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570B1 -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570B1
KR102403570B1 KR1020210009959A KR20210009959A KR102403570B1 KR 102403570 B1 KR102403570 B1 KR 102403570B1 KR 1020210009959 A KR1020210009959 A KR 1020210009959A KR 20210009959 A KR20210009959 A KR 20210009959A KR 102403570 B1 KR102403570 B1 KR 10240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late part
removal device
elevator
hang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세현
남징락
엄장호
남민욱
Original Assignee
엄세현
남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세현, 남징락 filed Critical 엄세현
Priority to KR102021000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05
    • B08B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가동부에 탈착 가능한 슬러지 제거 장치가 가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행거 레일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행거 레일에 축적된 슬러지로 인해 발생하는 승강기 도어 닫힘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SLUDGE REMOVAL DEVICE OF ELEVATOR HANGER RAIL}
본 발명은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가동부에 탈착 가능한 슬러지 제거 장치가 가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행거 레일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행거 레일에 축적된 슬러지로 인해 발생하는 승강기 도어 닫힘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기(엘리베이터)는 대부분의 건물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는 관련법이 별도로 규정되어 있을만큼 안전성이 중요한 장치이다. 특히, 승강기 관련해서 가장 많이 발생되는 문제는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는 승강기 도어의 잠금 현상이다.
승강기 도어의 잠김 현상은 매우 잦은 고장 중에 하나이며,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함과 동시에 안전상의 문제와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중시키게 된다.
승강기 도어의 잠금 현상은 여러 원인이 있으나, 특히 승강기 도어를 구동하는 가동부가 이동하는 행거 레일에 슬러지(Sludge)가 쌓여 가동부가 원활히 이동되지 않는 원인이 가장 많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가동부 및 고정부의 실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행거 레일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도구의 실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열림과 닫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승강기 도어의 상부에는 가동부(1)가 결합되고, 가동부(1)의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기 도어가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가동부(1)는 보호를 위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다.
가동부(1)는 가동부 플레이트(10), 가동부 롤러(11) 및 가동부 접점(12)로 구성된다. 가동부 플레이트(10)는 가동부(1)의 구성 요소가 결합되는 뼈대이며, 특히 가동부 롤러(11)가 결합된다. 가동부 롤러(11)는 승강기 상부에 설치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행거 레일(3)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가동부 롤러(11)의 회전은 전자적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가동부 롤러(11)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따라, 가동부 접점(12) 또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부 접점(12)은 고정부(2)의 고정부 접점(20)과 맞닿을 수 있고, 가동부 접점(12)과 고정부 접점(20)이 맞닿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면, 승강기 도어는 로킹(Locking) 상태(또는 닫힘 상태)가 되어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원리이다.
도 3(a)는 가동부 접점(12)과 고정부 접점(20)이 맞닿아 닫힘(Closed)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며, 도 3(b) 및 도 3(c)는 가동부 롤러(11)의 이동에 따라 가동부 접점(12)이 고정부 접점(20)이 분리되어 가동부 접점(12)이 고정부 접점(20)으로 부터 길이 방향으로 멀어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열림(Open)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에는 행거 레일(3)의 일 지점에 슬러지(4)가 축적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슬러지(4)는 가동부(1)의 지속적인 움직임에 따라 먼지, 분진 등이 쌓여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행거 레일(3)에 슬러지(4)가 쌓이면, 가동부(1)의 가동부 롤러(11)가 행거 레일(3)을 따라 이동할 때,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일 예로 승강기 도어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전자적 제어로 가동부(1)를 고정부(2)로부터 멀어지게 하여야 하는데, 가동부 롤러(11)가 슬러지(4)에 의해 원활히 이동되지 않아 가동부 접점(12)과 고정부 접점(20)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은 승강기 도어의 잠금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종래에는 행거 레일(3)에 쌓인 슬러지(4)를 제거하기 위해 갈고리 형상의 도구(5)를 활용하였다. 갈고리 형상의 도구(5)의 내측면이 행거 레일(3)과 맞닿게 한 뒤 행거 레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작업자가 도구(5)를 파지한 채로 이동하여 슬러지(4)를 긁어내었다. 또한, 작업자가 승강기 상부로 올라가 샌드 페이퍼 등으로 슬러지(4)를 긁어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슬러지(4) 제거가 원활하지 않으며, 작업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인건비가 발생되었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5169호
본 발명은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가동부에 탈착 가능한 슬러지 제거 장치가 가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행거 레일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행거 레일에 축적된 슬러지로 인해 발생하는 승강기 도어 닫힘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는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일단이 맞닿되,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소정의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된 제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동부에 탈착이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행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일단이 상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를 긁어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의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체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의 상기 파지부는, 일단이 개방되되, 타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결합되어 일단이 벌어져 상기 가동부에 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의 상기 파지부는 탄성 재질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의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로 인해, 탈착 가능하도록 가동부에 결합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가동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이동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들일 필요 없이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고,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체가 댐퍼 역할을 하고, 스크래치부에 그루브가 형성되며, 벤딩부가 만곡되어 라운드 진 구성으로 인해, 슬러지 제거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가동부 및 고정부의 실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행거 레일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도구의 실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승강기의 열림과 닫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는 행거 레일의 일 지점에 슬러지가 축적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가동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행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스크래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가동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는 가동부(1)에 결합 가능하며, 또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특히, 가동부(1)의 가동부 플레이트(10)에 일 예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는 일단부가 행거 레일(3)과 맞닿아 슬러지(4)를 긁어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가동부(1)의 이동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행거 레일(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러지(4)를 긁어 낸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는 제1 플레이트부(100), 제2 플레이트부(200), 파지부(300), 탄성체(400), 스크래치부(500) 및 벤딩부(60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이며, 일 예로 직육면체 형상인 플레이트다. 다만,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플레이트부(200) 또한 제1 플레이트부(100)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제1 플레이트부(100)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다른 예로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는 일단이 맞닿고,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의 일단이 맞닿아 결합되고, 파지부(300) 방향으로 갈수록 수직 방향의 길이가 점차 멀어지는 형상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가 맞닿는 지점에 뾰족한 돌출 부분이 형성되고, 돌출 부분이 행거 레일(3)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슬러지(4)를 긁을 수 있게 된다.
파지부(300)는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의 타단에 동시에 결합된다.
이때, 파지부(300)는 일단이 개방된 개곡선 형태를 이루는 클립(Clip) 형태로, 벤딩 가능한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가동부(1)의 가동부 플레이트(10)에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를 가동부 플레이트(10) 부근에 위치시킨 뒤, 파지부(300)를 벌려 가동부 플레이트(10)를 감싸게 하고, 파지부(300)를 놓게 되면 탄성 회복력에 의해 파지부(300)가 가동부 플레이트(10)를 가압하여 상호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한 작업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설치되기만 하면, 가동부(1)의 이동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행거 레일(3)의 슬러지(4)를 긁는 구조이므로, 작업자가 별다른 힘을 들일 필요가 없이 슬러지(4)가 제거되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며, 작업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아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행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탄성체(400)는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 사이에 위치된다.
탄성체(400)는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의 일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부(100)와 제2 플레이트부(20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탄성체(400)는 일 예로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플레이트부(100) 및 제2 플레이트부(200)가 탄성체(400)로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행거 레일(3) 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러지(4)를 긁는 과정에서 제1 플레이트부(100) 및 제2 플레이트부(200)가 흔들리게 되는데, 이러한 흔들림을 보정하는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슬러지 제거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스크래치부(500)는 제1 플레이트부(100) 및 제2 플레이트부(200)가 맞닿는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스크래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스크래치부(5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스크래치부(500)는 하부에 오목하게 그루브(5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하게 형성된 그루브(501)는 행거 레일(3)의 표면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플랫한 형상보다 행거 레일(3)의 표면과 맞닿는 면적이 확대되므로 슬러지(4)와 맞닿는 면적이 확대된다. 이로 인해, 더욱 많은 양의 슬러지(4)를 제거할 수 있어 슬러지 제거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으며, 행거 레일(3)의 라운드진 부분까지 긁어 내는 장점이 있다.
이때, 스크래치부(500)는 행거 레일(3)과 마찰하게 되므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승강기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치부(500)는 행거 레일(3)과의 마찰에 의해 소모가 되므로, 교체 가능하도록 제1 플레이트부(100) 및 제2 플레이트부(2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딩부(600)는 스크래치부(500)의 후방에서, 제1 플레이트부(100)의 표면 일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딩부(600)는 제1 플레이트부(100)의 표면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플레이트부(100)의 표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벤딩되되, 라운드지도록 벤딩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슬러지(4)를 긁어낼 때, 제거된 슬러지(4)는 제1 플레이트부(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쌓이게 된다. 이렇게 제거된 슬러지(4)가 제1 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서 축적되어 일종의 '덩어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러지 덩어리'가 일정 무게를 지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탈된 '슬러지 덩어리'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 외 다른 승강기 부품으로 옮겨지게 되고, 이는 또 다른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벤딩부(600)가 제1 플레이트부(100)의 표면에 일 지점에 형성되면, 제거된 슬러지(4)가 제1 플레이트부(10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 벤딩부(600)에 의해 막히게 되고, 벤딩부(600)가 슬러지(4)를 벤딩부(600)의 전방 및 벤딩부(600)의 라운드 진 부분에 모으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4)를 사전에 제1 플레이트부(100)의 표면 상에서 모아 '덩어리 슬러지'가 다른 부품으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는 탈착 가능하도록 가동부(1)에 결합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가동부(1)의 이동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제거 장치가 이동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들일 필요 없이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고,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체(400)가 댐퍼 역할을 하고, 스크래치부(500)에 그루브(501)가 형성되며, 벤딩부(600)가 만곡되어 라운드 진 구성으로 인해, 슬러지 제거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제1 플레이트부,
200 : 제2 플레이트부,
300 : 파지부,
400 : 탄성체,
500 : 스크래치부,
600 : 벤딩부.

Claims (5)

  1. 승강기 도어와 결합되되, 승강기의 행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에 결합되는 슬러지 제거 장치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일단이 맞닿되,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소정의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된 제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가동부에 탈착이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행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전방 단부에 결합된 스크래치부가 상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를 긁어 제거하고,
    상기 스크래치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표면 일 지점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표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벤딩되는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치부에 의해 제거된 상기 슬러지가 상기 벤딩부의 전방에 막혀, 상기 벤딩부의 오목하게 라운드진 부분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체가 형성되는 것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일단이 개방되되, 타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와 결합되어 일단이 벌어져 상기 가동부에 결합 가능한 것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 재질인 것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인 것인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KR1020210009959A 2021-01-25 2021-01-25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KR10240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59A KR102403570B1 (ko) 2021-01-25 2021-01-25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59A KR102403570B1 (ko) 2021-01-25 2021-01-25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570B1 true KR102403570B1 (ko) 2022-05-30

Family

ID=8179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959A KR102403570B1 (ko) 2021-01-25 2021-01-25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5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69Y1 (ko) 2004-12-06 2005-05-2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직 버켓 엘리베이터 측면 청소용 버켓
JP2019001583A (ja) * 2017-06-13 2019-01-1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6505958B1 (ja) * 2018-07-05 2019-04-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ドアレール清掃装置、ドアレール清掃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69Y1 (ko) 2004-12-06 2005-05-2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직 버켓 엘리베이터 측면 청소용 버켓
JP2019001583A (ja) * 2017-06-13 2019-01-1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6505958B1 (ja) * 2018-07-05 2019-04-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ドアレール清掃装置、ドアレール清掃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79878B6 (cs) Čistič nasávaného vzduchu pro spalovací motory
KR102403570B1 (ko) 승강기 행거 레일의 슬러지 제거 장치
UA79275C2 (en) Shutter with flexible side edges
JPWO2020008596A1 (ja) ドアレール清掃装置、ドアレール清掃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CN117155263A (zh) 一种边坡光伏除雪设备
CN216405546U (zh) 一种工程用水渠淤泥处理装置
JP6525930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レール清掃装置
JP2018024488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レール清掃具
CN220602238U (zh) 一种工业窑炉用积灰清理装置
CN211305553U (zh) 一种环保材料生产用切割设备
CN218684147U (zh) 清洁机器人
CN209866918U (zh) 一种焊烟净化器的连接结构
CN210944465U (zh) 一种电梯轿厢的开门感应装置
CN216766423U (zh) 一种便于更换的石材幕墙板
CN215268975U (zh) 一种安装有控制箱的美纹纸胶带分切装置
KR102614197B1 (ko) 청소 전문가용 스크레이퍼
KR200183371Y1 (ko) 길이가 변하는 미닫이창
CN211017894U (zh) 一种建筑电气工程施工用安全防护装置
CN215578398U (zh) 一种具有电流保护功能的智能断路器
CN218323957U (zh) 一种房屋建造水泥地面平整装置
CN220532363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充电桩用显示屏清灰结构
CN219850139U (zh) 一种便于拆卸清洁的电捕焦油器
CN213793259U (zh) 一种安全环保的激光除漆装置
CN208965988U (zh) 一种可调节式抹泥板
CN208992639U (zh) 一种电锤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