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781B1 -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 Google Patents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781B1
KR101051781B1 KR1020100041001A KR20100041001A KR101051781B1 KR 101051781 B1 KR101051781 B1 KR 101051781B1 KR 1020100041001 A KR1020100041001 A KR 1020100041001A KR 20100041001 A KR20100041001 A KR 20100041001A KR 101051781 B1 KR101051781 B1 KR 10105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rganic
parts
inorganic hybrid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김효철
진동휘
최기섭
홍민혁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Priority to KR102010004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09Sulf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는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그래핀이 가지고 있던 고분자 용액에 대한 분산성 및 상용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종래보다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s hybrid composition and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s hybrid using the same}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graphene)은 탄소 원자가 육각형 구조의 벤젠 모양으로 연속 구성된 한 층(두께가 약 4 Å인 이차원 판), 즉 흑연의 단층을 말하는데, 풀러렌(C60),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흑연의 구성 물질이다. 대표적인 층상 물질인 흑연은, 각 그래핀을 이루고 있는 탄소 원자 간의 결합(이를 '시그마 본드'라고 함)은 공유 결합으로 매우 강하지만, 그래핀 간 결합(이를 '파이 본드'라고 함)은 미약한 반데르발스 (van der Waals) 결합을 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두께가 약 4 Å로 매우 얇은 이차원 구조를 갖는 자유막 그래핀이 존재할 수 있다. 그래핀은 탄소나노튜브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바, 탄소나노튜브에 비하여 작고 물성이 뛰어나므로, 포스트 탄소나노튜브로 기대되는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은 스카치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 결정성 흑연 등으로부터 떼어내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그 밖에, 기계적 방법[B. Z. Jang 등, Nano-scaled graphite plates, US 7,071,258 B1]과, 정전기적 방법[A. N Sidorov 등, lectrostatic deposition of graphene, Nanotechnology 18(2007) 135301]을 사용하여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의 공통점은 그래핀을 고 결정성 흑연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벗겨내는 것(mechanical cleavage)이다. 이 경우, 그래핀은 자유막 형태로 얻어진다.
최근 탄소나노복합재료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됨에 따라 탄소나노튜브 및 그래핀을 이용한 나노복합재료의 제조에 관한 관심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는 가격이 비싸고, 그래핀은 균일한 분산이 쉽지 않아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높은 물성을 얻기 위해서는 표면개질 등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그래핀의 표면은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상호 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으로 인해 기지내에 균일한 분산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소수성을 띠고 있어 산업재료로의 용도 또한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래핀의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탄소나노재료의 계면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방법들이 발표되었다. 그 중, 열처리 및 화학적 산처리법으로 표면처리하여 계면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고분자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물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열처리의 경우 높은 비용이 야기되고, 화학적 산처리의 경우 유기산폐액물의 처리, 안정성, 높은 비용과 장시간 반응시간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상에서 그래핀을 함산소불소화 처리함으로써 기지내 놀라운 분산성 및 물성의 향상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조성물 및 상기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조성물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은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은 흑연 분말을 산화제 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건식 함산소불소화(oxyfluorination) 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아크릴 단량체 70 내지 8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20 내지 30 중량%로 혼합된 아크릴계 수지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00 내지 200 중량부;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0.1 내지 5 중량부; 소듐바이설파이드 0.1 내지 5 중량부; 및 흑연 분말을 산화제 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불소와 산소 기체의 혼합비율이 5 내지 15 : 85 내지 95 부피비인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반응기내 상기 혼합기체의 총 압력이 0.1 내지 5.0 bar로 건식 함산소불소화(oxyfluorination) 처리하여 C-OOH의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graphene) 분말 0.01 내지 0.06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은 반응촉진제로서 소듐바이설파이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실온(25℃)에서도 경화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시럽은 메틸아크릴레이트(MA), 에틸아크릴레이트(EA), 부틸아크릴레이트(B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에틸메타크릴레이트(EMA), 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EHM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크릴 단량체 65 내지 85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수지 15 내지 35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아크릴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70 내지 8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수지 2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모노머의 용융시 사용되는 수지로서, 상기 수지는 아크릴 수지로서 분자구조 및 분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점도를 가짐으로써 그 사용량을 조절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지르코늄,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및 산화규소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아크릴계 수지시럽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5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기로는 100 내지 200 중량부를 사용한다. 만약 5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무기충전제가 혼합된 아크릴계 수지시럽의 점도가 낮아 성형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경화물의 강도와 내열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못하며, 2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고분자 복합재료 수지 간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고분자 복합재료 혼합원료의 중합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라디칼개시제, 레독스 개시제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의 예로는 일정온도 이상에서 라디칼을 생성시키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쿠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아실퍼옥사이드,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시부틸레이트, 아세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및 아조비스디메틸발레로니트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t-부틸퍼옥시말레인산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 분말은 흑연 분말을 산화제 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산소 및 불소 혼합기체에서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제는 황산, 질산, 과망가니즈산칼륨,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흑연 분말을 산화제 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불소 가스 및 산소 가스가 5 내지 15 : 85 내지 95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반응기내 총 압력이 0.1 내지 5.0 bar에서 1 내지 30분 동안 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함산소불소화(oxyfluorination)는 그래핀의 손상 없이 그래핀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화하여, 기존의 그래핀의 응집현상에 따른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형성을 방해로 야기되는 분산성 저해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그래핀이 가지고 있던 고분자 용액에 대한 분산성 및 상용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종래보다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아크릴 단량체 70 내지 8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20 내지 30 중량%로 혼합된 아크릴계 수지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00 내지 200 중량부;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0.1 내지 5 중량부; 소듐바이설파이드 0.1 내지 5 중량부; 및 흑연 분말을 산화제 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불소와 산소 기체의 혼합비율이 5 내지 15 : 85 내지 95 부피비인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반응기내 상기 혼합기체의 총 압력이 0.1 내지 5.0 bar로 건식 함산소불소화(oxyfluorination) 처리하여 C-OOH의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graphene) 분말 0.01 내지 0.06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는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는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그래핀이 가지고 있던 고분자 용액에 대한 분산성 및 상용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종래보다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경화제를 이용하여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용액을 경화시켜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고분자 복합재료 보다 향상된 기계적 물성으로 다양한 용도의 산업재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그래핀의 표면 화학조성을 XPS로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그래핀의 관능기 도입을 FT-IR로 분석한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표면 경도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굴곡 탄성률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파단면 비교를 FE-SEM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a: 무처리, b: 비교예 2, c: 비교예 1 d: 실시예 3, e: 실시예 2, f: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함산소불소화처리(산소 기체:불소 기체=7:3)하여 표면이 개질화된 그래핀의 제조
함산소불소화처리하여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graphene)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불소화장비를 사용하여 그래핀의 표면을 처리하였다. 함산소불소화 반응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로 그래핀을 상온, 10-6 torr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함산소불소화처리는 불소 기체 및 산소 기체를 10 : 90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기체를 이용하고, 상기 혼합기체의 총 압력을 1.0 bar로 산소 기체 압력 및 불소 기체 압력의 비는 7 : 3의 조건으로 상온에서 5분간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의하여 C-OOH의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함산소불소화처리(산소 기체:불소 기체=5:5)하여 표면이 개질화된 그래핀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함산소불소화처리의 산소 및 불소 기체 압력이 산소 기체 압력 및 불소 기체 압력 비가 5 : 5의 조건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조건에서 동일하게 제조하여 C-OOH의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3] 함산소불소화처리(산소 기체:불소 기체=3:7)하여 표면이 개질화된 그래핀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함산소불소화처리의 산소 및 불소 기체 압력이 산소 기체 압력 및 불소 기체 압력 비가 3 : 7의 조건인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조건에서 동일하게 제조하여 C-OOH의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0028286720-pat00001
[ 실시예 1]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의하여 표면개질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제조 1
아크릴 수지시럽은 아크릴 모노머(MMA) 75 중량%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25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70 중량부, 제조예 1의 그래핀을 각각 0.01, 0.03, 0.05, 0.10 중량부,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2 중량부, 소듐바이설파이트(23%-수용액) 1 중량부를 고르게 혼합하여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조성물은 200×200×20 mm3 크기의 주형틀에 고르게 흩어 뿌린 후, 상온(25 ℃)에서 30분간 중합 반응시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자체 중합열에 의하여 100℃이상 고온까지 올라간 판재를 상온에서 냉각하고, 표면연마를 0.2 mm 정도 하였다.
[ 실시예 2]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의하여 표면개질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제조 2
상기 실시예 1에서, 그래핀의 종류가 상기 제조예 2의 그래핀을 사용하여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의하여 표면개질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 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제조 3
상기 실시예 1에서, 그래핀의 종류가 상기 제조예 3의 그래핀을 사용하여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비처리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그래핀의 종류가 표면 함산소불소화처리를 생략한 그래핀을 사용하여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비처리된 흑연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그래핀이 아닌 흑연을 사용하여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을 통해 준비된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무처리는 상기 실시예 1에서, 그래핀 및 흑연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한 것이다.
Figure 112010028286720-pat00002
[시험예 1] 함산소불소화처리에 따른 그래핀의 화학조성 조사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그래핀의 표면을 광전자 분광기[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rmo Electron Co., MultiLab 2000)를 통하여 화학조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상기 화학조성변화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각각의 그래핀의 화학결합에서 친수성으로 변화된 정도를 탄소량, 산소량 및 불소의 양을 통해서 조사하였고, 도 1 및 하기 표 3을 통하여 각 원소별 화학결합에너지 값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28286720-pat00003
그 결과 도 1 및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함산소불소화처리에서 산소 기체 압력의 비율이 전체 기체 압력의 30%(제조예 3)에서 70%(제조예 1)로 갈수록 F1s의 피크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대로 O1s 피크는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부합하여 함산소불소화처리 과정에서 산소 기체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C1s 피크에서 C-O 결합을 나타내는 285.9 eV 결합에너지 값과 C=O 결합을 나타내는 286.7 eV 결합에너지 값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의 결과로부터 제조예 1의 그래핀이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가 가장 많이 개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함산소불소화처리에 따른 관능기 도입 여부 조사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그래핀을 함산소불소화처리에 따른 관능기 도입을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적외선 분광기[FT-IR(Fourier transform spectroscopy)](Bio-Rad Laborartories, Inc., FTS-175C)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2에도 확인할 수 있듯이, 표면 처리 및 개질된 그래핀의 경우 함산소불소화처리전 원료 물질인 순수한 흑연에서 제조된 그래핀에서 관측할 수 없는 peak를 관측할 수 있었다.
흑연의 경우는 탄소원자의 결합 결정으로 C-C 결합에 관한 peak만을 관측할 수 있다. 반면에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의해 표면 처리 및 개질된 그래핀은 1030 cm-1 및 1160 cm-1에서 추가 흡수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상기의 결과는 각각 C-F 결합 및 C-F2 결합에 의한 것으로 이는 흑연이 완전히 불화(fluorination)되었음을 확인한 것이며, 또한 추가적인 1632 cm-1에서의 추가 흡수는 C=O 결합에 의한 것으로 이는 흑연이 함산소불소화(oxifluorination)되었음을 확인한 것이다.
[ 시험예 3]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표면 경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로크웰경도시험기(Rockwell Hardness Tester) (Mitutoyo co., ASK-600)로 ASTM D 785-03의 규격에 맞게 표면 경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경우 상기 비교예 3의 그래핀 또는 흑연을 사용하지 않은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무처리) 보다 표면 경도가 낮게 측정되었으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표면이 개질된 그래핀을 투입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경우 그래핀 또는 흑연을 사용하지 않은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무처리) 보다 높은 표면 경도가 측정되었다.
또한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사용된 산소 기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표면 경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래핀의 혼합량을 0.05 중량부 이상 투입하였을 경우, 표면 경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분자 매트릭스 전체의 파괴인성을 상승시키는 크레이즈 피닝(craze pinning) 현상이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첨가제가 도메인으로 작용하여 도메인의 과량투입으로 인해 더 이상의 물성 상승을 이루지 못하고 결함의 요소로 작용되기 때문으로, 도메인 역할을 하는 첨가제가 매트릭스 내에 너무 많이 존재하게 되면 크레이즈(craze)에 대한 저항성 보다 크랙(crack) 및 보이드(void) 발생을 촉진하여 쉽고 빠르게 파단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을 확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비교예 1 및 2의 흑연 및 표면 처리되지 않은 그래핀을 첨가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경우 함량 비율에 관계없이 매트릭스와 도메인 계면의 상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물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굴곡 강도 및 굴곡 탄성률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만능재료시험기[UTM(universal testing machine)](MTS System Co., MTS 810 System)로 ASTM D 790-07의 규격에 맞게 굴곡 강도와 굴곡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 및 2의 흑연 및 표면개질 처리되지 않은 그래핀을 첨가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경우 그래핀 또는 흑연을 사용하지 않은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무처리) 보다 낮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반면, 표면개질 처리를 거친 그래핀을 첨가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경우는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에서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사용된 산소 기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곡 강도와 굴곡 탄성률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시험예 3에서 나타난 결과와 동일하게, 그래핀이 0.05 중량부 이상 투입되었을 경우, 굴곡 강도 및 굴곡 탄성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 역시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이유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의 단면 관찰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를 주사전자현미경[SEM(scanning electro microscope)(JEOL, JSM-7000F)]을 이용하여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흑연 또는 표면개질 처리되지 않은 그래핀을 첨가했을 경우 매트릭스와 도메인 계면의 상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또한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사용된 산소 기체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매트릭스와 도메인 계면의 상용성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시험예 3 및 4와 동일한 이유인 것으로, 함산소불소화처리에 의하여 표면개질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는 친수성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을 포함함으로써 고분자 용액에서의 분산성 및 상용성 향상을 통하여 기존의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아크릴 단량체 70 내지 80 중량%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20 내지 30 중량%로 혼합된 아크릴계 수지시럽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알루미늄 100 내지 200 중량부; t-부틸퍼옥시말레인산 0.1 내지 5 중량부; 소듐바이설파이드 0.1 내지 5 중량부; 및 흑연 분말을 산화제 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킨 후, 순차적으로 불소와 산소 기체의 혼합비율이 5 내지 15 : 85 내지 95 부피비인 혼합기체를 이용하여 반응기내 상기 혼합기체의 총 압력이 0.1 내지 5.0 bar로 건식 함산소불소화(oxyfluorination) 처리하여 C-OOH의 관능기가 도입된 그래핀(graphene) 분말 0.01 내지 0.0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황산, 질산, 과망가니즈산칼륨,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체의 총 압력은 산소 기체 및 불소 기체의 압력비가 3:7 내지 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41001A 2010-04-30 2010-04-30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KR10105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01A KR101051781B1 (ko) 2010-04-30 2010-04-30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001A KR101051781B1 (ko) 2010-04-30 2010-04-30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781B1 true KR101051781B1 (ko) 2011-07-26

Family

ID=4492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001A KR101051781B1 (ko) 2010-04-30 2010-04-30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기하이브리드 고분자 복합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220B1 (ko) 2012-07-16 2013-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가교형 전자파 차폐용 복합체의 제조 방법
WO2015182829A1 (ko) * 2014-05-26 2015-12-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640A (ja) * 2007-01-26 2008-08-14 Hiroshi Ishizuka ダイヤモンド分散合成樹脂成型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3891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감온변색 가능한 인조대리석
KR20090103085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원자력연구원 함산소불소처리된 탄소나노재료 및 방사선을 이용한 열적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에폭시 경화수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640A (ja) * 2007-01-26 2008-08-14 Hiroshi Ishizuka ダイヤモンド分散合成樹脂成型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3891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감온변색 가능한 인조대리석
KR20090103085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원자력연구원 함산소불소처리된 탄소나노재료 및 방사선을 이용한 열적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에폭시 경화수지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220B1 (ko) 2012-07-16 2013-08-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가교형 전자파 차폐용 복합체의 제조 방법
WO2015182829A1 (ko) * 2014-05-26 2015-12-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o et al. A robust and stretchable cross-linked rubber network with recyclable and self-healable capabilities based on dynamic covalent bonds
Gao et al. In-situ modification of carbon fibers with hyperbranched polyglycerol via anionic ring-opening polymerization for use in high-performance composites
Gonçalves et al. Graphene oxide modified with PMMA via ATRP as a reinforcement filler
Karsli et al. Effect of hybrid carbon nanotube/short glass fiber reinforcement on the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s
Tan et al. Grafting of copolymers onto graphene by miniemulsion polymerization for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mpatibility induced by interfacial distribution of graphene
Montazer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epoxy composites
Zaman et al. Epoxy/graphene platelets nanocomposites with two levels of interface strength
Zhu et al. Effect of flexibility of grafted polymer on the morphology and property of nanosilica/PVC composites
Kang et al. Thermal, impact and toughness behaviors of expanded graphite/graphite oxide-filled epoxy composites
Srivastava Modeling and mechanical performance of carbon nanotube/epoxy resin composites
Boo et al. Effect of nanoplatelet aspect ratio on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Zheng et al. Study of SiO2 nanoparticles on the improved performance of epoxy and fiber composites
Korayem et al. Reinforcing brittle and ductile epoxy matrices using carbon nanotubes masterbatch
Ganguli et al. Effect of loading and surface modification of MWCNTs on the fracture behavior of epoxy nanocomposites
Jin et al. Recent advances in carbon-nanotube-based epoxy composites
Jiang et al.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anti-hydrothermal ageing behaviors of unsaturated polyester composites by carbon fibers interfaced with POSS
Jayan et al. Graphene oxide as multi-functional initiator and effective molecular reinforcement in PVP/epoxy composites
Jojibabu et al. High-performance epoxy-based adhesives modified with functionalized graphene nanoplatelets and triblock copolymers
Song et al. Thermal conductivity of natural rubber nanocomposites with hybrid fillers
Wang et al. Mechanical and fracture properties of hyperbranched polymer covalent 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reinforced epoxy composites
KR102496995B1 (ko) 그래핀산화물/흑연나노섬유 복합체로 강화된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Aoyama et al. AFM probing of polymer/nanofiller interfacial adhesion and its correlation with bulk mechanical properties in a poly (ethylene terephthalate) nanocomposite
Constantinescu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functionalized silica nanoparticles
Wang et al. Functionalization of unzipped carbon nanotube via in situ polymerization for mechanical reinforcement of polymer
Ma et al. The architecture of carbon fiber-TiO2 nanorods hybrid structure in supercritical water for reinforcing interfacial and impact properties of CF/epoxy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