 도착 계단(100a4)에 도착하였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감압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부(320)는 충격 감지 센서(320a) 및 출발/도착 감지 센서(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320a)는 볼(100a2)이 체험자와 부딪힘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출발/도착 감지 센서(320b)는 체험자가 입구(I1)에서 출발함을 감지하거나 체험자가 출구(O1)에 도착하였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3 센서부(330) 및 제4 센서부(340)는,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험기구(100b)에 제공될 수 있다. 제3 센서부(330)는 체험자의 버튼(100b2)에 대한 터치 또는 누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터치 센서 또는 압력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제4 센서부(340)는 체험자가 입구(I2)에서 출발함을 감지하거나 체험자가 출구(O2)에 도착하였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5 센서부(350), 제6 센서부(360), 및 제9 센서부(390)는,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험기구(100c)에 제공될 수 있다. 제5 센서부(350)는 체험자가 볼(100c1)을 터치함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제6 센서부(360)는 체험자가 디딤 발판(100c2)을 디딤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압력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제9 센서부(390)는 체험자가 입구(I3)에서 출발함을 감지하거나 체험자가 출구(O2)에 도착하였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7 센서부(370) 및 제8 센서부(380)는,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체험기구(100d)에 제공될 수 있다. 제7 센서부(370)는 제1 착지 감지 센서(370a) 및 제2 착지 감지 센서(3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지 감지 센서(370a)는 체험자가 제1 착지 발판(100d3)에 착지하였는지 여부 및 착지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착지 감지 센서(370b)는 체험자가 제2 착지 발판(100d4)에 착지하였는지 여부 및 착지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8 센서부(380)는 손잡이 터치 센서(380a) 및 출발/도착 감지 센서(380b)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터치 센서(380a)는 체험자가 손잡이(100d1)를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발/도착 감지 센서(380b)는 체험자가 입구(I4)에서 출발함을 감지하거나 체험자가 출구(O4)에 도착하였음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구동 장치(400)는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체험기구(100a ~ 100d)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킴"은 "기구물의 정적인 위치를 변화시킴" 및/또는 "기구물의 동적인 위치를 변화시킴"을 의미한다. "기구물의 정적인 위치"는 기구물의 높이 및/또는 2차원 평면에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기구물의 동적인 위치"는 기구물이 움직이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400)는, 도 2a,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나무 다리 회전용 모터(410), 하나 이상의 볼 이동용 모터(420, 430), 및 손잡이 이동용 모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나무 다리 회전용 모터(410)는 외나무 다리(100a1)를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에서 외나무 다리(100a1)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킬 수 있다. 볼 이동용 모터(420, 430)은 각각 볼(100a2, 100c1)의 정적인 위치 및/또는 동적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볼 이동용 모터(420, 430)는 모터 축을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및/또는 모터 축을 회전 이동시키는 회전 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 이동용 모터(440)는 손잡이(100d1)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제어 장치(600)는 복수의 센서부(310 ~ 390)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이하, 간단히 '상관표'라고도 칭함)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센서부(310 ~ 39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600)는 제1 내지 제9 센서부(310 ~ 390)로부터 센서부별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600)가 수신한 센서부별 측정정보는 정규화되지 않은 원시 데이터일 수 있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600)는 이러한 원시 데이터를 정규화된 센서부별 측정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정규화된 센서부별 측정정보'는 각각의 센서부(310 ~ 390)로부터 측정된 복수의 측정정보에 대하여 평균값을 0으로 변환하고 표준 편차를 1로 변환하였을 때 도출되는 센서부별 측정정보일 수 있다. 제어 장치(600)는, 체험자의 정규화된 측정정보를, 도 3b에 도시된 제1 내지 제9 센서부(310 ~ 390)와 8종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도 3c에 도시된 8종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과정은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4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1
수학식 1에서, A는 센서부별 측정정보 행렬이고, a1, a2, ..., am은 각각 제1 센서부의 정규화된 측정정보, 제2 센서부의 정규화된 측정정보, ..., 제m 센서부의 정규화된 측정정보이다.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2
수학식 2에서, B는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에 대응하는 변환 상관 행렬이고, b11, ..., b1n, ..., bm1, ..., bmn은 각각 제1 센서부와 제1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 ..., 제1 센서부와 제n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 ..., 제m 센서부와 제1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 ..., 제m 센서부와 제n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이다.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3
수학식 3에서, C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행렬이고, c1, c2, ..., cn은 각각 체험자의 제1 신체발달 항목의 수준, 제2 신체발달 항목의 수준, ..., 제n 신체발달 항목의 수준이다.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4
수학식 4로 표현된 바와 같이,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행렬 C는 센서부별 측정정보 행렬 A를 변환 상관 행렬 B에 곱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600)는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00)의 동작, 체험기구(100a ~ 100d)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400)의 동작, 및 체험기구(100a ~ 100d)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체험기구(100a ~ 100d)의 통과 조건은, 예를 들어, 각각의 체험기구(100a ~ 100d)를 통과하기 위한 미션 수행과 관련된 실패 횟수의 상한 및/또는 제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600)의 제어는 이하에서 기술될 놀이 체험 시스템(1000)의 난이도 조절 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저장 장치(500)는 복수의 센서부(310 ~ 390)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저장 장치(500)는 각각의 체험자에 대한 복수의 센서부별 측정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정규화된 센서부별 측정정보'는 저장 장치(500)에 저장된 복수의 센서부별 측정정보(복수의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놀이 체험 시스템(1000)의 난이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710에서, 감지 장치(300)는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310 ~ 390)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단계 720에서, 제어 장치(600)는 복수의 센서부(310 ~ 390)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센서부(310 ~ 39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9 센서부(310 ~ 39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의 정규화된 측정정보에 관한 센서부별 측정정보 행렬 A와, 상관표에 대응하는 변환 상관 행렬 B의 곱을 통해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행렬 C를 도출함으로써,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즉, 체험자의 근력에 관한 수준, 체험자의 근지구력에 관한 수준, 체험자의 민첩성에 관한 수준, 체험자의 순발력에 관한 수준, 체험자의 유연성에 관한 수준, 체험자의 평형성에 관한 수준, 체험자의 심폐 지구력에 관한 수준, 및 체험자의 신체조성에 관한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제어 장치(600)는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중에 체험기구(100a ~ 100d)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 장치(600)는,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중에 체험기구(100a ~ 100d)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이 없다고 판단하면, 난이도를 조절하지 않고 종료한다. 제어 장치(600)가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중에 체험기구(100a ~ 100d)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이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 740에서,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3c를 참조하면, 먼저,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은 0.00 ~ 2.00의 수치 범위 내의 값으로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0.00 ~ 0.70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은 레벨 1에 대응하고, 0.71 ~ 1.40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은 레벨 2에 대응하며, 1.41 ~ 2.00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은 레벨 3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체험기구(100a ~ 100d)의 현재 난이도는 레벨 2라고 가정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상관도'는 '0.37'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도 3c에 도시된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중에 체험기구(100a ~ 100d)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은 1.72의 수준을 갖는 '평형성', 및 0.63의 수준을 갖는 '심폐 지구력'이다. 이에 따라, 도 3b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 '평형성'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0.37'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로서 제1 센서부(310), 제6 센서부(360), 및 제7 센서부(370)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없다고 판단하면, 난이도를 조절하지 않고 종료한다. 제어 장치(600)가 대상 신체발달 항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 750에서, 제어 장치(600)는 대상 센서부가 대상 신체발달 항목 이외에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갖는 신체발달 항목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장치(600)가 대상 신체발달 항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 750을 수행하지 않고,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 중 대상 센서부가 제공되는 체험기구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 '심폐 지구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0.37'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없다고 판단하고, 난이도를 조절하지 않고 종료한다. 또한,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 '평형성'에 대하여 대상 센서부인 제1 및 제6 센서부(310, 360)가 '평형성' 이외에 미리 정해진 상관도 '0.37'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신체발달 항목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 '평형성'에 대하여 대상 센서부인 제7 센서부(370)가 '평형성' 이외에 미리 정해진 상관도 '0.37' 이상의 상관도 '0.37'을 가지는 신체발달 항목 '유연성'을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600)는, 대상 센서부가 대상 신체발달 항목 이외에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신체발달 항목을 가진다고 판단하면, 난이도를 조절하지 않고 종료한다. 제어 장치(600)는, 대상 센서부가 대상 신체발달 항목 이외에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신체발달 항목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단계 760에서, 제어 장치(600)는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00)의 동작, 체험기구(100a ~ 100d)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400)의 동작, 및 체험 기구(100a ~ 100d)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600)는 복수의 체험기구(100a ~100d) 중 대상 센서부가 제공되는 체험기구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760에서, 제어 장치(600)는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구동 장치(40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체험기구(110a ~100d)의 기구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 또는 "기구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화시킴"은, 각각, 관리자의 인위적인 개입 없이, 체험자의 항목별 수준이 판단되기만 하면 바로 구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기구물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600)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 '평형성' 이외에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신체발달 항목이 없는 대상 센서부인, 제1 및 제6 센서부(310, 360)가 제공되는 제1 체험기구(100a) 및 제3 체험기구(100c)에 대해서만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표 1은 제1 체험기구(100a)에 대한 난이도 조절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고, 표 2는 제2 체험기구(100b)에 대한 난이도 조절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며, 표 3은 제3 체험기구(100c)에 대한 난이도 조절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고, 표 4는 제4 체험기구(100d)에 대한 난이도 조절의 일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5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6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7
Figure 112020131541887-pat00008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c와 표 1 및 표 3을 참조하여, 제어 장치(600)는 제1 센서부(310)와 관련된 제1 체험기구(100a)에 제공되는 구동 장치(400)의 외나무 다리 회전용 모터(4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1 체험기구(100a)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600)는 제6 센서부(360)와 관련된 제3 체험기구(100c)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200)의 디딤 발판 등(2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3 체험기구(100c)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특징에 따르면, 놀이 체험 시스템(1000)의 난이도 조절 방법은 a)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310 ~ 390)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센서부(310 ~ 390)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310 ~ 390)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00)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100a ~ 100d)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400)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100a ~ 100d)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100a ~ 100d)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체험자의 재미와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면서 난이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신체발달 항목에 특화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a: 제1 체험기구 100a1: 외나무 다리
100a2, 100c1: 볼 100d1: 손잡이
100b: 제2 체험기구 100c: 제3 체험기구
100d: 제4 체험기구
200: 표시 장치 210a ~ 210d: 출발/도착 신호 등
220: 문제 제시용 표시판 230: 보기 표시판
240: 터치/누름 알림 등 250: 디딤 발판 등
260a, 260b: 착지 발판 등
300: 감지 장치 310: 제1 센서부
320: 제2 센서부 320a: 충격 감지 센서
320b, 380b: 출발/도착 감지 센서 330: 제3 센서부
340: 제4 센서부 350: 제5 센서부
360: 제6 센서부 370: 제7 센서부
370a, 370b: 착지 감지 센서 380: 제8 센서부
380a: 손잡이 터치 센서 390: 제9 센서부
400: 구동 장치 410: 외나무 다리 회전용 모터
420, 430: 볼 이동용 모터 440: 손잡이 이동용 모터
500: 저장 장치
600: 제어 장치
1000: 놀이 체험 시스템

Claims (14)

  1.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중에 상기 체험기구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
  2. 삭제
  3.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이 상기 체험기구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c1)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다고 판단되면, c2) 상기 대상 센서부가 상기 대상 신체발달 항목 이외에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갖는 신체발달 항목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상기 대상 센서부가 제공되는 체험기구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대상 센서부가 상기 대상 신체발달 항목 이외에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갖는 신체발달 항목을 가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상기 대상 센서부가 제공되는 체험기구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
  7.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부에 의해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의 난이도 조절 방법.
  8. 놀이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놀이 형식의 체험을 제공하는 복수의 체험기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가지는 감지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 기구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 중에 상기 체험기구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표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
  10. 삭제
  11. 놀이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놀이 형식의 체험을 제공하는 복수의 체험기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가지는 감지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 기구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이 상기 체험기구의 현재 난이도에 대응하는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의 범위 밖에 있는 대상 신체발달 항목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센서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상 센서부가 상기 대상 신체발달 항목 이외에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갖는 신체발달 항목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상관도 이상의 상관도를 가지는 대상 센서부가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상기 대상 센서부가 제공되는 체험기구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
  14. 놀이 체험 시스템에 있어서,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놀이 형식의 체험을 제공하는 복수의 체험기구;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를 가지는 감지 장치;
    상기 복수의 체험 기구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센서부와 복수의 신체발달 항목 간의 상관도에 관한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체험자의 센서부별 측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고, 상기 상관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체험기구 중 하나 이상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체험자에게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동작,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동 장치의 동작, 및 상기 체험기구의 통과 조건의 설정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체험자의 신체발달 항목별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체험기구의 기구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체험 시스템.
KR1020200168454A 2020-12-04 2020-12-04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KR102404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54A KR102404429B1 (ko) 2020-12-04 2020-12-04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PCT/KR2020/017685 WO2022119025A1 (ko) 2020-12-04 2020-12-04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54A KR102404429B1 (ko) 2020-12-04 2020-12-04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429B1 true KR102404429B1 (ko) 2022-06-08

Family

ID=8185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454A KR102404429B1 (ko) 2020-12-04 2020-12-04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4429B1 (ko)
WO (1) WO20221190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65B1 (ko) * 2001-06-12 2005-01-15 주식회사 코디소프트 게임을 이용한 자동체력평가운동방법
US20190314682A1 (en) * 2014-08-21 2019-10-17 Myotest S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physical exercises
KR102058650B1 (ko) * 2018-02-02 2019-12-23 김성하 아동(kids) 성장발달을 위한 메디스포테인먼트(Medi-Sportainment) 체력측정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KR102116336B1 (ko) * 2018-06-29 2020-05-28 이효택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KR102136168B1 (ko) 2019-12-10 2020-07-22 전자부품연구원 놀이체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체발달상태 획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65B1 (ko) * 2001-06-12 2005-01-15 주식회사 코디소프트 게임을 이용한 자동체력평가운동방법
US20190314682A1 (en) * 2014-08-21 2019-10-17 Myotest S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physical exercises
KR102058650B1 (ko) * 2018-02-02 2019-12-23 김성하 아동(kids) 성장발달을 위한 메디스포테인먼트(Medi-Sportainment) 체력측정 및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KR102116336B1 (ko) * 2018-06-29 2020-05-28 이효택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KR102136168B1 (ko) 2019-12-10 2020-07-22 전자부품연구원 놀이체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체발달상태 획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025A1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2294B1 (en) Functional postural training machine
CN106448277B (zh) 基于交互式岩壁的模拟攀岩学习系统及方法
US8241186B2 (en) Interactive exercise devices
EP2334387B1 (en) Exercise apparatus
KR100483857B1 (ko)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US11452918B2 (en) Balance train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180172A1 (en) Stabilometer and postural stability evaluating method
KR102404429B1 (ko) 놀이 체험 시스템 및 이의 난이도 조절 방법
KR101999717B1 (ko) 격자형 압력센서를 이용한 골프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JP4991224B2 (ja) 体力判定装置
US11058917B1 (en) Exercise machine for form training system
KR101766226B1 (ko) 게임 시뮬레이터
KR101368637B1 (ko) 체중지지면적의 능동적 조정을 통한 재활환자의 균형 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균형감각 훈련방법
KR101854129B1 (ko) 가상현실 휘트니스 시스템 구동방법
KR101943951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KR102546610B1 (ko)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
KR20200070553A (ko) 가상트레이너와 함께하는 컨텐츠 제공방법
KR200384507Y1 (ko) 민첩성 및 순발력측정 장치
KR20210087381A (ko) 교육용 골드버그 장치
JP2022064446A (ja) 下半身トレーニング装置
SG178706A1 (en) Interactive exercise devices
JP2018102594A (ja) 運動機能評価装置
KR20240078271A (ko) 줄다리기 경쟁을 제공하는 실내용 자전거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JP2005046535A (ja) 重心動揺計測装置
KR20190020352A (ko) 무빙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