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29B1 -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29B1
KR102404029B1 KR1020180121748A KR20180121748A KR102404029B1 KR 102404029 B1 KR102404029 B1 KR 102404029B1 KR 1020180121748 A KR1020180121748 A KR 1020180121748A KR 20180121748 A KR20180121748 A KR 20180121748A KR 102404029 B1 KR102404029 B1 KR 10240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pipe
model
verification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560A (ko
Inventor
황인혁
강태선
박인하
박정서
이정훈
최성인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2Bounding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장치는,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고,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패키지 관계 구성부;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부; 및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3차원 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3D view automatic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ipe MC inspection}
본 발명은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C(Mechanical Completion) 검사는 모든 설비, 장비, 시스템 사양이 도면, 규정, 법규 등 프로젝트의 요구에 따라 건조되었는지 검증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배관 MC 검사는 선박 및는 해양플랜트의 제작과 관련하여 배관 설치가 마무리되었는지 기능적으로 확인하는 검사이다.
기존에는 배관 MC 검사를 위해 다수의 2차원 도면을 출력하여 들고 다녀야 했기에 검사 작업이 불편하고 숙련된 검사자가 아닌 경우 도면과 실제 현장을 비교하여 검사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이에 최근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설계 및 건조에 3차원 모델을 이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배관 MC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3D 캐드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3차원 뷰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CAD 프로그램에서 자동 캡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정의한 로직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그램 또는 매크로(Macro)를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CAD 프로그램을 활용할 경우 프로그램 사용을 위한 PC 등의 성능 제약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7023호 (도면 검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패키지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여 검사자가 실제 현장과 비교할 때 용이한 배관 MC 검사가 가능하게 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 정보를 이용한 3차원 뷰 검증을 통해 구성 가능한 패키지인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고 유체 종류 혹은 방향의 변경이 있을 때 패키지 오류를 경고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운딩 박스를 이용하여 파트 인접면을 통한 검증이 가능한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장치로서,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고,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패키지 관계 구성부;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부; 및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3차원 뷰 생성부를 포함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3차원 뷰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인접한 두 파트에 대해 유체 정보를 활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되, 상기 유체 정보는 유체의 종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인접한 두 파트에 대해 유체의 종류가 상이하거나 유체의 흐름 방향에 동일하지 않은 경우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파트 인접면 검사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되,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는 2개의 파트에 대해 각각 바운딩 박스를 구성하고, 어느 한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꼭지점이 다른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내부 혹은 구성면에 속하는 경우 상기 2개의 파트가 인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1차 판단을 통해 인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파트들에 대해 2차적으로 파트들 간의 메쉬 점 거리 계산을 통해 공차 이내에 들어오면 인접 파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되 서로 겹치는 파트가 없는 파트가 존재할 경우 연결되지 않은 배관이 있어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뷰 생성부는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ISO 뷰 방향으로 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3차원 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뷰 생성부는 각 파트에 대해 파트 명칭을 기입하되, 각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중심에서 해당 파트를 구성하는 메쉬 구성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소화되는 위치를 기입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단계;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뷰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키지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여 검사자가 실제 현장과 비교할 때 용이한 배관 MC 검사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 정보를 이용한 3차원 뷰 검증을 통해 구성 가능한 패키지인지 여부에 대해 검증하고 유체 종류 혹은 방향의 변경이 있을 때 패키지 오류를 경고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바운딩 박스를 이용하여 파트 인접면을 통한 검증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ISO 뷰 방향에서의 3차원 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파트 및 바운딩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유체 정보를 이용한 패키지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파트 인접면 검사를 통한 패키지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블록은 선박 및 해양플랜트 제작을 위한 중간 생산품의 단위를 말한다.
파트는 선박 3차원 모델의 최소 관리 단위로서, 스풀, 서포트, 밸브, 장비 등이 해당된다. 파트들이 모여서 블록 3차원 모델을 구성하게 된다.
패키지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단위이다. 여러 개의 스풀과 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테스트 패키지(Test Package)로 칭해질 수도 있다.
배관 MC 검사는 배관 설치가 마무리되었는지 기능적으로 확인하는 검사로, 배관의 용도에 따라 나눠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ISO 뷰 방향에서의 3차원 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파트 및 바운딩 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유체 정보를 이용한 패키지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파트 인접면 검사를 통한 패키지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100)는 배관 MC 검사 대상이 되는 패키지에 대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여 검사자가 용이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체 정보 혹은 바운딩 박스 겹침 여부를 통해 해당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100)는 입력부(110), 패키지 관계 구성부(120), 3차원 모델 로딩부(130), 3차원 뷰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검증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검사자)로부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다(단계 S200).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는 배관 MC 검사의 대상이 되는 패키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패키지 정보에는 해당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파트 정보는 후술할 패키지 정보 DB에 패키지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패키지 관계 구성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패키지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들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패키지 관계 구성부(120)는 패키지 정보에 파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 패키지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해당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패키지 관계 구성부(120)는 패키지에 관련된 각종 정보(패키지 명칭,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 정보 등)가 등록된 패키지 정보 DB(미도시)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패키지 관계 구성부(120)는 파트 정보 DB(미도시)를 조회하여 앞서 확인한 파트에 연관된 블록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패키지 관계 구성부(120)는 패키지, 파트, 블록에 대한 정보들을 조합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한다(단계 S205).
배관 MC 검사 대상이 되는 패키지에 연관된 블록과 파트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 로딩부(130)는 3차원 모델 DB(미도시)에서 저장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210).
3차원 모델 DB에는 선박 3차원 모델이 블록 단위로 구성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 추출을 위해서는 블록 3차원 모델에 대한 위치 확인이 요구된다.
3차원 모델 로딩부(130)는 저장위치가 확인된 블록 3차원 모델에서 검사 대상이 되는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에 대한 3차원 모델(파트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한다(단계 S215)
3차원 뷰 생성부(140)는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ISO 뷰 방향으로 화면을 캡쳐하여 3차원 뷰를 생성한다(단계 S220). ISO 뷰는 isometric view로서, 각이 서로 120ㅀ를 이루는 3개의 축을 기본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들이 조립된 형상을 가지는 3차원 모델에 대해 ISO 뷰 방향으로 화면 캡쳐된 3차원 뷰가 예시되어 있다.
각 파트에 대해서는 파트 명칭이 기입되어 있어, 해당 파트가 무엇인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파트에 파트 명칭을 기입할 때, 기입 위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각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중심에서 파트를 구성하는 메쉬(Mesh)의 구성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소화되는 위치를 기입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바운딩 박스는 각 파트에 대한 모델 형상 정보가 차지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직육면체 구조의 박스이다.
이처럼 파트 명칭 기입 위치를 지정하는 것은, 임의의 위치에 파트 명칭을 기입할 경우 해당 파트가 복잡한 형상을 가질 때 지시하는 파트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단순히 바운딩 박스의 중심(center)을 기입 위치로 지정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꺾인 형상을 가지는 파트에 대해서는 허공에 파트 명칭이 기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해당 파트 명칭이 가리키는 파트가 무엇인지 명확히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형상을 구성하는 메쉬 구성점 중에서 바운딩 박스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점에 위치하는 것이 파트와 파트 명칭 간의 매칭 관계의 정확도를 높여 줄 수 있게 된다.
파트의 메쉬를 구성하는 모든 점과 해당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중심 간의 직선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가 가장 짧은 점을 파트 명칭의 기입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
검증부(150)는 3차원 뷰가 생성된 패키지에 대해서 배관 MC 검사에 따른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25).
일례로 3차원 뷰에 따른 패키지 검증은 유체 정보를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종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배관 속성 값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배관 MC 검사의 대상이 되는 패키지(즉, test package)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배관이다. 따라서, 동일한 패키지에 대해서는 유체의 종류가 동일하고 그 방향이 일정해야 한다.
만약 동일한 패키지에 속하는 파트에 대해 유체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는 해당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되었는 바, 잘못 구성된 패키지인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배관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이 동일하지 않고 다르다면, 이 역시 잘못 구성된 패키지인 것으로 검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풀 #1과 스풀 #2가 인접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그 연결 지점에서 유체 흐름 방향이 반대인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처럼 배관 연결 지점에서 유체 흐름 방향이 동일하지 않고 다른 경우에는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경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3차원 뷰에 따른 패키지 검증은 파트 인접면 검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는 2개의 파트(A, B)가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A 파트에 대한 바운딩 박스(10)와 B 파트에 대한 바운딩 박스(20)를 구성할 수 있다.
A 바운딩 박스(10)의 꼭지점이 B 바운딩 박스(20)의 구성면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지를 계산하여 파트 인접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다른 파트의 바운딩 박스(B 바운딩 박스(20))의 내부에 포함된 A 바운딩 박스(10)의 꼭지점(P1)이 도시되어 있다. (b)에는 다른 파트의 바운딩 박스(B 바운딩 박스(20))의 한 면에 포함된 A 바운딩 박스(10)의 꼭지점(P2)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 A 바운딩 박스(10)가 B 바운딩 박스(20)의 구성면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꼭지점이 없는 경우(즉, 도 6의 (a) 혹은 (b)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A 바운딩 박스(10)와 B 바운딩 박스(20)는 서로 겹침이 발생하지 않았는 바, A 파트와 B 파트는 인접 파트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1차 판단을 통해 인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파트들에 대해서는 2차적으로 파트들 간의 메쉬 점 거리 계산을 통해 허용 오차(공차) 이내에 들어오면 인접 파트인 것으로 판단한다.
각 파트의 바운딩 박스 상호 간의 겹침 계산을 통해 서로 겹치는 파트가 없는 파트는 연결되지 않은 배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패키지 구성 오류로 보고 경고할 수 있다.
전술한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110: 입력부
120: 패키지 관계 구성부 130: 3차원 모델 로딩부
140: 3차원 뷰 생성부 150: 검증부
10, 20: 바운딩 박스

Claims (10)

  1.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장치로서,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고,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패키지 관계 구성부;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부;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3차원 뷰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뷰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증부는 인접한 두 파트에 대해 유체 정보를 활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유체 정보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인접한 두 파트에 대해 유체의 흐름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장치로서,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고,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패키지 관계 구성부;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부;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3차원 뷰 생성부; 및
    상기 3차원 뷰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증부는 파트 인접면 검사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며,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는 2개의 파트에 대해 각각 바운딩 박스를 구성하고, 어느 한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꼭지점이 다른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내부 혹은 구성면에 속하는 경우 상기 2개의 파트가 인접한 것으로 보며,
    상기 검증부는 1차 판단을 통해 인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파트들에 대해 2차적으로 파트들 간의 메쉬 점 거리 계산을 통해 공차 이내에 들어오면 인접 파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검증부는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되 서로 겹치는 파트가 없는 파트가 존재할 경우 연결되지 않은 배관이 있어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6. 삭제
  7.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단계;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뷰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증 수행 단계에서는 인접한 두 파트에 대해 유체 정보를 활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유체 정보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검증 수행 단계에서는 인접한 두 파트에 대해 유체의 흐름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
  8. 삭제
  9. 삭제
  10.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배관 MC 검사 대상 정보에 포함된 패키지에 상응하는 파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파트가 포함된 블록을 조회하여 파트-블록-패키지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과 상기 파트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 DB에서 상기 블록에 대한 3차원 모델의 저장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저장위치에서 상기 파트에 관한 3차원 모델을 추출하여 로딩하는 단계;
    로딩된 3차원 모델에 대해 3차원 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뷰에 기초하여 상기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증 수행 단계에서는 파트 인접면 검사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며,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는 2개의 파트에 대해 각각 바운딩 박스를 구성하고, 어느 한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꼭지점이 다른 파트의 바운딩 박스의 내부 혹은 구성면에 속하는 경우 상기 2개의 파트가 인접한 것으로 보며,
    상기 검증 수행 단계는 1차 판단을 통해 인접할 것으로 예상되는 파트들에 대해 2차적으로 파트들 간의 메쉬 점 거리 계산을 통해 공차 이내에 들어오면 인접 파트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검증 수행 단계는 하나의 패키지에 속하되 서로 겹치는 파트가 없는 파트가 존재할 경우 연결되지 않은 배관이 있어 패키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방법.
KR1020180121748A 2018-10-12 2018-10-12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0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48A KR102404029B1 (ko) 2018-10-12 2018-10-12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748A KR102404029B1 (ko) 2018-10-12 2018-10-12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60A KR20200041560A (ko) 2020-04-22
KR102404029B1 true KR102404029B1 (ko) 2022-05-30

Family

ID=7047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748A KR102404029B1 (ko) 2018-10-12 2018-10-12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883A (ko) 2021-12-06 2023-06-13 한화오션 주식회사 배관응력해석 결과물 3차원 시각화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088937A (ko) 2021-12-13 2023-06-20 김태상 주사액 연결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39B1 (ko) * 2013-09-03 2015-03-06 손혁진 웹 기반 해양플랜트 검사 공정 관리 시스템
JP2015127890A (ja) * 2013-12-27 2015-07-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配管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並びに配管管理システム
KR101873289B1 (ko) * 2017-08-10 2018-07-02 이규홍 해양 플랜트의 제작 공정 관리를 위한 3d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629B1 (ko) * 2012-11-07 2015-03-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공정의 생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KR101792701B1 (ko) 2015-12-07 2017-11-02 삼성중공업(주) 도면 검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39B1 (ko) * 2013-09-03 2015-03-06 손혁진 웹 기반 해양플랜트 검사 공정 관리 시스템
JP2015127890A (ja) * 2013-12-27 2015-07-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配管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並びに配管管理システム
KR101873289B1 (ko) * 2017-08-10 2018-07-02 이규홍 해양 플랜트의 제작 공정 관리를 위한 3d 시뮬레이션 및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60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0638A1 (en) Method of design quality through the consistency check and design rule check of engineering data of 3d cad model for plant engineering
KR102404029B1 (ko) 배관 mc 검사를 위한 3차원 뷰 자동 생성 장치 및 방법
JP6431956B2 (ja) 配管形状管理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499639B1 (ko) 웹 기반 해양플랜트 검사 공정 관리 시스템
KR102142768B1 (ko)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KR101665446B1 (ko) 점군 데이터로부터 3차원 시설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10929309B (zh) 城轨信号系统中保护区段列表文档的自动验证方法
KR20130055935A (ko) 선박의 배관 응력 해석 데이터 관리 방법
KR20120088256A (ko)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US11294352B2 (en) Cross-section identification system
KR20100087020A (ko) 열 추적 케이블의 제조, 설계, 설치, 및 관리 및 이들의 방법
JP5622600B2 (ja) 配管経路探索装置とそれを用いて作成したプラント
CN109446613A (zh) 一种自动检查弯折走线的方法和系统
KR20150024205A (ko) 배관설계에서 지지간격 오류 시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102448847B1 (ko) 해양구조물 3d 모델의 연결 부위 분석을 통한 누락 부재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150021866A (ko) 파이프 블록 결합 검사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CN108829905B (zh) 一种基于布尔代数和自由度分析的基准体系合理性检验方法
KR101834448B1 (ko) 3d 모델을 이용한 볼륨 기반 물량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3571B1 (ko) 해양플랜트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 순서 확인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순서 확인 방법
KR102276566B1 (ko) 추정된 선체중량을 설계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방법
US20240117944A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pipeline integrity data
KR20140139856A (ko) 파이프 모델링 룰 검사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230084883A (ko) 배관응력해석 결과물 3차원 시각화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71510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자산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18411B2 (ja) 流量計設計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