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539B1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가전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7539B1 KR101777539B1 KR1020170001946A KR20170001946A KR101777539B1 KR 101777539 B1 KR101777539 B1 KR 101777539B1 KR 1020170001946 A KR1020170001946 A KR 1020170001946A KR 20170001946 A KR20170001946 A KR 20170001946A KR 101777539 B1 KR101777539 B1 KR 101777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low path
- temperature
- guide
- hea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1
- 241000404068 Cotul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가열장치가 제 1 위치에서 동작할 때 가열 유로부에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센서; 상기 가열장치가 상기 제 1 위치와는 다른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가 작동할 때, 상기 가열장치에 놓인, 물이 담긴 저장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온도센서;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될 물의 온도 및 상기 저장용기 내의 물의 가열 온도를 입력하기 위한 온도선택버튼; 상기 온도선택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온도와 상기 제 1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동일하도록 상기 코일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고, 상기 온도선택버튼을 통하여 입력된 온도와 상기 제 2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입력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코일부로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정수기 및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088호(공개일 2011년 1월 27)에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 정수기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원을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정수기에 의하면, 상기 가열원은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저장용기에 물을 담아 공간부에 위치시키지 않는 한 연결관을 통하여 온수를 취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구로부터 온수를 취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장치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이 공급되는 제1유로; 취출구와 연결된 제3유로; 상기 제1유로와 결합되는 유입부와 상기 제3유로에 연결되는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제1가이드와 자성체재질의 제2가이드에 의해서, 물의 유동과 동시에 가열되는 공간이 형성되어진 가열 유로부; 상기 가열 유로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페라이트; 상기 페라이트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될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선택버튼; 및 상기 온도선택버튼에서 설정된 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코일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된 유로상에 정수용 필터를 배치하여 정화된 물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에서 분지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제3유로와 합류하는 제2유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온수선택시, 상기 제2유로 상에 형성되는 급수차단용 제2밸브가 더 포함된다.
또한, 정수선택시, 상기 제1유로 상에 형성되는 급수차단용 제1밸브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3유로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에 각각 삽입체결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의 상측에 상기 배출부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에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를 자성체 재질로 추가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에 물 수용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는 평판형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평판형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는 복수개로 이격 배치된 평판형상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상기 페라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페라이트의 상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는 다수 회 감기고, 다수층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2가이드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의 면적보다는 상기 제2가이드의 면적을 넓게 형성한다.
또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제1온도센서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인버터는 상기 코일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를 통하여 온수를 취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장치에 놓인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장치가 가열유로부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므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대기전력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 유로부가 유도 가열에 의해서 가열유로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므로, 열원의 손실이 없어 상기 가열유로 상의 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유로부의 자성체의 표면이 발열하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의 주변의 온도 상승이 없으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의 단열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물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물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물의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다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패널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0)이 완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은 전면 패널, 두 개의 측면 패널, 상면 패널, 배면 패널 및 하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다수의 패널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패널에는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정수유로(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유로(31)는, 제1유로(32)와 제2유로(33)로 분기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관찰할 때, 상기 제2유로(33)는 상기 제1유로(32)에서 분지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3)는 물이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취출되도록 하기 위한 취출구(3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3)로는 가열을 위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33)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된 유로상에 배치되는 필터부(20)의 정수용 필터에 의해서 정화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제1유로(33)로부터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가열유로(65)를 형성하는 가열 유로부(60)와, 상기 가열유로(65)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가열 유로부(60)와 상기 가열장치(50)에 의해서 가열유로(65)를 유동하는 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 유로부(60)와 상기 가열장치(50)를 순간 온수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가열장치(5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장치(5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1과 같이 상기 가열장치(50)가 상기 수용공간(11)에 인입된 위치를 "제1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가열장치(50)가 상기 수용공간(11)에서 외부로 인출된 위치를 "제2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가열장치(5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부(86, 8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86, 88)는 제1감지부(86)와 제2감지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86)와 상기 제2감지부(88)가 상기 가열장치(50)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86)와 상기 제2감지부(88)가 상기 가열장치(50)를 미감지하는 경우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86) 및 제2감지부(88)는 상기 가열장치(50)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스위치이거나, 광 센서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및 제2감지부(86, 88)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제1위치에서 상기 가열 유로부(60)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고, 제2위치에서 상기 가열장치(50)에 놓인 저장용기(70)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 내에는 상기 코일부(5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53)과, 상기 프레임(53)에 안착되는 페라이트(5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55)는 상기 페라이트(54)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55)는 코일이 다수 회 감겨져 배치되되, 다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일부(55)를 구성하는 코일을 한 층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코일부(55)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이 다수 층으로 적층됨에 따라서 코일부(55)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열장치(50)가 컴팩트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55)의 면적은 상기 제2가이드(62)의 면적보다 좁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54)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평판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55)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 링 또는 타원 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일부(55)가 다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일부(55)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케이스(51) 및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 내에 구비되는 제어부(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코일부(55)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유도 가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가열량이 조절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가 상기 취출구(35)에서 취출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가열장치(50)의 이동 거리 만큼의 전선의 길이가 상기 수용공간(11) 내에서 확보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일 예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의 하측에는 가이드리브(5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에는 상기 가이드리브(52)가 원활히 전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롤러(13)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이드리브(52)가 상기 케이스(51)의 측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롤러(13)가 상기 케이스(51)의 하면, 측면 또는 상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51)이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케이스(51)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롤러(13)가 상기 가이드 홈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51)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일 예로 수동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장치(5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용이 파지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열장치(50)는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스(51)의 일측에 랙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장치(5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가열장치(50)의 인출입 방식과 무관하게 상기 케이스(51) 또는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 유로부(60)는, 가열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63)와, 가열된 물(온수)이 배출되는 배출부(64)를 가지는 제1가이드(61)와, 상기 제1가이드(61)와 함께 상기 가열유로(65)를 형성하는 제2가이드(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62)는 상기 제1가이드(61)와 상기 코일부(55)의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유입부(63)에는 제1유로(32)가 삽입체결되고, 상기 배출부(64)에는 제3유로(34)가 삽입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1)는 절곡된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부에 물 수용이 가능한 공간으로서 수용홈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는 평탄한 평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는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코일부를 바라보는 쪽이 아닌 코일부(55)를 바라보는 쪽의 반대쪽 면에 제공된다.
상기 유입부(63)와 상기 배출부(64)는 상기 제1가이드(61)에서 상기 코일부를 바라보는 쪽이 아닌 코일부(55)를 바라보는 쪽의 반대쪽 면에 제공된다.
상기 제2가이드(62)는 유도 가열이 가능하도록 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2)는 유도 가열이 되지 않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가이드(61) 및 상기 제2가이드(62) 모두가 자성체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일부(55)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55)에서 자기장이 발생되고, 자기장에 의해서 상기 제2가이드(62)에 전류가 발생되어 상기 제2가이드(62)가 가열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가이드(62)가 형성하는 가열유로(65)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제2가이드(62)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가이드(62) 전체가 가열될 수 있고, 열원의 손실이 없으므로, 상기 가열유로(65) 상의 물이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62)의 표면이 발열하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주변의 온도 상승이 없으므로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단열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로(65)를 유동하는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므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대기전력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상기 배출부(64)는 제3유로(34)에 의해서 상기 제2유로(3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32)에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1밸브(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3)에서 상기 제3유로(34)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1유로(32)와 만나는 지점 사이에는 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밸브(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는 상기 가열장치(50)에 의해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82)와, 물이 담길 수 있는 저장용기(7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제2온도센서(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8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3유로(34)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온도센서(84)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15)는, 상기 취출구(35)에서 정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정수버튼(151)과, 상기 취출구(35)에서 온수를 취출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온수버튼(152)과,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로 움직인 상태에서 저장용기(70)를 가열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용기 가열버튼(152)과, 물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온도선택버튼(15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1)는 정수 또는 온수의 취출을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레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버튼(151)이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취출구(35)에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온수버튼(152)이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취출구(35)에서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조작레버(16) 없이 정수나 온수의 취출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수버튼(151)을 선택한 후에 상기 정수버튼(151)을 재차 선택하면 상기 취출구(35)에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온수버튼(152)을 선택한 후에 상기 온수버튼(152)을 재차 선택하면 상기 취출구(35)에서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정수나 온수를 취출하기 위한 조작 방법 및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정수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수 취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버튼(151)이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제1밸브(41)는 오프되고, 상기 제2밸브(42)는 온된다. 그러면, 상기 필터부(20)에 의해서 정화된 정수는 정수유로(31)와 상기 제2유로(33)를 유동한 후에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음으로, 온수 취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수버튼(152)이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제1밸브(41)는 온되고 상기 제2밸브(42)는 오프되며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한다.
다만, 상기 온수버튼(152)이 선택된 상태 또는 상기 온수버튼(152)이 선택되고 상기 조작레버(16)가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감지부(86)와 상기 제2감지부(88) 중 하나 이상이 상기 가열장치(50)를 미감지하면, 상기 제어부(80)는 도시되지 않은 알림부에서 알림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밸브(41) 및 제2밸브(42)는 오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부(55)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자성체와 마주볼 수 있다. 즉, 상기 코일부(55)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제2가이드(62)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에 의해서 정화된 정수는 상기 제1유로(32)를 유동한 후에 상기 유입부(63)를 통하여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가열유로(65)로 유입된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면, 상기 제2가이드(62)가 가열되고 상기 가열유로(65)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상기 제2가이드(62)에 의해서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수는 상기 배출부(64)를 통하여 상기 제3유로(34)로 유동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온수는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된다.
사용자는 상기 온도선택버튼(154)를 통하여 취출된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제1온도센서(82)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인버터는 상기 코일부(55)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저장용기를 가열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저장용기(70)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86) 및 상기 제2감지부(88)가 상기 가열장치(50)를 미감지할 수 있다.
제2위치로 이동한 상기 가열장치(50)의 상측에는 저장용기(70)가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장용기(70)가 유도 가열되기 위하여 상기 저장용기(70)는 자성체일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정수버튼(151)이 선택되거나, 상기 정수버튼(151)이 선택되고 조작레버(16)가 조작되면, 상기 제1밸브(41)는 오프되고 상기 제2밸브(42)는 온된다. 그러면, 상기 필터부(20)에 의해서 정화된 정수는 정수유로(31)와 상기 제2유로(33)를 유동한 후에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취출구(35)를 통하여 배출된 정수는 상기 저장용기(70)에 담기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정수버튼(151)을 재차 선택하거나 상기 조작레버(16)의 조작을 해제하면, 상기 제2밸브(42)는 오프되어 상기 취출구(35)에서의 물 취출은 종료된다.
이 때,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에 놓인 상기 저장용기(70)로 상기 취출구(35)에서 배출된 물이 인입되도록, 상기 취출구(35)와 상기 가열장치(5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70)에 물을 미리 담은 경우에는 상기 취출구에서 물 취출을 위한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용기 가열버튼(153)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감지부(86)와 상기 제2감지부(88)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장치(50)의 작동 시간 조건의 만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감지부(86)와 상기 제2감지부(88)가 모두 상기 가열장치(50)를 미감지한 경우에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감지부(86)와 상기 제2감지부(88)의 종류 또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가열장치(50)의 작동 시간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80)가 가열장치(50)를 작동시키는 이유는, 저장용기(70)의 유도 가열에 의한 물의 가열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코일부(55)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저장용기(70) 내의 물의 가열시간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력소비가 증가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가열장치(50)의 작동 시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알림부에서 알림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면, 상기 저장용기(70)가 유도 가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70) 내의 물이 가열된다. 이 때,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에서 작동할 때에는 상기 제1밸브(41)와 제2밸브(42)는 오프된다.
사용자는 상기 온도선택버튼(154)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용기(70) 내의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제2온도센서(84)는 상기 저장용기(7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저장용기(70) 내의 온수의 온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가열장치(5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열장치(50)의 코일부(55)로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취출구를 통하여 온수를 취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장치에 놓인 저장용기에 담긴 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온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열장치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일 예로 가열장치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가열장치의 이동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가열장치(50)가 위치할 수 있는 수용공간(11a)을 구비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5과 같이 상기 가열장치(50)가 상기 수용공간(11a)에 인입된 위치를 "제1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가열장치(50)가 상기 수용공간(11a)에서 외부로 인출된 위치를 "제2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하우징(10)에 힌지(57)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장치(50)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힌지(57)를 통과하여 제어부(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는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결합부(58)가 결합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를 한 번 가압하면 상기 결합부(58)와 상기 고정수단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결합부(58)와 상기 고정수단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58)와 상기 고정수단을 정렬시킨 후에 상기 가열장치(50)를 상기 고정수단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결합부(58)가 상기 고정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장치(5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열장치(50)가 구동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회전되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가열장치(5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8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89)는 상기 가열장치(50)를 감지하고, 상기 가열장치(50)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89)는 상기 가열장치(50)를 미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감지부(89)가 상기 가열장치(50)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취출구(35)에서 온수가 취출되도록 밸브(41, 42) 및 가열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감지부(89)가 상기 가열장치(50)를 미감지한 경우에, 밸브(41, 42)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자성체가 가열되기 위하여 상기 코일부(55)는 상기 가열 유로부(60)의 자성체와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50)의 유입부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유입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배출부로 물이 배출된다.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의 일면(50a)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패널의 외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패널과 상기 가열장치(50)의 일체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프레임(53)은 평판형으로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열장치(50)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장치(50)의 일면(50a)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패널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 유로부가 정수기에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물 취출 기능을 구비하는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 유로부와 상기 필터부 및 위에서 언급되는 물의 유로와, 밸브, 센서, 입력부 등의 구성 요소는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유로는 일 예로 냉장고 도어의 프레임 또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의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10: 하우징 20: 필터부
35: 취출구 50: 가열장치
55: 코일부 60: 가열 유로부
80: 제어부 82: 제1온도센서
84: 제2온도센서
35: 취출구 50: 가열장치
55: 코일부 60: 가열 유로부
80: 제어부 82: 제1온도센서
84: 제2온도센서
Claims (19)
-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이 공급되는 제1유로;
취출구와 연결된 제3유로;
상기 제1유로와 결합되는 유입부와 상기 제3유로에 연결되는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제1가이드와, 자성체재질로서 평판형으로 제공되는 제2가이드에 의해서, 물의 유동과 동시에 가열되는 공간이 형성되어진 가열 유로부;
상기 가열 유로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페라이트;
상기 페라이트와 상기 제2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가이드로 자속이 집속되도록 다수 회 감기고 다수 층으로 적층 배열되는 코일부;
상기 취출구에서 취출될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선택버튼; 및
상기 온도선택버튼에서 설정된 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코일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코일부의 사이에 놓이고,
상기 제1가이드에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가 상기 코일부의 반대쪽으로 제공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된 유로상에 정수용 필터를 배치하여 정화된 물이 공급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에서 분지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제3유로와 합류하는 제2유로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 - 제 3 항에 있어서,
온수선택시, 상기 제2유로 상에 형성되는 급수차단용 제2밸브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정수선택시, 상기 제1유로 상에 형성되는 급수차단용 제1밸브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3유로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에 각각 삽입체결된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상측에 상기 배출부가 위치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에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를 자성체 재질로 추가 형성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에 물 수용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제공되는 정수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평판형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복수개로 이격 배치된 평판형상인 정수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페라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페라이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정수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2가이드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정수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면적보다는 상기 제2가이드의 면적을 넓게 형성한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가 더 포함되는 정수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센서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인버터는 상기 코일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946A KR101777539B1 (ko) | 2017-01-05 | 2017-01-05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946A KR101777539B1 (ko) | 2017-01-05 | 2017-01-05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3610A Division KR20160030150A (ko) | 2016-02-26 | 2016-02-26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2337A Division KR101803688B1 (ko) | 2017-09-04 | 2017-09-04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5885A KR20170005885A (ko) | 2017-01-16 |
KR101777539B1 true KR101777539B1 (ko) | 2017-09-11 |
Family
ID=5799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1946A KR101777539B1 (ko) | 2017-01-05 | 2017-01-05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753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81287A (ja) * | 2007-05-11 | 2008-11-20 | Toshio Wakamatsu | 電気式連続湯沸器 |
-
2017
- 2017-01-05 KR KR1020170001946A patent/KR1017775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81287A (ja) * | 2007-05-11 | 2008-11-20 | Toshio Wakamatsu | 電気式連続湯沸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5885A (ko) | 2017-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13789B2 (ja) | 家電製品 | |
JP6626116B2 (ja) | 水排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11248834B2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 |
KR102247824B1 (ko) |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 |
JP5276752B1 (ja) | 飲料抽出装置 | |
KR101777539B1 (ko)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
KR101611702B1 (ko) | 정수기 | |
KR101803688B1 (ko)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
KR20160030150A (ko) | 정수기 및 가전제품 | |
KR20190091102A (ko) |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0974944B2 (en) |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70034856A (ko) | 물 배출 장치 | |
KR20220141687A (ko) | 정수기 | |
KR20190139177A (ko) | 유도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로를 구비한 정수기 | |
CN115196699B (zh) | 净水器 | |
CN105147119A (zh) | 一种通过移动终端控制智能茶灶装置 | |
KR102235306B1 (ko) |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328859B1 (ko) | 정수기 | |
KR20230122945A (ko) |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42596B1 (ko) | 온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10037650A (ko) |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 |
JP2003343861A (ja) | 温水式床暖房装置 | |
KR20170000376A (ko) | 정수기 | |
KR20110058983A (ko) | 보일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