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507B1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507B1
KR102403507B1 KR1020150164803A KR20150164803A KR102403507B1 KR 102403507 B1 KR102403507 B1 KR 102403507B1 KR 1020150164803 A KR1020150164803 A KR 1020150164803A KR 20150164803 A KR20150164803 A KR 20150164803A KR 102403507 B1 KR102403507 B1 KR 10240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ubstrates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crys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391A (ko
Inventor
최윤희
노승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5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 G02F2201/086UV absorb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내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배향막과,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 사이에 배치되고, 액정분자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씰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액정분자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과 제1 및 제2배향막의 열화를 방지하여 잔상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잔상 및 신뢰성이 개선되고 화상 불량이 방지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OELD)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여 구동되는데, 액정분자는 구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배열에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액정층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층에 임의의 전기장을 인가하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하게 되고, 광학적 이방성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으로 빛이 굴절하여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2개의 기판과, 2개의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데, 2개의 기판 내면에는 각각 전기장 형성을 위한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2개의 기판을 합착하고 액정층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기판 가장자리에 씰패턴(seal pattern)을 형성하는데, 씰패턴은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씰패턴의 경화공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씰패턴 경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20, 30)과, 제1 및 제2기판(20, 30) 사이의 액정층(4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기판(20, 30) 내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배향막(22, 32)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기판(20, 30)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씰패턴(50)이 형성된다.
액정층(40)은 다수의 액정분자(4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배향막(22, 32)은 다수의 액정분자(42)의 초기배열상태를 결정한다.
씰패턴(50)은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는데, 씰패턴(50)의 경화공정에서 자외선이 액정층(40)에 조사될 경우, 액정층(40)과 제1 및 제2배향막(22, 32)이 열화되어 액정표시장치(10)의 잔상을 야기하거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층(40)의 액정분자(42)는 다양한 종류의 작용기(functional group)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작용기 중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큰 작용기가 자외선에 의하여 변성하여 제1 또는 제2배향막(22, 32)과 부수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10)에 잔상이 발생하거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씰마스크(62)를 이용하여 씰패턴(50)에만 선택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즉, 제1 및 제2기판(20, 30) 중 어느 하나에 씰패턴(50) 및 액정층(40)을 형성하고, 씰패턴(5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기판(20, 30)을 합착한 후,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20, 30) 상부에 차단부(BA) 및 투과부(TA)를 갖는 씰마스크(62)를 배치하고, 광원(60)의 자외선을 씰마스크(62)를 통하여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20, 30)에 조사한다.
이때, 투과부(TA)는 씰패턴(50)에 대응되고, 차단부(BA)는 투과부(TA)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된다.
따라서, 광원(60)의 자외선은, 씰마스크(62)의 투과부(TA)를 통하여 씰패턴(50)에만 선택적으로 조사되고, 씰마스크(62)의 차단부(BA)에 의하여 차단되어 액정층(40)에는 조사되지 않으며, 그 결과 잔상 발생이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씰마스크(62)의 사용은 공정 및 관리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그 결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씰마스크(62)가 오정렬(misalignment) 될 경우, 씰패턴(50)이 미경화 되거나 액정층(40)이 열화되어 액정표시장치(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미경화 된 씰패턴(50)이 액정층(40)과 반응하여 액정층(40) 둘레의 씰패턴(50)을 따라 얼룩과 같은 화상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액정분자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과 제1 및 제2배향막의 열화를 방지하여 잔상 및 신뢰성이 개선되고 화상 불량이 방지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씰마스크 없이 제1 및 제2기판 전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씰패턴을 경화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 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내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배향막과,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 사이에 배치되고, 액정분자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씰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용액에 석출되지 않고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계열 및 벤조페논 계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초과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기판 상부에 각각 제1 및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하나의 가장자리에 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액정분자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정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하나의 상기 씰패턴 내부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씰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합착된 상기 제1 및 제2기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씰패턴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은 합착된 상기 제1 및 제2기판 전면에 직접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용액에 석출되지 않고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계열 및 벤조페논 계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초과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정분자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액정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과 제1 및 제2배향막의 열화를 방지하여 잔상 및 신뢰성이 개선되고 화상 불량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씰마스크 없이 제1 및 제2기판 전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씰패턴을 경화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 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씰패턴 경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씰패턴 경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층에 첨가되는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자외선 흡수제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특성과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특성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씰패턴 경화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120, 130)과, 제1 및 제2기판(120, 130) 사이의 액정층(14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기판(120, 130)은 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제1기판(120) 내면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이 형성되고, 제1기판(120) 내면의 각 화소영역에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130) 내면에는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에 대응되는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고, 블랙매트릭스 하부의 각 화소영역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고, 컬러필터층 하부에는 공통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기판(120)의 화소전극 상부에는 제1배향막(122)이 형성되고, 제2기판(130)의 공통전극 하부에는 제2배향막(132)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기판(120, 130)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씰패턴(150)이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기판(120, 130) 외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액정층(140)은 다수의 액정분자(142)와 다수의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144)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배향막(122, 132)은 다수의 액정분자(142)의 초기배열상태를 결정한다.
자외선 흡수제(144)는, 액정층(140)에 조사되는 자외선(UV)을 직접 흡수하여 액정분자(142)가 자외선과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액정분자(142)를 포함하는 액정용액에 석출되지 않고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자외선 흡수제도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144)는 아래의 화학반응식1에 따라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에너지 형태로 방출하는 벤조트리아졸 계열(benzotriazole group) 또는 벤조페논 계열(benzophenone group)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반응식1]
Figure 112015114643234-pat00001
그리고, 자외선 흡수제(144)는 액정층(140)의 기본적 기능인 투과율 제어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첨가될 수 있는데, 액정층(140) 형성에 사용되고 액정분자(142)와 자외선 흡수제(144)가 혼합된 액정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초과 약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액정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중량부 초과 약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144)는 다양한 파장대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층에 첨가되는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자외선 흡수제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조트리아졸 계열의 자외선 흡수제는 약 270nm 내지 약 400nm의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으며, 특히 약 300nm 내지 약 370nm의 자외선은 40% 이상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분자(142)에 자외선 흡수제(144)를 첨가하여 액정층(140)을 형성함으로써, 씰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120, 130) 전면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여 씰패턴(150)을 경화시킬 수 있다.
즉, 제1기판(120) 상부에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박막트랜지스터, 화소전극 및 제1배향막(122)을 완성하고, 제2기판(130) 상부에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층, 공통전극 및 제2배향막(132)을 완성한 후, 완성된 제1 및 제2기판(120, 130)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사각링 형태의 씰패턴(150)을 형성하고, 씰패턴(150) 내부에 적하방식(dispensing method)으로 액정층(140)을 형성하고, 씰패턴(15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기판(120, 130)을 합착한 후, 광원(160)의 자외선을 씰마스크를 통하지 않고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120, 130) 전면에 직접 조사한다.
그 결과, 광원(160)의 자외선은 액정층(140) 및 씰패턴(150)에 조사되는데, 액정층(140)의 자외선 흡수제(144)가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자외선에 대한 액정분자(142)의 반응이 최소화 되어 액정분자(142)의 작용기의 변성 및 이에 따른 제1 또는 제2배향막(122, 132)과의 부수적 반응이 방지되고, 액정표시장치(110)의 잔상 및 신뢰성이 개선된다.
한편, 종래와는 달리 씰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의 세기, 노광량 또는 노광시간을 줄이더라도 씰패턴(150)의 경화율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공정이 단순화 되고 실패턴(150)의 미경화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의 표시품질 저하와 미경화 된 씰패턴(150)과 액정층(140)의 반응에 의한 얼룩과 같은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144)가 첨가된 액정층(140)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110)의 특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특성과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특성을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고 씰마스크를 통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씰패턴이 경화되는 종래의 액정표장치인 비교예1에서는 제조 직후 및 24시간 동작 후(0hr, 24hr)의 전압유지비(voltage holding ratio: VHR)가 각각 약 85% 및 약 78%이고, 액정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고 씰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씰패턴이 경화되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인 비교예2에서는 제조 직후 및 24시간 동작 후(0hr, 24hr)의 전압유지비가 각각 약 73% 및 약 64%인 반면, 액정층(140)이 자외선 흡수제(144)를 포함하고 씰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씰패턴(150)이 경화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인 실시예에서는 제조 직후 및 24시간 동작 후(0hr, 24hr)의 전압유지비가 각각 약 84% 및 약 77%이다.
즉, 비교예1에서는 씰마스크를 사용하여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과 제1 및 제2배향막의 열화를 방지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전압유지비를 갖지만, 씰마스크의 사용으로 인한 공정 복잡화 및 제조비용 증가의 단점이 있고, 오정렬에 의한 표시품질저하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비교예2에서는 씰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과 제1 및 제2배향막의 열화에 따라 전압유지비가 감소하고 잔상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10)에서는 씰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표시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액정층(140)에 첨가된 자외선 흡수제(144)가 자외선을 흡수하여 액정분자(142)가 자외선과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우수한 전압유지비를 가지며 잔상 및 신뢰성을 개선하고 얼룩과 같은 화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흡수제(144)를 액정층(140)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용액에 첨가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흡수제(144)를 제1 및 제2배향막(122, 132)을 형성하기 위한 배향용액에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자외선 흡수제(144)는 제1 및 제2배향막(122, 132)으로부터 액정층(140)으로 확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액정표시장치 120: 제1기판
130: 제2기판 140: 액정층
142: 액정분자 144: 자외선 흡수제
150: 씰패턴

Claims (10)

  1.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내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배향막과;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 사이에 배치되고, 액정분자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씰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으로 확산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용액에 석출되지 않고 균일하게 용해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계열 및 벤조페논 계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액정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초과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되는 액정표시장치.
  5.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배향용액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기판 상부에 각각 제1 및 제2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하나의 가장자리에 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하나의 상기 씰패턴 내부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씰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합착된 상기 제1 및 제2기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씰패턴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제1 및 제2배향막으로부터 상기 액정층으로 확산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합착된 상기 제1 및 제2기판 전면에 직접 조사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용액에 석출되지 않고 균일하게 용해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 계열 및 벤조페논 계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액정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중량부 초과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혼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상기 제1 및 제2기판 전면을 통하여 상기 액정층 및 상기 씰패턴에 직접 조사되고,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자외선을 직접 흡수하여 상기 액정분자가 상기 자외선과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50164803A 2015-11-24 2015-11-24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03A KR102403507B1 (ko) 2015-11-24 2015-11-24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03A KR102403507B1 (ko) 2015-11-24 2015-11-24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91A KR20170060391A (ko) 2017-06-01
KR102403507B1 true KR102403507B1 (ko) 2022-05-27

Family

ID=5922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03A KR102403507B1 (ko) 2015-11-24 2015-11-24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5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66B1 (ko) * 2012-12-13 2014-04-08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541A (ko) * 2002-05-28 2003-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씰 패턴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JP2012032601A (ja) * 2010-07-30 2012-02-1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57188B1 (ko) * 2012-02-07 2015-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렌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66B1 (ko) * 2012-12-13 2014-04-08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391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7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725343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6890470B2 (ja) フォト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5760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particular sealing structure
US97031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conversion substrate
US2011006356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095468A1 (en) Sealant dispensing apparatu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11391994B2 (en) Adhesiv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WO2006098475A1 (ja)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09166A (ja) 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US83395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13955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201122A1 (en) Quantum dot liquid crystal panel, and method manufacturing same
US89132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51482B1 (ko)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0350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1819355B (zh) 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和通过其制造的液晶显示装置
US2006018739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and projection system
US97269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11326101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6194624A (ja) 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輝点欠陥修正方法
US20230176425A1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38290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8015374A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20081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rocess for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