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51B1 -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51B1
KR101943951B1 KR1020160173929A KR20160173929A KR101943951B1 KR 101943951 B1 KR101943951 B1 KR 101943951B1 KR 1020160173929 A KR1020160173929 A KR 1020160173929A KR 20160173929 A KR20160173929 A KR 20160173929A KR 101943951 B1 KR101943951 B1 KR 101943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alue
modules
self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110A (ko
Inventor
정광욱
Original Assignee
(주)맨엔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맨엔텔 filed Critical (주)맨엔텔
Priority to KR102016017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9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하지 근력 및 균형능력 평가장치와 하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의 불량 발생 시 크고 무거운 장치를 이동하지 않고 현장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진단하고 불량 발판 모듈을 찾아내어 쉽게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 및 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은 하지 근력의 평가 및 운동이 이루어지는 스테이지 프레임 상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된 구역별로 배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를 구비한 복수개의 발판 모듈을 포함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에서 각각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의 측정 완료 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전체의 측정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각각의 측정값과 상기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정 값 이내를 벗어나면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muscular strength measuring apparatus having self diagnostic function of weight error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용 하지 근력 및 균형능력 평가장치와 하지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의 불량 발생 시 크고 무거운 장치를 이동하지 않고 현장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진단하고 불량 발판 모듈을 찾아내어 쉽게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 및 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하는 구가연구개발 사업(휴먼케어콘텐츠 개발 사업)에 따른 "근력강화와 인지능력 및 균형능력 향상 콘텐츠가 결합된 휴먼케어 시스템 개발" 연구과제의 결과물임- 주관기관 : (주)맨엔텔, 연구기간 : 2015.07.01. ~ 2016.03.31).
일반적으로, 나이가 65세 이상인 노인이나 뇌졸중과 같은 질병에 의한 환자 그리고 교통사고와 같이 다친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의 근력을 강화하고 재활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노인은 하지 근력과 균형능력이 떨어지면 낙상을 하게 되고 그로부터 많은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환자의 경우 불편한 다리에 근력을 키우고 구부리는 훈련을 통하여 균형능력을 키워주면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해 진다. 이런 대상군을 훈련시키거나 치료하는 장치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과 컴퓨터가 결합된 시스템으로, 사이즈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설치와 이동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발판의 경우 사이즈가 크고 무거워서 이동과 설치 및 유지보수에 비용이 많이 들어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를 수리목적으로 제조사에 다시 보내거나 아니면 수리 엔지니어가 직접 먼 거리에 있는 고객을 일정을 정하여 방문하고 수리해야 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2-009531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게를 측정하게 되는 모듈의 불량 여부를 자가진단모드로 확인하고 불량 발판 모듈만을 주문하여 이를 직접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지 근력의 평가 및 운동이 이루어지는 스테이지 프레임 상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된 구역별로 배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를 구비한 복수개의 발판 모듈을 포함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에서 각각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의 측정 완료 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전체의 측정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각각의 측정값과 상기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정 값 이내를 벗어나면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하나의 발판 모듈에서의 측정값이 예를 들어 평균값 기준으로 ±30% 범위 이내이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면, 상기 평균값의 0.7배 이하이거나 1.3배 이상인 경우 그 발판 모듈을 불량 발판 모듈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 범위는 상품화시 제품과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정되면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보정모드를 사용할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정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평균값과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된 불량모듈 측정값의 차이를 오차값으로 하고,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실제 측정된 측정값에 상기 오차값을 더하여 보정된 보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정값을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으로 대체하여 하지 근력 평가 및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에게 자가진단모드를 실행할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각각에 복수개의 무게센서가 설치된 경우 하나의 발판 모듈에 포함된 복수개의 무게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을 평균하여 그 발판 모듈의 측정값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단계에서 각 모듈의 측정은 사용자가 모듈의 중앙에 위치하고 또 바른 자세로 서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대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하중을 바닥면으로 전달하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스테이지 프레임;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 상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되고, 구역별로 배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판 모듈;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에서 각각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의 측정 완료 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전체의 측정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각각의 측정값과 상기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정 값 이내를 벗어나면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자가진단 모드를 통하여 고장 난 불량 발판 모듈을 확인하고 그 부분만을 주문하여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AS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와 수리비용 절감효과를 제공한다.
(2) 본 발명은 자가진단 모드에서 발견된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되는 무게값을 보정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보정보드가 가능하여 불량 발판 모듈 교체 전까지도 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스테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발판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발판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부(10),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부(1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스테이지 프레임(20), 복수개의 발판 모듈(30), 그리고 난간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10)은 사용자의 하중을 바닥면으로 전달하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20)은 사용자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면서, 사용자가 하지 근력 평가, 운동, 게임 등을 진행할 때 활동영역을 한정하게 된다.
또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20)은 사용자의 상기 발판 부재(30)와 상기 난간 프레임(40)을 지지하게 되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20)은 일정한 강도 이상의 재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 모듈(3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20) 상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된 구역별로 배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 모듈(30)은 상기 스테이지 프레임(20)을 9개로 구획하도록 9개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발판 모듈(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발판 모듈(30) 하나에는 총 4개의 무게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 모듈(30)의 형태는 얇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마다 무게센서(32)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며, 각 무게센서(32)는 역시 발판 모듈(30) 하나당 설치된 PCB(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된 하중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발판 모듈(30)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지지대(31)가 구비되어 측면 벽과 함께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발판 모듈(30)도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스틸 재질 등의 금속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상부에는 LED 모니터인 디스플레이(60)가 설치되어 있고, 그 디스플레이(60)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 케이스(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0)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할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60)에는 사용자가 해야 할 동작을 지시하거나 현재 하고 있는 동작의 평가나 점수 네뮤, 게임화면 등을 표시하게 된다. 그 일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받침 케이스(90) 내부에는 전장 부품 등이 내장된다. 즉 전력공급부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이 내장되며, 컴퓨팅 시스템은 상기 받침 케이스(90)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상기 발판 모듈(30)들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취합하고 연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60)로 출력하는 제어부(1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에서 각각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의 측정 완료 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 전체의 측정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 각각의 측정값과 상기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정 값 이내를 벗어나면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게 된다.
또, 상기 받침 케이스(90) 내부에는 스피커(70)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빠르게 음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선이든 무선이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는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유선케이블을 사용하여 발판 모듈(30)과 제어부(100)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에서 취합된 무게에 대한 정보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10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60)와 스피커(7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또, 상기 받침 케이스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동작센서(8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사람이 제대로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는 사용자가 발판 모듈(30) 위에 서서 두 다리를 이용하여 9개의 발판 모듈(30)을 밟으며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로 런지운동, 스쿼드 운동, 한쪽 다리로 서기 운동 등이 가능하다.
또, 모든 운동은 게임 콘텐츠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60)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면서 한다.
이때, 게임은 치료와 하지 근력과 균형감각 향상 및 게임을 통한 인지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전문가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때, 게임의 시작과 순서는 디스플레이(60) 화면에서 프로그램 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게임은 사용자의 발판 모듈(30)에 다리를 옮기는 상황에 따라 센싱된 값이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30)와 연결되어 화면에 나타난다.
여기서, 게임결과는 점수로 나타난다. 게임은 발판 모듈(30)의 9개 모듈 센서가 고장이 나서 무게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게임과 운동에 문제가 생긴다. 발판 모듈(30)이 하나라도 무게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면 게임이 안 되며 수리가 필요해 진다.
수리를 위해서는 제품 전체를 제조사나 A/S센터로 이동해야 하지만 거리가 멀거나 해외 판매의 경우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수리에 시간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 자가진단을 통하여 고장 난 발판 모듈(30)을 구별해 내고, 그 발판 모듈(30)만을 주문하여 사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교체하면 된다.
고장 난 발판 모듈(30)을 교체할 동안에도 제어부(100)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보정모드를 사용하여 장치의 사용은 계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은 하지 근력의 평가 및 운동이 이루어지는 스테이지 프레임(20) 상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된 구역별로 배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32)를 구비한 복수개의 발판 모듈(30)을 포함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를 자가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에서 각각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의 측정 완료 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 전체의 측정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 각각의 측정값과 상기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정 값 이내를 벗어나면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에게 자가진단모드를 실행할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자가진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것이다.
이때, 상기 측정단계에서 동작센서(80)가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서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대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측정값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하나의 발판 모듈(30)에서의 측정값이 상기 평균값의 0.7배 이하이거나 1.3배 이상인 경우 그 발판 모듈(30)을 불량 발판 모듈로 판정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30%를 기준으로 하여 그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게 되는 값은 각종 실험이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정되면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60)에 표시된다. 즉 상기 발판 모듈(30)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서 불량 발판 모듈을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점등하도록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보정모드를 사용할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평균값과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된 불량모듈 측정값의 차이를 오차값(d)으로 하고,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실제 측정된 측정값에 상기 오차값(d)을 더하여 보정된 보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정값을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으로 대체하여 하지 근력 평가 및 운동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30) 각각에 복수개의 무게센서(32)가 설치된 경우 하나의 발판 모듈(30)에 포함된 복수개의 무게센서(32)에서 감지되는 값을 한성하여 그 발판 모듈(30)의 측정값으로 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장치를 사용할 때, 게임 동작에 이상한 점을 느끼게 되면 자가진단모드를 수행해 본다.
이때, 사용자가 각각의 발판 모듈(30) 상부 중앙의 위치에 올라가 서 있는 자세를 취하면 그 측정된 무게는 저장되고, 이를 모든 발판 모듈(30)에 대하여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판 모듈(30)이 9개이기 때문에 각 모듈마다 한번씩 측정하여 총 9번 측정을 실시한다.
상기 발판 모듈(30)의 측정값들은 측정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10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9개 모듈의 산술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불량 발판 모듈을 찾아낸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40)를 통하여 불량 발판 모듈이 발견되었는지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만약 발견되었으면, 그 불량 발판 모듈을 역시 화면으로 출력한다.
그 다음 선택적으로, 보정모드를 사용할지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보정모드 사용이 입력되면 보정값을 계산한 다음 그 값으로 장치의 평가, 운동,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새로운 발판 모듈이 도착하면 그 불량 발판 모듈만을 분해하여 새것으로 교환한다.
물론, 교환 후에는 보정모드를 취소시키고, 선택적으로 다시 자가진단모드를 실행하여 새로운 발판 모듈이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스테이지부
20 : 스테이지 30 : 발판 모듈
31 : 지지대 32 : 무게센서
33 : PCB 40 : 난간 프레임
50 : 디스플레이부 60 : 디스플레이
70 : 스피커 80 : 동작센서
90 : 받침 케이스 100 : 제어부

Claims (9)

  1. 하지 근력의 평가 및 운동이 이루어지는 스테이지 프레임 상부에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되고 구역별로 배치 고정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센서를 구비한 복수개의 발판 모듈을 포함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에서 각각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의 측정 완료 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전체의 측정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각각의 측정값과 상기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정 값 이내를 벗어나면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하나의 발판 모듈에서의 측정값이 상기 평균값의 0.7배 이하이거나 1.3배 이상인 경우 그 발판 모듈을 불량 발판 모듈로 판정하고,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불량 발판 모듈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보정모드를 사용할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정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평균값과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된 불량모듈 측정값의 차이를 오차값으로 하고,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실제 측정된 측정값에 상기 오차값을 더하여 보정된 보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정값을 상기 불량 발판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으로 대체하여 하지 근력 평가 및 운동을 진행하며,
    상기 측정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발판모듈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된 동작센서가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서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대로 이루어진 경우에만 측정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발판 모듈로 판정되면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 전, 사용자에게 자가진단모드를 실행할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판 모듈 각각에 복수개의 무게센서가 설치된 경우 하나의 발판 모듈에 포함된 복수개의 무게센서에서 감지되는 값을 평균하여 그 발판 모듈의 측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의 자가진단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60173929A 2016-12-19 2016-12-19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KR101943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29A KR101943951B1 (ko) 2016-12-19 2016-12-19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929A KR101943951B1 (ko) 2016-12-19 2016-12-19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10A KR20180071110A (ko) 2018-06-27
KR101943951B1 true KR101943951B1 (ko) 2019-01-30

Family

ID=6278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929A KR101943951B1 (ko) 2016-12-19 2016-12-19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221B1 (ko) * 2018-08-31 2020-05-22 (주)맨엔텔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049A (ja) * 2010-09-14 2012-03-29 Tanita Corp 重心動揺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947B2 (ja) * 1997-01-28 2000-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床マットセンサシステム
KR20020095314A (ko) 2001-06-14 2002-12-26 (주)한국아이엔디 발판형 3차원센서
KR101314700B1 (ko) * 2011-08-26 2013-10-14 아프로진(주) 로드셀을 이용한 지능형 중량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049A (ja) * 2010-09-14 2012-03-29 Tanita Corp 重心動揺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10A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185B1 (ko) 버그 균형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673212B1 (ko) 바른 스쿼트 운동을 위한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US20100076347A1 (en) Dynamic movement analysis system
DK2837409T3 (en) TRAINING DEVICES
US9782116B2 (en) Stability-assessing system
KR20070054595A (ko) 재활 운동 및 훈련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506997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culomotor performance testing
WO2009093631A1 (ja) 重心バランス判定装置
JP2013013667A (ja) 運動能力検査装置
JP5376595B2 (ja) 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
KR101943951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하지 근력 평가운동장치 및 자가진단 방법
KR20120081702A (ko) 균형 감각 측정장치
KR101648044B1 (ko) 스쿼트 트레이닝 시스템
KR20180071102A (ko) 상지, 하지 운동 및 평가 시스템
KR101092078B1 (ko) 하지 근력 평가 및 훈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68637B1 (ko) 체중지지면적의 능동적 조정을 통한 재활환자의 균형 훈련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균형감각 훈련방법
KR101932553B1 (ko) 낙상 위험 평가 시스템
JP5692125B2 (ja) 歩行補助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76734B1 (ko) 신체 각부의 유연성 테스트 시스템 및 유연성 테스트 방법
KR20200070558A (ko) 전신거울을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JP7168783B2 (ja) 圧力測定足場、及びこれを含む身体不均衡矯正用運動機器
JP4393360B2 (ja) 筋力測定装置
AU2006100451A4 (en) Method for improving muscle balance
JP2022554361A (ja) 動体視覚、前庭及び体性感覚能力を測定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20170080133A (ko) 자세 균형 판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