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51B1 - 내충격성,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51B1
KR102404351B1 KR1020197007177A KR20197007177A KR102404351B1 KR 102404351 B1 KR102404351 B1 KR 102404351B1 KR 1020197007177 A KR1020197007177 A KR 1020197007177A KR 20197007177 A KR20197007177 A KR 20197007177A KR 102404351 B1 KR102404351 B1 KR 102404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knitted
shrinkable
slee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241A (ko
Inventor
중 화이 장
티안치 가오
린우드 루디
알리 쿄스로사히
레이 크라우저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3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1Cut or abras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1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thermoplastic; thermo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3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 D10B2403/0231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including contracting yarn, e.g. blist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Glov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직 슬리브 및 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슬리브는 대향 개방 단부들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외부 둘레를 갖는 편직된 세장형 벽을 포함한다. 벽은 수축성 얀 및 비-수축성 얀을 포함한다. 수축성 얀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로 쉽게 압축되는 능력을 벽에 제공하며, 수축성 얀 및 비-수축성 얀은 서로 교대하는 코스의 그룹으로 편직된다.

Description

내충격성,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8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출원 일련번호 62/378,992호 및 2017년 8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실용신안 출원 일련번호 15/684,875호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들은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세장형 부재(elongate member)를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충격 및 마모, 유체 및 열적 영향으로부터 세장형 부재를 보호하기 위해서 편물 슬리브 내에 다양한 유형의 와이어, 와이어 하니스(harness), 케이블 및 도관과 같은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슬리브 및 그 내부의 내용물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내충격성을 요구하는 용례에서, 권취 가능하고(wrappable)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슬리브가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슬리브는 충격력 및 마모에 대한 적합한 보호를 제공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들 각각은 단점이 있다. 권취 가능한 슬리브는 클램프(clamp), 스트랩(strap), 테이프 등과 같은 보호될 세장형 부재에 관해 이들을 고정하는데 2차 구조물을 요구하며, 따라서 조립 중에 추가 노동과 추가 시간을 요구함으로써 조립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2차 구조물을 재고 상태로 유지하는데 고비용이 소요된다. 게다가 또한, 2차 구조물은 사용 중에 부적절해질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인해 세장형 부재가 환경 영향에 직접 노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권취 가능한 슬리브는 전형적으로, 서로 겹쳐지는 불균일한 두께의 대향 에지를 가지며, 따라서 슬리브의 외부 외피/표면은 밀집 구역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증가된 두께 영역을 갖는 불균일한 외형을 가지거나 아니면 조립을 어렵게 만든다. 권취 가능한 슬리브의 다른 단점은 상이한 직경의 용례에 대해 상이한 크기의 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재고 및 비용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또한, 원하는 내충격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비교적 두꺼운 벽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비교적 밀집된 공간에서 권취 가능한 슬리브의 사용 불능을 초래할 수 있다.
권취 가능한 슬리브와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슬리브에 관해서, 상이한 직경 용례에 대해 상이한 크기의 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관형 슬리브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세장형 부재가 슬리브의 내경에 비해서 증가된 크기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가지는 용례에서 이러한 유형의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할 수 있어서, 슬리브는 증가된 크기의 영역(들)에 맞지 않을 것이며, 증가된 크기 영역(들)이 예를 들어, 확대된 기계적 또는 전기적 커넥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직경의 관형 슬리브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단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그리고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부재에 테이프를 도포함으로써 이들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한 2차 체결기를 요구하며, 따라서 이들은 권취 가능한 슬리브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한 단점을 겪는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원하는 내충격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비교적 두꺼운 벽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이는 비교적 밀집된 공간에서 슬리브를 사용하는 능력을 배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routing)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를 제공한다. 슬리브는 대향 개방 단부들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외부 둘레를 갖는 편직된 세장형 벽을 포함한다. 벽은 수축성 얀(shrinkable yarn) 및 비-수축성 얀을 포함한다. 수축성 얀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로 쉽게 압축되는 능력을 벽에 제공하며, 수축성 얀 및 비-수축성 얀은 서로 교대하는 코스의 그룹으로 편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 대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의 직경의 비율은 약 1.5:1 내지 5:1 또는 그보다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수축성 얀은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하나에서 편직되며 비-수축성 얀은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다른 하나에서 편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수축성 얀은 상호 연결 스티치 패턴 또는 저지(jersey) 스티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으로 편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비-수축성 얀은 오토만(ottoman)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비-수축성 얀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로트(float)를 갖도록 편직되며, 플로트는 비-수축성 얀이 짝수 바늘에서 편직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짝수 바늘을 건너뜀으로써, 또는 비-수축성 얀이 홀수 바늘에서 편직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홀수 바늘을 건너뜀으로써 형성되며, 플로트는 보호될 세장형 부재에 향상된 충격 보호를 제공하는 내측으로 향하는 쿠션을 용이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플로트는 1 개 내지 4 개의 바로 인접한 코스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수축성 얀은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수축성 얀은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비-수축성 얀은 모노필라멘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비-수축성 얀은 멀티필라멘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비-수축성 얀은 에어 텍스쳐 처리된(air texturized)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비-수축성 얀은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및 Nome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벽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조립 상태 시의 제 1 밀도 및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 제 2 상태 시의 제 2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 2 밀도가 상기 제 1 밀도보다 약 2 배 이상 더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벽은 수축성 얀을 수축시키는데 요구되는 온도보다 더 낮고 비-수축성 얀의 융점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얀을 포함하도록 편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저-융점 얀은 수축성 얀과 함께 꼬이거나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저-융점 얀은 비-수축성 얀과 함께 꼬이거나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대향 개방 단부들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외부 둘레를 갖는 벽을 수축성 얀과 비-수축성 얀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 제 2 상태로 쉽게 압축되도록 수축될 능력을 갖는 수축성 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수축성 얀은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하나에서 편직되며 비-수축성 얀은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다른 하나에서 편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조립 상태 대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 제 2 상태의 각각의 직경의 비율이 약 1.5:1 내지 5:1 또는 그보다 크도록 벽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수축성 얀을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하나에서 편직하고 비-수축성 얀을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다른 하나에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수축성 얀을 상호 연결 스티치 패턴 또는 저지 스티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비-수축성 얀을 오토만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로트를 갖는 비-수축성 얀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플로트는 비-수축성 얀이 짝수 바늘에서 편직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짝수 바늘을 건너뜀으로써, 또는 비-수축성 얀이 홀수 바늘에서 편직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홀수 바늘을 건너뜀으로써 형성되며, 플로트는 보호될 세장형 부재에 향상된 충격 보호를 제공하는 내측으로 향하는 쿠션을 용이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플로트를 1 개 내지 4 개의 바로 인접한 코스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수축성 얀을 모노필라멘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수축성 얀을 멀티필라멘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비-수축성 얀을 모노필라멘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비-수축성 얀을 멀티필라멘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비-수축성 얀을 고도로 에어 텍스쳐 처리한 멀티필라멘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비-수축성 얀을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및 Nomex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 시의 제 1 밀도 및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 제 2 상태 시의 제 2 밀도를 갖는 벽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밀도가 제 1 밀도보다 약 2 배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수축성 얀과 비-수축성 얀의 융점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얀을 포함하는 벽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저-융점 얀을 수축성 얀과 함께 꼬거나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저-융점 얀을 비-수축성 얀과 함께 꼬거나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벽을 가로 편직기(flat-bed knitting machine)에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벽을 원형 편직기에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최상의 모드,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쉽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도시된 관형 편물 슬리브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여기서 슬리브는 보호될 세장형 부재 주위에 수축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며;
도 2는 "편직된 대로" 비-수축된 조립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편물 슬리브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슬리브를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편직 스티치 패턴(knitting stitch pattern)이며;
도 4는 도 3의 편직 스티치 패턴으로부터 형성된 편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며;
도 5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슬리브를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편직 스티치 패턴이며;
도 6은 도 5의 편직 스티치 패턴으로 형성된 편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며;
도 7은 도 4의 편직 구조의 일부분의 확대 부분도이며;
도 7a는 도 7의 부분 편직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7b는 도 7의 부분 편직 구조의 편직 스티치 패턴이며;
도 8은 슬리브 공동 내에서 보호될 세장형 부재에 향상된 충격 보호를 제공하는 편직된 얀(yarn)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쿠션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구성된 편직 슬리브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슬리브를 편직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편직 스티치 패턴이며;
도 10은 도 9의 편직 스티치 패턴으로 형성된 편직 구조의 다이어그램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를 위한 편직 슬리브의 도 4와 유사한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더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10)로서 이후에 지칭되는 편물 보호 관형 슬리브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1에서, 슬리브(10)는 보호될 세장형 부재(12) 주위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슬리브(10)는 조립 상태, 수축 상태 및/또는 제 2 상태로서 이후에 지칭되는 세장형 부재(12) 주위에 직경 방향으로 수축되고 완전히 조립된 제 2 상태로 도시된다. 도 2에서, 슬리브(10)는 조립 상태, 비-수축 상태 및/또는 제 1 상태로서 이후에 지칭되는, "편직된 대로" 직경 방향으로 확대되고 비-수축된 제 1 조립 상태로 도시된다. 슬리브(10)는 외부 표면(15)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외부 둘레, 및 대향 개방 단부(20, 22) 사이에서 중심 종축(18)을 따라 연장하는 내부 공동(17)을 경계로 하는 내부 표면(16)을 가지는 세장형 편직 벽(14)을 가진다.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이고 관형이라는 것은 슬리브(10)가 권취 가능한 슬리브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유 측부 에지를 갖지 않으며, 따라서 슬리브(10)가 그의 길이를 따라 개방될 수 없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벽(14)은 적어도 하나의 고-수축성 얀(24) 및 비-수축성 얀(26)으로서 이후에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수축성 또는 실질적으로 비-수축성 얀을 포함한,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유형의 얀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비-수축성이라는 것은 얀(26)이 수축 가능한 것으로서 시판되지 않거나 아니면 당업자에 의해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의 원래 길이의 약 1 내지 10 %와 같이 약간 수축될 수 있지만, 이는 그의 원래 길이의 약 20 % 이상을 수축시키는 고-수축성 얀(24)에 의해 제공되는 수축 정도와는 거리가 멀다. 그 때문에, 슬리브(10)의 편직시, 벽(14)은 수축성 얀(24)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편직 코스(28) 및 편직 스티치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비-수축성 얀(26)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편직 코스(30) 모두를 가진다. 슬리브(10)의 편직시, 세장형 부재(12)는 예를 들어, 와이어, 와이어 하니스 또는 도관과 같은 공동(17)을 통해 쉽게 배치될 수 있는 반면에, 슬리브(10)는 확대된 비-수축된 제 1 상태로 있게 된다. 벽(14)이 "니트처럼" 수축되지 않는 결과로써, 세장형 부재(12)는 걸려 찢어지거나 휩쓸려 엮이지 않고 슬리브(10)의 공동(17)을 통해 쉽게 공급될 수 있다. 다음에, 슬리브(10)가 세장형 부재(12)를 따라 적절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슬리브(10)는 수축성 얀(24)이 길이 방향으로 수축되게 하는데 충분한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벽(14)의 직경은 약 1.5:1 내지 5:1 이상의 각각의 비율과 같은, 세장형 부재(12)의 외부 표면과 밀착 접촉되는데 충분하게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단일 슬리브(10)는 각각의 상이한 직경의 세장형 부재(12)에 대해 별도의 슬리브를 가질 필요없이 넓은 직경 범위에 걸친 세장형 부재에 조립되는데 유용하다. 각각의 상이한 용례에 대해 넓은 부류의 상이한 크기의 슬리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 이외에, 다른 것들 중에서도 벽(14)이 세장형 부재(12) 주위에 꼭 끼워 맞춰지도록 수축되기 때문에 슬리브(10)를 세장형 부재(12)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한 2차 체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비-수축성 얀(26)의 적어도 일부분의 변경된 구성으로 인해 세장형 부재(12)에 향상된 충격 보호를 제공하고, 수축된 슬리브(10)의 외부 외피를 최소화하는 다른 이득은 본 개시의 전체 내용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수축성 얀(24)이 비-수축된 상태로 편직된 상태에서, 슬리브(10)는 공동(17)이 적합한 크기로 만들어지고 그 공동을 통해 세장형 부재(12)를 쉽게 수용하기 위해 직경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확장되고 신축 가능한 벽(14)에 의해 형성된다. 편직된 대로의 제 1 직경과 수축된 제 2 직경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1.5:1, 바람직하게 2:1 이상, 더 바람직하게 3:1 이상, 그리고 약 10:1 이상 정도이다. 그 때문에, 세장형 부재(12)가 확대된 피팅(fitting), 커넥터, 이상한 형상의 가지(branch) 등을 갖는다면, 세장형 부재(12)는 슬리브(10)의 공동(17)을 통해 쉽게 삽입될 수 있는 반면에, 공동(17)은 확대된 비-수축된 제 1 상태로 된다. 공동(17)을 통한 세장형 부재(12)의 배치시, 벽(14)은 사용된 수축성 얀(24)의 유형에 따라서, 열, 유체 및 자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적용을 통해 세장형 부재(12)(도 1) 주위에 밀착 접합 관계로 꼭 끼워 맞춰지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10)는 2차 고정 기구의 필요없이 축 방향 변위에 대해 세장형 부재(12) 주위에 고정되게 위치됨으로써, 클램프, 스트랩, 테이프 등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게다가 또한, 편직 벽(14)은 수축시 치밀해지며, 따라서 다른 것들 중에서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불침투성과 같은 벽(14)의 보호 특성이 크게 증가된다. 예를 들어, 밀도는 비-수축 상태의 제 1 밀도로부터 수축 상태의 제 2 밀도로 약 2 배 이상 증가할 수 있으며, 일 예에서 밀도는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169 kg/m3에서 486 kg/m3로 증가된다. 또한, 단층 벽(14)이 고-수축성 얀(24)의 결과로써 세장형 부재(12) 주위에 밀착되게 꼭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벽(14)의 두께 및 외부 외피가 최소화됨으로써, 밀집 구역에 유용하다. 일 예에서, 벽(14)의 최종 두께는 예로서 제한 없이 약 3.4 mm이다.
수축성 얀(24)은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축성 얀(24)은 약 50 내지 10000 데니어 범위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비-수축성 또는 실질적으로 비-수축성 얀(26)은 PET, 나일론, PP, PE, PPS, PEEK 및 Nomex 재료 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비-수축성 얀(26)의 데니어는 약 50 내지 10000의 범위일 수 있다. 비교적으로 부피가 큰 멀티필라멘트는 댐핑 충격력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증가된 로프트(loft)를 제공하는 동시에, 또한 슬리브(10)의 가요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수축성 및 비-수축성 얀(24, 26)을 포함한 얀 단부의 수는 의도된 용례에 대해 원하는 대로 조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10)의 벽(14)은 수축성 및 비-수축성 얀(24, 26)으로 편직되며, 여기서 수축성 얀(들)(24)은 상호 연결린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되며 비-수축성 얀(들)은 오토만(ottoman) 스티치 패턴(도 3)으로 편직되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직 구조를 초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수축성 얀(24)은 바로 인접한 코스(28)의 쌍으로서 도시된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스로 편직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축성 얀(24)의 코스(28)의 그룹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각각의 쌍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3 개의 코스(30)로서 도시된 비-수축 얀(26)의 복수의 코스(30)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축성 얀(24)은 0.30 ㎜ 가교 폴리에틸렌 모노필라멘트로서 제공되며 비-수축성 얀(26)은 600 데니어의 에어 텍스쳐 처리된(air texturized)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멀티필라멘트로서 제공되며, 이들 둘은 모두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제공된 것이다. 의도된 용례에 바람직하고 적합한 수축성 및 비-수축성 얀(24, 26)의 다른 크기 및 재료 유형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벽(14)의 편직 시에 벽(14)은 약 169 kg/m3의 비-수축 밀도를 가지며, 슬리브(10)의 수축 후에 벽(14)은 약 486 kg/m3의 밀도를 가지며, 수축된 최종 내경은 약 10 ㎜이다. 편직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가로 편직기(flat-bed knitting machine) 또는 원형 편직기와 같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벽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편직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축성 얀(24)의 각각의 분리된 코스(28) 내에서, 수축성 얀(24)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수축성 얀(24)이 편직되는 각각의 코스(28) 내의 각각의 짝수 바늘에서 편직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하나에서 편직된다. 비-수축성 얀(26)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홀수 바늘에서 편직되는 것으로 도시된,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다른 하나에서 편직된다. 짝수 바늘을 건너 뛰지 않고 각각의 짝수 바늘에서 편직[루프(loop)]되는 열 수축성 얀(24)과는 대조적으로, 3 개의 코스(30)의 각각의 그룹 중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코스(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의 비-수축성 얀(26)은 적어도 하나의 바늘(루프되지 않음)을 건너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3 개의 코스(30) 중 각각의 그룹 내부의 중간 코스(30)의 비-수축성 얀(26)은 교대하는 홀수 바늘(3, 7, 11 ...) 및 건너뛴 모든 다른 홀수 바늘(5, 9, 13 ...) 주위에 루프됨으로써, 건너뛴 바늘 위에 비-수축성 얀(26)의 플로트(32)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편직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편직된 구조가 도 4에 도시되며, 비-수축성 얀(26) 구조의 확대 단면도가 도 7에 도시되며, 스티치 패턴의 개략도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32)는 벽(14)의 내부 표면(16)을 따라 중간 비-수축성 얀(26)[3 개의 얀(1, 2, 3) 중 도면 부호 2]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플로트(32)는 원주 방향(CD)으로 연장한다. 플로트(32)는 세장형 부재(12) 주위에서 슬리브(10)의 수축시 그리고 감소된 직경으로 원주 방향으로의 벽(13)의 압축 유발시,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열-수축성 얀의 유형에 따라서)열, 액체, 자외선 또는 압력의 인가를 통한 수축성 얀(24)의 활성화를 통해서 세장형 부재(12)와 꼭 끼워 맞춰지고, 세장형 부재(12)의 외부 표면과 맞닿게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연장된다. 그 때문에, 돌출된 플로트(32)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완충 장치(34)로서 이후에 지칭되는 개별적인 로프트 필로우(lofted pillow) 또는 쿠션을 형성하며, 완충 장치는 세장형 부재(12)로의 충격력 전달을 크게 감소시키는 동시에, 또한 진동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세장형 부재(12)는 복수의 돌출된 완충 장치(34)에 의해 그의 원주 주위에서 둘러싸이며, 따라서 세장형 부재(12)는 외부 충격력 및 진동원으로부터 철저히 보호된다.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적절한 100 단위가 부가된,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는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110)의 벽(114)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상호 연결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되는 수축성 얀(24) 및 오스만 스티치 패턴(도 5)으로 편직되는 비-수축성 얀(26)으로 편직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직 구조를 초래한다. 수축성 얀(24)은 위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하게, 즉 바로 인접한 코스(28)의 쌍으로서 도시된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코스로 편직되며, 여기서 코스(28)의 수축성 얀(24)의 각각 쌍은 코스(30)의 복수의 비-수축성 얀(26)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코스(30)의 복수의 비-수축성 얀(26)은 3 개의 코스의 그룹으로 편직되기 보다는, 4 개의 코스(30)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편직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4 개의 코스(30)의 각각의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코스(30) 내에 있는 비-수축성 얀(2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늘을 건너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4 개의 코스(30)의 각각의 그룹 내의 중간 2 개의 코스(30) 내에 있는 비-수축성 얀(26)은 교대하는 홀수 바늘(3, 7, 11 ...) 및 건너뛴 모든 다른 바늘(5, 9, 13 ...) 주위에 루프됨으로써, 건너뛴 바늘 위에 비-수축성 얀(26)의 플로트(32)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결과적으로 편직된 구조가 도 6에 도시되며, 여기서 4 개의 비-수축성 얀(26)의 공통 그룹 내에 있는 플로트(32)는 서로 바로 인접한 관계로 형성되며, 인접한 플로트(32)는 종축(18)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서 서로 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플로트(32)는 사용된 특정 편직 스티치 패턴에 따라서 원하는 대로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그룹 내의 플로트(32)는 원한다면, 축 방향으로 정렬되기보다는 서로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엇갈릴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의 편직 벽(114)은 위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플로트(32)는 벽(114)의 수축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완충 장치(34)를 형성한다.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적절한 200 단위가 부가된,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는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210)의 벽(214)은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수축성 얀(24)으로 편직되나; 상호 연결 스티치 패턴으로 수축성 얀(24)을 편직하기보다는, 수축성 얀(24)은 저지 스티치 패턴(jersey stitch pattern)으로 편직된다. 비-수축성 얀(26)은 오토만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되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직 구조를 초래한다. 수축성 얀(24)은 단일 코스(28)로 편직되며, 여기서 각각의 코스(28)의 수축성 얀(24)은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한 쌍의 코스(30)로서 도시된 코스(30)의 복수의 비-수축성 얀(26)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코스(30)의 각각의 그룹의 코스(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있는 비-수축성 얀(26)은 적어도 하나의 바늘을 건너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그룹 또는 복수의 코스(30) 내의 비-수축성 얀(26)의 쌍 중 하나는 교대하는 홀수 바늘(1,5,9,13 ...) 및 건너뛴 다른 모든 홀수 바늘(3, 7, 11 ...) 주위에 루프됨으로써, 건너뛴 바늘 위에 비-수축성 얀(26)의 플로트(32)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벽(214)의 결과적인 편직 구조가 도 10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가로 편직기 또는 원형 편직기 둘 모두에서 편직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가 고려되지만, 원형 편직기에서 제조하는 것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술한 편직 구조 및 얀 이외에,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적절한 300 단위가 부가된,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 따라 구성된 슬리브 벽(314)이 도시된다. 수축성 얀(24) 및 비-수축성 얀(26) 이외에, 저-융점 얀(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융점 얀(36)은 수축성 얀(24) 및/또는 비-수축성 얀(26)과 편직될 수 있고, 또한 비-수축성 얀(26)과 함께 공급 또는 꼬일 수 있지만, 수축성 얀(24)과 함께 공급 또는 꼬이는 것으로 도시된다. 저-융점 얀(36)은 수축성 얀(24)의 용융 및 수축 온도보다 더 낮고 비-수축성 얀(26)의 용융 온도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가지며, 따라서 얀(24, 26)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수축성 얀(24)의 수축을 활성화시키지 않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쉽게 용융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조시 저-융점 얀(36)이 용융되어 인접 수축성 얀(24) 및 비-수축성 얀(26)에 접합됨으로써 단부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예로서 그리고 제한 없이 핫 블레이드(hot blade), 와이어 또는 나이프가 슬리브 벽(314)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제조의 절단 작업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절단 작업 중에 저-융점 얀(36)이 동시에 용융됨으로써, 수축성 얀(24)의 수축 유발 없이 단부 마모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위의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조합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모든 청구범위 및 모든 실시예의 모든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1)

  1.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routing)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로서,
    대향 개방 단부들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외부 둘레를 갖는 편직된 세장형 벽을 포함하며, 상기 벽은 수축성 얀 및 비-수축성 얀을 포함하며, 상기 수축성 얀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로 쉽게 압축되는 능력을 벽에 제공하며, 상기 수축성 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축성 코스를 제공하는 편물이고, 비-수축성 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수축성 코스를 제공하는 편물이며,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축성 코스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수축성 코스는 서로 교대로 형성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 대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의 직경의 각각의 비율은 1.5 : 1 이상인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축성 얀은 벽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로트를 형성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얀은 수축시, 상기 비-수축성 얀의 상기 플로트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로프트 필로우(lofted pillow)를 형성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로트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만큼 점유된 공간을 건너뛰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얀은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하나에서 편직되며 상기 비-수축성 얀은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다른 하나에서 편직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얀은 상호 연결 스티치 패턴 또는 저지(jersey stitch pattern) 스티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으로 편직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축성 얀은 오토만(ottoman)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 시의 제 1 밀도 및 상기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 시의 제 2 밀도를 가지며, 상기 제 2 밀도가 상기 제 1 밀도보다 적어도 2 배 더 큰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수축성 얀을 수축시키는데 요구되는 온도보다 더 낮고 상기 비-수축성 얀의 융점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얀을 포함하도록 편직될 수 있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얀은 상기 수축성 얀 및 상기 비-수축성 얀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꼬이거나(twisted) 공급되는
    세장형 부재를 라우팅하고 보호하기 위한 편물 슬리브.
  12.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으로서,
    대향 개방 단부들 사이에서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 외부 둘레를 갖는 세장형 벽을 수축성 얀과 비-수축성 얀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축성 얀은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로 쉽게 압축되는 능력을 벽에 제공하며, 상기 수축성 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축성 코스를 제공하는 편물이고, 비-수축성 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수축성 코스를 제공하는 편물이며,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수축성 코스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비-수축성 코스는 서로 교대로 편직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 대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의 직경의 각각의 비율은 1.5 : 1 이상인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벽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로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비-수축성 얀이 적어도 하나의 바늘을 건너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수축성 얀의 수축시 비-수축성 얀의 플로트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로프트 필로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하나에서 수축성 얀을 편직하고 짝수 바늘 또는 홀수 바늘 중 다른 하나에서 비-수축성 얀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수축성 얀을 상호 연결 스티치 패턴 또는 저지(jersey) 스티치 패턴 중 하나의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비-수축성 얀을 오토만(ottoman) 스티치 패턴으로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확대된 제 1 상태 시의 제 1 밀도 및 직경 방향으로 수축된 제 2 상태 시의 제 2 밀도를 갖는 벽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 2 밀도가 제 1 밀도보다 적어도 2 배 더 큰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수축성 얀을 수축시키는데 요구되는 온도보다 더 낮고 비-수축성 얀의 융점보다 더 낮은 융점을 가지는 저-융점 얀을 포함하도록 벽을 편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수축성 얀 및 비-수축성 얀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꼬이거나 공급되는 저-융점 얀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물 슬리브의 제조 방법.
KR1020197007177A 2016-08-24 2017-08-24 내충격성,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4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8992P 2016-08-24 2016-08-24
US62/378,992 2016-08-24
US15/684,875 2017-08-23
US15/684,875 US10415162B2 (en) 2016-08-24 2017-08-23 Impact resistant, shrinkable knitted tubular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CT/US2017/048304 WO2018039399A1 (en) 2016-08-24 2017-08-24 Impact resistant, shrinkable knitted tubular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241A KR20190039241A (ko) 2019-04-10
KR102404351B1 true KR102404351B1 (ko) 2022-05-31

Family

ID=6124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177A KR102404351B1 (ko) 2016-08-24 2017-08-24 내충격성,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15162B2 (ko)
EP (1) EP3504366B1 (ko)
JP (1) JP7066678B2 (ko)
KR (1) KR102404351B1 (ko)
CN (1) CN109863263B (ko)
BR (1) BR112019003664A2 (ko)
WO (1) WO2018039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119A (zh) * 2016-07-25 2016-10-26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体鞋面制造方法及一体编织鞋面
US11517062B2 (en) * 2018-05-15 2022-12-06 Brian Timlick Helmet with unique impact absorption and redirection features
CN113423885B (zh) * 2018-12-28 2023-12-29 伟创力有限公司 用于粘合织物的编织低熔点纱线
EP4028589A1 (en) * 2019-09-10 2022-07-2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Corrugated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686022B2 (en) 2020-02-11 2023-06-27 Federal-Mogul Powertrain Llc Impact resistant, wrappable, corrugated, multilayered woven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643758B2 (en) 2020-03-13 2023-05-09 Shenzhen Jdd Tech New Material Co., Ltd. Protective tube
KR102592189B1 (ko) * 2023-02-27 2023-10-20 안켐 주식회사 멀티 레이어를 갖는 직물 슬리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050B2 (ja) * 1991-12-30 2001-05-14 ハー ヨット フィルケンス リカルト 各種寸法のicパッケージのリードフレーム切出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70240896A1 (en) 2006-04-17 2007-10-18 Ott Donald C Jr Protective sleeve assembly having an integral closure memb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130224408A1 (en) * 2012-02-23 2013-08-29 Cassie M. Malloy Knit sleeve for an oil dip stick tube, combination thereof,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nd method of dampening the vibration of an oil dip stick tub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8566A (en) 1955-05-17 1956-03-20 Carter William Co Puckered knit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GB1185299A (en) * 1966-06-07 1970-03-25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GB1493007A (en) * 1975-05-12 1977-11-23 Goodyear Tire & Rubber Hose structure
SU1026825A1 (ru) * 1979-12-25 1983-07-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113 Фильт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GB8921967D0 (en) 1989-09-29 1989-11-15 Raychem Sa Nv Recoverable fabric sleeve
US5952067A (en) * 1996-12-02 1999-09-14 A&P Technology, Inc. Braided structure having uncrimped strands
US6711920B2 (en) 2001-11-14 2004-03-30 Federal-Mogul World Wide, Inc. Knit convolute protective sleeve
GB0131016D0 (en) * 2001-12-27 2002-02-13 Voith Fabrics Heidenheim Gmbh Roll covers
DE10212922A1 (de) * 2002-03-22 2003-10-16 Iprotex Gmbh & Co Kg Geflechtschlauch
US7395680B2 (en) * 2004-07-20 2008-07-08 Federal Mogul Worldwide, Inc. Self-curling knitted sleeve and method of fabrication
FR2897877B1 (fr) 2006-02-28 2008-07-11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S Gaine de protection aux chocs d'un tuyau, notamment pour conduite de carburant
DE102007023062A1 (de) * 2007-05-16 2008-11-20 Iprotex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webes und hierbei hergestelltes Gewebe
JP2009024287A (ja) * 2007-07-20 2009-02-05 Cordon Co Ltd 吸音性スリ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90845A1 (en) 2010-01-19 2011-07-28 Mmi-Ipco, Llc Composite textile fabrics
JP3166050U (ja) * 2010-12-03 2011-02-17 藤井株式会社 伸縮性円筒形枕カバー布帛
JP5886311B2 (ja) * 2010-12-08 2016-03-16 フェデラル−モーグル パワートレ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ederal−Mogul Powertrain, Inc. 保護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繊維スリ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03538A1 (de) * 2013-03-01 2014-09-04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Strickschrumpfschlauch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0132012B2 (en) * 2013-03-14 2018-11-20 Federal-Mogul Powertrain Llc End-fray resistant heat-shrinkable woven sleeve,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JP2014231665A (ja) * 2013-04-30 2014-12-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凹凸のある多層編地
US20160076176A1 (en) 2014-09-17 2016-03-17 Myant Capital Partners Inc. Seamless silhouette with engineered insulation property
US10202714B2 (en) * 2014-10-30 2019-02-12 Federal-Mogul Powertrain Llc Braided textile sleeve with self-sustaining expanded and contracted stat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607819B2 (ja) 2016-04-01 2019-11-20 株式会社オオカワニット 丸編管状構造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17212818A (ja) 2016-05-26 2017-11-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保護部材、電線保護部材付電線及び電線保護部材付電線の製造方法
US11168415B2 (en) * 2016-07-01 2021-11-09 Federal-Mogul Powertrain Llc Circumferentially continuous and constrictabl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050B2 (ja) * 1991-12-30 2001-05-14 ハー ヨット フィルケンス リカルト 各種寸法のicパッケージのリードフレーム切出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70240896A1 (en) 2006-04-17 2007-10-18 Ott Donald C Jr Protective sleeve assembly having an integral closure memb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130224408A1 (en) * 2012-02-23 2013-08-29 Cassie M. Malloy Knit sleeve for an oil dip stick tube, combination thereof,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nd method of dampening the vibration of an oil dip stick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241A (ko) 2019-04-10
US20180057977A1 (en) 2018-03-01
JP7066678B2 (ja) 2022-05-13
WO2018039399A1 (en) 2018-03-01
JP2019525023A (ja) 2019-09-05
BR112019003664A2 (pt) 2019-05-21
EP3504366A1 (en) 2019-07-03
EP3504366B1 (en) 2022-06-15
CN109863263A (zh) 2019-06-07
CN109863263B (zh) 2022-01-28
US10415162B2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351B1 (ko) 내충격성, 수축성 편물 관형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
US10132015B2 (en) Non-kinking wrappable knit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9863657B (zh) 抗冲击、可收缩的编织的管状套筒及其构造方法
US11313059B2 (en) Self-wrapping, braided textile sleeve with self-sustaining expanded and contracted stat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7098605B2 (ja) 耐衝撃性があり収縮可能な織られた管状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10393307B2 (en) Multi-cavity, shrinkab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1168415B2 (en) Circumferentially continuous and constrictable texti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190028722A (ko) 자발적 확대 상태와 수축 상태를 가진 편물로 짜여진 직물 슬리브 및 상기 편물로 짜여진 직물 슬리브의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