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985B1 -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985B1
KR102400985B1 KR1020190161455A KR20190161455A KR102400985B1 KR 102400985 B1 KR102400985 B1 KR 102400985B1 KR 1020190161455 A KR1020190161455 A KR 1020190161455A KR 20190161455 A KR20190161455 A KR 20190161455A KR 102400985 B1 KR102400985 B1 KR 10240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heating
flow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177A (ko
Inventor
박선영
신성용
김의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341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782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98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정수 장치는, 환형으로 감겨진 도선을 갖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워킹 코일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온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자성체인 평판 형상의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함께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자성체인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커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면; 상기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기 제1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 상기 베이스 면과 상기 돌출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출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부;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입수관;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Water purifier including a heating passag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본 명세서는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 중에서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088호(공개일 2011년 1월 27일)에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 정수기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원을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정수기에 의하면, 상기 가열원은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저장용기에 물을 담아 공간부에 위치시키지 않는 한 연결관을 통하여 온수를 취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순간 온수 장치가 컴팩트해지는,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유로 내에서 물의 국부 과열에 따른 증기 발생이 방지되는,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 장치는, 환형으로 감겨진 도선을 갖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워킹 코일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온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자성체인 평판 형상의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함께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자성체인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커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면; 상기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기 제1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 상기 베이스 면과 상기 돌출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출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부;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입수관;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워킹 코일 사이에 상기 제1커버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면이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면이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면이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워킹 코일이 상기 제1커버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 장치는, 환형으로 감겨진 도선을 갖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워킹 코일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온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자성체인 평판 형상의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함께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자성체인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워킹 코일 사이에 상기 제1커버가 위치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커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면; 상기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기 제1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 상기 베이스 면과 상기 돌출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출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부;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입수관;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은 제1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면의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커버의 제2방향의 폭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면이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면이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입수관과 상기 출수관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커버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워킹 코일이 상기 제1커버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 장치는, 환형으로 감겨진 도선을 갖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워킹 코일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온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자성체인 평판 형상의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함께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자성체인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워킹 코일 사이에 상기 제1커버가 위치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커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면; 상기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기 제1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 상기 베이스 면과 상기 돌출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출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부;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입수관;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입수관 및 상기 출수관은 제1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돌출면은, 복수의 제1돌출면과 복수의 제2돌출면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은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제1돌출면 사이를 물이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은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제2돌출면 사이를 물이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과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 간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 및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 각각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크다.
제안되는 실시 예 들에 의하면, 코일이 다수 층으로 적층되어 코일부를 형성하므로, 가열 장치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 장치가 가열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므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대기전력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 유로부가 유도 가열에 의해서 가열유로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므로, 열원의 손실이 없어 상기 가열유로 상의 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유로부의 자성체의 표면이 발열하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의 주변의 온도 상승이 없으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의 단열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유로에 유로 가이드가 구비됨에 따라 가열유로의 단면 전체적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으므로, 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의 온수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를 다양하게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전 제품의 전체 전류값이 제한 전류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컨트롤러가 가열 장치 및 구동원의 전류를 조절하므로 가전 제품의 이상 작동 및 전원 차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순간 온수 장치와 컨트롤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순간 온수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순간 온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유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
도 7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정수기의 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
도 9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순간 온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
도 13는 제5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
도 14는 제6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순간 온수 장치와 컨트롤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순간 온수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순간 온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유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1)(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1)"라 함)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다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0)이 완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은 전면 패널, 두 개의 측면 패널, 상면 패널, 배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다수의 패널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패널에는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는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기 위한 정수 선택부와, 온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온수 선택부와, 취출될 온수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온도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정수 또는 온수의 취출을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정수유로(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유로(31)는, 제1유로(32)와 제2유로(33)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3)는 물이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취출구(3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3)로는 가열을 위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유로(33)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물을 가열하여 온수로 변화시키는 순간 온수 장치(50)와, 상기 순간 온수 장치(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간 온수 장치(50)는, 가열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가열유로(66)를 형성하는 가열 유로부(60)와,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열유로(66)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70)("유로 가열 장치"라고도 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로부(60)를 온수 탱크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70)는, 프레임(710)과, 상기 프레임(710)에 안착되는 코일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순간 온수 장치(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80)와 상기 순간 온수 장치(50) 사이에는 상기 코일부(730)의 자기장의 영향이 상기 컨트롤러(80)에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플레이트(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10)은, 페라이트(720)가 안착되는 페라이트 안착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안착부(713)는 상기 프레임(71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라이트 안착부(713)는 상기 프레임(7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안착부(713)에는 홀(7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10)의 중앙 부에는 개구(7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페라이트 안착부(713)가 상기 개구(7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711)에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과열 감지 센서(74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과열 감지 센서(740)는 코일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과열 감지 센서(740)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와 접촉하거나 상기 가열 유로부(6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가열 유로부(60)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과열 감지 센서(74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열 장치(7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710)에는 상기 페라이트(720)에 놓인 상기 코일부(73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부(730)의 둘레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촉 리브(7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730)는 코일(또는 도선)이 다수 회 감겨져 배치되되, 다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일은 환형으로 감겨질 수 있다.
만약, 상기 코일부(730)를 구성하는 코일을 한 층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코일부(730)가 놓이기 위한 프레임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가열 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이 다수 층으로 적층됨에 따라서 코일부(730)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열 장치(70)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코일부(730)를 워킹 코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접촉 리브(714)의 높이는 상기 코일부(730)의 적층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710)은 상기 가열 유로부(60)와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리브(7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리브(715)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7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리브(715)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73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 링 또는 타원 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일부(730)가 다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일부(730)는 입력단(731)과 출력단(7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731)과 출력단(732)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개구(711)를 통과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예로 상기 출력단(732)이 상기 개구(711)를 통과하는 것이 개시된다.
상기 가열 유로부(60)는, 가열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63)와, 가열된 물(온수)이 배출되는 배출부(64)를 가지는 제1가이드(61)와, 상기 제1가이드(61)와 함께 상기 가열유로(66)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1)는 일면이 개구된 상자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가이드(62)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61)의 개구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가이드(61)와 상기 제2가이드(6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가열유로(66)가 된다.
상기 유입부(63)를 입수관, 상기 배출부(64)를 출수관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62)는 유도 가열이 가능하도록 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1)는 유도 가열이 되지 않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가이드(61) 및 상기 제2가이드(62) 모두가 자성체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가이드(62)를 제1커버라고 하고, 상기 제1가이드(61)를 제2커버라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7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730)에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제2가이드(62)에 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제2가이드(62)가 가열된다.
상기 코일부(730)는 상기 가열 유로부(62)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730)가 상기 가열 유로부(62)와 일정 간격 이격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는 스페이서(7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717)는 상기 가열 장치가 상기 가열 유로부(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6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로부(60)는 상기 정수기(1) 내에서 상기 배출부(64)가 상기 유입부(63)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유로(66)로 유입된 물이 상기 유입부(63) 측에서 상기 배출부(64) 측으로 상승하여야 하므로, 상기 가열유로(66)를 유동하는 물이 충분히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가이드(62)가 형성하는 가열유로(66)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제2가이드(62)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가이드(62) 전체가 가열될 수 있고, 열원의 손실이 없으므로, 상기 가열유로(66) 상의 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62)의 표면이 발열하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주변의 온도 상승이 없으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단열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로(66)를 유동하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므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대기전력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64)는 제3유로(34)에 의해서 상기 제2유로(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유로(66)에는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로 가이드(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65)는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가이드(65)는 상기 유입부(63) 보다 상기 배출부(64)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65)는 상기 배출부(64)에 가깝게 위치하여 상기 배출부(64) 주변의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모서리부에서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물이 기화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열유로(66)에서 물의 흐름을 약간 저하시켜 물이 골고루 섞이게 하여 물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킨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로 가이드(65)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로 가이드(65)는 물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홀(652, 653, 6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홀(652, 653, 654)은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홀(652, 653, 654)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홀(652, 653, 654)은, 제1크기를 가지는 제1홀(652)과, 상기 제1크기 보다 작은 크기인 제2크기를 가지는 제2홀(653)과, 상기 제1홀(652)과 제2홀(653)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홀(6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3홀(654)은 상기 제1홀(652) 및 제2홀(653) 중 어느 하나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홀(652) 및 제2홀(653)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로 가이드에서 하나 이상의 제3홀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홀(652)은 상기 유로 가이드(65)의 단부와 가깝게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홀(653)은 상기 유로 가이드(65)의 중앙부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홀(653)은 상기 제1홀(652) 보다 상기 배출부(64)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크기가 작은 제2홀(653)의 유동 저항이 상기 제1홀(652)의 유동 저항 보다 크므로, 상기 제2홀(653) 측으로만 물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가열유로(66) 물이 균일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물이 균일하게 유동되면 물과 상기 제2가이드(62)의 접촉 시간이 증가되므로, 물의 가열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가이드(61) 및 상기 제2가이드(62) 중 하나 이상에 유로 가이드가 포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배출부(64)와 인접한 위치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2)에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1밸브(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3)에서 상기 제3유로(34)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1유로(32)와 만나는 지점 사이에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밸브(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유로(32)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 유로부(60)로 유입될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입수 온도 센서(91)와, 상기 제3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 유로부(60)에서 배출된 물(온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출수 온도 센서(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수기(1)는, 상기 가열 유로부(60)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83)와, 상기 컨트롤러(80)에 의해서 제어되는 구동원(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원(95)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압축기, 표시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1)에서 상기 순간 온수 장치를 제외한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코일부(730)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인버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81)는 상기 코일부(730)로 인가되는 전류를 가변시킴으로써, 유도 가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가열량이 조절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가 상기 취출구(35)에서 취출될 수 있다.
도 7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정수기의 전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정수기(1) 전체의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가열 장치(70)의 작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동원(95)의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정수기(1) 전체 전류값(A2)이 제한 전류값(A1)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원(95)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열 장치(70)가 작동하면 상기 정수기(1)의 전류가 제한 전류값(A1)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정수기(1)가 이상 동작하거나 상기 정수기(1)의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열 장치(70)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80)가 상기 가열 장치(70)의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원(95)의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정수기(1) 전체 전류값(A2)이 제한 전류값(A1) 보다 낮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가열 장치(70)의 전류는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장치(70)의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구동원(95)의 전류를 낮추고, 상기 가열 장치(70)의 전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구동원(95)의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정수기에서 정수와 온수가 취출되는 과정에서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수 취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 선택부가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제1밸브(41)는 오프되고, 상기 제2밸브(42)는 온된다. 그러면, 상기 필터부(20)에 의해서 정화된 정수는 정수유로(31)와 상기 제2유로(33)를 유동한 후에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음으로, 온수 취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수 선택부가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제1밸브(41)는 온되고 상기 제2밸브(42)는 오프되며 상기 가열 장치(70)가 작동한다.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가열 장치(70)의 작동 초기에 상기 유량 센서(83)에서 감지되는 유량과 상기 입수 온도 센서(91)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부(740)로 인가될 전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류를 상기 코일부(740)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필터부(20)에 의해서 정화된 정수는 상기 제1유로(32)를 유동한 후에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가열유로(66)로 유입된다. 상기 가열 장치(70)가 작동하면, 상기 제2가이드(62)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유로(66)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상기 제2가이드(62)에 의해서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수는 상기 배출부(64)를 통하여 상기 제3유로(34)로 유동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온수는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온도 선택부를 이용하여 취출될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70)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출수 온도 센서(93)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컨트롤러(80)가 상기 코일부(730)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의 온수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를 다양하게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열 장치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80)는 가열 장치(70)의 작동 초기에 입수 온도 센서(91)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 유로부(60)로 유동할 물의 유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유량의 물이 상기 가열 유로부(60)로 공급되도록 제1밸브(41)를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입수 온도 센서(91)에서 감지된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80)는 가열 유로부(60)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이 많도록 상기 제1밸브(41)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입수 온도 센서(91)에서 감지된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가열 유로부(60)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이 적도록 제1밸브(4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유량의 물이 상기 가열 유로부(60)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가열된다.
사용자는 상기 온도 선택부를 이용하여 취출될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70)가 작동하는 중에는 출수 온도 센서(93)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컨트롤러(80)가 상기 코일부(730)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 유로부(60)를 유동하는 물의 유량과 상기 코일부(730)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열 유로부(60)에서 스팀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로부(60)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가열 유로부(60)에서 상기 취출구(35)까지의 유로 및 상기 취출구(35)의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위의 두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열 장치의 작동 초기, 입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 유량 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에 기초하여 코일부에 공급되는 전류가 결정되나, 이와 달리 입수 온도 센서와 유량 센서가 생략되고, 상기 가열 장치의 작동 초기 기 설정된 크기의 전류가 상기 코일부로 공급되고, 출수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부로 공급되는 전류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위의 실시 예 들에서는, 가열 유로부의 일측에 가열 장치가 위치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가열 유로부의 양측에 각각 가열 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의 실시 예 들에서는, 상기 순간 온수 장치가 정수기에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물 취출 기능을 구비하는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순간 온수 장치와 상기 필터부 및 위에서 언급되는 물의 유로와, 밸브, 센서, 입력부 등의 구성 요소는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순간 온수 장치는 일 예로 냉장고 도어의 프레임 또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순간 온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열 유로부 내의 유로 가이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1실시 예의 설명은 원용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순간 온수 장치(71)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가열 유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로부(60)는, 유입부(63)와, 가열된 물(온수)이 배출되는 배출부(64)를 가지는 제1가이드(61)와, 상기 제1가이드(61)와 함께 상기 가열유로(66)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62)를 제1커버라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61)를 제2커버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1)는, 상기 가열유로(66)에서의 물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로 가이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제1가이드(61)의 일부가 포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제1가이드(61)의 일부가 상기 제2가이드(62)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제2가이드(62)를 바라보는 면을 베이스 면이라고 하고,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제2가이드(62)를 향하여 돌출된 면을 돌출면이라고 하며, 상기 베이스 면과 상기 돌출면을 연결하는 면 또는 부분을 둘레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 사이에서 물의 유동 저항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 가이드(612)에 의해서 상기 유로 가이드(612)를 우회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부(64)로 바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로 가이드(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부(6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상기 가열유로(66)로 유입된 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 가이드(612)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로 가이드(6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를 연결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제2가이드(62)를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2가이드(62)와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제2가이드(62)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가이드(612)가 상기 제2가이드(62)와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코일부(730)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상기 제2가이드(62)가 가열되어 발생된 열이 상기 유로 가이드(612)로 전달됨에 따른 열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가이드(62)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는 상기 제2가이드(62)와 접촉된 제1가이드(61)로 전달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가이드(61)와 상기 제2가이드(62)의 사이의 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유로 가이드(612)가 상기 제2가이드(62)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2가이드(62)의 열의 일부가 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유로 가이드(612)로 바로 전달되어 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유로 가이드(612)가 제2가이드(62)와 이격됨에 따라서 열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로 가이드(612)와 상기 제2가이드(62) 간의 거리(D2)는 상기 제1가이드(61)와 상기 제2가이드(62) 간의 거리(D1)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유로 가이드(612)에 의한 열손실이 방지되면서 유로 가이드(612)가 유로 저항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코일부(7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부(730)는 코일이 존재하지 않는 개구(732)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730)와 상기 가열 유로부(60)는 마주볼 수 있다. 즉, 상기 가열 유로부(60)는,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는 제1부분(611a)과,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지 않는 제2부분(6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개구(732)와 마주보는 제2부분(611b)의 온도가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는 제1부분(611a)의 온도 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는 제1부분(611a)을 따라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제2부분(611b)과 상기 유입부(6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유로 가이드(612) 및 상기 제2부분(611b)은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로 가이드(612)에 의해서 상기 유로 가이드(612)의 양측으로 나뉘어 유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물은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는 부분인 제1부분(611a)을 따라서 상승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부분(611b) 측에도 물이 존재할 수 있고, 물의 유동이 존재하나, 상기 제1부분(611a)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상승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 가이드(612)에 의해서 상기 유입부(63)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출부(64)를 향하여 바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서, 가열유로 내에서 물이 전체적으로 가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유로 내에서 물이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어, 가열유로 내의 일 지점에서 국부과열에 의한 증기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3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열 유로부 내의 유로 가이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3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3실시 예의 설명은 원용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1가이드(61)는, 다수의 유로 가이드(612, 6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로 가이드(612, 615)는, 제1유로 가이드(612)와, 상기 제1유로 가이드(612)와 상기 배출부(64) 사이에 배치되는 제2유로 가이드(6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가이드(612)의 형태 및 위치되는 제3실시 예에서 설명한 유로 가이드(612)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유로 가이드(615)는, 상기 배출부(64) 주변에서 물이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전체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 가이드(615)의 적어도 일부는 일 예로 상기 제1유로 가이드(612)와 상기 배출부(64)를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 가이드(61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출부(64)와 상기 제1가이드(61)의 제2부분(6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 가이드(612) 및 상기 제2유로 가이드(615)는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유로 가이드(612)는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는 제1부분(611a)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 가이드(615)는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상기 배출부(64)를 향하여 유동하는 물이 가열유로(66) 내에서 상기 배출부(64) 주변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물이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상기 배출부(64)의 양측 영역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배출부(64) 양측에서의 국부 과열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61)가, 제1유로 가이드(612)와 제2유로 가이드(61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가이드(61)가 제2유로 가이드(615)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는 제5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4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열 유로부 내의 유로 가이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4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4실시 예의 설명은 원용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1가이드(61)는, 다수의 유로 가이드(612 내지 6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로 가이드(612 내지 617)는,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와,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와 상기 배출부(64)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제2유로 가이드(615, 616, 6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 각각이 제1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유로 가이드(615, 616, 617)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 사이에서 물의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유로 가이드 각각이 제2돌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를 연결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2유로 가이드(615, 616, 617)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를 연결하는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는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전체적으로 분배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는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는 제1부분(611a)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유로 가이드(612, 613, 614) 각각은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측면부(67)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1)는 상기 코일부(730)와 마주보지 않은 제2부분(611b) 중에서 상기 코일부(730)이 개구(732)와 마주보지 않는 제3부분(611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상기 제3부분(611c)으로 유동하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인접하는 두 제1유로 가이드 간의 간격은,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측면부(67)와 인접한 일 유로 가이드(613, 614)와 가열 유로부(60)의 측면부(67)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유로 가이드(615, 616, 617)는 상기 가열유로(66) 내에서 상승하는 물이 상기 배출부(64) 측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유로 가이드(615, 616, 617) 각각은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측면부(67)와 이격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제2유로 가이드 간의 간격은,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측면부(67)와 인접한 일 유로 가이드(616, 617)와 가열 유로부(60)의 측면부(67)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도 14는 제6실시 예에 따른 가열 유로부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5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열 유로부 내의 유로 가이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5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5실시 예의 설명은 원용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열 유로부(60)는, 라운드지거나 경사진 코너부(61d, 6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61d, 61e)는, 상기 유입부(63) 측에서 상기 배출부(64) 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열유로(66)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코너부(6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61d, 61e)는, 상기 유입부(63) 측에서 상기 배출부(64) 측으로 갈수록 상기 가열 유로(66)의 면적이 줄어들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코너부(6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열유로 중에서 상기 제1코너부(61d)와 상기 제2코너부(61e) 사이의 가열유로는 물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할 수 있으며, 폭이 최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63)는 상기 한 쌍의 제1코너부(61d)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64)는 상기 한 쌍의 제2코너부(61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코너부(61d)에 의해서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전체적으로 분배되어 상기 배출부(64)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너부(61e)에 의해서, 물이 상기 제2코너부(61e)에 정체되지 않고, 상기 제2코너부(61e)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배출부(64) 측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제2코너부(61e) 측에서 물이 국부적으로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열 유로부(60)가 라운드지거나 경사진 제1코너부 및 제2코너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가열 유로부(60)가 라운드지거나 경사지는 제2코너부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코너부는 상기 유입부(63)에서 멀어질수록 가열유로의 면적이 줄어들도록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코너부 사이에 배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35: 취출구 50: 순간 온수 장치
60: 가열 유로부 70: 가열 장치
80: 컨트롤러

Claims (8)

  1. 환형으로 감겨진 도선을 갖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에 의해 유도 가열되도록 상기 워킹 코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워킹 코일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온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는, 상기 워킹 코일과 대향하게 배치되며, 자성체인 평판 형상의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와 함께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자성체인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와 상기 워킹 코일 사이에 상기 제1커버가 위치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물의 유동 및 가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커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커버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면;
    상기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기 제1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면;
    상기 베이스 면과 상기 돌출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돌출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부;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입수관; 및
    상기 제2커버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관 및 상기 출수관은 제1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돌출면은, 복수의 제1돌출면과 복수의 제2돌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은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은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제1돌출면 사이를 물이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은 상기 제2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접하는 두 개의 제2돌출면 사이를 물이 상기 제1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과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 간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 및 상기 복수의 제2돌출면 각각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큰 정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돌출면 및 복수의 제2돌출면은 상기 제1커버와 이격되는 정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이 상기 제1커버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1020190161455A 2016-05-24 2019-12-06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KR10240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455A KR102400985B1 (ko) 2016-05-24 2019-12-06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412A KR102247824B1 (ko) 2016-05-24 2016-05-24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190161455A KR102400985B1 (ko) 2016-05-24 2019-12-06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412A Division KR102247824B1 (ko) 2016-05-24 2016-05-24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77A KR20190139177A (ko) 2019-12-17
KR102400985B1 true KR102400985B1 (ko) 2022-05-24

Family

ID=8180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455A KR102400985B1 (ko) 2016-05-24 2019-12-06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9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961A (ja) * 2000-09-18 2002-03-27 Denso Corp 給湯器用タンクおよび間接出湯式給湯器
WO2010094893A2 (fr) * 2009-02-18 2010-08-26 Dominique Akel Installation de préparation instantanée d'eau chau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7636A (ja) * 1992-11-11 1994-05-27 Fuji Electric Co Ltd 電気瞬間湯沸装置
KR101637210B1 (ko) * 2012-11-02 2016-07-07 주식회사 은성산업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961A (ja) * 2000-09-18 2002-03-27 Denso Corp 給湯器用タンクおよび間接出湯式給湯器
WO2010094893A2 (fr) * 2009-02-18 2010-08-26 Dominique Akel Installation de préparation instantanée d'eau chau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77A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80916B2 (en) Home appliance
JP6626116B2 (ja) 水排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47824B1 (ko)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US11649154B2 (en) Water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10055A (ko) 정수기
KR20160083867A (ko) 음료를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기계에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92971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00985B1 (ko)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JP5453071B2 (ja) 水槽用外付け温度制御装置
JP2010086740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51172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4856A (ko) 물 배출 장치
JP520375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803688B1 (ko) 정수기 및 가전제품
KR101611702B1 (ko) 정수기
KR101777539B1 (ko) 정수기 및 가전제품
JP3767014B2 (ja) 給湯器
CN102783905A (zh) 加热烹饪机
JP5614113B2 (ja) 電気炊飯器
KR20120132313A (ko) 순간가열장치
JP4904935B2 (ja) 電気炊飯器
JP2020099515A (ja) 加熱調理装置
JP2000179941A (ja) 貯湯式給湯器
JP2017198419A (ja) 給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