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06B1 -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06B1
KR102404006B1 KR1020170154396A KR20170154396A KR102404006B1 KR 102404006 B1 KR102404006 B1 KR 102404006B1 KR 1020170154396 A KR1020170154396 A KR 1020170154396A KR 20170154396 A KR20170154396 A KR 20170154396A KR 102404006 B1 KR102404006 B1 KR 10240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ed medicine
plate
pouch
inspection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466A (ko
Inventor
김상훈
김근주
김정일
이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microwaves or radio waves, i.e.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of one millimetre or more
    • G01N22/0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파의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사할 때 파우치 포장의 훼손이 없고 파우치 포장 내의 가루약을 빈공간 없이 균일하게 정렬시켜 이물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루약을 모으는 홈이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격자 모양의 다수 홀이 구비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의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알루미늄 필름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 흡입관을 포함하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Pouch packed type powder fixation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 in powdery medic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파의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사할 때 파우치 포장의 훼손이 없고 파우치 포장 내의 가루약을 빈 공간 없이 균일하게 정렬시켜 이물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품 수액(링거)을 액체상태로 오래 보관할 수 없어 최근에는 수액(링거)과 가루약을 따로 분리하여 필요시 수액(링거)에 가루약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가루약은 대량으로 파우치 형태의 포장으로 생산된다. 파우치 형태는 도 1과 같이 앞면은 약품이 보일 수 있게 투명 폴리머 재질로 되어 있으며 후면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사각모양으로 압착되어 외부와 접촉이 차단된 형태이다.
현재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에 대한 이물 검사는 대부분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검사하여 이물은 검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광학적 검사도 병행하여 이물을 구별하고 있으나 표면에 대한 검사만 가능할 뿐 가루약의 뭉쳐진 부분이나 가루약의 뒤에 파묻혀 있는 곳에서의 이물은 구별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투과성이 좋은 전자기파를 이용하면 가루약 내부 투과하기 때문에 가루약 내부의 이물 검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파우치 포장을 통과하는 방식의 투과를 이용할 경우 가루약의 분포에 상관없이 이물 검출이 가능하나, 현재의 규격화된 앞면 폴리머 재질, 뒷면 알루미늄 재질의 파우치 포장지의 경우 대부분의 전자기파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통과할 수가 없다.
한편, 엑스레이(X-ray)와 같은 방사선은 금속을 투과하지만 높은 에너지로 인한 유해성 및 약품을 변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대부분의 전자기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에서 대부분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전자기파 반사측정법으로 이물 측정이 가능하다. 명시된 파우치 포장형의 경우 한 면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기파 반사측정법으로 이물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파를 이용한 반사측정법은 반사 대상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원하는 이물의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측정되어야 하는 대상물이 가루일 경우 동일한 두께로 균일하고 평평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이물 검사방법은 대부분 사람에 의한 표면 육안검사 방법은 파우치 포장된 가루약을 여러 방향으로 흔들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고 검사하고 있고, 광학적 검사도 병행하여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이물을 검사하고 있지만 표면에 드러난 이물만 검출하는데 그치고 있다.
그리고, 전자기파의 투과법에 의한 검사방법도 연구상태로 진행되고 있지만, 한면이 알루미늄으로 된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검사에는 적용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전자기파는 금속을 투과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포장 약품검사 방법에는 투명한 약봉지 알약에 대한 광학적 검사와 투과를 이용한 캡슐형 가루약검사가 연구단계에서 행해지고는 있지만 포장된 파우치의 훼손 없이 가루약 내부의 이물을 측정하는 방법은 전무하며 이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을 고정하고 반사형으로 측정하는 기술은 전무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42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07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파의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검사할 때 파우치 포장의 훼손이 없고 파우치 포장 내의 가루약을 빈 공간 없이 균일하게 정렬시켜 이물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루약을 모으는 홈이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격자 모양의 다수 홀이 구비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의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알루미늄 필름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 흡입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홈의 주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상단 필름을 평평하게 하는 고정용 덮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의 상기 고정용 덮개는 전자기파 투광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의 상기 고정용 덮개는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은 상기 고정용 덮개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전자기파를 투과시키는 전자기파 투과성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은 상기 진공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필름을 흡입하여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입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일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측면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루약을 모으는 홈이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에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가루약이 모이도록 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루약을 모으는 홈이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격자 모양의 다수 홀이 구비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의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알루미늄 필름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 흡입관;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에 전자기파를 투사하고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이물 검사를 수행하는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상단 필름을 평평하게 하는 고정용 덮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진공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알루미늄 필름을 흡입하여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입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의 상기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는 라인 스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측면의 상기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는 면적 스캔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측면은 (A) 격자 모양의 다수의 홀을 구비한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중앙 부위에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를 설치하는 단계; (B) 진공 흡입관을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의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알루미늄 필름을 흡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한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에 전자기파를 투사하고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이물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측면은 상기 (A) 단계 이후에, (D) 고정용 덮개를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상단 필름을 평평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측면은 상기 (B) 단계 이후에, (E) 진동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액(링거)을 오래 보관하기 위한 방법으로 첨가 약품을 분리하여 개발하는 최근 방식에서 첨가 약품 내 이물질에 대한 문제를 전자기파 반사측정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수기로 검사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자동화, 고속화, 전수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람에 의한 여러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켜 육안 검사와 표면만 가능한 광학검사를 대체 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검사 방법을 새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루약에 파 묻혀있는 이물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을 투과하지 못하는 전자기파를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가루약의 이물검사를 위한 영상 스캔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 측정법이 가능한 전자기파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신개념 이물 검사 장치의 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을 투과하는 엑스레이 검사의 유해성과 약품의 변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전체 부분을 스캔하지 않고 조밀하게 모여있는 임의 부분에 대해서 이물검사 스캔을 하기 때문에 이물검사를 위한 영상스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라인으로 확장하면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여러 개를 동시에 이물 측정이 가능하여 약품에 대한 전수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수 검사가 가능해 지면 수액(링거) 내 이물질에 대한 걱정을 떨쳐낼 수 있어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에서 안정성을 최고로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형 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파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전자기파가 파우치에 입사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플레이트의 홈의 일정 부분의 다양한 모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플레이트의 흡입과 진동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플레이트의 경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방향에서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는 플레이트(100), 고정용 덮개(200), 진동 발생부(300), 진공 흡입관(400) 및 진공 흡입기(50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는 플레이트(100), 고정용 덮개(200), 진동 발생부(300), 진공 흡입관(400), 진공 흡입기(500) 및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플레이트(10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에 가루약을 모으는 홈(1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판형의 형상은 사각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플레이트(100)의 홈(110)은 가루약을 모으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홀(120)이 행과 열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00)의 홈(110)의 바닥면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파우치의 알루미늄 필름 포장지를 평평하게 만든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홈(110)의 형상은 사각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의 홈(110)의 주변에는 가루약을 일정 영역의 홈(110)에 용이하게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사 처리가 되어 있는 경사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130)를 통하여 홈(110)에 용이하게 가루약을 모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용 덮개(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파우치의 상단 필름을 압박하여 상단 필름이 평평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덮개(200)는 전자기파가 투과할 수 있는 전자기파 투과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덮개(200)는 중앙 부위에 홈(110)을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210)를 구비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에 설치되는 파우치의 가루약이 위치하는 부분의 주변에 해당하는 상단 필름을 압박하여 상단 필름이 평평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용 덮개(200)의 개구부(210)는 전자기파가 투과할 수 있는 렌즈와 같은 전자기파 투과성판(220)을 끼워 넣어 파우치의 상단 필름을 더욱더 평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고정용 덮개(200)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건과 같은 도구로 공기를 분사해 가루약과 상단 필름을 접촉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용 덮개(20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각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모양과 같이 다양한 모양 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고정용 덮개(200)의 개구부(210)는 사각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모양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 발생부(300)는 플레이트(100)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100)를 진동시켜, 플레이트(100)에 설치된 가루약이 홈(110)에 모으도록 진동시킨다.
상기 진동 발생부(300)는 플레이트(100)의 아래에 설치된 진공 흡입관(400)이 플레이트(100)의 홈(110)의 아래 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개구부(310)를 구비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형의 내부 또는 외부에 플레이트(100)를 진동시킬 수 있는 초음파 센서, 진동 모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진공 흡입관(400)은 플레이트(100)의 홈(110)의 아래에 접촉하여 흡입되는 공기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형으로 깔대기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진공 흡입기(500)는 진공 흡입관(400)에 부착되어 있으며, 진공 흡입관(400)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플레이트(100)에 설치된 파우치의 알루미늄 필름을 평형하게 한다.
그리고,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는 플레이트(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자기파를 생성하여 파우치에 투사하고 반사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파우치의 가루약의 이물 존재 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는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는 라인 스캔(1D 스캔) 방식을 사용하거나 면적 스캔(2D 스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완제품 형태로 납품되고 있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포장지의 구조를 최대한 활용한다.
포장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면은 알루미늄 필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면은 폴리머 계열의 투명한 재질의 상단 필름으로 되어 있으면 그 사이에 공기층과 함께 가루약이 들어가 있다.
두 필름의 가장자리를 압착해 가루약을 밀봉한 형태로 되어 있다. 가루약은 내부에 꽉차여 있지 않은 상태로 필름 사이의 공기층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필름은 가장자리를 제외하고 압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알루미늄 필름 쪽을 보게 되면 포장지가 조금 튀어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앞쪽 폴리머 재질의 상단 필름 쪽도 유사하다.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를 이용한 전자기파의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려면 투과가 잘되는 폴리머 계열의 상단 필름 면이 전자기파가 송신되어야 하는 부분이고 투과가 되지 않는 즉 반사가 잘 일어나는 알루미늄 필름의 면이 제일 마지막 면이 되어야 한다.
즉,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에서 생성되어 출사되는 전자기파가 상단 필름을 투과하고, 공기층+가루약을 투과하며, 알루미늄 필름에서 전자기파 반사 형태를 이루게 하여야 한다.
전자기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입사될 수도 있고 각도를 가지고 입사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에서 사용하는 반사 측정법에서 중요한 것이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 즉 가루약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조밀하게 모여 있게 만드는 것이다.
이유는 투과되어 반사되기 때문에 표면의 두께의 균일함이 정보 취득이 용의하고 정확한 이물의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반사되는 면 즉 알루미늄 필름이 굴곡이 없어야 한다. 이유는 굴곡이 있을 경우 난반사로 인해 영상 취득시 이물로 오인될 수도 있고 투과되고 반사되어 얻은 정보를 가지고 이물을 분석하는데 가루약 깊이 정보가 불규칙하게 되어 이물 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위 두가지 내용을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고정 장치이다.
첫 번째로 선행되어야 하는 해결책은 알루미늄 필름 부분을 평평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 방법은 도 7에서와 같이 공기층으로 형성되어 튀어나온 알루미늄 필름 포장지 부분을 일정 형상의 영역(사각형, 원형)의 홈(110)이 만들어진 도 8에 도시된 플레이트(100)에 고정한 후에 진공 흡입관(400)과 진공 흡입기(500)를 사용하여 포장지를 흡입해 플레이트(100)의 홈(110)에 맞게 당기는 것이 핵심이다.
일정 영역은 가루약이 균일하게 당겨진 부분에 꽉 차게 들어갈 수 있는 영역으로 만들 수 있고 그 모양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이 될 수 있고 사각 모양이 될 수 있다.
일정 영역 부분은 가루약이 채워질 수 있는 크기로 만들 수 있으면 가루약의 양에 따라 적절히 일정 부분에 해당하는 면적과 높이에 따라 제작 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포장지가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다.
두 번째로는 플레이트(100)의 홈(110)에 맞게 당겨진 알루미늄 필름 포장지의 당겨진 부분에 가루약을 균일하게 위치시키는 방법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장치의 홈(110) 이외의 부분을 경사진 경사부(120)을 만들어 가루약이 진공 흡입된 부분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고 진동 발생기(300)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가루약을 균일하고 평평하게 만들 수 있다. 진동 발생기(300)가 진동을 발생하는 방법은 초음파, 모터 등과 같이 진동을 주는 방식을 가지는 장치는 모두 가능하며 이 진동 발생기(300)는 플레이트(100)에 부착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상단 즉 폴리머 계열 필름과 가루약 사이에 공기층이 많아 보이지만 설명을 위한 확대 일뿐 실제로는 일정부분으로 모여진 가루약과 상단 필름은 거의 접촉상태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에서는 가루약 하단 알루미늄 필름은 진공 흡입과 플레이트의 홈으로 인해 평평하게 펴진 상태이다.
반면에 가루약과 상단 필름은 기계적 물리적 처리 장치가 없어서 가루약과 필름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전자기파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가루약과 필름 사이의 공기층 없이 서로 접촉되어 있을 때 더 정확한 이물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그래서 도 9에서는 보여지지 않았지만 폴리머 계열의 상단 필름이 일정영역으로 모여진 가루약과 최대한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단에서 에어건과 같은 도구로 공기를 분사해 가루약과 폴리머 계열의 필름을 접촉 시킬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고정용 덮개(200)를 사용하여 전자기파의 투과성이 좋은 물질의 렌즈모양 또는 일정영역을 커버 할 수 있는 모양으로 위에서 누르거나 압착하는 방법으로 가루약과 폴리머 계열의 필름을 접촉 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고정 장치(구조물)로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어떠한 외부 손상 없이 완제품 그대로 사용하여 가루약 속 이물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고정장치이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같이 가루약이 모일 수 있도록 사각형 모양의 홈(110)을 파서 포장 내부의 가루약이 균일하게 채워질 수 있는 정도도 홈(110)을 파는 것으로 한다.
홈(110)의 모양은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각형 모양을 그려 놓은 것이며 가루약 포장, 양,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한 모양으로 대체 될 수 있으면 홈(110)의 크기 및 깊이 역시 가루약이 균일 하게 채워질 정도의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일정 영역의 홈(110) 내부는 격자 모양의 홀(120)의 뚫어 플레이트(100) 뒷면에서 진공 흡입기(500)를 이용하여 흡입할 때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알루미늄 필름 면을 홈(110)에 맞게 평평하게 당기는 역할을 하도록 뚫어 놓은 것이다.
이 역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일정 영역의 홈 모양에 밀착되도록 하는 홀(120)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다만 일정 영역의 홈(110)은 평평함을 유지하여야 하고 흡입시 알루미늄 필름 역시 일정 영역의 홈(110)과 완전 밀착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영역의 홈(110) 주위로 깔때기 형이 될 수 있도록 경사모양을 만들어진 경사부(130)가 있어 진동을 주게 되면 포장지의 알루미늄 필름의 평평한 면으로 가루약을 쉽게 모을 수 있게 만들 수도 있다.
이 역시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일 뿐 경사진 모양이나 진동시 가루약을 모으게 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600)를 사용한 전자기파의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포장지 속 가루약 이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핵심기술은 플레이트(100) 이외에서 동작을 실현하는 주변장치가 필요하다.
주변 장치는 개략적인 모양으로 대체 하였으며 도면들을 참고하면 그에 해당하는 내용을 알 수 있다.
가루약을 일정 영역 홈(110)에 평평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들이며 이와 유사한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
고정형 덮개(200)의 경우 파우치 포장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파가 지나가기 위해 개구부(210)를 뚫어 놓았으며 꼭 개구부(210)를 뚫지 않고 전자기파가 손실 없이 투과하고 반사하는데 지장이 없는 물질로 고정형 덮개(200)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고정형 덮개(200)는 자동화 장치로 파우치 포장을 플레이트(100)에 올려 놓으면 그 위로 자동적으로 고정형 덮개(200)가 덮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진공 흡입관(400)은 플레이트(100)의 일정 영역의 홈(110)에 알루미늄 필름이 모양대로 평평하게 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장비로, 진공 흡입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공기를 흡입하여 당겨지는 방법의 장치가 모두 해당 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플레이트(100)에 바로 장착되어 진공 흡입기(500)에 연결하여 흡입한다.
그리고 포장상태의 가루약을 일정 영역의 홈(110)으로 모으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물리적인 장치는 초음파 센서, 진동 모터 등과 같이 진동을 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300)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 역시 도 2에서는 가장자리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 내었으나 이 또한 이해를 위한 도면일 뿐 진동 발생기(300)의 모양, 구조, 방식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다만 진동을 해야하는 장치임을 틀림이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중의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와 다중의 고정 장치를 서로 대응되게 자동화 라인에 설치하여 이물을 검사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므로 해서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완제품 포장에 대한 내부의 가루약의 전수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되며, 현재 검사 방법인 사람이 직접 검사하는 방법과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광학 검사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기파 반사 측정법에 필수적인 고정 장치로 본 발명이 중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위에서는 플레이트(100)와, 진동 발생기(300) 그리고 진공 흡입관(400)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나, 플레이트(100)와 진동 발생기(300)만을 구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가 위치하는 경우에 가루약을 모으는 홈이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에 상기 파우치형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가루약이 모이도록 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방법은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포장치를 플레이트에 올려 놓는다(S100).
이때,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의 가루약이 있는 부분이 플레이트의 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음에,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가장 자리 부분을 고정형 덮개로 덮어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가루약이 고루 퍼지고, 상단 필름이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S200).
이후에, 진공 흡입기를 이용하여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포장지의 후면 알루미늄 필름을 플레이트의 홈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흡입하여 후면 알루미늄 필름이 평평하게 되도록 한다(S300).
이때, 진동 발생기로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가루약을 흡입된 일정 부분 홈으로 이동시켜 가루약이 골고루 퍼지도록 한다(S400).
이후에,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자기파를 생성하여 가루약에 투사한 후에 반사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여 이물을 검사한다(S5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액(링거)을 오래 보관하기 위한 방법으로 첨가 약품을 분리하여 개발하는 최근 방식에서 첨가 약품 내 이물질에 대한 문제를 전자기파 반사측정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수기로 검사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자동화, 고속화, 전수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람에 의한 여러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시켜 육안 검사와 표면만 가능한 광학검사를 대체 할 수 있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새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루약에 파 묻혀있는 이물질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을 투과하지 못하는 전자기파를 반사 측정법을 이용하여 가루약의 이물 검사를 위한 영상 스캔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 측정법이 가능한 전자기파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신개념 이물 검사 장치의 개발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을 투과하는 엑스레이 검사의 유해성과 약품의 변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의 전체 부분을 스캔하지 않고 조밀하게 모여있는 임의 부분에 대해서 이물 검사 스캔을 하기 때문에 이물 검사를 위한 영상 스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라인으로 확장하면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여러개를 동시에 이물 측정이 가능하여 약품에 대한 전수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수 검사가 가능해 지면 수액(링거) 내 이물질에 대한 걱정을 떨쳐낼 수 있어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에서 안정성을 최고로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플레이트 110 : 홈
120 : 홀 130 : 경사부
200 : 고정용 덮개 210 : 개구부
220 : 전자기파 투과성판 300 : 진동 발생기
310 : 개구부 400 : 진공 흡입관
500 : 진공 흡입기 600 :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

Claims (18)

  1. 금속 필름 면과 폴리머 상단 필름 면이 압착 밀봉 포장된 가루약 포장지 내부의 가루약에 대한 검사 장치에 있어서,
    판형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홈에 격자 모양의 다수 홀이 구비된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상기 포장지의 상기 금속 필름을 흡입하여 상기 포장지 내의 가루약을 상기 홈에 모으기 위한 진공 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전자기파를 투사하고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지 내의 가루약의 이물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검사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홈의 주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의 상기 폴리머 상단 필름을 평평하게 하는 고정용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검사 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덮개는 전자기파 투광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검사 장치.
  5.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덮개는 상기 포장지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전자기파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는 검사 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덮개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전자기파를 투과시키는 전자기파 투과성판을 포함하는 검사 장치.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관을 통하여 상기 금속 필름을 흡입하여 상기 홈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진공 흡입기를 더 포함하는 검사 장치.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진동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검사 장치.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필름은 알루미늄 필름을 포함하는 검사 장치.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를 투사하고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이물 검사를 수행하는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검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는 라인 스캔 방식을 사용하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이용한 검사 장치.
  15.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는 면적 스캔 방식을 사용하는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를 이용한 검사 장치.
  16. 금속 필름 면과 폴리머 상단 필름 면이 압착 밀봉 포장된 가루약 포장지 내부의 가루약에 대한 검사 방법에 있어서,
    (A) 격자 모양의 다수의 홀을 구비한 홈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에 상기 가루약 포장지를 배치하는 단계;
    (B) 진공 흡입관을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홈의 상기 다수의 홀을 통하여 상기 포장지의 금속 필름을 흡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위치한 전자기파 반사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지에 전자기파를 투사하고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하여 이물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 방법.
  17.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D) 고정용 덮개를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상기 포장지의 상단 필름을 평평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사 방법.
  18.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E) 진동 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사 방법.
KR1020170154396A 2017-11-20 2017-11-20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40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96A KR102404006B1 (ko) 2017-11-20 2017-11-20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96A KR102404006B1 (ko) 2017-11-20 2017-11-20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66A KR20190057466A (ko) 2019-05-29
KR102404006B1 true KR102404006B1 (ko) 2022-06-02

Family

ID=6667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396A KR102404006B1 (ko) 2017-11-20 2017-11-20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7625B2 (ja) * 2019-08-02 2023-06-06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異物検査装置
KR102544143B1 (ko) * 2022-09-14 2023-06-16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경구용 약품 검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121A1 (en) * 2015-09-30 2017-04-06 Koc Universitesi A sensing device using fiber based cantilevers embedded in a cartridge
WO2017131211A1 (ja) * 2016-01-29 2017-08-03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740A (ko) 2002-07-04 2005-03-04 아이.엠.에이. 인듀스트리아 마친 오토메티크 에스.피.에이. 의약품의 광전자식 검사 방법
WO2012108306A1 (ja) 2011-02-10 2012-08-1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異物検出装置及び異物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121A1 (en) * 2015-09-30 2017-04-06 Koc Universitesi A sensing device using fiber based cantilevers embedded in a cartridge
WO2017131211A1 (ja) * 2016-01-29 2017-08-03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6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006B1 (ko) 파우치 포장형 가루약 고정 장치, 이를 이용한 가루약 이물 검사 장치 및 방법
EP2861974B1 (en) X-ray detection of flaws in containers and/or in their contents
JP2021500577A (ja) インラインで走行する複数の空のガラス容器の寸法をx線により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CN105652330B (zh) 便携式背散射成像检查设备及成像方法
EP1333267A1 (en) Method of leak detection
US10843825B2 (en) Sealing foil cutting assembly and high-frequency capless sea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733212A1 (en) Inspection system for blister packages
JP2016097036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の防水性能検査方法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10095181A (ko) 수술용 거즈의 자동 계수 장치 및 방법
CN109313055A (zh) 用于确定玻璃容器的容量的方法
CN107153073A (zh) 用于检测材料和装配件中的裂缝、缺陷或泄漏路径的射线照像的方法和装置
TW201905465A (zh) 高解析度表面粒子檢測器
JP6271846B2 (ja) 装置、気泡検出装置および気泡検出方法
JP5754637B2 (ja) ボトルの密封検査装置
WO2019193924A1 (ja) 薬剤判定装置及び薬剤判定方法
JP4288265B2 (ja) 電磁波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構造物透視装置および構造物透視方法
US20060126785A1 (en) Leak detection of sealed objects using x-ray imaging
KR102193188B1 (ko) 2차원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한 양면 실장 전자부품용 3차원 형상 측정 시스템
CN111999223A (zh) 基于表面等离激元共振的尘埃粒子探测系统
JP2013183914A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
WO2014042890A1 (en) Tissue specimen examination systems and methods
JP3567463B2 (ja) トナー帯電量測定装置
CN209247656U (zh) 病理切片空泡检测装置
US88616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 inspection of cannula alignment
EP3919886A1 (en)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