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136B1 -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 Google Patents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136B1
KR102400136B1 KR1020200043857A KR20200043857A KR102400136B1 KR 102400136 B1 KR102400136 B1 KR 102400136B1 KR 1020200043857 A KR1020200043857 A KR 1020200043857A KR 20200043857 A KR20200043857 A KR 20200043857A KR 102400136 B1 KR102400136 B1 KR 10240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unit
information
recognition
recogn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272A (ko
Inventor
김호연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04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136B1/ko
Priority to PCT/KR2021/004461 priority patent/WO2021206492A1/ko
Publication of KR2021012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는, 투표용지에 형성되어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와 연계되어 상기 식별코드에 내재된 정보를 인식하여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표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표기는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식부와 연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표에 대한 집계를 하는 집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MARKING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IDENTIFICATION CODES}
본 발명은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표용지에 내재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전자적인 기표가 가능한 것은 물론, 투표용지에 마킹도 가능하도록 하여 물리적인 기표 역시 가능하도록 한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의회민주주의국가는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또는 특정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 많은 선거가 일상화되어 있다.
대부분의 종래의 투표방식으로는 유권자가 각 선거구 별로 마련된 투표소에 가서 신원을 확인 받은 후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 표시가 인쇄된 투표용지를 제공 받아 해당 후보자의 기표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투표하고, 투표가 끝난 투표함은 선거구 별로 수집되어 수작업에 의해 개표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선거가 진행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기초 단체장 선거 등을 비롯한 각종 선거는 유권자가 각 지역의 선거구 투표소에 가서 투표용지를 이용하여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자를 선택 날인한 후 투표함에 넣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선거 결과 집계는 투표가 완료되면 각 지역 선거구별 개표 장소로 이동하여 공무원 등 선거 관련 정부 직원들이 개표 및 집계를 계수기를 이용하여 집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선거는 유권자에 의한 투표 및 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한 개표 작업이 계수기를 이용하여 집계하는 방식에 의해 진행됨으로써 처리 시간과 처리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투표함 운반 등에 따른 진행상의 어려움이 많았으며, 개표 작업이 사람에 의해 진행됨으로써 자칫 실수나 비리가 발생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 다수의 선거인이 참여하는 지역별 또는 국가적 단위의 투표에는 투표용지 배포, 수거, 심사, 확인, 집계, 전산입력 등의 과정에서 고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전자투표장치 방식의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즉, 유권자가 본인이 원하는 후보자의 기표란에 도장과 인주나 잉크 등을 이용한 기표를 한 이후에 기표된 투표용지를 소정의 개표용 스캔 장치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여 투표용지에 기표된 위치를 파악한 후 유권자가 선택한 후보자 등을 파악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인주가 완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기표된 마킹 부분이 번지게 되거나 또는 투표용지 자체에 오물이 묻은 부분이 형성된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종전의 이미지 스캔 방식에 의해서는 유권자가 실제 투표한 정확한 기표 위치가 파악될 수 없는 경우가 있었으며, 결국 이러한 투표용지는 무효 처리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전의 투표방식의 경우에는 흔히 구하기 쉬운 인주 또는 잉크를 사용하며, 투표용지 또한 외부로부터 불법 반입되기 쉬워 투표결과의 조작 등 부정투표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장에 열선부를 구비하여 활자부를 가열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도장의 경우에는 활자가 구비된 활자부를 전부 가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큰 열용량을 가지는 활자부를 가열하는데 많은 전력과 시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활자부를 가열한 후 냉각되는 속도도 더디기 때문에 자칫하면 사용자에게 화상을 일으키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63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투표용지에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된 식별코드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기표기에 의해 전자적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식별코드에는 투표용지의 고유 번호가 내재되도록 하여 외부의 투표용지가 불법으로 반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그리고, 식별코드의 인식을 통한 전자적 기표와 함께 물리적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투표용지에 마킹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투표결과에 대한 집계 및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투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는, 투표용지에 형성되어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와 연계되어 상기 식별코드에 내재된 정보를 인식하여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표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표기는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식부와 연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표에 대한 집계를 하는 집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표기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함과 동시에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표기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부는 상기 인식부의 식별코드 인식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시각부재 및 알림음을 발산하는 청각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는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QR코드 또는 색상 또는 형상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코드를 인식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는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패턴 형식으로 이루어진 식별코드를 인식 가능한 OID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는 후보자 정보 외에 투표용지의 고유 정보, 지역 선거구 정보, 투표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자적 기표와 물리적 기표가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투표결과에 따른 집계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식별코드에 투표용지 고유 번호가 내재되도록 하고, 해당 기표기에 의해서만 인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투표용지를 불법으로 반입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표기에 의한 식별코드의 인식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후보자에게 정확하게 기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투표용지에 형성되는 식별코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전자적 기표와 투표용지에 마킹을 하는 물리적 기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기표기와 기표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알려주는 알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의 기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투표용지(P)에 형성되는 식별코드(C)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는 투표용지(P)에 형성되어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될 수 있는 식별코드(C)와 연계 가능하고, 상기 식별코드(C)에 내재된 정보를 인식하여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표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표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표기(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되는 상기 식별코드(C)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120),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투표용지(P)의 식별코드(C)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상기 인식부(120)와 연계되어 상기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식별코드(C)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표에 대한 집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집계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코드(C)는 상기 투표용지(P)에서 각 후보자에 해당하는 기표란에 하나의 영역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후보자의 칸 전체(후보자 번호, 이름, 기표란)를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기 투표용지(P)에서 상기 식별코드(C)가 형성되는 전체 영역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는 전력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식부(120), 저장부(130) 및 집계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표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전지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지는 크기가 작은 수은전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기표기(100)의 전체적인 크기가 크지 않더라도 상기 기표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전력공급부에 상기 전지를 안착시키거나 또는 교체를 위하여 외부로 반출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에서 상기 기표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전지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상기 전력공급부에 미리 전력을 충전시켜 둘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표기(100)를 사용하는 동안에 필요한 전력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표기(100)는 상기 인식부(120)를 통해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되는 상기 식별코드(C)를 인식하여 상기 집계부의 집계에 의해 전자적인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외에도, 마킹부(150)를 더 구비하여, 상기 투표용지(P)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리적인 기표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표기(100)의 몸체부(110)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인식부(120)와 함께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에서 상기 마킹부(150)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투표용지(P)에 마킹을 할 시에만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투표용지(P)에서 본인이 원하는 후보자의 기표란에 형성되는 식별코드(C)에 상기 기표기(100)의 인식부(120)를 밀착시켜 인식시킬 때, 그와 동시에 상기 마킹부(150)에서 상기 투표용지(P)의 기표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리적인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킹부(150)는 일반적인 투표용지(P)에 기표용으로 사용되는 기표마크문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마킹부(150)의 형상 사이에 상기 인식부(12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인식부(120)가 상기 식별코드(C)를 원활히 인식하여 전자적인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마킹부(150)에 의해 투표용지(P)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리적인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부(150)는 인주 또는 잉크를 찍어 상기 투표용지(P)의 기표란에 마킹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마킹부(150)의 내부에서 상기 마킹부(150)의 표면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인주나 잉크가 없이도 상기 기표기(10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표기(100)에서 상기 인식부(120)와 상기 마킹부(150)에 의해 전자적 기표와 물리적 기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표기(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식별코드(C)에 대한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알림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알림부(160)는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식별코드(C)가 인식되는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시각부재(161) 및 알림음을 발산하는 청각부재(16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합하여 사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알림부(160)는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식별코드(C)가 인식된 상태, 예를 들어 상기 기표기(100)의 인식부(120)가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 가능한 복수의 후보자들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식별코드(C)를 인식함에 있어서, 상기 기표기(100)의 인식부(120)가 상기 식별코드(C)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였는지 또는, 상기 인식부(120)가 상기 식별코드(C)의 정확한 위치를 향했다 하더라도 순간적인 오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식별코드(C)의 인식이 완료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상기 기표기(100)를 이동시키는 등의 경우에 따라 기표를 함에 있어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붉은색, 그리고 정상 기표가 완료된 경우에는 푸른색으로 발광하는 시각부재(161)에 의해 사용자가 본인이 한 기표의 상태를 즉각 인지하여 그에 맞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시각부재(161)의 색을 붉은색과 푸른색으로 나타내는 것은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나의 실시 예로써 언급한 것이며, 상기 시각부재(161)가 발광하는 색은 서로 다른 색으로 하여 정상 기표와 기표 오류를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표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상기 시각부재(161)를 통한 알림 외에도, 상기 식별코드(C)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자적 기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및 상기 식별코드(C)의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여, 전자적 기표를 함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서로 달리하는 알림음 또는 경고음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청각부재(162)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본인이 한 기표의 상태를 즉각 인지하여 그에 맞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부재(161) 및 청각부재(162)는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기 시각부재(161) 및 청각부재(162) 둘 모두를 동시에 적용시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알림부(160)는 상기 기표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빠르게 인식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표기(100)의 몸체부(110) 상단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120)가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되는 상기 식별코드(C)를 인식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표된 후보자에 대한 집계를 하여 전자적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집계부는 상기 인식부(120)에서 하나의 투표용지(P)에 대해 복수의 식별코드(C) 인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될 경우, 기표의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해당 기표는 무효 처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선거에서 복수의 후보자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는 선거 전에 미리 상기 인식부(120) 및 상기 집계부의 설정을 변경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기표가 이루어진 경우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해당 기표가 무효 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후보자를 선택하는 선거에서는 상기 인식부(120)의 유효 인식 횟수를 한번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선거에서 둘의 후보자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식부(120)의 유효 인식 횟수를 두번으로 설정함으로써, 기 설정된 유효 인식 횟수를 넘어가는 경우, 상기 집계부에서 판단하여 기표를 무효 처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 장의 투표용지(P)에 기 설정된 유효 횟수 이상의 기표가 이루어진 것 역시 상기 알림부(160)에 의해 사용자가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상황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코드(C)는 후보자의 사진이나 이름, 그리고 기호 번호와 같은 후보자 정보 외에도 투표용지(P)의 고유 번호에 대한 정보, 선거가 이루어지는 지역 선거구 정보, 투표소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함께 내재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표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된 상기 식별코드(C)를 인식함으로써, 전자적 기표를 완료하는 경우, 해당 투표에 대한 정보와 함께 후보자의 정보도 인식되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투표 집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투표용지(P)의 고유 번호 정보를 통해 선거에 사용되는 투표용지(P)의 위변조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 시장 선거에 대한 기표가 이루어졌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 기표기(100)를 사용하여 투표용지(P)에 형성된 상기 식별코드(C)에 기표를 하면, 영등포 지역 선거구의 제12투표소에서 서울 시장 선거에 대해 후보자 3번이 선택되었다 하는 것이 인식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개표 이후 최종적으로 투표 집계를 검토 할 때, 보다 정확한 집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C)는 외부에서 투표용지가 불법으로 반입되어 부정 투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표기(100)에 의해서만 인식이 가능한 구조, 즉, 해당 투표에 사용되는 기표기(100)에만 인식될 수 있는 코드 정보가 내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코드(C)는 전자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QR코드, 색상코드, 패턴코드, 형상코드 등 여러가지 방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모방의 위험이 적어 위변조의 검증이 용이하고, 작은 범위의 표현만으로도 많은 정보가 내재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패턴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식별코드(C)를 인식하는 상기 인식부(120)는 상기 패턴에 내재된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OID(Object Identifier)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OID 방식은 적외선 감지 및 스캔을 이용하여 특정 패턴 속에 내재된 정보를 식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이러한 OID 방식으로 이루어진 상기 인식부(120)는 패턴 형식으로 이루어진 고유의 식별코드(C)와 연동되도록 하여 상기 식별코드(C)에 내재된 정보만을 전용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식부(120)는 상기 식별코드(C)가 패턴 형식 외에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형식에 맞게 정확하게 인식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기표기(100)를 이용하여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반적인 시스템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기표기 110 : 몸체부
120 : 인식부 130 : 저장부
150 : 마킹부 160 : 알림부
161 : 시각부재 162 : 청각부재
C : 식별코드 P : 투표용지

Claims (7)

  1. 투표용지에 형성되어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와 연계되어 상기 식별코드에 내재된 정보를 인식하여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표기;
    를 포함하며,
    상기 기표기는,
    외관을 이루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식부와 연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표에 대한 집계를 하는 집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부는,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패턴 형식으로 이루어진 식별코드를 인식 가능한 OID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식부는,
    선거에서 선택해야 하는 후보자의 수에 대응되도록 유효 인식 횟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유효 인식 횟수를 넘어서 식별코드의 인식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집계부에서 판단하여 기표를 무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기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함과 동시에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킹부;
    를 더 포함하는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기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식별코드에 대한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알려주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인식부의 식별코드 인식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시각부재 및 알림음을 발산하는 청각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QR코드 또는 색상 또는 형상 또는 바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코드를 인식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후보자 정보 외에 투표용지의 고유 정보, 지역 선거구 정보, 투표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KR1020200043857A 2020-04-10 2020-04-10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KR10240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57A KR102400136B1 (ko) 2020-04-10 2020-04-10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PCT/KR2021/004461 WO2021206492A1 (ko) 2020-04-10 2021-04-09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57A KR102400136B1 (ko) 2020-04-10 2020-04-10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72A KR20210126272A (ko) 2021-10-20
KR102400136B1 true KR102400136B1 (ko) 2022-05-19

Family

ID=7802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57A KR102400136B1 (ko) 2020-04-10 2020-04-10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0136B1 (ko)
WO (1) WO202120649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11B1 (ko) * 2017-02-08 2018-09-10 (주)와우소프트 개표 방법 및 개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8324B (en) * 2005-07-11 2011-03-23 Ryknield Executor Company Ltd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voting systems
KR20080046337A (ko) 2006-11-22 2008-05-27 이종준 전지를 이용한 도장
KR20070116200A (ko) * 2007-04-25 2007-12-07 (주)비즈트러스트 전자펜 기표시스템
KR101075859B1 (ko) * 2011-03-04 2011-10-25 케이제이알텍(주) 스마트 펜을 이용한 전자투표 시스템
KR101423828B1 (ko) * 2012-08-02 2014-07-30 박태영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도장 스캐너, 도장 스캐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서상의 날인 정보의 획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11B1 (ko) * 2017-02-08 2018-09-10 (주)와우소프트 개표 방법 및 개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492A1 (ko) 2021-10-14
KR20210126272A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944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canned ballot
US7077313B2 (en) Electronic voting method for optically scanned ballot
US7461787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036730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261985B2 (en) Manual recount process using digitally imaged ballots
US8066184B2 (en) Optically readable marking sheet and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7431209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5610383A (en) Device for collecting voting data
US20230036863A1 (en) Gaming chip with a stripe pattern and management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the gaming chip based on imaging
US20110089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an optically readable markable sheet and markable sheet therefor
US20090101418A1 (en)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voting systems and the like
US20050139666A1 (en) Verifiable voting input system
CN114898508A (zh) 检查系统及游艺用代用货币
US20060041468A1 (en) Custom printed, voter verified ballots with fixed range input
KR102400136B1 (ko)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KR20110015360A (ko) 전자개표장치
KR102473900B1 (ko)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GB2382196A (en) Vote recording and counting apparatus
US103323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elections
KR101888111B1 (ko) 개표 방법 및 개표 장치
CA30040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elections
KR102433026B1 (ko) 비밀원칙이 준수되고 개별적 검표가 가능한 선거관리 시스템
US7021539B2 (en) Ballot system and method adapted for optical scanning
KR100871808B1 (ko) 투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표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0750B1 (ko) 각각의 분류챔버에 카운팅 유닛이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