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200A - 전자펜 기표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펜 기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200A
KR20070116200A KR1020070040440A KR20070040440A KR20070116200A KR 20070116200 A KR20070116200 A KR 20070116200A KR 1020070040440 A KR1020070040440 A KR 1020070040440A KR 20070040440 A KR20070040440 A KR 20070040440A KR 20070116200 A KR20070116200 A KR 2007011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en
signal
voter
marking system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종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비즈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즈트러스트 filed Critical (주)비즈트러스트
Priority to KR102007004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6200A/ko
Publication of KR2007011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자의 누름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및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감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된 전자펜을 사용하여 기표하여 터치된 전자펜만을 감응장치가 감지하게 하고, 전자펜은 스크린 상에 투표자의 지문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기존 투표자가 후보자를 선택한 내용이 다른 투표자가 후보자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주지 못하게 함으로써 투표의 신뢰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스크린에 부착된 감응장치가 스크린 화면의 선명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부수적 효과가 있다.
전자펜, 전자투표, RFID 태그

Description

전자펜 기표시스템{Ballot Marking System by Using Electronic Pen}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식 기표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기표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일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전자펜에 부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눌림감지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전자펜 신호 발신부 및 2개의 수신부가 삼각형을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자형센서를 사용할 때 이중신호용 전자펜이 눌려진 지점의 X좌표 및 Y좌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를 전자펜에 부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 전자단말기 122: 감압식 감응장치
202: 전자펜 204: 전자펜 신호
212: 스크린
222: 감응장치 302: 디지타이저용 전자펜
304: 디지타이저용 신호 312: LCD 판넬
322: 디지타이저 402: 단일신호용 전자펜
404: 단일주파수 신호 422, 424, 426, 428: 단일센서
502: 이중신호용 전자펜 504: 이중주파수 신호
522, 524: 이중센서 622: 일자형센서
706: RFID 태그 708: RFID 리더
802: 유선전자펜 806: 눌림감지센서
본 발명은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후보자 명단 이 표시되어 있는 전자단말기 위에 후보자를 기표함에 있어서 지정된 도구를 사용하여 스크린 위에 직접 기표함으로써 투표의 편이성을 도모함은 물론 투표를 마친 후 개표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투표자가 기표를 할 경우에 현재는 직접 투표용지에 기표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투개표가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은 물론 개표시마다 많은 수의 개표종사원을 동원하는 것이 선거관리의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로 지적되어온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전자 기표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식 기표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종래의 터치스크린 기표시스템에는 전자단말기(112) 위에 감압식 감응장치(122)를 설치함으로써 투표자가 접촉할 경우 감압식 감응장치(122)가 그 좌표를 판독하여 투표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기표시스템을 사용하게 될 경우, 감압식 감응장치(122)가 투표자의 손가락에만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볼펜 및 소매의 단추와 같은 투표자의 소지품에도 반응함으로써 투표인이 원하지 않는 후보자가 선택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투표자가 손가락을 누르는 방식으로 기표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존 투표자의 지문이 터치스크린 위에 남게 되어,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 후보자 화면 위에 다수의 지문이 묻어있는 것을 현 투표자가 보게 됨에 따라서 어떤 후보자가 많이 선택되었는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 투표자에 의해 남아 있는 지문이 현 투표자의 후보자 선택에 심리적 영향을 주게 될 우려가 생긴다. 이를 방지하 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터치스크린에 투표자의 지문이 남지 않도록 수시로 관리해야 하므로 많은 관리자가 존재할 필요가 생겨 관리자의 인건비가 추가로 소요됨은 물론 기표대 안에서 관리자가 수시로 투표기를 만진다는 점에서 전자투표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의심을 받게 되어 전자투표의 확산을 저해하게 된다.
아울러, 투표자의 터치를 판별하기 위한 감압식 감응장치(122)가 전자단말기(112) 위에 부착됨으로 인해서 투표자가 전자단말기(112) 화면의 선명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보다 나은 선명도를 확보하기 위한 고가의 LCD 사용으로 인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단말기 위에 직접 기표할 경우 지정된 전자펜만 사용하여 지정된 전자펜에만 감응장치가 반응하도록 함으로써 터치된 전자펜 이외의 다른 물체가 눌렀을 때는 감응장치가 반응하지 못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자펜으로 기표하는 것은 전자단말기 상에 투표자의 지문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기존 투표자가 후보자를 선택한 내용이 다른 투표자가 후보자를 선택하는 데 아무런 심리적 영향을 주지 못하게 함은 물론, 전자펜의 신호 판독에 있어서 전자단말기 하단 혹은 전자단말기 외곽에 부착된 감응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자단말기 화면의 선명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 자의 누름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및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감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자의 누름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감응장치, 상기 전자펜이 기표용으로 지정된 전자펜임을 나타내는 고유의 정보를 저장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한다.) 태그 및 상기 RFID 태그를 부착한 상기 전자펜이 지정된 전자펜인지 여부를 판독하는 RFID 리더(Rea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자의 누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및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다수 개의 감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펜 기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전자펜(202), 스크린(212) 및 감응장치(222)를 포함한다.
투표자가 전자펜(2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스크린(2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전자펜(202) 끝에서 방출되는 전자펜 신호(204)를 스크린(212) 하단부 혹은 스크린(212) 외곽에 부착된 감응장치(222)가 감지한다. 감응장치(222)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전자펜(2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를 투표하였는지 판독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디지타이저용 전자펜(302), LCD 판넬(312) 및 디지타이저(3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디지타이저용 전자펜(3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디지타이저용 전자펜(302) 끝에서 방출되는 디지타이저용 신호(304)를 디지타이저(322)가 감지한다. LCD 판넬(312) 하단에 장착된 디지타이저(322)는 감지된 디지타이저용 신호(304)로부터 디지타이저용 전자 펜(302)이 눌려진 좌표를 판독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를 투표하였는지 판독하게 된다.
여기서 디지타이저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추고 넓적한 평면모양을 하고 있는 컴퓨터용 입력장치로서, 투표자가 디지타이저용 펜을 누르면 자동으로 눌려진 좌표를 읽어들여 해당 좌표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타이저와 연결된 컴퓨터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일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일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단일신호용 전자펜(402), LCD 판넬(312) 및 단일센서(422, 424, 426, 42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단일신호용 전자펜(402) 끝에서 방출되는 단일주파수 신호(404)를 단일센서(422, 424, 426, 428)가 감지한다. LCD 판넬(312) 외곽에 장착된 단일센서(422, 424, 426, 428)는 감지된 단일주파수 신호(404)로부터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에 투표하였는지 판독하게 된다. 즉,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으로부터 나온 신호를 4개의 단일센서(422, 424, 426, 428)가 감지하여 각 단일센서(422, 424, 426, 428)에 도착한 시간을 계산하면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표자가 340 m/sec의 속도를 갖는 초음파가 발생되는 단일신호 용 전자펜(402)을 가로 및 세로가 모두 30 cm인 스크린(312) 위를 눌렀을 때, 제 1 단일센서(422)가 신호를 수신한 후 0.242 ms 후에 제 2 단일센서(424)가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단일센서(422)가 신호를 수신한 후 0.242 ms 후에 제 3 단일센서(426)가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단일센서(422)가 신호를 수신한 후 0.416 ms 후에 제 4 단일센서(428)가 신호를 수신했다고 가정하자.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으로부터 제 1 단일센서(422)까지의 거리를 a,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으로부터 제 2 단일센서(424)까지의 거리를 b,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으로부터 제 3 단일센서(426)까지의 거리를 c, 단일신호용 전자펜(402)으로부터 제 4 단일센서(428)까지의 거리를 d라 하자.
(거리 = 속도 * 시간)이라는 공식을 이용하면, b = a + 0.242 ms * 340 m/sec = a + 8.22 cm, c = a + 0.242 ms * 340 m/sec = a + 8.22 cm, d = a + 0.416 ms * 340 m/sec = a + 14.14 cm가 된다. 여기서 스크린(312) 한변의 길이 30 cm를 감안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a = 14.14 cm, b = 22.36 cm, c = 22.36 cm, d = 28.28 cm 가 되며, a, b, c 및 d 값으로부터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해당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중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LCD 판넬(312) 및 이중센서(522, 5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끝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이중주파수 신호(504)가 방출된다. LCD 판넬(312) 외곽에 장착된 이중센서(522, 524)는 두 개의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여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를 투표하였는지 판독하게 된다.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으로부터 동시에 발생한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두 개의 이중센서(522, 524) 각각에 수신된 시간의 차이를 검출하여 이중신호용 전자펜(502)과 이중센서(522, 524)와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좌표값을 구한다.
예를 들어, 속도가 Vx인 제 1 신호 및 속도가 Vy인 제 2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을 투표자가 누름으로써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가 동시에 발생했을 때(단, Vx > Vy), 제 1 이중센서(522)가 제 1 신호를 수신한 후 t1초 지나서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이중센서(524)가 제 1 신호를 수신한 후 t2초 지나서 제 2 신호를 수신했다고 가정하자.
먼저 제 1 이중센서(522)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까지의 거리를 구하면(이 때, 제 1 신호가 발생된 후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tx, 제 2 신호가 발생된 후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ty라 한다.), (거리 = 속도 * 시간)이라는 공식으로부터, tx * Vx = ty * Vy가 나온다. 제 1 이중센서(522)에서 수신된 시간차 t1 = ty - tx를 이용하면 tx * Vx = (t1 + tx) * Vy 가 된다. 따라서 tx = t1 * Vy/(Vx - Vy)가 되어 제 1 이중센서(522)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까지의 거리는 tx * Vx, 즉, t1 * Vy * Vx/(Vx - Vy)가 된다.
마찬가지로 하면 제 2 이중센서(524)의 경우에도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구해진 제 1 이중센서(522)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까지의 거리 및 제 2 이중센서(522)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삼각함수로 풀면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9는 전자펜 신호 발신부(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의 위치) 및 2개의 수신부(이중센서(522, 524)의 위치)가 삼각형을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도시한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를 모두 알 수 있으므로 기준이 되는 이중센서(522)의 좌표를 (0, 0)이라 하면 이중센서(522)와 발신부 사이의 반지름을 r`으로 하는 원의 방정식은 x2 + y2 = r`2이 된다. 또한 또 다른 이중센서(524)의 좌표를 (a, b)라 놓고 발신부와의 거리 r"을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구하면 (x-a)2 + (y-b)2 = r"2이 된다. 두 원의 방정식을 놓고 x, y 값을 구하면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위치를 알 수 있다. 만일 센서의 수가 증가하면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삼각형을 더 많이 그릴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LCD 판넬(312) 및 일자형센서(6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끝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이중주파수 신호(504)가 방출된다. LCD 판넬(312) 외곽에 장착된 일자형센서(622)는 두 개의 주파수 신호를 감지하여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에 투표하였는지 판독하게 된다.
일자형센서(622)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으로부터 동시에 발생한 두 개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가장 빨리 수신한 일자형센서(622)의 위치로부터 LCD 판넬(312) 상의 X좌표 값을 알 수 있으며, 수신된 두 신호의 수신시간 차이를 검출하여 LCD 판넬(312) 상의 Y좌표 값을 판독함으로써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한다.
도 10은 일자형센서(622)를 사용할 때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지점의 X좌표 및 Y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속도가 V1인 제 1 신호 및 속도가 V2인 제 2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을 투표자가 누름으로써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가 동시에 발생했을 때(단, V1 > V2), 일자형센서(622)의 한 지점 X의 센서가 가장 먼저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X 지점의 센서가 뒤 이어 t초 후에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X 지점의 센서위치가 X좌표가 됨은 물론 (거리 = 속도 * 시간)이라는 공식을 적용하여 Y좌표를 구하면, 일자형센서(622)의 한 지점 X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까지의 거리인 Y좌표는 t * V2 * V1/(V1 - V2)가 되어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린 지점의 X좌표 및 Y좌표를 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전자펜에 부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전자펜에 부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LCD 판넬(312), 일자형센서(622),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이하 “RFID"라 한다.) 태그(706) 및 RFID 리더(Reader)(70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끝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일자형센서(622)가 감지한다. LCD 판넬(312) 외곽에 장착된 일자형센서(622)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를 투표하였는지 판독함은 물론, RFID 리더(708)는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에 부착된 RFID 태그(706)로부터 지정된 전자펜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706)를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에 부착한다. 만일 투표자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을 누르면 RFID 태그(706)는 기 저장한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조하여 RFID 리더(708)로 송신한다. RFID 리더(708)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지정된 전자펜인지 여부를 판독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를 전자펜에 부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따른 RFID 리더를 전자펜에 부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LCD 판넬(312), 일자형센서(622), RFID 태그(706) 및 RFID 리더(Reader)(70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눌렀을 때 이중신호용 전자펜(502) 끝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일자형센서(622)가 감지한다. LCD 판넬(312) 외곽에 장착된 일자형센서(622)는 감지된 신호로부터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이 눌려진 좌표를 계산하여 투표자가 어느 후보자를 투표하였는지 판독함은 물론,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에 부착된 RFID 리더(708)는 LCD 판넬(312) 외곽에 부착된 RFID 태그(706)로부터 지정된 전자펜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706)를 LCD 판넬(312) 외곽에 부착한다. 만일 투표자가 이중신호용 전자펜(502)을 누르면 RFID 태그(706)는 기 저장한 데이터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조하여 RFID 리더(708)로 송신한다. RFID 리더(708)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지정된 전자펜인지 여부를 판독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눌림감지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따른 눌림감지센서를 사용한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LCD 판넬(312), 단일센서(422, 424), 유선전자펜(802) 및 눌림감지센서(80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투표자가 유선전자펜(802)으로 후보자가 디스플레이된 LCD 판넬(312) 상의 한 지점을 누르는 순간 유선전자펜(802)가 발생시킨 선택신호를 유선전자펜(802)과 연결된 눌림감지센서(806)가 감지한다. 이와 동시에 유선전자펜(802) 끝에서 방출되는 단일주파수 신호(404)를 단일센서(422, 424)가 감지한다. LCD 판넬(312) 외곽에 장착된 단일센서(422, 424)가 단일주파수 신호(404)를 감지한 시간과 눌림감지센서(806)가 선택신호를 감지한 시간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유선전자펜(802)이 눌려진 지점과 단일센서(422, 424)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도 9는 전자펜 신호 발신부(유선전자펜(802)의 위치) 및 2개의 수신부(단일센서(422, 424)의 위치)가 삼각형을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눌림감지센서(806)가 신호를 감지한 후 단일센서(422, 424)가 단일주파수 신호(404)를 수신한 시간을 검출한 후 (거리 = 속도 * 시간)이라는 공식을 사용하면 단일센서(422, 424)와 유선전자펜(802)이 눌려진 지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고, 이를 원의 방정식을 사용하면 계산하면 유선전자펜(802)이 눌려진 지점의 좌표 를 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정된 전자펜을 사용하여 터치된 전자펜만을 감응장치가 감지하게 하여 투표의 신뢰성을 높여주고, 또한 스크린 상에 투표자의 지문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기존 투표자가 후보자를 선택한 내용이 다른 투표자가 후보자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주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스크린에 부착된 감응장치가 스크린 화면의 선명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여 보다 나은 선명도를 확보하기 위한 고가의 LCD 사용을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자의 누름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및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감응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한다.)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RFID 리더(Reader)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광선을 발생시키는 광선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장치는,
    상기 스크린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전자펜이 발생시킨 광선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장소의 좌표를 판독하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장치는,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장소의 좌표를 판독하도록 상기 스크린 외곽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2가지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장치는,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장소의 좌표를 판독하도록 상기 스크린 외곽 2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장치는,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장소의 좌표를 판독하도록 상기 스크린 외곽에 일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감응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펜이 눌려졌을 때 유선으로 눌림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펜 끝에서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장치는,
    상기 전자펜에서 발생하는 상기 눌림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펜이 눌려진 시각을 검출하는 눌림감지센서와 상기 스크린 외곽 2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 신호를 검출하는 단일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한다.) 리더(Rea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기표시스템은,
    RFID 태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6.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자의 누름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감응장치;
    상기 전자펜이 기표용으로 지정된 전자펜임을 나타내는 고유의 정보를 저장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한다.) 태그; 및
    상기 RFID 태그를 부착한 상기 전자펜이 지정된 전자펜인지 여부를 판독하는 RFID 리더(Read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17. 전자펜 기표시스템에 있어서,
    투표자의 누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전 자펜;
    투표할 후보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투표자가 투표할 때 상기 전자펜과 접촉하는 스크린; 및
    상기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펜이 접촉한 위치를 판독하는 다수개의 감응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 기표시스템.
KR1020070040440A 2007-04-25 2007-04-25 전자펜 기표시스템 KR20070116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40A KR20070116200A (ko) 2007-04-25 2007-04-25 전자펜 기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40A KR20070116200A (ko) 2007-04-25 2007-04-25 전자펜 기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200A true KR20070116200A (ko) 2007-12-07

Family

ID=3914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440A KR20070116200A (ko) 2007-04-25 2007-04-25 전자펜 기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62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27A1 (en) * 2020-01-16 2021-07-22 Ermi Electronic voting rod and electronic vo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1206492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27A1 (en) * 2020-01-16 2021-07-22 Ermi Electronic voting rod and electronic vo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1206492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431B1 (ko) 적외선 터치스크린의 다점 좌표인식방법 및 접점면적인식방법
US9679310B1 (en) Electronic display with combined human and machine readable elements
CN105302397B (zh) 驱动传感器电极来进行电容性感测的方法及装置
CN102890574A (zh) 触控装置及使用该触控装置的鼠标
US8928609B2 (en) Combining touch screen and other sensing detections for user interface control
EP200087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EP3427136B1 (en) Soft touch detection of a stylus
CN103389805A (zh) 坐标指示装置和用于其输入位置的坐标测量装置
CN103109252A (zh) 使用声学超声阻抗描记术的用于指向装置的方法和系统
CN103502924A (zh) 移动信息终端及操作状态判定方法
KR20140016987A (ko) 가상 필기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3440076A (zh) 基于薄膜压力传感器与三轴加速度计的三维多点式触摸屏
CN106020577A (zh) 用于差分读出的传感器阵列配置
CN103502911A (zh) 使用多个传感器的手势识别
CN103186329A (zh) 电子设备及其触摸输入控制方法
CN108694373A (zh) 差分电容性测量的自适应参考
CN101452353A (zh) 一种触摸屏输入检测方法和触摸屏设备
CN106295473A (zh) 指纹识别装置及具有该指纹识别装置的电子装置
WO2006043286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data using a digital pen
CN105849682B (zh) 使用混合电容性感测的重影抑制
KR100945521B1 (ko) 문서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16200A (ko) 전자펜 기표시스템
US20060087496A1 (en) Electronic notepad
CN105528153A (zh) 截屏方法、截屏装置及电子装置
KR101204794B1 (ko) 위치인식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치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