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256A -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256A
KR20120088256A KR1020110009493A KR20110009493A KR20120088256A KR 20120088256 A KR20120088256 A KR 20120088256A KR 1020110009493 A KR1020110009493 A KR 1020110009493A KR 20110009493 A KR20110009493 A KR 20110009493A KR 20120088256 A KR20120088256 A KR 20120088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data
error
pip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087B1 (ko
Inventor
강융희
장기호
진호원
장명근
윤재로
홍윤택
이창영
박진우
김원삼
안희석
이영석
권우현
김광천
최영희
송정욱
전혜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은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를 저장하는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저장하는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도면작성 처리부;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오류 진단 처리부;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저장하는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 creation}
본 발명은 플랜트 계통을 구성하는 설비기기와 배관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배관계장도를 작성하고,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여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 정보를 관리하는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관계장도는 계통설계의 중요 정보를 포함하는 플랜트 설계 기초문서이다. 이 문서를 작성하고, 계통설계정보를 데이터화하는 과정이 기존에는 기술자의 수작업만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작업 과정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렇게 작성된 도면과 데이터는 인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기존 수작업의 배관계장도 작성 방법은 어떤 특정 계통에서 각종 기기 상호간의 기능관계를 보여주는 배관, 공정제어, 계측사항 등을 심벌을 이용하여 도식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기기 번호, 배관 구경, 배관 설계표 번호 등의 정보를 심벌과 별개로 도식적으로 표현한다. 배관계장도 오류를 점검하는 방법은 도식적으로 표시된 심벌과 정보를 기술자가 육안으로 하나 하나 확인한다. 그리고 배관계장도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용지로 출력하여 육안으로 식별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데이터화한다. 한국형 신형경수로APR-1400 발전소 보조설비계통의 배관계장도는 약 280매로 1매당 평균 270개, 총80,000여 개의 계통설계정보를 표시한다. 그 정보는 발전소 계통을 구성하는 요소이므로 한 개의 정보도 소홀히 다룰 수 없다. 그러나 기술자가 배관계장도의 점검과 계통설계정보의 수집을 수작업으로 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인적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또한 배관계장도를 활용한 계통설계 또는 상세설계 업무에 필요한 계통정보 현황, 엔지니어링 데이터, 규격서, 3차원 CAD 모델 등 상세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 외부 시스템에 접속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댐퍼 등에 대한 계통의 요구조건을 배관계장도에 심벌과 데이터가 일치되도록 작성하고,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계통설계정보를 오류가 없도록 점검하고, 배관계장도와 동일한 내용의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여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속성과 처리가 내재된 지능형 심벌, 심벌 라이브러리와 서식파일의 구성 방법, 배관계장도 작성에 필요한 환경 설정과 심벌과 계통설계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도면 작성 방법, 작성한 심벌과 계통설계정보의 타당성을 점검할 수 있는 오류 통합 진단 방법, 배관계장도와 동일한 정보가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배관계장도를 열람하면서 설계업무에 필요한 계통설계정보 현황, 엔지니어링 데이터, 규격서, 3차원 CAD 모델 등 상세한 설계결과물을 간단히 조회하는 방법을 구현한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은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를 저장하는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저장하는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도면작성 처리부;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오류 진단 처리부;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저장하는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에 대한 속성은 발전소 자재관리 대상이 되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를 포함하는 심벌 구분정보, 자재관리 대상 별로 배관계장도에서 생성하는 계통설계정보 및 데이터화 대상여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는, 상기 심벌이 의미하는 속성에 따라 Airflows, Equipments, Dampers, Fire Protections, HVAC Components, Instrument Valves, I&C Devices, Line Instruments, Miscellaneous & Scope, Noninstrument Valves, Pipelines, Pipe Components, Pipe Specialties, Scopings, Signals, Tables, User's Miscellaneous, Valve Actuators 및 Markup 중 어느 하나 로 분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는, 상기 심벌에 입력한 속성값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심벌을 조합하여 상기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는 복합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면작성 처리부는, 작업할 사업코드 및 도면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로부터 각각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이는 데이터 액세스부;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배관결합심벌 처리부; 및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배관결합심벌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상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액세스부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중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류 진단 처리부는,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진단항목 선택부; 상기 진단항목 선택부로부터 받은 상기 선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심벌을 읽으면서 진단하고, 오류가 발생한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오류 진단부; 및 상기 오류 진단부가 표시한 상기 오류심벌목록에서 선택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하는 오류심벌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류 진단부는, 진단내용에 따라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오류심벌목록의 심벌 속성값이 허용범위에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류 진단부는,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 및 후행 일치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읽어서 데이터화 대상 심벌 여부인지를 판별하고, 데이터화 대상 심벌에 해당한다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분류하고, 범주에 따른 속성값을 추출하여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은,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규격서 및 3차원 CAD 모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하는 데이터 조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조회 처리부는, 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중에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파악하기 위해, 밸브 및 연결배관목록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은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 및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각각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단계;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에 대한 속성은 발전소 자재관리 대상이 되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를 포함하는 심벌 구분정보, 자재관리 대상 별로 배관계장도에서 생성하는 계통설계정보 및 데이터화 대상여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는 상기 심벌이 의미하는 속성에 따라 Airflows, Equipments, Dampers, Fire Protections, HVAC Components, Instrument Valves, I&C Devices, Line Instruments, Miscellaneous & Scope, Noninstrument Valves, Pipelines, Pipe Components, Pipe Specialties, Scopings, Signals, Tables, User's Miscellaneous, Valve Actuators 및 Markup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는 상기 심벌에 입력한 속성값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심벌을 조합하여 상기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는 복합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단계는, 작업할 사업코드 및 도면번호의 입력에 따라, 각각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이는 단계;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 및 상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이는 단계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중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심벌을 읽으면서 진단하고, 오류가 발생한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한 오류심벌목록에서 선택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진단내용에 따라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오류심벌목록의 심벌 속성값이 허용범위에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 및 후행 일치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읽어서 데이터화 대상 심벌 여부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화 대상 심벌에 해당한다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범주에 따른 속성값을 추출하여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은,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규격서 및 3차원 CAD 모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중에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파악하기 위해, 밸브 및 연결배관목록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계장도 작성과 활용에 관련 있는 계통설계와 상세설계 업무의 효과적 수행을 지원하여 정확하고도 신뢰할 수 있는 설계 결과물을 작성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계통의 요구조건들로 속성이 구성된 지능형 심벌은 속성 값에 따라 심벌의 모양을 결정하고 속성 값을 도면에 표시하여 심벌과 계통설계정보를 일체화하여 배관계장도와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 간 정보일치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벌 라이브러리와 서식파일을 자동으로 배포하므로 표준을 준수하고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데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으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 자동 생성으로 계통설계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및 계기,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후행 일치 여부 등을 일괄 검사하고 오류가 발생한 심벌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구성하여 배관계장도와 계통설계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심벌만을 검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를 자동화함으로써 데이터화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엔지니어링 데이터의 신뢰성을 더욱 높여준다.
또한, 배관계장도를 열람한 상태에서 심벌과 관련 있는 상세한 엔지니어링 데이터, 도면, 규격서, 공급자 문서, 3차원 CAD 모델 등을 간단하게 즉시 조회하고, 밸브와 밸브에 연결된 배관 정보 목록을 자동화된 처리로 신속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배관계장도를 활용한 계통설계업무와 상세설계업무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20은 각각의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정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심벌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2는 배관계장도의 서식파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도면작성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1에 도시된 오류 진단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의 네비게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의 내비게이터를 통하여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과 관련된 구매규격서를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의 내비게이터를 통하여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과 관련된 3차원 CAD 모델을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에 의해 이종용접이 필요한 밸브와 배관정보 파악을 위해 밸브와 연결된 배관 정보 목록을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에 의해 심벌을 검색함에 있어서 특정 값을 갖는 기기번호의 목록을 작성하고 기기번호로 심벌을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에 의해 계통설계정보의 파일저장기능으로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계통설계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도 31의 제40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3은 도 31의 제40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4는 도 31의 제4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110), 도면작성 처리부(120), 오류 진단 처리부(130), 데이터 추출부(140),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150),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를 저장하고 있다.
심벌 라이브러리는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지능형 심벌의 모임이다.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심벌 형태나 데이터를 결정한다.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심벌을 기능과 특성으로 분류하여 기술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심벌에 대한 정보의 일치성을 높이기 위해 속성과 처리를 내재한 지능형 심벌로 제작한다. 이 지능형 심벌은 입력한 속성값이 심벌과 함께 도면에 표시되며, 속성값과 연계하여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어 불필요한 작업을 방지하고 정보의 일치성을 보장한다.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상기 심벌에 대한 속성으로서 발전소 자재관리 대상이 되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를 포함하는 심벌 구분정보, 자재관리 대상 별로 배관계장도에서 생성하는 계통설계정보 및 데이터화 대상여부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속성값에 따라 형태가 변경되는 심벌 라이브러리를 저장한다.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심벌이 의미하는 속성에 따라 Airflows, Dampers, Equipments, Fire Protections, HVAC Components, Instrument Valves, I&C Devices, Line Instruments, Miscellaneous & Scope, Noninstrument Valves, Pipelines, Pipe Components, Pipe Specialties, Scopings, Signals, Tables, User's Miscellaneous, Valve Actuators 및 Markup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구성한다.
도 2 내지 도 20은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각각의 도면이다. 도 2는 Airflow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은 Damper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4는 Equipment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Fire Protection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HVAC Component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7은 Instrument Valve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8은 I&C Device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9는 Line Instrument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0은 Miscellaneous & Scope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1은 Noninstrument Valve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2는 Pipeline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3은 Pipe Component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4는 Pipe Specialtie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5는 Scoping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6은 Signal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7은 Table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8은 User's Miscellaneou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9는 Valve Actuators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20은 Markup 심벌 라이브러리의 일 예를 나타낸다.
한편,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는 상기 심벌에 입력한 속성값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심벌을 조합하여 상기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는 복합심벌을 포함한다. 도 21은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정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심벌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1의 좌측에 도시된 도면의 심벌"TEW 207"의 속성 입력창에서 "ASME Test"와 "Supplier Designation"에 입력된 값에 따라, 도 21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의 심벌 "TEW 207"의 좌측 상하에 심벌이 부가된 복합심벌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심벌에 대한 정보와 형태가 일치하도록 한다.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110)는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은 엔지니어링 업무규정에 따른 도면 테두리, 사업주 로고 및 명칭, 회사 명 및 로고, 사업명, 안전성 구분, 사업번호, 심벌 라이브러리, 글자와 선 형태 등의 기본적인 정보가 설정되어 사업별로 제작된다. 서식파일의 속성으로 사업주 및 사업명, 회사명, 도면제목, 도면번호, 척도, 도면매수, 개정번호, 안전성구분, 구역번호, 사업번호 등이 있다. 도 22는 배관계장도의 서식파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심벌 라이브러리와 배관계장도 서식 파일은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 및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110)를 포함하는 파일서버(예를 들어, 플랜트 엔지니어링 업무을 지원하는 시스템인 IMPIS-Integrated Management Plant Information System- 환경 하에서 운영되는 IPIMS 파일서버 등)에서 관리되어 배포시간 단축과 변경관리가 용이하며 배관계장도를 작성하는 모든 기술자가 동일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
도면작성 처리부(120)는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로부터 제공된 심벌 라이브러리 및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110)로부터 제공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한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도면작성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데이터 액세스부(200), 배관결합심벌 처리부(210) 및 데이터 작성부(2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액세스부(200)는 작업할 사업코드 및 도면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100)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110)로부터 각각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인다. 이때, 데이터 액세스부(200)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중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액세스부(200)는 배관계장도 작성에 필요한 심벌 라이브러리와 서식파일을 도면 작성 시마다 기술자 전산환경으로 내려 받기를 하여, 작업을 위해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배관결합심벌 처리부(210)는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배관결합심벌 처리부(210)는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심벌 즉,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지를 판단하고, 대상이 되는 배관결합심벌이면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데이터 작성부(220)로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작성부(220)는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배관결합심벌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상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예를 들어, 기기번호 등)를 생성 및 표시한다.
데이터 작성부(220)는 계통의 구성을 심벌로 표시할 때 속성값을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값이 심벌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심벌과 정보가 일치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작성부(220)는 배관에 연결되는 배관결합심벌은 배관 심벌의 속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오류 진단 처리부(130)는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데이터 추출부(140)로 출력한다. 오류 진단 처리부(130)는 오류 점검 항목을 진단하는 통합진단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후행 일치 여부 등을 진단한다. 오류 진단 처리부(130)는 그 진단결과를 목록으로 제공하며, 목록의 기능은 오류 내용의 표시뿐만 아니라 오류가 발생한 심벌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4는 도 1에 도시된 오류 진단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진단항목 선택부(300), 오류 진단부(310) 및 오류심벌 검색부(320)을 포함한다.
진단항목 선택부(300)는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선택된 진단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오류 진단부(310)로 출력한다.
오류 진단부(310)는 진단항목 선택부(310)로부터 받은 상기 선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심벌을 읽으면서 진단하고, 오류가 발생한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한다. 상기 오류 진단부(310)는 진단내용에 따라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오류심벌목록의 심벌 속성값이 허용범위에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오류 진단부(310)는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 및 후행 일치 여부를 진단한다.
오류심벌 검색부(320)는 상기 오류 진단부(310)가 표시한 상기 오류심벌목록에서 선택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한다. 오류심벌검색처리부(320)는 오류심벌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배관계장도 상에서의 오류심벌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추출부(140)는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150)로 출력한다. 데이터 추출부(140)는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읽어서 데이터화 대상 심벌 여부인지를 판별한다. 데이터화 대상 심벌에 해당한다면, 데이터 추출부(140)는 해당 계통을 구성하는 심벌의 속성만 읽어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고, 필수 입력 값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검사한다. 데이터 추출부(140)는 검사를 통과한 심벌을 특성에 따라,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분류하고, 범주에 따른 속성값을 추출하여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150)로 출력한다.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150)는 데이터 추출부(140)로부터 제공된 계통설계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또는 외부 시스템 자료로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3차원 CAD 모델정보,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심벌의 상세정보로서 입력된 도면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한다.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 배관계장도와 관련한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참조할 도서 또는 기타 정보를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150)와 연계하여 신속하게 조회하며, 심벌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여 계통설계 현황을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배관계장도와 관련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 배관계장도를 열람하면서 계통설계정보 현황, 엔지니어링 데이터, 도서와 3차원 CAD 모델 등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밸브 현황 파악을 위해,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 밸브와 밸브가 연결하는 배관을 검색하여, 밸브와 연결배관목록을 작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엔지니어링 데이터, 문서, 3차원 CAD 모델 등을 조회하기 위해,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 심벌의 기기번호로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엔지니어링 데이터, 도면, 규격서, 공급자 문서, 3차원 CAD 모델 등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해당자료를 관리하는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 배관계장도가 열람된 상태에서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상세정보를, 도면 및 문서 관리 시스템에서 도면, 구매규격서, 공급자 문서를, 3차원 CAD 시스템에서 3차원 CAD 모델을 간단히 조회할 수 있는 네비게이터가 있다. 또한,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는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중에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파악하기 위한 밸브연결배관목록, 기기번호가 부여된 심벌탐색기능,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계통설계정보 파일저장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2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조회 처리부의 네비게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6은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의 내비게이터를 통하여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과 관련된 구매규격서를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27은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의 내비게이터를 통하여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과 관련된 3차원 CAD 모델을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28은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에 의해 이종용접이 필요한 밸브와 배관정보 파악을 위해 밸브와 연결된 배관 정보 목록을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29는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에 의해 심벌을 검색함에 있어서 특정 값을 갖는 기기번호의 목록을 작성하고 기기번호로 심벌을 조회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도 30은 데이터 조회 처리부(160)에 의해 계통설계정보의 파일저장기능으로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계통설계정보를 파일로 저장하는 실제 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1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우선,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 및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각각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한다(제400 단계).
심벌 라이브러리는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지능형 심벌의 모임이다. 이 지능형 심벌은 입력된 속성값이 심벌과 함께 도면에 표시되며, 속성값과 연계하여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어 불필요한 작업을 방지하고 정보의 일치성을 보장한다. 상기 심벌에 대한 속성으로서 발전소 자재관리 대상이 되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를 포함하는 심벌 구분정보, 자재관리 대상 별로 배관계장도에서 생성하는 계통설계정보 및 데이터화 대상여부를 정의하고, 이에 따라 속성값에 따라 형태가 변경되는 심벌 라이브러리를 저장한다.
심벌 라이브러리는 심벌이 의미하는 속성에 따라 Airflows, Dampers, Equipments, Fire Protections, HVAC Components, Instrument Valves, I&C Devices, Line Instruments, Miscellaneous & Scope, Noninstrument Valves, Pipelines, Pipe Components, Pipe Specialties, Scopings, Signals, Tables, User's Miscellaneous, Valve Actuators 및 Markup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구성한다.
한편, 심벌 라이브러리는 상기 심벌에 입력한 속성값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심벌을 조합하여 상기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는 복합심벌을 포함한다. 전술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1의 좌측에 도시된 도면의 심벌"TEW 207"의 속성 입력창에서 "ASME Test"와 "Supplier Designation"에 입력된 값에 따라, 도 21의 우측에 도시된 도면의 심벌 "TEW 207"의 좌측 상하에 심벌이 부가된 복합심벌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도 32는 도 31의 제40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작업할 사업코드 및 도면번호의 입력에 따라, 각각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인다(제500 단계). 특히, 배관계장도 작성에 필요한 심벌 라이브러리와 서식파일을 도면 작성 시마다 기술자 전산환경으로 내려 받기를 할 때에,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중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제500 단계 후에,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502 단계).
만일,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파라미터를 출력한다(제504 단계).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면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속성에 대응하는 해당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제504 단계 후에,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 및 상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예를 들어, 기기번호 등)를 생성한다(제506 단계). 계통의 구성을 심벌로 표시할 때 속성값을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값이 심벌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심벌과 정보가 일치되도록 한다. 이때, 배관에 연결되는 배관결합심벌은 배관 심벌의 속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제400 단계 후에,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한다(제402 단계).
도 33은 도 31의 제40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출력한다(제600 단계).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선택된 진단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출력한다.
제600 단계 후에, 상기 선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심벌을 읽으면서 진단하고, 오류가 발생한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한다(제602 단계).
상기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진단내용에 따라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오류심벌목록의 심벌 속성값이 허용범위에 있는지 검사한다. 또한, 상기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 및 후행 일치 여부를 진단한다.
제602 단계 후에, 상기 표시한 오류심벌목록에서 선택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한다(제604 단계). 오류심벌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배관계장도 상에서의 오류심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제402 단계 후에,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제404 단계).
도 34는 도 31의 제4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다(제700 단계).
제700 단계 후에,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읽어들인다(제702 단계).
제702 단계 후에, 읽어들인 심벌이 데이터화 대상 심벌 여부인지를 판별한다(제704 단계).
제704 단계 후에, 상기 데이터화 대상 심벌에 해당한다면, 배관, 기기, 밸브, 계기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분류한다(제706 단계, 제712 단계, 제718 단계, 제724 단계, 제730 단계).
제706 단계에서, 배관 심벌에 해당한다면, 배관 데이터 추출 및 점검한다(제708 단계).
제708 단계 후에, 데이터베이스 질의어에 해당하는 배관 SQL문을 작성한다(제710 단계).
한편, 제712 단계에서, 기기 심벌에 해당한다면, 기기 데이터 추출 및 점검한다(제714 단계).
제714 단계 후에, 데이터베이스 질의어에 해당하는 기기 SQL문을 작성한다(제716 단계).
한편, 제718 단계에서, 밸브 심벌에 해당한다면, 밸브 데이터 추출 및 점검한다(제720 단계).
제720 단계 후에, 데이터베이스 질의어에 해당하는 밸브 SQL문을 작성한다(제722 단계).
한편, 제724 단계에서, 계기 심벌에 해당한다면, 계기 데이터 추출 및 점검한다(제726 단계).
제726 단계 후에, 데이터베이스 질의어에 해당하는 계기 SQL문을 작성한다(제728 단계).
한편, 제730 단계에서, 댐퍼 심벌에 해당한다면, 댐퍼 데이터 추출 및 점검한다(제732 단계).
제732 단계 후에, 데이터베이스 질의어에 해당하는 댐퍼 SQL문을 작성한다(제734 단계).
제710 단계, 제716단계, 제722단계, 제728 단계 또는 제734 단계 후에, 배관 SQL문, 기기 SQL문, 밸브 SQL문, 계기 SQL문 또는 댐퍼 SQL문을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제736 단계).
제736 단계 후에,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와의 접속을 종료한다(제738 단계).
제404 단계 후에,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및 3차원 CAD 모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한다(제406 단계).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또는 외부 시스템 자료로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3차원 CAD 모델정보,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심벌의 상세정보로서 입력된 도면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한다. 배관계장도와 관련한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참조할 도서 또는 기타 정보를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신속하게 조회하며, 심벌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여 계통설계 현황을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밸브 현황 파악을 위해, 밸브와 밸브가 연결하는 배관을 검색하여, 밸브와 연결배관목록을 작성하여 제공한다. 또한, 엔지니어링 데이터, 문서, 3차원 CAD 모델 등을 조회하기 위해, 심벌의 기기번호로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서 엔지니어링 데이터, 도면, 규격서, 공급자 문서, 3차원 CAD 모델 등 상세정보를 획득하여 해당자료를 관리하는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
110: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
120: 도면 작성 처리부
130: 오류 진단 처리부
140: 데이터 추출부
150: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
160: 데이터 조회 처리부

Claims (24)

  1.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를 저장하는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저장하는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도면작성 처리부;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오류 진단 처리부;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저장하는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에 대한 속성은 발전소 자재관리 대상이 되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를 포함하는 심벌 구분정보, 자재관리 대상 별로 배관계장도에서 생성하는 계통설계정보 및 데이터화 대상여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는
    상기 심벌이 의미하는 속성에 따라 Airflows, Equipments, Dampers, Fire Protections, HVAC Components, Instrument Valves, I&C Devices, Line Instruments, Miscellaneous & Scope, Noninstrument Valves, Pipelines, Pipe Components, Pipe Specialties, Scopings, Signals, Tables, User's Miscellaneous, Valve Actuators 및 Markup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는
    상기 심벌에 입력한 속성값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심벌을 조합하여 상기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는 복합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작성 처리부는
    작업할 사업코드 및 도면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저장부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저장부로부터 각각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이는 데이터 액세스부;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배관결합심벌 처리부; 및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배관결합심벌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상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액세스부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중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진단 처리부는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진단항목 선택부;
    상기 진단항목 선택부로부터 받은 상기 선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심벌을 읽으면서 진단하고, 오류가 발생한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오류 진단부; 및
    상기 오류 진단부가 표시한 상기 오류심벌목록에서 선택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하는 오류심벌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진단부는
    진단내용에 따라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오류심벌목록의 심벌 속성값이 허용범위에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진단부는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 및 후행 일치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읽어서 데이터화 대상 심벌 여부인지를 판별하고, 데이터화 대상 심벌에 해당한다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분류하고, 범주에 따른 속성값을 추출하여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은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3차원 CAD 모델정보,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심벌의 상세정보로서 입력된 도면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하는 데이터 조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조회 처리부는
    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중에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파악하기 위해, 밸브 및 연결배관목록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13.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이 내재된 각종 심벌을 계통설계정보의 속성별로 분류한 심벌 라이브러리 및 배관계장도의 작성을 위한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각각 액세스하여,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단계;
    도면 작성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계장도에서 심벌을 읽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계통설계정보를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에 대한 속성은 발전소 자재관리 대상이 되는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를 포함하는 심벌 구분정보, 자재관리 대상 별로 배관계장도에서 생성하는 계통설계정보 및 데이터화 대상여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는 상기 심벌이 의미하는 속성에 따라 Airflows, Equipments, Dampers, Fire Protections, HVAC Components, Instrument Valves, I&C Devices, Line Instruments, Miscellaneous & Scope, Noninstrument Valves, Pipelines, Pipe Components, Pipe Specialties, Scopings, Signals, Tables, User's Miscellaneous, Valve Actuators 및 Markup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는 상기 심벌에 입력한 속성값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심벌을 조합하여 상기 심벌의 모양이 변경되는 복합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의 속성에 데이터를 등록 및 수정하는 단계는
    작업할 사업코드 및 도면번호의 입력에 따라, 각각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이는 단계;
    배관심벌과 결합되는 배관결합심벌 중에서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값을 설정해야 하는 배관결합심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관심벌의 속성을 읽어서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되는 심벌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를 표시 및 상기 엔지니어링 업무규칙에 따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을 읽어들이는 단계는
    상기 심벌 라이브러리 및 상기 배관계장도 서식파일 중 최신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사항을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진단할 항목에 대한 선택 파라미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선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한 심벌을 읽으면서 진단하고, 오류가 발생한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한 오류심벌목록에서 선택된 오류심벌을 배관계장도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진단내용에 따라서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오류심벌목록의 심벌 속성값이 허용범위에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심벌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도면정보 미입력, 중복된 기기번호, 배관과 결합되지 않은 밸브, 리듀서 크기 오류, 배관 및 특수배관의 배관설계표 번호와 배관구경 오류, 연결자의 선 및 후행 일치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설계정보를 추출 및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배관계장도에 표시된 심벌을 순차적으로 읽어서 데이터화 대상 심벌 여부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화 대상 심벌에 해당한다면, 배관, 계기, 기기, 밸브 및 댐퍼 중에서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범주에 따른 속성값을 추출하여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은
    상기 배관계장도를 활용하는 설계업무에 참조할 계통설계정보 현황,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의 상세정보, 3차원 CAD 모델정보, 상기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심벌의 상세정보로서 입력된 도면 및 문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밸브에 연결되는 배관 중에서 이종용접이 필요한 배관을 파악하기 위해, 밸브 및 연결배관목록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방법.
KR1020110009493A 2011-01-31 2011-01-31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20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93A KR101204087B1 (ko) 2011-01-31 2011-01-31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93A KR101204087B1 (ko) 2011-01-31 2011-01-31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56A true KR20120088256A (ko) 2012-08-08
KR101204087B1 KR101204087B1 (ko) 2012-11-22

Family

ID=4687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93A KR101204087B1 (ko) 2011-01-31 2011-01-31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767A (ko) * 2014-10-31 2016-05-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 고유심벌을 전산화절차서에 수록하기 위한 방법
KR101651181B1 (ko) * 2016-05-19 2016-08-25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발전소용 3차원 배관지지물 설계 방법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1941968B1 (ko) * 2017-11-06 2019-01-24 장규정 스캐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스캐치 서비스 프로그램
KR20200097953A (ko) 2019-02-11 2020-08-20 이승호 지능형 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2027A (ko) 2020-07-22 2022-02-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플랜트 공정 설계 이상 진단 자동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0743B1 (en) 2018-11-30 2024-03-20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information extraction from piping and instrumentation diagram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863B2 (ja) * 1996-06-18 2002-03-25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配管の自動設計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767A (ko) * 2014-10-31 2016-05-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 고유심벌을 전산화절차서에 수록하기 위한 방법
KR101651181B1 (ko) * 2016-05-19 2016-08-25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발전소용 3차원 배관지지물 설계 방법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1941968B1 (ko) * 2017-11-06 2019-01-24 장규정 스캐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스캐치 서비스 프로그램
KR20200097953A (ko) 2019-02-11 2020-08-20 이승호 지능형 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2027A (ko) 2020-07-22 2022-02-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 플랜트 공정 설계 이상 진단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087B1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1098A1 (en) Mapping instances of a dataset within a data management system
KR102046147B1 (ko) 플랜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3d cad 모델의 엔지니어링 데이터 정합성 검사방법
KR101204087B1 (ko) 지능형 배관계장도 작성 시스템 및 방법
Zadeh et al. Information quality assessment for facility management
JP6116139B2 (ja) 解析データ用の直感的なコンテクスト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737166B (zh) 数据沿袭系统
JP5659238B2 (ja) ソースコード変換方法およびソースコード変換プログラム
US89497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ing systems analysis and verification
WO20090422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compliance with building regulations
US10061874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process and/or production plant
CN116415430B (zh) 面向空间科学任务论证的定制化SysML模型转换方法
Gerrish et al. Attributing in-use building performance data to an as-built building information model for lifecycle building performance management
US20050256695A1 (en) Creating visual data models by combining multiple inter-related model segments
Love et al. A systems information model for managing electrical, control, and instrumentation assets
KR20200097953A (ko) 지능형 계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786124B (zh) 一种问题排查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Wiesner et al. An ontology-based environment for effective collaborative and concurrent process engineering
CN115421713A (zh) 表单可视化配置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Huang et al. Using digital technologies to plan and manage the pipelines network in city
Karimi BIM and Management of Infrastructural Facilities/Assets: Possible Solutions for HVAC Systems
CN112416752B (zh) 一种基于数据仓库etl分层测试的方法
Östman et al. GeoTest: A Testing Environment for Swedish Geodata
Ketola et al. Automated Data Quality Check in Plant Digital Twins
Lee et al. Exploring an innovative evaluation method to ensure the quality of spatial data needed at the distribution stage: focused on building and road map in South Korea
KR20220170245A (ko) 자동화 솔루션 소프트웨어를 통한 인스트루먼트 인덱스 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