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102B1 -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 Google Patents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102B1
KR102401102B1 KR1020200020238A KR20200020238A KR102401102B1 KR 102401102 B1 KR102401102 B1 KR 102401102B1 KR 1020200020238 A KR1020200020238 A KR 1020200020238A KR 20200020238 A KR20200020238 A KR 20200020238A KR 102401102 B1 KR102401102 B1 KR 10240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ining
mode
training mode
p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591A (ko
Inventor
정호춘
이현희
김명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riority to KR102020002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1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61B5/1125Grasping motions of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5Sport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핀치력, 그립력,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파워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파워검출장치,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파워검출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는 파워검출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제1그립부, 제1핀치부 및 제1연장부를 일체로 하는 제1작동부재와, 상기 제1그립부와 마주하는 제2그립부, 상기 제1핀치부와 마주하는 제2핀치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하는 제2연장부를 일체로 하는 제2작동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작동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작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작동부재 및 상기 제2작동부재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제1그립부 및 상기 제2그립부에 가해지는 그립력,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에 가해지는 핀치력 및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 가해지는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POWER DETECTION SYSTEM AND TRAI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핀치력, 그립력,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손의 악력을 단련함으로서 혈압 강하나 고혈압을 예방할 수 있는 등 간단한 운동으로 건강 증진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악력 계측 및 악력 단련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악력기는 A자 형태를 이루며,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막대 형태의 작동판이 구비되며, 막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쥐락펴락 하는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악력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악력기는 막대 형태의 작동판을 쥐락펴락 하는 반복 동작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핀치력 등 다양한 손의 악력 증진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기존 악력기는 사용자가 악력을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계측 량을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운동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55679호(2014.02.04.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74호(2011.03.21.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핀치력, 그립력,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파워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은, 제1그립부와, 상기 제1그립부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핀치부와, 상기 제1그립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를 가지는 제1작동부재; 상기 제1작동부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그립부와 마주하는 제2그립부와, 상기 제1핀치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그립부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핀치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그립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가지는 제2작동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작동부재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작동부재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부재 및 상기 제2작동부재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파워검출장치, 및 상기 파워검출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지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상기 제1그립부 및 상기 제2그립부에 가해지는 그립력,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에 가해지는 핀치력 및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 가해지는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1핀치부에 압력을 가하는 핀치력 모드와, 상기 제1그립부에 압력을 가하는 그립력 모드 및 상기 제1연장부에 압력을 가하는 구형악력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1핀치부와, 상기 제1그립부 및 상기 제1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치력 모드, 상기 그립력 모드 및 상기 구형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핀치력 모드, 상기 그립력 모드 및 상기 구형악력 모드는 각각 미리 설정된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근력 훈련모드와, 근지구력 훈련모드와, 정확도 훈련모드 및 타이밍 훈련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훈련모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파워검출장치로부터 복수의 제1파워가 검출되면, 검출된 복수의 제1파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기준파워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기준파워 및 상기 파워검출장치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파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의 일치 정도에 따른 훈련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력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하나의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미리 설정된 근력 훈련시간 동안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는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보다 낮은 하나의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근력 훈련시간보다 긴 근지구력 훈련모드 시간 동안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확도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중 랜덤으로 표시되는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상기 제1작동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작동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압력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버튼과,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상기 통신부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를 관통시키는 개방구를 가지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은, 상기 파워검출장치의 상기 제1핀치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핀치력 모드, 상기 제1그립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그립력 모드, 상기 제1연장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구형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훈련부위 모드를 선택하는 훈련부위 선택단계; 상기 파워검출장치에 압력을 가하며 복수의 제1파워를 검출하는 제1파워 가압/검출단계; 사용자의 근력 훈련모드, 근지구력 훈련모드, 정확도 훈련모드, 타이밍 훈련모드 중 어느 하나의 훈련모드를 선택하는 훈련모드 설정단계; 설정된 훈련모드별 상기 복수의 제1파워로부터 상기 제1파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임의의 기준파워를 설정하는 기준파워 설정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파워를 기반으로 상기 파워검출장치에 압력을 가하며 제2파워를 검출하는 제2파워 가압/검출단계; 및 상기 제2파워 및 상기 기준파워의 일치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훈련 결과값을 산출하는 훈련결과 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력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하나의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미리 설정된 근력 훈련시간 동안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는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보다 낮은 하나의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근력 훈련시간보다 긴 근지구력 훈련모드 시간 동안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확도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중 랜덤으로 표시되는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파워검출장치로 사용자의 핀치력, 그립력 및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파워검출장치에서 검출되는 파워 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검출장치와 무선 연결되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파워검출장치에 가해진 파워 값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파워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지는 파워를 기반으로 임의의 기준파워를 설정하고, 이러한 기준파워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운동을 지속할 수 있고, 사용자별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력, 근지구력, 정확도, 타이밍 훈련 등 복수의 훈련모드를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워검출장치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파워 값의 미세한 크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미세하게 변화되는 파워 값을 마치 게임의 캐릭터 형태로 구현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운동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파워검출장치는 사용자의 파워 값의 미세한 크기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 태블릿 및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 시 조이스틱으로 이용될 수 있어, 게임을 즐기면서 악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파워검출장치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1작동부재, 제2작동부재 및 압력센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모드별 이동단말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 도면은 근력 훈련모드를 나타낸 것이고, (b) 도면은 근지구력 훈련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c) 도면은 정확도 훈련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d) 도면은 타이밍 훈련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 종료 후 이동단말기를 통해 훈련 결과값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모드별 이동단말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 도면은 근력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고, (b) 도면은 근지구력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c) 도면은 정확도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d) 도면은 타이밍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파워검출장치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제1작동부재, 제2작동부재 및 압력센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장치(100)는 제1작동부재(110), 제2작동부재(130), 압력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작동부재(110)는 제1그립부(111)와, 제1그립부(111)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핀치부(113)와, 제1그립부(111)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작동부재(130)는 제1작동부재(110)에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그립부(131)와, 제2그립부(131)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핀치부(133)와, 제2그립부(131)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작동부재(110) 및 제2작동부재(130)는 압력센서(15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데, 제1그립부(111)와 제2그립부(131), 제1핀치부(113)와 제2핀치부(133), 및 제1연장부(115)와 제2연장부(135)가 각각 서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워검출장치(100)는 제1작동부재(110)의 외면 일부분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160)과, 제2작동부재(130)의 외면 일부분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60)은 제1그립부(111) 및 제1연장부(115)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하우징(170)은 제2그립부(131) 및 제1연장부(135)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결국, 제1핀치부(113) 및 제2핀치부(133)는 사용자의 핀치력을 검출하기 위해 핀치(손가락)가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그립부(111)의 외면에 결합된 제1하우징(160)의 일부분 및 제2그립부(131)의 외면에 결합된 제2하우징(170)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그립력을 검출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부(115)의 외면에 결합된 제1하우징(160)의 나머지 부분 및 제2연장부(135)의 외면에 결합된 제2하우징(170)의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의 구형악력을 검출하기 위해 마치 야구공을 잡는 것과 같이, 손바닥 및 손가락으로 파지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압력센서(15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내장형 혹은 교체형 배터리일 수 있으며, 내장형 배터리일 경우 해당 하우징에는 배터리 충전포트가 구비될 수 있고, 교체형 배터리일 경우 해당 하우징에는 배터리 수납공간 및 배터리 수납공간 덮개(10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터리와 압력센서(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버튼(1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압력센서(150)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107: 도 4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102)와, 통신부(107)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통신부 연결 상태 표시부(10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워검출장치는 커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80)는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커버부(180)는 제1핀치부(113) 및 제2핀치부(13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핀치부(113) 및 제2핀치부(133)를 관통시키는 개방구(171)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80)에는 전원버튼(101), 배터리 잔량 표시부(102), 통신부 연결 상태 표시부(10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전원버튼(101), 배터리 잔량 표시부(102), 통신부 연결 상태 표시부(103)를 각각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80)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그립력 및 구형악력을 측정하기 위한 파지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파지위치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80)는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복수개의 커버부들 중 사용자의 손 크기에 알맞은 크기의 커버부(180)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80)는 딱딱한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프트한 소재의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혹은, 다양한 소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부분은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딱딱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압력센서(150)는 제1작동부재(110) 및 제2작동부재(130)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제1작동부재(110) 및 제2작동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부(153)는 제1작동부재(110)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부(154)는 제2작동부재(13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압력센서(150)는 제1작동부재(110) 및 제2작동부재(130)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화되고 변화된 값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이지 기반의 빔형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152)가 점착된 금속탄성체(151)의 스트레인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변화량을 전기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빔형 로드셀이 적용되는 압력센서(150)는 제1작동부재(110) 및 제2작동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일단부(153)는 제1그립부(11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부(154)는 제2작동부재(130)의 제2그립부(13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압력센서(150)는 제1핀치부(113) 및 제2핀치부(133)에 가해지는 핀치력과,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의 일부분에 가해지는 그립력과, 제1하우징(160) 및 제2하우징(170)의 나머지 일부분에 가해지는 구형악력에 상응하는 변화량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추가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은 전술한 파워검출장치(100) 및 이동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200)는 기본적으로 파워검출장치(100)의 통신부(107)와 통신하는 이동통신부(210)와, 조작부(220), 표시부(230), 저장부(24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기본적으로 파워검출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파워 값을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미리 설정된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복수의 훈련모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각 훈련모드별 기준파워를 설정하게 되는데, 기준파워는 파워검출장치(100)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제1파워를 기반으로 제1파워보다 낮은 임의의 기준파워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기준파워는 조작부(2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 또는 재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설정된 기준파워 및 파워검출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파워 간의 일치 정도에 따른 훈련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된 훈련 결과값을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산출된 훈련 결과값은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200)는 파워검출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워검출시스템은 관리자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300)는 복수의 이동단말기(200)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각 이동단말기(200)에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훈련 결과값이 저장되는 서버 및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단말기(300)는 각 이동단말기(200)와 인터넷 혹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이동단말기(200)를 보유한 사용자는 부여된 로그인 정보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추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은 훈련부위 선택단계(S110), 제1파워 가압/검출단계(S120), 훈련모드 설정단계(S130), 기준파워 설정단계(S140), 제2파워 가압/검출단계(S150), 훈련결과 산출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훈련에 앞서, 최초 사용자는 이동단말기(200)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파워검출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고, 파워검출장치(100)와 이동단말기(200)를 무선 통신 연결시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을 매개로 서로 동기화시킨다.
훈련부위 선택단계(S110)는 핀치력 모드, 그립력 모드 및 구형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즉, 핀치력을 증진하기 위한 핀치력 훈련모드, 그립력을 증진하기 위한 그립력 훈련모드, 구형악력을 증진하기 위한 구형악력 훈련모드 중 어느 하나의 훈련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처럼 훈련부위를 선택하는 과정은 이동단말기(200) 또는 파워검출장치(100)의 조작부를 통해 선택 및 설정될 수 있는데, 파워검출장치(100)에서 훈련하고자 하는 부위를 일정 시간 동안 가압하는 것으로 해당 훈련부위를 선택 및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치력을 훈련하고자 할 시 사용자는 파워검출장치(100)의 제1핀치부(113) 및 제2핀치부(133)를 일정 시간 동안 가압하는 것으로 핀치력 증진을 위한 훈련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제1파워 가압/검출단계(S120)는 파워검출장치(100)에 압력을 가하며 제1파워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제1파워는 실제 훈련에 앞서 사용자의 예비 파워일 수 있으며, 제1파워는 사용자의 최대 파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파워 가압/검출단계(S120)에서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복수의 제1파워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복수의 제1파워 값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3회에 걸쳐 파워검출장치(100)에 압력을 가하며 각각의 제1파워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3개의 제1파워 값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훈련모드 설정단계(S130)는 훈련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훈련모드는 근력 훈련모드, 근지구력 훈련모드, 정확도 훈련모드, 타이밍 훈련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훈련모드는 미리 설정된 개별 훈련프로그램을 가질 수 있다.
근력 훈련모드는 제1파워를 기반으로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를 설정하고, 사용자는 이동단말기(200)에 표시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도록, 미리 정해진 횟수, 지속시간 동안 파워검출장치(100)를 가압하면서 근력을 집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근지구력 훈련모드는 제1파워를 기반으로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를 설정하고, 사용자는 표시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도록, 미리 정해진 횟수, 지속시간 동안 파워검출장치(100)를 가압하면서 근지구력을 집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정확도 훈련모드는 제1파워를 기반으로 정확도 훈련모드용 복수의 기준파워를 설정하고, 사용자는 복수의 기준파워 중 랜덤으로 표시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도록, 미리 정해진 횟수, 지속시간 동안 파워검출장치(100)를 가압하면서 정확도 및 민첩성을 집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타이밍 훈련모드는 제1파워를 기반으로 타이밍 훈련모드용 최소 기준파워 및 최대 기준파워를 설정하고, 사용자는 최소 기준파워 및 최대 기준파워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도록, 미리 정해진 횟수, 지속시간 동안 파워검출장치(100)를 가압하면서 시간별로 파워를 조절하면 타이밍 훈련을 집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기준파워 설정단계(S140)는 기준파워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기준파워는 파워검출장치(100)를 가압하는 실제 훈련 과정에서 사용자의 작동 파워의 기준이 되는 파워로서, 앞서 검출된 제1파워를 기반으로 제1파워보다 낮은 임의의 파워를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력 훈련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파워의 평균값이 100%일 때,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SF)는 제1파워의 80%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지구력 훈련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파워의 평균값이 100%일 때,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SF)는 제1파워의 50%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확도 훈련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파워의 평균값이 100%일 때,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SF)는 제1파워의 50%, 75%, 90%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파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훈련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1파워의 평균값이 100%일 때,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SF)는 제1파워의 30%에 해당하는 최소 기준파워 및 90%에 해당하는 최대 기준파워가 설정될 수 있고, 이때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SF)는 최소 기준파워 및 최대 기준파워 사이 구간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각 훈련모드별 기준파워가 설정되면,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설정된 기준파워(SF)가 표시되며, 표시되는 기준파워(SF)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막대 형상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원형 등 다양한 형상 및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파워 가압/검출단계(S150)는 이동단말기(200)에 표시되는 기준파워(SF)를 기반으로, 파워검출장치(100)에 압력을 가하면서 실질적인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검출된 제2파워 값은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30)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기준파워(SF)에 오버랩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파워검출장치(100)에 제2파워를 가하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제2파워 값(해치부분)의 변화량을 보면서 기준파워(SF)에 제2파워를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파워는 각 훈련모드별 미리 설정된 반복횟수, 지속시간 동안 가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6 (a)의 근력 훈련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제2파워 값이 기준파워(SF)의 허용오차(3%) 범위 내에서 일치되고, 3초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한해 1회 성공 카운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15회 반복하여 최종 성공한 경우 근력 훈련모드의 1세트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1세트가 완료되면 기준파워(SF)를 늘려 2세트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6 (b)의 근지구력 훈련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제2파워 값이 기준파워(SF)의 허용오차(3%) 범위 내에서 일치되고, 10초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한해 1회 성공 카운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10회 반복하여 최종 성공한 경우 근지구력 훈련모드의 1세트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1세트가 완료되면 기준파워(SF) 또는 지속시간을 늘려 2세트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6 (c)의 정확도 훈련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제2파워 값이 복수개의 기준파워(SF) 들 중 램덤으로 표시되는 기준파워(SF)의 허용오차(3%) 범위 이내에서 일치되고, 3초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한해 1회 성공 카운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15회 반복하여 최종 성공한 경우 정확도 훈련모드의 1세트를 완료할 수 있다.
도 6 (d)의 타이밍 훈련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제2파워 값이 최소 기준파워 및 최대 기준파워 사이 구간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기준파워(SF)의 허용오차(3%) 범위 이내에서 일치되고, 3초 동안 지속되는 경우에 한해 1회 성공 카운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10회 반복하여 최종 성공한 경우 타이밍 훈련모드의 1세트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각 훈련모드가 종료되면, 수행되지 않은 다른 훈련모드로 전환된 다음 해당 훈련모드를 연속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훈련결과 산출단계(S160)는 사용자의 훈련 결과값을 산출하여 표시해 주는 단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훈련모드별 훈련이 완료되면 이동단말기(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훈련결과에 따른 다양한 수치 및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의 훈련 결과값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훈련 결과값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200)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이동단말기(200)에 저장된 훈련정보는 관리자단말기(300) 측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통합 관리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임모드별 이동단말기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 도면은 근력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고, (b) 도면은 근지구력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c) 도면은 정확도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며, (d) 도면은 타이밍 게임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훈련모드에서의 표시 상태는 막대형 파워 게이지를 보이고 있으나, 도 8에서는 게임모드에서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서는 사용자의 파워에 따라 막대형 파워 게이지가 변화되는 것인데 반해, 도 8에서는 게임 캐릭터인 팩맨(pac-man)의 위치가 사용자의 파워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팩맨의 먹이인 쿠키가 기준파워(SF)에 해당될 수 있다.
근력 게임모드, 근지구력 게임모드, 정확도 게임모드, 타이밍 게임모드는 전술한 근력 훈련모드, 근지구력 훈련모드, 정확도 훈련모드, 타이밍 훈련모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파워검출장치(100)는 가해지는 사용자의 파워 값의 미세한 크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미세하게 변화되는 파워 값을 게임의 캐릭터로 구현할 경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운동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파워검출장치 110: 제1작동부재
111: 제1그립부 113: 제1핀치부
115: 제1연장부 130: 제2작동부재
131: 제2그립부 133: 제2핀치부
135: 제2연장부 200: 이동단말기

Claims (6)

  1. 제1그립부와, 상기 제1그립부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핀치부와, 상기 제1그립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부를 가지는 제1작동부재; 상기 제1작동부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그립부와 마주하는 제2그립부와, 상기 제1핀치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그립부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핀치부와, 상기 제1연장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그립부의 타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를 가지는 제2작동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작동부재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작동부재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작동부재 및 상기 제2작동부재에서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파워검출장치, 및
    상기 파워검출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지는 이동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상기 제1그립부 및 상기 제2그립부에 가해지는 그립력,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에 가해지는 핀치력 및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 가해지는 구형악력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1핀치부에 압력을 가하는 핀치력 모드와, 상기 제1그립부에 압력을 가하는 그립력 모드 및 상기 제1연장부에 압력을 가하는 구형악력 모드를 가지고,
    상기 제1핀치부와, 상기 제1그립부 및 상기 제1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핀치력 모드, 상기 그립력 모드 및 상기 구형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되며,
    상기 핀치력 모드, 상기 그립력 모드 및 상기 구형악력 모드는 각각 미리 설정된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근력 훈련모드와, 근지구력 훈련모드와, 정확도 훈련모드 및 타이밍 훈련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훈련모드를 가지고,
    상기 파워검출장치로부터 복수의 제1파워가 검출되면, 검출된 복수의 제1파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기준파워를 설정하며,
    상기 기준파워 및 상기 파워검출장치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2파워를 표시하고,
    상기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의 일치 정도에 따른 훈련 결과값을 산출하되,
    상기 근력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하나의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미리 설정된 근력 훈련시간 동안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고,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는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보다 낮은 하나의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근력 훈련시간보다 긴 근지구력 훈련모드 시간 동안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며,
    상기 정확도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중 랜덤으로 표시되는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고,
    상기 타이밍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검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상기 제1작동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작동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압력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원버튼과,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상기 통신부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검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핀치부 및 상기 제2핀치부를 관통시키는 개방구를 가지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검출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기재된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으로서,
    상기 파워검출장치의 상기 제1핀치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핀치력 모드, 상기 제1그립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그립력 모드, 상기 제1연장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구형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훈련부위 모드를 선택하는 훈련부위 선택단계;
    상기 파워검출장치에 압력을 가하며 복수의 제1파워를 검출하는 제1파워 가압/검출단계;
    사용자의 근력 훈련모드, 근지구력 훈련모드, 정확도 훈련모드, 타이밍 훈련모드 중 어느 하나의 훈련모드를 선택하는 훈련모드 설정단계;
    설정된 훈련모드별 상기 복수의 제1파워로부터 상기 제1파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임의의 기준파워를 설정하는 기준파워 설정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파워를 기반으로 상기 파워검출장치에 압력을 가하며 제2파워를 검출하는 제2파워 가압/검출단계; 및
    상기 제2파워 및 상기 기준파워의 일치 정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훈련 결과값을 산출하는 훈련결과 산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근력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하나의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미리 설정된 근력 훈련시간 동안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고,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는 상기 근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보다 낮은 하나의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근력 훈련시간보다 긴 근지구력 훈련모드 시간 동안 상기 근지구력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며,
    상기 정확도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복수개의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중 랜덤으로 표시되는 정확도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고,
    상기 타이밍 훈련모드는 상기 제1파워 평균값보다 낮은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 및 상기 제2파워가 표시되되, 상기 제2파워가 상기 두개의 타이밍 훈련모드용 기준파워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기준파워에 일치되는지 여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훈련방법.
  6. 삭제
KR1020200020238A 2020-02-19 2020-02-19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KR10240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38A KR102401102B1 (ko) 2020-02-19 2020-02-19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38A KR102401102B1 (ko) 2020-02-19 2020-02-19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91A KR20210105591A (ko) 2021-08-27
KR102401102B1 true KR102401102B1 (ko) 2022-05-23

Family

ID=7750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38A KR102401102B1 (ko) 2020-02-19 2020-02-19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1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330A (en) 1984-01-24 1987-06-23 Mie Medical Research Limite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grip and pinch strength
JP2001221699A (ja) * 2000-02-08 2001-08-17 Toyo Seiki Seisakusho:Kk 把持力変換器
WO2016059943A1 (ja) * 2014-10-16 2016-04-21 任天堂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器具、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74B1 (ko) 2008-10-28 2011-03-21 성재우 휴대용 손가락 악력기
KR101136856B1 (ko) * 2010-07-16 2012-04-20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두 손가락 힘 측정 장치
KR101140144B1 (ko) * 2010-07-16 2012-05-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원통형 물체 잡기 손가락 힘 측정 장치
KR101355679B1 (ko) 2012-12-24 2014-02-04 안태진 악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330A (en) 1984-01-24 1987-06-23 Mie Medical Research Limite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grip and pinch strength
JP2001221699A (ja) * 2000-02-08 2001-08-17 Toyo Seiki Seisakusho:Kk 把持力変換器
WO2016059943A1 (ja) * 2014-10-16 2016-04-21 任天堂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器具、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91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rrying out protocol-based isometric exercise regimen
US20110077536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asurement device
US10996775B2 (en) Dynamic sensor assignment
JP2001276012A (ja) 携帯型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US6409616B1 (en) Calorie counting racket
CN109952548A (zh) 检测无机械开关的触发器运动
JP6715453B2 (ja) 指握力測定装置
KR102401102B1 (ko) 파워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KR20190092068A (ko) 손 운동을 위한 파지 훈련 장치
JP2018526043A (ja) スポーツ選手の上肢の生理的パラメータを分析および定量化するための、試験用機器を装備した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CN104516670B (zh) 有力度感的乐器琴键
WO1999010052A1 (en) Boxing monitoring device
EP2218401A1 (en) Dexterity device
KR102125537B1 (ko) 개인 맞춤형 만성 질환자 운동 디바이스 및 그 이용방법
JP2001149328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2019097666A (ja) 心拍測定装置、心拍測定方法及び心拍測定プログラム
JP7142496B2 (ja) 把持部を備える押込み試験装置
KR20120107801A (ko) 재활의료기기
GB2328605A (en) Boxing Monitoring Device
CN218774273U (zh) 一种训练设备
KR102503753B1 (ko)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컨트롤러
JP4647092B2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EP4267260B1 (en) A rope exercise simulation device
JP2001000408A (ja) 体脂肪率測定装置
KR20230099097A (ko) 수지력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