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145B1 -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145B1
KR102404145B1 KR1020200086731A KR20200086731A KR102404145B1 KR 102404145 B1 KR102404145 B1 KR 102404145B1 KR 1020200086731 A KR1020200086731 A KR 1020200086731A KR 20200086731 A KR20200086731 A KR 20200086731A KR 102404145 B1 KR102404145 B1 KR 10240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epoxy composite
epoxy
cur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533A (ko
Inventor
박수진
김성황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1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33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8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에 그래핀 산화물을 도입하여 계면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BASALT FIBER-REINFORCED EPOXY COMPOSITES WITH GRAPHENE OXI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분자 내에 epoxy group(C-O-C)을 두 개 이상 가지고 있는 에폭시는 현무암 섬유와 경화시켜 단단하고 용해되지 않는 FRP(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에폭시의 높은 인장 탄성률, 접착 특성, 내화학성, 구조적 안정성 등의 특성과 현무암 섬유의 고강도, 저비중, 부식에 대한 강한 내화학성 등의 특성 때문에 현무암 섬유로 강화된 고분자 복합체는 좋은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우주항공, 선박, 자동차 부품, 해양장비, 전기전자 산업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무암 섬유는 그 구조적 결함과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표면 때문에 에폭시 매트릭스 내부에서 낮은 계면 접착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는 계면 및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고 실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이 되고 있다.
KR 10-2011-0051575 A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계면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에폭시 수지;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및 현무암 섬유를 포함하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산화물은 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의 현무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ASTM D-2344에 따라 측정 시 30 MPa 이상의 층간전단강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ASTM E399에 따라 측정 시 40 MPa.m1/2 이상의 파괴인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으로, 1) 에폭시 수지 및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차 혼합물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차 혼합물에 현무암 섬유를 함침시킨 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유기용매는 아세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1)단계는 유기용매에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한 다음, 에폭시 수지를 첨가하고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10 내지 50 ℃에서 실시하고, 열처리는 30 내지 7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1)단계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1차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 예에서, 상기 2)단계에서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diaminodiphenylmethan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는 2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하여 2차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60 내지 170℃에서 단계별로 온도를 증가시켜 점진적으로 경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순차적으로 60 내지 90℃에서 1차 경화, 90℃ 초과 내지 125℃에서 2차 경화, 및 140 내지 170℃에서 3차 경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계면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그래핀 산화물을 필러로 사용하여 에폭시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그래핀 산화물의 산소 관능기가 열경화성 수지로 가공이 용이한 에폭시 수지와의 강한 계면 접착력을 이끌어내어, 열적 특성 및 기계적 강도가 크게 향상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와 일 비교예에 따른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표면 에너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와 일 비교예에 따른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층간전단강도(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와 일 비교예에 따른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파괴인성(fracture toughness, KIC)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와 일 비교예에 따른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파괴인성 측정 후 파단면의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에폭시 수지;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및 현무암 섬유를 포함하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산화물은 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래핀 산화물의 작용기 -OH, -C=O, -COOH와 같은 산소 함유 관능기는 에폭시 매트릭스 내에서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특히, 그래핀 산화물은 나노 스케일의 우수한 특성을 마이크로 스케일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는 2D 재료로 이루어진 그래핀 산화물을 도입하여 현무암 섬유의 에폭시 수지와의 계면 상호작용과 분산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종래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대비 강한 계면 강도와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그래핀 산화물은 허머스(Hummers)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그래핀 산화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흑연 3g을 황산(H2SO4) 원액 360 mL과 인산(H3PO4) 원액 40 mL을 혼합한 산성 용액에 넣은 뒤, 얼음물 중탕 하에서 과망간산칼륨(KMnO4) 18g을 천천히 첨가한다. KMnO4를 완전히 용해시킨 뒤, 용액의 온도를 4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유지시킨다. 12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응이 끝난 용액을 상온까지 천천히 냉각시킨 후 얼음이 담긴 유리초자에 교반시키며 천천히 부어준다. 얼음이 모두 용해되고 용액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며 과산화수소(H2O2)를 거품이 생성되지 않을 때까지 천천히 첨가한다. 이후, 증류수, 10% 염산 용액,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용액의 pH가 6 내지 7에 도달할 때까지 중성화 및 세척을 진행한다. 이후, 중성화된 그래핀 산화물 용액을 동결건조 (온도 -50 내지 -80℃, 압력 0.065bar)하여 그래핀 산화물을 수득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부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계면 및 기계적 강도 향상에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의 현무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ASTM D-2344에 따라 측정 시 30 MPa 이상, 또는 35 MPa 이상, 또는 35 내지 45 MPa의 층간전단강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합소재는 ASTM E399에 따라 측정 시 40 MPa.m1/2 이상, 또는 55 MPa.m1/2 이상, 또는 55 내지 70 MPa.m1/2의 파괴인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으로, 1) 에폭시 수지 및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차 혼합물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차 혼합물에 현무암 섬유를 함침시킨 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산화물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산화물은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계면 및 기계적 강도 향상에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에서 유기용매는 아세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는 유기용매에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한 다음, 에폭시 수지를 첨가하고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된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10 내지 50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1 내지 2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30 내지 70 ℃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혼합물을 1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단계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1차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차 혼합물의 안정화 단계는 100 내지 150 ℃에서 열처리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차 혼합물의 안정화 단계는 4 내지 10시간 동안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에서 경화제는 1차 혼합물의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에서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diaminodiphenylmethane)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에서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4 내지 36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는 경화제를 첨가한 후 20 내지 70 ℃에서 반응시켜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는 경화제를 첨가한 후 1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시켜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단계는 2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하여 2차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에폭시 복합재료의 계면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혼합물의 안정화 단계는 진공 오븐에서 안정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혼합물의 안정화 단계는 감압 하에서 10 내지 60 ℃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혼합물의 안정화 단계는 감압 하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기포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현무암 섬유는 2차 혼합물의 기포를 제거한 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현무암 섬유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60 내지 170℃, 또는 110 내지 170℃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경화 온도가 너무 낮아 완전히 경화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경화 온도가 너무 높아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3 내지 6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단계별로 온도를 증가시켜 점진적으로 경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온도를 증가시키며 점진적으로 경화함으로써 기공이 발생하거나 함침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폭시 복합재료의 계면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60 내지 170℃에서 단계별로 온도를 증가시켜 점진적으로 경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순차적으로 60 내지 90℃에서 1차 경화 (안정화 단계), 90℃ 초과 내지 125℃에서 2차 경화(가경화 단계), 및 140 내지 170℃에서 3차 경화(경화 단계)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차 경화, 2차 경화 및 3차 경화는 각각 1 내지 2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에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예컨대 그래핀 산화물을 도입하여 계면 및 기계적 강도가 크게 향상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아세톤(C3H6O) 200 mL에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의 그래핀 산화물을 넣은 다음, 40 내지 45℃의 온도 범위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분산시켰다. 이 혼합물에 에폭시 수지를 넣은 다음, 50 내지 55℃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유지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유기용매를 130 내지 140℃의 온도 범위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제거하였다. 잔류하는 그래핀 산화물과 에폭시 수지에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을 경화제로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4 내지 36 중량부로 첨가하고 30 내지 35℃의 온도 범위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감압 하에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1시간 동안 기포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의 현무암 섬유를 금형에 수작업으로 함침시킨 후, 핫 프레스에서 1단계는 60 내지 9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 2단계는 90℃ 초과 내지 125℃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 3단계는 140 내지 17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총 3단계로 경화시켜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 중량부의 그래핀 산화물을 넣어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 중량부의 그래핀 산화물을 넣어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4 중량부의 그래핀 산화물을 넣어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의 그래핀 산화물을 넣어 그래핀 산화물이 첨가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00g의 에폭시 수지를 50 내지 55℃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유지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에폭시 수지에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을 경화제로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4 내지 36 중량부로 첨가하고 30 내지 35℃의 온도 범위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진공 오븐에서 감압 하에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1시간 동안 기포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의 현무암 섬유를 금형에 수작업으로 함침시킨 후, 핫 프레스에서 1단계는 60 내지 9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 2단계는 90℃ 초과 내지 125℃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 3단계는 140 내지 170℃의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총 3단계로 경화시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되, 에폭시 수지 중량을 80g으로 하여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되, 에폭시 수지 중량을 60g으로 하여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샘플명 필러
종류
필러
함량
(중량g)
수지
함량
(중량 g)
분산
시간
(min)
교반
시간
(min)
기포제거
시간
(min)
경화
온도
(℃)
실시예 1 그래핀
산화물
1 100 60 120 60 170
실시예 2 그래핀
산화물
2 100 60 120 60 170
실시예 3 그래핀
산화물
3 100 60 120 60 170
실시예 4 그래핀
산화물
4 100 60 120 60 170
실시예 5 그래핀
산화물
5 100 60 120 60 170
비교예 1 - - 100 60 120 60 170
비교예 2 - - 80 60 120 60 170
비교예 3 - - 60 60 120 60 170
측정예 1. 에폭시 복합소재의 표면 에너지 시험
표면 에너지는 Rame-Hart 고니 오 미터(Phoenix 300 Plus, SEO Co.)를 사용하여 3가지 표준 습윤액(증류수, 디요오도 메탄, 에틸렌 글리콜)에 대한 에폭시 복합소재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측정예 2. 에폭시 복합소재의 ILSS 시험
ILSS 시험은 만능재료시험기(Lloyd LR5k)를 사용하여 에폭시 복합소재를 ASTM D-2344에 따라 시편을 제조한 후 short-beam 3포인트 굽힘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예 3. 에폭시 복합소재의 파괴인성 시험
파괴인성 시험은 만능재료시험기(Lloyd LR5k)를 사용하여 에폭시 복합소재를 ASTM E399에 따라 시편을 제조한 후 3포인트 굽힘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예 4. 에폭시 복합소재의 파괴인성 시험 후 파단면 관찰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U 8010, Hitachi, Ltd., Japan)을 사용하여 파괴인성 시험 후 에폭시 복합소재의 구조를 변화시켰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표면에너지
(mJ.m-2)
ILSS
(MPa)
파괴인성
(MPa.m1/2)
실시예 1 39.2 32.7 ± 5.2 44.5 ± 4.1
실시예 2 41.2 39.1 ± 2.1 58.8 ± 0.9
실시예 3 43.6 43.8 ± 1.7 67.1 ± 1.1
실시예 4 40.8 36.5 ± 1.8 56.2 ± 2.1
실시예 5 39.9 34.1 ± 2.4 46.3 ± 1.5
비교예 1 38.4 28.3 ± 3.4 37.1 ± 5.1
비교예 2 37.6 25.6 ± 2.4 32.3 ± 4.8
비교예 3 36.8 23.6 ± 1.6 28.4 ± 2.2
이상, 본 명세서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에폭시 복합소재로서,
    에폭시 수지;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 및
    현무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은 그래핀 산화물이고,
    상기 에폭시 복합소재는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4 중량부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복합소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의 현무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ASTM D-2344에 따라 측정 시 30 MPa 이상의 층간전단강도를 갖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는 ASTM E399에 따라 측정 시 40 MPa.m1/2 이상의 파괴인성을 갖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
  7. 제 1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으로,
    1) 에폭시 수지 및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차 혼합물에 경화제를 첨가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차 혼합물에 현무암 섬유를 함침시킨 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은 그래핀 산화물이고,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산화물은 상기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유기용매는 아세톤을 포함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유기용매에 산소 관능기를 갖고 탄소를 함유하는 산화물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한 다음, 에폭시 수지를 첨가하고 열처리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10 내지 50 ℃에서 실시하고, 열처리는 30 내지 70 ℃에서 실시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1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1차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경화제는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diaminodiphenylmethane)을 포함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2차 혼합물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하여 2차 혼합물을 안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60 내지 170℃에서 단계별로 온도를 증가시켜 점진적으로 경화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경화는 순차적으로 60 내지 90℃에서 1차 경화, 90℃ 초과 내지 125℃에서 2차 경화, 및 140 내지 170℃에서 3차 경화하는 것인,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20200086731A 2020-07-14 2020-07-14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4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731A KR102404145B1 (ko) 2020-07-14 2020-07-14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731A KR102404145B1 (ko) 2020-07-14 2020-07-14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33A KR20220008533A (ko) 2022-01-21
KR102404145B1 true KR102404145B1 (ko) 2022-06-02

Family

ID=8005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731A KR102404145B1 (ko) 2020-07-14 2020-07-14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206B1 (ko) * 2021-06-28 2023-09-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관능화 흑연나노섬유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28406A1 (en) * 2009-03-13 2010-09-15 Bayer MaterialScience A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filled with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KR101481184B1 (ko) 2009-11-1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
KR101929285B1 (ko) * 2016-10-19 2018-12-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치계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제조 된 그래핀 옥사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5380B1 (ko) * 2018-09-18 2020-12-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흑연 박편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vood Toorchi 외 2명, "Synergistic effect of nano-ZrO2/graphene oxide hybrid system on the high-velocity impact behavior and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basalt fiber/epoxy composite", 2019.10.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33A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383B1 (ko) 오존 처리된 단일 벽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Moaseri et al. Improvements in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reinforced epoxy composites: a microwave-assisted approach in functionalization of carbon fiber via diamines
KR102185380B1 (ko) 천연 흑연 박편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1542338B1 (ko)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섬유 강화 복합 재료
Chen et al. Preparation, damping and thermal properties of potassium titanate whiskers filled castor oil-based polyurethane/epoxy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composites
KR20180042978A (ko) 피치계 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제조 된 그래핀 옥사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37239A1 (ja) 繊維強化複合材料
KR20080050735A (ko)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실리콘고무/카본나노튜브 복합체의제조 방법
TW201841970A (zh) 纖維強化複合材料用環氧樹脂組成物、纖維強化複合材料及成形體
KR102404145B1 (ko) 그래핀 산화물이 도입된 현무암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4478B1 (ko) 오존 처리한 카본블랙이 도입된 탄소 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 및 제조 방법
KR102008760B1 (ko) 나노다이아몬드 나노클러스터가 도입된 그래핀 산화물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0437B1 (ko) 열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에폭시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hen et al. Properties and morphologies of epoxy resin based composites reinforced by polyurethane and graphene oxide
Salam et al. Improvement in mechanical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re/epoxy composites using carboxyl 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KR102496991B1 (ko) 오존 처리된 흑연나노섬유로 강화된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6995B1 (ko) 그래핀산화물/흑연나노섬유 복합체로 강화된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57709B1 (ko) 이황화몰리브덴/폴리에테르이미드 나노시트가 도입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719184A1 (en) Carbon fiber bundle, prepreg,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KR102479378B1 (ko) 아미노-관능성 나노다이아몬드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78206B1 (ko) 아미노-관능화 흑연나노섬유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6323A (ko) 건식-오존화 현무암섬유로 강화된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51781B1 (ko)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KR20220046318A (ko) 오존 처리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도입된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32049A (ko) 플라즈마로 표면처리된 질화붕소 나노시트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