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025B1 -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025B1
KR102402025B1 KR1020210043225A KR20210043225A KR102402025B1 KR 102402025 B1 KR102402025 B1 KR 102402025B1 KR 1020210043225 A KR1020210043225 A KR 1020210043225A KR 20210043225 A KR20210043225 A KR 20210043225A KR 102402025 B1 KR102402025 B1 KR 10240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ealing
laminate
connection par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025B9 (ko
Inventor
김영식
배준호
최윤석
조지훈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4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25B1/ko
Publication of KR10240202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2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adapted for specific cells, e.g. electrochemical cell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82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도체의 금속탭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일단 및 전자기기의 단자를 연결하고,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전자기기를 라미네이트가 감싸고, 라미네이트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경화되는 액상의 충진물을 충진시키고, 연결부의 타단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서로 연결된 부분에 실링부를 형성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EALING STRUCTURE AND METHOD SEALING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배터리는 전극을 연결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가 개발되어 오고 있다. 배터리와 관련한 다양한 개발 중에 안전성 문제는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사용중 폭발하는 문제점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폭발시 피해를 감소하기 위해 하우징에 기 결정된 구조를 갖추는 방식이나 폭발시에 불안정한 배터리 상태를 화학적인 수단으로 안정화 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폭발 후의 사후대책에 불과하며 폭발자체를 방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전자기기에서는 배터리의 운용 환경을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시킴으로써 외력이나 내부적인 문제에 의해 손상의 발생 또는 내압의 증가에 따른 폭발시점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가 수중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배터리 역시 수중에 배치되게 되는데 배터리와의 연결구조가 수중에 직접적인 노출을 피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자기기 또는 배터리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1-0015328 호 (2021. 02.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력을 공급받아 수중에서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마련된 단자 간의 연결부가 수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도체의 금속탭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일단 및 전자기기의 단자를 연결하고,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전자기기를 라미네이트가 감싸고, 라미네이트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경화되는 액상의 충진물을 충진시키고, 연결부의 타단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서로 연결된 부분에 실링부를 형성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박막형의 금속탭, 금속탭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감싸는 실런트 및 실런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위치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일단과 전자기기의 단자 간 연결지점은 수밀부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타단과 전선 간 연결지점에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진물의 충진에 의해 실링부가 침지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는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열융착되어, 라미네이트 내부가 라미네이트 외부로부터 실링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름형태이고 OPA(ortho-propylaniline), 접착층,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PA(Polyphthalamide) 및 PE(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단자와 일단이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연결부;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전자기기를 감싸는 라미네이트; 및 라미네이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라미네이트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공간에 경화되는 충진물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연결부의 타단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인 연결부위에 수분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타단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충진물은 타단이 침지되도록 수용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케이스 및 물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을 공급받아 수중에서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에 마련된 단자 간의 연결부가 수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하나의 전자기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복수의 전자기기가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바디의 단자 간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의 소재를 설명하기 위해 적층별로 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내에 바디를 내장한 라미네이트가 위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외부로부터 연장된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로서, 도 9(a)는 하우징 내에 하나의 전자기기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하우징 내에 복수의 전자기기가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중에 배치되는 전자기기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각종 전력을 요구하는 디바이스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B)일 수도 있다. 이를 통칭하여 전자기기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수중에서 동작이 요구되는 경우 물(W)과의 접촉을 피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분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구조를 통해 수중에서 물(W)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수중에서 수분과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해 실링된 배터리(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하나의 전자기기(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복수의 전자기기(1)가 서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부(200) 및 외부로부터 연장된 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는 실링부(300)가 마련되어 연결부(200)와 전선(L) 간의 연결지점을 실링되도록 하여 수중에서 상기 연결부(200)가 물(W)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할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단자(101)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상기 단자(101)와 일단이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연결부(200),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 및 전자기기를 감싸는 라미네이트(110) 및 라미네이트(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라미네이트(110)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공간에 경화되는 충진물을 포함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는 실링된 배터리(B)가 전선(L)과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b)에는 실링된 복수개의 배터리(B)가 서로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해 배터리(B)가 실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공정을 나타낸 순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중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자기기(본 예시에서는 배터리(B))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도체의 금속탭(230)을 포함하는 연결부(200)의 일단 및 배터리(B)의 단자(101)를 연결하는 연결단계(S10), 연결부(200)의 적어도 일부 및 전자기기를 라미네이트(110)가 감싸는 라미네이트단계(S20), 라미네이트(110)를 수용하는 케이스(120)에 경화되는 액상의 충진물을 충진시키는 케이스실링단계(S30) 및 연결부(200)의 타단과 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서로 연결된 부분에 실링부(300)를 형성하는 연결부실링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될수도 있고, 연결부실링단계(S40) 및 케이스실링단계(S30)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연결부(200)와 전선(L) 간의 연결이 되는 지점이 케이스(120) 내에 위치되어 케이스(120)실링과정에서 함께 실링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를 포함하여 각 공정을 이하의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와 바디(100)의 단자(101) 간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박(薄)형의 금속탭(230), 금속탭(230)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감싸는 실런트(220) 및 실런트(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위치되는 코팅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팅부(210)는 라미네이트(110)와 동일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금속탭(230)과 실런트(220)를 통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금속탭(230), 실런트(220) 및 라미네이트(110)는 각각 박(薄)형으로 형성되어 두께에 따른 전술한 라미네이트단계(S20)에서 수밀 유지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00)의 일단과 전자기기의 단자(101) 간 연결지점은 수밀부(25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단계(S10)를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배터리(B)는 바디(100)로부터 전극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은 피복(101a)되어 단자(101)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피복(101a)을 일부 제거하고 단자(101)를 노출시켜 연결부(200)의 금속탭(230)과 접촉시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수밀부(250)에 의한 결합으로서 단자(101)나 금속탭(230)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외부의 수분이 수밀부(25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라미네이트단계(S20)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라미네이트(110)는 연결부(2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열융착되어, 라미네이트(110) 내부가 라미네이트(110) 외부로부터 실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00)는 한 쌍이 마련되고, 양 전극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예시와 같이 나란히 배치된 경우, 라미네이트(110)는 연결부(200)의 배열방향으로 융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된 융착예상부(111a)는 연결부(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융착부(111)와 보다 밀접하게 연결부(200)의 표면이 접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탭(230), 실런트(220) 및 코팅부(210)는 박(薄)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평면형태가 아니고 원형인 경우에는 원형의 표면에 라미네이트(110)가 열융착을 통해 밀접하게 접한 상태로 고착되는 것은 비교적 어려운 일이며, 이는 실링의 목적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연결부(200)의 형상은 박(薄)형태일 수 있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트(110)의 소재를 설명하기 위해 적층별로 개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라미네이트(110)는 적어도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11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름형태일 수 있다. 도 5를 통해서는 제1층 내지 제5층(112a, 112b, 112c, 112d, 112e)으로서 복층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구체적인 예로서, OPA(ortho-propylaniline), 접착층,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PA(Polyphthalamide) 및 PE(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20) 내에 바디(100)를 내장한 라미네이트(110)가 위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케이스실링단계(S3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바디(100)를 내부에 위치시키고 감싸는 형태로 라미네이팅 된 라미네이트(110)는 케이스(12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120) 내측에는 라미네이트(110)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120)의 내부공간은 잉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잉여공간에는 충진물(filler)가 충진됨으로써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충진물은 액상으로 채워질 수 있고, 케이스(120) 내부의 상기 잉여공간을 채우고 난 후에 경화되어 고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케이스(120)에 충격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수분이 라미네이트(1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은 보다 어려워진다. 여기서 충진물은 에폭시일 수 있다. 충진물이 충진되는 과정에서는 충진물의 충진에 의해 실링부(300)가 침지될 수도 있다. 이는 노출된 금속탭(230)과 전선(L)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케이스(120) 용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된 금속탭(230)과 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충진물이 충진됨으로써 금속탭(230)과 전선(L)이 연결된 지점을 실링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이며, 금속탭(230)이 노출된 상태에서 전선(L)과의 전기적 연결이 별도로 이루어지고 실링부(300)에 의해 실링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나아가, 라미네이트(110)는 외측을 향하는 전(全)면에 대하여 케이스(120)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충진물이 충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진물이 경화된 후에 외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포함한 외력에 의해 경화된 충진물이 감쇄할 수 있고, 경화되니 충진물이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가 외부로부터 연장된 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300)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200)의 타단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선(L)의 전도부(L2)와 전기적인 연결부(200)위에 수분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실링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는 잉여공간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경화되면, 연결부(200)의 금속탭(230)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외측으로 노출된 금속탭(230)의 단부는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L)과 전기적인 연결이 될 수 있다. 물(W)론, 이는 전기적인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자기기 또는 배터리(B) 등과 전기적인 연결을 의미하기도 한다.
한편, 전선(L)과 전기적인 연결이 되는 경우 전선(L)의 연결단부는 외피(L1)가 일부 제거되고 전도부(L2)가 노출되도록 하여 금속탭(230)과 접촉이 될 수 있다. 금속탭(230)과의 접촉이 이루어진 부분은 실링부(300)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접촉부위는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 상기 접촉부위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타단과 전선(L) 간 연결지점에는 실링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00)는 일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적어도 금속탭(230)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고, 전도부(L2)는 타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적어도 전도부(L2)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300) 내부에 삽입된 금속탭(230) 및 전도부(L2)는 서로 접촉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촉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물(W)론, 실링부(300)의 실링대상이 금속탭(230)과 다른 금속탭(230) 간의 연결인 경우 그에 대응되는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된 금속탭(230) 및 전도부(L2) 간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키고, 실림부 내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300) 내측에는 충진제(301)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제(301)는 케이스(120) 내부에 충진되는 것과 동일한 에폭시일 수 있다. 실링부(300) 내에 충진제(301)의 충진에 의해 수중에서도 금속탭(230) 및 전도부(L2)는 수분으로부터 노출을 피하고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30)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로서, 도 9(a)는 하우징(130) 내에 하나의 전자기기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하우징(130a) 내에 복수의 전자기기가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케이스(120) 및 물(W)이 수용되는 하우징(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전술한 케이스(120)(예를 들면, 실링이 완료된 배터리(B))를 수용하되 물(W)을 함께 수용하여 케이스(120)를 냉각시켜 전자기기의 발열에 의한 효율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다. 도 9(b)와 같이 하우징(130a)내에 복수의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경우 복수의 전자기기 간 연결되는 연결부(200)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부(300)에 의한 실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10 : 전자기기
100 : 바디
101 : 단자
101a : 피복
110 : 라미네이트
111 : 융착부
111a : 융착예상부
112a : 제1층
112b : 제2층
112c : 제3층
112d : 제4층
112e : 제5층
120 : 케이스
130, 130a : 하우징
200 : 연결부
210 : 코팅부
220 : 실런트
230 : 금속탭
250 : 수밀부
300 : 실링부
301 : 충진제
S10 : 연결단계
S20 : 라미네이트단계
S30 : 케이스실링단계
S40 : 연결부실링단계
L : 전선
L1 : 외피
L2 : 전도부
B : 배터리
W : 물

Claims (11)

  1. 수중에서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박(薄)형 전도체인 금속탭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일단 및 상기 전자기기의 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전자기기가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박(薄)형의 라미네이트가 감싸고,
    상기 라미네이트를 수용하는 케이스 내에 상기 라미네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의 잉여공간에서 경화되는 액상의 충진물을 충진시키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서로 연결된 부분에 실링부를 형성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박(薄)형의 금속탭, 상기 금속탭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감싸는 실런트 및 상기 실런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위치되는 코팅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일단과 상기 전자기기의 단자 간 연결지점은 수밀부에 의해 실링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상기 전선 간 연결지점에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의 충진에 의해 상기 실링부가 침지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는 상기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열융착되어, 상기 라미네이트 내부가 상기 라미네이트 외부로부터 실링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름형태이고 OPA(ortho-propylaniline), 접착층,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PA(Polyphthalamide) 및 PE(polyethyle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실링하는 방법.
  8.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상기 단자와 일단이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고, 박(薄)형의 전도체인 금속탭을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전자기기가 수밀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감싸는 박(薄)형의 라미네이트; 및
    상기 라미네이트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라미네이트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경화되는 충진물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적인 연결부위에 수분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과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진물은 상기 타단이 침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케이스 및 물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10043225A 2021-04-02 2021-04-02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KR10240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25A KR102402025B1 (ko) 2021-04-02 2021-04-02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25A KR102402025B1 (ko) 2021-04-02 2021-04-02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25B1 true KR102402025B1 (ko) 2022-05-24
KR102402025B9 KR102402025B9 (ko) 2022-12-27

Family

ID=8180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225A KR102402025B1 (ko) 2021-04-02 2021-04-02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0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877A (ko) *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JP2013062023A (ja) * 2010-02-23 2013-04-04 Bosch Corp バッテリパック
JP2015057788A (ja) * 2014-11-17 2015-03-2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6407997B2 (ja) * 2014-07-07 2018-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KR101976312B1 (ko) * 2018-02-05 2019-05-07 황요섭 수중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079605A (ja) * 2017-10-20 2019-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210015328A (ko) 2019-08-01 2021-02-10 이정민 냉매 침지식 배터리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877A (ko) *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밀봉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JP2013062023A (ja) * 2010-02-23 2013-04-04 Bosch Corp バッテリパック
JP6407997B2 (ja) * 2014-07-07 2018-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JP2015057788A (ja) * 2014-11-17 2015-03-2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2019079605A (ja) * 2017-10-20 2019-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976312B1 (ko) * 2018-02-05 2019-05-07 황요섭 수중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5328A (ko) 2019-08-01 2021-02-10 이정민 냉매 침지식 배터리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25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2708B1 (en) Lithium battery structure incorporating lithium pouch cells
JP4249251B2 (ja) パウ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778982B1 (ko)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파우치 이차 전지
US20140196839A1 (en) Battery pouch sheet edge insulation
KR20060112393A (ko)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JP7217404B2 (ja) コンデンサ
KR20140121205A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외면을 절연시키는 방법
CN105684183A (zh) 包括用于保护电极突片-引线接合部的膜件的袋状电池单元
JP2008108694A (ja) 電池パック
KR102390768B1 (ko) 배터리용 커넥터
KR101093894B1 (ko) 이차전지
KR102402025B1 (ko) 실링구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실링하는 방법
KR100670514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US10923692B2 (en) Battery cell with housing components which are adhesively bonded to one another in a sealed manner by a three-layer adhesive composi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id battery cell
KR101546002B1 (ko)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JP4961669B2 (ja) 電池パック構造
KR10055139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제조 방법
JP4895543B2 (ja) パック電池
JP2003297317A (ja) 電池パック
KR20080024859A (ko) 전지 팩
JP2002184370A (ja) 活電部保護電池ケース
JP5170161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13488338B (zh) 卷绕型电容器封装结构及其制作方法
US20240178528A1 (en) Battery pack
KR100625962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