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900B1 -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900B1
KR102473900B1 KR1020200067039A KR20200067039A KR102473900B1 KR 102473900 B1 KR102473900 B1 KR 102473900B1 KR 1020200067039 A KR1020200067039 A KR 1020200067039A KR 20200067039 A KR20200067039 A KR 20200067039A KR 102473900 B1 KR102473900 B1 KR 10247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rking
ballot
unit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640A (ko
Inventor
정진복
민성준
이윤복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06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0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06Pocket st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9Image acquisition by sensing codes defining pattern pos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킹모듈과,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에 형성된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모듈 및 기표 정보를 저장하고 판독하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MARK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 COUNTING}
본 발명은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표용지에 내재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전자적인 기표가 가능한 것은 물론, 투표용지에 마킹도 가능하도록 하여 물리적인 기표가 함께 이루어지며, 기표 정보의 유무효를 판독하여 정확한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기표에 대한 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개표 작업 없이도 선거에 대한 개표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의회민주주의국가는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또는 특정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 많은 선거가 일상화되어 있다.
대부분의 종래의 투표방식으로는 유권자가 각 선거구 별로 마련된 투표소에 가서 신원을 확인 받은 후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 표시가 인쇄된 투표용지를 제공 받아 해당 후보자의 기표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투표하고, 투표가 끝난 투표함은 선거구 별로 수집되어 수작업에 의해 개표작업이 진행됨으로써 선거가 진행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기초 단체장 선거 등을 비롯한 각종 선거는 유권자가 각 지역의 선거구 투표소에 가서 투표용지를 이용하여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자를 선택 날인한 후 투표함에 넣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선거 결과 집계는 투표가 완료되면 각 지역 선거구별 개표 장소로 이동하여 공무원 등 선거 관련 정부 직원들이 개표 및 집계를 계수기를 이용하여 집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선거는 유권자에 의한 투표 및 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한 개표 작업이 계수기를 이용하여 집계하는 방식에 의해 진행됨으로써 처리 시간과 처리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투표함 운반 등에 따른 진행상의 어려움이 많았으며, 개표 작업이 사람에 의해 진행됨으로써 자칫 실수나 비리가 발생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항상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 다수의 선거인이 참여하는 지역별 또는 국가적 단위의 투표에는 투표용지 배포, 수거, 심사, 확인, 집계, 전산입력 등의 과정에서 고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전자투표장치 방식의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즉, 유권자가 본인이 원하는 후보자의 기표란에 도장과 인주나 잉크 등을 이용한 기표를 한 이후에 기표된 투표용지를 소정의 개표용 스캔 장치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여 투표용지에 기표된 위치를 파악한 후 유권자가 선택한 후보자 등을 파악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인주가 완전히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기표된 마킹 부분이 번지게 되거나 투표용지 자체에 오물이 묻은 부분이 형성된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종전의 이미지 스캔 방식에 의해서는 유권자가 실체 투표한 정확한 기표 위치가 파악될 수 없는 경우가 있었으며, 결국 이러한 투표용지는 무효 처리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기표에 대한 집계를 수행한다고 할지라도 기표가 완료된 투표용지를 수거하고 정리하여 개표용 스캔 장치에 투입해야 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과정에서 투표용지가 누락되거나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여전히 개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며, 소요되는 시간도 적지 않아 종래의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개표 작업의 문제점이 해소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14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투표용지에 형성된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전자적인 기표와 투표용지에 마킹을 하는 물리적인 기표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표장치가 투표용지의 표면에 완전히 접촉된 상태에서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표 정보를 판독하여 오분류나 미분류 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기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기표 카운팅이 가능하도록 하여 투표 이후 별도의 개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집계/개표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킹모듈과,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에 형성된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과,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모듈 및 기표 정보를 저장하고 판독하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표장치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과 연계 가능하며, 상기 마킹모듈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따른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중 마킹 직후의 영상을 기표의 유무효를 판단하는 기표 판독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마킹 직후의 영상이 무효표에 해당하는 경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모듈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투표용지에 선거 고유 마크를 마킹하는 도장유닛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장유닛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킹모듈은 상기 접촉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이드유닛이 구동되어 상기 도장유닛을 하강시켜 상기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모듈은 상기 가이드유닛이 구동되는 시점에 상기 투표용지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모듈은 어두운 상태에서도 식별코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는 IR 또는 UV 식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감지모듈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빛의 밝기를 센싱하는 광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측정센서에서 센싱되는 빛의 밝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몸체의 하단면과 상기 투표용지의 표면 간의 접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감지모듈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면과 상기 투표용지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접촉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몸체의 하단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감지모듈은 복수의 상기 접촉센서에 상기 투표용지의 표면이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센싱되는 경우 상기 몸체의 하단면과 상기 투표용지의 표면 간의 접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마킹모듈, 식별모듈 및 접촉감지모듈이 상호 연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로유닛과, 상기 회로유닛에 구비되어 기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과, 상기 메모리유닛과 연계 가능하며, 기표 정보를 판독하여 기표에 대한 유무효를 판단하는 판독유닛 및 상기 판독유닛과 연계 가능하고,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집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기표 정보 및 기표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PC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판독된 기표 정보가 무효표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 재기표를 유도하는 알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림모듈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표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시각유닛 또는 알림음을 발산하는 청각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표장치는 투표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몸체가 거치되며, 상기 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될 경우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표장치와 투표용지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여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표 정보에 대한 유무효를 판독하며, 무효표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 재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분류 또는 미분류 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전자적 기표와 물리적 기표가 모두 가능하도록 하여, 투표 결과에 따른 집계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표장치에서 자체적으로 투표에 대한 집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투표 완료 이후 별도의 개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선거의 결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식별모듈, 촬영모듈, 마킹모듈 및 접촉감지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전자적 기표와 투표용지에 마킹을 하는 물리적 기표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전자적 기표 및 물리적 기표가 완료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알림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기표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 있어서, 거치모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는 기표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하단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구비 가능하여 투표용지(P)에 물리적인 기표가 이루어지도록 마킹을 할 수 있는 마킹모듈(200)과,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투표용지(P)에 형성 가능한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C)를 식별하여 전자적인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식별모듈(300)과,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비 가능하여 투표용지(P)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이 완전하게 접촉됐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감지모듈(400) 및 상기 마킹모듈(200) 및 상기 식별모듈(3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물리적 기표 및 전자적 기표에 대한 기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표 정보의 유무효를 판독하고,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져 집계가 가능한 제어모듈(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전력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마킹모듈(200), 식별모듈(300), 접촉감지모듈(400) 및 제어모듈(500)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 가능하여 투표용지(P)에 물리적인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마킹모듈(200)은 도장유닛(210) 및 가이드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장유닛(21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 특히,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하단면에 선거 고유의 마크가 새겨져 투표용지(P)의 표면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도장유닛(210)의 일측에는 잉크필터(211)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기표 이전에 인주에 찍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기표 중에 잉크가 말라서 마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22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며, 상기 도장유닛(210)과 연계 되도록 하여 상기 도장유닛(210)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유닛(22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 중에서도 상기 도장유닛(210) 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형 실린더 또는 레크피니언 기어 등과 같이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도장유닛(210)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거나, 상기 가이드유닛(220)에서 전자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도장유닛(210)이 상하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상기 도장유닛(210)이 상하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유닛(220)에 의해 상기 도장유닛(210)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마킹모듈(200)은 상기 접촉감지모듈(400)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P)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이드유닛(220)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유닛(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장유닛(210)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부면으로 하강됨으로써, 상기 투표용지(P)의 표면에 선거 고유 마크가 마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모듈(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투표용지(P)에 형성된 식별코드(C)를 식별하여 유권자가 본인이 지지하는 후보자를 선택하여 전자적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식별모듈(300)에서 식별된 전자적 기표에 대한 기표 정보는 상기 마킹모듈(200)에 의해 이루어진 물리적 기표에 대한 기표 정보와 함께 후술할 제어모듈(500)에 의해 저장되고, 기표의 유무효가 판독되며, 유효표일 경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져 집계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모듈(300)은 상기 접촉감지모듈(400)에 의해 투표용지(P)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표용지(P)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장유닛(210)을 하강 시키는 상기 가이드유닛(220)이 구동되는 시점에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된 식별코드(C)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권자가 본인이 지지하는 후보자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몸체(100)를 이동시키는 와중에 다른 후보자에 해당하는 식별코드(C)가 식별되거나, 식별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몸체(100)가 이동되어 오기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모듈(300)은 어두운 상태, 즉, 상기 투표용지(P)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이 접촉된 상태에서도 상기 투표용지(P)에 형성된 식별코드(C)의 식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는 IR(Infrared Ray) 또는 UV(Ultraviolet Ray) 식별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에는 상기 마킹모듈(200)에 의해 투표용지(P)에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듈(9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촬영모듈(9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500)과 연계 가능하여 상기 마킹모듈(200)에 의해 투표용지(P)에 이루어진 마킹의 이미지를 동영상 또는 스틸컷 등과 같은 방법으로 촬영함으로써, 후술할 제어모듈(500)의 판독유닛(530)에서 물리적 기표에 대한 기표 정보의 유무효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정보, 다시 말해 기표 유무효 판독 정보로 활용이 가능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촬영모듈(900)은 상기 마킹모듈(200)에 의해 투표용지 (P)에 마킹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표용지(P)에 마킹이 이루어지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물리적 기표에 대한 유무효 판단 및 정확한 기표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모듈(900)에서 촬영된 상기 마킹모듈(200)에 의해 투표용지(P)에 마킹이 이루어진 직후의 영상은 후술할 상기 제어모듈(500)의 집계유닛(540)에서 유효한 기표 정보에 대한 기표 카운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모듈(900)에서 촬영된 마킹 직후의 영상이 무효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500)의 집계유닛(540)에서 카운팅 된 기표를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적 기표와 물리적 기표에 대한 종합적인 기표 카운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촬영모듈(900)은 상기 식별모듈(300)과 마찬가지로 어두운 상태, 즉, 투표용지(P)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이 접촉된 상태에서도 상기 투표용지(P)에 이루어진 마킹의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는 IR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촬영모듈(900) 및 상기 식별모듈(300)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식별코드(C)에 대한 식별 및 마킹에 대한 영상 촬영이 함께 이루어지도 하는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모듈(300) 및 상기 촬영모듈(900)은 상기 마킹모듈(200)과 함께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킹모듈(200)에서 투표용지(P)의 표면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단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투표용지(P)에 형성된 식별코드(C)의 식별 및 상기 투표용지(P)에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를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단 중앙부에 밀접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도장유닛(210)의 일측에는 상기 식별모듈(300) 및 상기 촬영모듈(900)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투표용지(P)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접촉감지모듈(400)은 빛의 밝기를 센싱하는 광측정센서(410) 또는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접촉센서(4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측정센서(410)는 상기 몸체(100) 하단의 내측 또는 하단 테두리 면에 구비 가능하며, 센싱되는 빛의 밝기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의 표면이 완전히 접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측정센서(410)에 의해 센싱되는 빛의 밝기가 기 입력된 기준값의 이하인 것으로 센싱되는 경우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의 표면이 완전히 접촉된 것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 입력된 기준값 이상의 밝기가 센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의 표면이 아직 완전히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420)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 테두리 면에 구비 가능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 표면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여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의 접촉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센서(420)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거나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상기 접촉센서(420)에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 표면의 접촉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식별모듈(300) 및 상기 촬영모듈(900)의 위치 또는 상기 접촉감지모듈(400)의 위치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감지모듈(400)의 센싱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의 표면이 완전히 접촉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마킹모듈(200)의 가이드유닛(220)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몸체(100)의 하단면과 투표용지(P)의 표면이 완전히 접촉된 경우에만 상기 가이드유닛(220)에 의해 상기 도장유닛(210)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하단면을 향해 하강 될 수 있도록 하여 투표용지(P)의 표면에 선거 고유의 마크가 마킹되도록 함으로써 물리적인 기표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물리적 기표를 함에 있어 상기 몸체(100)가 기울여지거나 제대로 접촉되지 않아 부정확한 마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투표 이후 기표에 의한 집계 시, 오분류나 미분류 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는 상기 접촉감지모듈(400)의 센싱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하부면과 투표용지(P)가 완전히 접촉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식별모듈(300)에 의해 투표용지(P)에 형성된 식별코드(C)를 인식하여 전자적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후,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유닛(220)이 구동되어 상기 도장유닛(210)을 하강 시킴으로써, 투표용지(P)의 표면에 선거 고유의 마크가 마킹되어 물리적 기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기표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 가이드유닛(220)에 의해 상기 도장유닛(210)이 다시 상승하게 되며, 상기 촬영모듈(900)에서 투표용지(P)의 표면에 이루어진 마킹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전자적 기표의 정보와 물리적 기표의 정보가 모두 획득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촬영모듈(900)의 촬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장유닛(210)이 하강하기 전과 후, 다시 말하면 상기 마킹모듈(200)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P)에 마킹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이 해당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전자적 기표 및 물리적 기표의 과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전자적 기표 및 물리적 기표가 완료된 이후, 획득된 기표의 정보를 저장하고, 판독하며, 정확한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져 기표의 집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어모듈(5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역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기표 정보를 저장하고, 판독하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제어모듈(500)은 회로유닛(510), 메모리유닛(520), 판독유닛(530) 및 집계유닛(54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유닛(510)은 상기 마킹모듈(200), 식별모듈(300), 촬영모듈(900), 접촉감지모듈(400) 및 전력모듈(600)이 상호 연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유닛(520)은 상기 회로유닛(5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모듈(300)에서 식별된 식별코드(C)의 식별 정보(전자적 기표 정보) 및 상기 촬영모듈(900)에서 획득된 마킹 이미지 정보(물리적 기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유닛(520)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메모리유닛(52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유닛(520)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외부에서 기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메모리유닛(520)에 저장된 기표 정보는 상기 메모리유닛(520)과 연계 가능한 판독유닛(530)으로 전달되어 기표 정보를 판독하여 기표에 대한 유무효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판독유닛(530)과 연계가 가능한 상기 집계유닛(540)을 통해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투표의 집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500)은 상기 메모리유닛(520)에 저장된 기표 정보 및 상기 집계유닛(540)에서 이루어진 기표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외부 PC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유닛(55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유닛(550)은 블루투스나 WiFi 등과 같이 무선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제어모듈(500)에 의해 투표가 완료된 이후 별도의 개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선거의 기표 정보를 종합하여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개표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사용자(유권자)에게 선거의 기표가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를 알려줄 수 있는 알림모듈(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모듈(300)에서 식별된 식별코드(C)의 정보(전자적 기표 정보) 및 상기 마킹모듈(200)에서 이루어진 마킹 정보(물리적 기표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제어모듈(500)에 의해 무효표인 것으로 판독된 경우 사용자(유권자)에게 알려 재기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유권자)의 재기표 수행 여부는 본 발명인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를 사용하는 각 국가별 선거법에 의거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모듈(700)은 사용자(유권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잘못된 기표를 지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기표 상태(기표 정보의 유무효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시각유닛(710) 또는 알림음을 발산하는 청각유닛(7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알림모듈(700)의 적용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를 이용한 선거에 대한 기표 과정은 도 6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표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몸체(10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모듈(800)은 상기 몸체(100)가 투표함 테이블에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상기 몸체(100)가 상기 거치모듈(800)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될 경우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보유닛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표장치가 도난 또는 분실되어 투표에 대한 모든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모듈(800)은 상기 몸체(1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상기 전력모듈(600)이 충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투표 도중에 방전되어 사용자(유권자)가 투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전력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몸체 200 : 마킹모듈
210 : 도장유닛 211 : 잉크필터
220 : 가이드유닛 300 : 식별모듈
400 : 접촉감지모듈 410 : 광측정센서
420 : 접촉센서 500 : 제어모듈
510 : 회로유닛 520 : 메모리유닛
530 : 판독유닛 540 : 집계유닛
550 : 통신유닛 600 : 전력모듈
700 : 알림모듈 710 : 시각유닛
720 : 청각유닛 800 : 거치모듈
900 : 촬영모듈
C : 식별코드 P : 투표용지

Claims (16)

  1.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킹모듈;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에 형성된 선거 및 후보자의 정보가 내재되는 식별코드를 식별하는 식별모듈;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투표용지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모듈; 및
    기표 정보를 저장하고 판독하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마킹모듈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투표용지에 선거 고유 마크를 마킹시키는 도장유닛;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도장유닛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여 상기 접촉감지모듈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이드유닛이 구동되어 상기 도장유닛을 하강시켜 상기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접촉감지모듈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하단면과 상기 투표용지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는 접촉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센서는,
    상기 몸체의 하단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몸체의 내측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거나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접촉센서에 상기 투표용지의 표면이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진 것으로 센싱되는 경우, 상기 몸체의 하단면과 상기 투표용지의 표면 간의 접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장치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모듈과 연계 가능하며, 상기 마킹모듈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에 마킹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따른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중 마킹 직후의 영상을 기표의 유무효를 판단하는 기표 판독 정보로 활용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마킹 직후의 영상이 무효표에 해당하는 경우 기표에 대한 카운팅을 삭제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모듈은,
    상기 가이드유닛이 구동되는 시점에 상기 투표용지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식별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모듈은,
    어두운 상태에서도 식별코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는 IR 또는 UV 식별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마킹모듈, 식별모듈 및 접촉감지모듈이 상호 연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회로유닛;
    상기 회로유닛에 구비되어 기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메모리유닛과 연계 가능하며, 기표 정보를 판독하여 기표에 대한 유무효를 판단하는 판독유닛; 및
    상기 판독유닛과 연계 가능하고, 기표에 대한 카운팅이 이루어지는 집계유닛;
    을 포함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기표 정보 및 기표에 대한 카운팅 정보를 PC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유닛;
    을 더 포함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장치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판독된 기표 정보가 무효표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 재기표를 유도하는 알림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표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시각유닛 또는 알림음을 발산하는 청각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장치는,
    투표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몸체가 거치되며, 상기 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될 경우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거치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KR1020200067039A 2020-06-03 2020-06-03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KR10247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39A KR102473900B1 (ko) 2020-06-03 2020-06-03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39A KR102473900B1 (ko) 2020-06-03 2020-06-03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40A KR20210150640A (ko) 2021-12-13
KR102473900B1 true KR102473900B1 (ko) 2022-12-07

Family

ID=7883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39A KR102473900B1 (ko) 2020-06-03 2020-06-03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184B1 (ko) * 2023-03-31 2023-06-30 안병윤 펀칭기를 이용한 투표시스템 및 투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694A (ja) * 2001-12-28 2003-07-11 Ntt Docomo Inc 投票システム、集計サーバ、投票用紙引渡し確認サーバ、投票無効通知プログラム、投票集計プログラム、投票用紙引渡し確認プログラム、投票用紙、及び、投票ペン
KR101075859B1 (ko) * 2011-03-04 2011-10-25 케이제이알텍(주) 스마트 펜을 이용한 전자투표 시스템
KR101423828B1 (ko) * 2012-08-02 2014-07-30 박태영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도장 스캐너, 도장 스캐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서상의 날인 정보의 획득 방법
KR101494269B1 (ko) * 2014-03-03 2015-02-17 원투씨엠 주식회사 블루투스 방송 기능을 내장한 터치도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56U (ko) * 1998-04-25 1998-07-25 김계영 분실 방지 경보장치
KR101329320B1 (ko) 2011-12-01 2013-11-13 (주)아이엔알코리아 기표용 도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6694A (ja) * 2001-12-28 2003-07-11 Ntt Docomo Inc 投票システム、集計サーバ、投票用紙引渡し確認サーバ、投票無効通知プログラム、投票集計プログラム、投票用紙引渡し確認プログラム、投票用紙、及び、投票ペン
KR101075859B1 (ko) * 2011-03-04 2011-10-25 케이제이알텍(주) 스마트 펜을 이용한 전자투표 시스템
KR101423828B1 (ko) * 2012-08-02 2014-07-30 박태영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도장 스캐너, 도장 스캐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문서상의 날인 정보의 획득 방법
KR101494269B1 (ko) * 2014-03-03 2015-02-17 원투씨엠 주식회사 블루투스 방송 기능을 내장한 터치도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184B1 (ko) * 2023-03-31 2023-06-30 안병윤 펀칭기를 이용한 투표시스템 및 투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40A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9887B2 (en) Imaging standard apparatus and method
US4813708A (en) Ballot for use in automatic tal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ballot
CN103487104B (zh) 一种细管液面式数据的图像采集识别系统及方法
AU2017261611A1 (en) Inspection system, inspecting device, and gaming chip
CN102708716B (zh) 一种答题装置及其考试数据处理方法
CN101833809A (zh) 照相式智能投票箱
KR100994079B1 (ko) 전자개표장치
JP2004505337A (ja) 製造対象、特に自動車の製造関連データの供給方法
KR102473900B1 (ko) 자동 개표가 가능한 기표장치
JP2016100527A (ja) 基板の識別装置、基板の識別方法、及び基板の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CA3017659C (en) Ballot adjudication system and method
EP2067124A1 (en) Digital polling system and method
KR101031335B1 (ko) 전자개표장치
CN208350673U (zh) 缺陷检测系统
DE19927025A1 (de) Anordnung zur Erfassung der Oberflächenstrukturen von Fingern und/oder Handinnenflächen
US88400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marks on a response sheet
KR100637872B1 (ko) 전자투표용 개, 검표 시스템 및 방법
WO2003042931A1 (en) Vote recording & coun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05238A (ko) 실시간 유무효 파악이 가능한 전자식 기표장치
CN1179583A (zh) 图象扫描式自动选票机
CN108765622B (zh) 人防门身份的双重识别系统及方法
CN114076667A (zh) 用于监测显微镜的组件状态的系统和方法
KR20210092642A (ko) 전자 기표봉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투표 시스템
KR102400136B1 (ko) 식별코드 인식이 가능한 기표장치
KR20140069518A (ko) 투표지 개표 계수장치 및 계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