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900B1 -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900B1
KR102399900B1 KR1020210178794A KR20210178794A KR102399900B1 KR 102399900 B1 KR102399900 B1 KR 102399900B1 KR 1020210178794 A KR1020210178794 A KR 1020210178794A KR 20210178794 A KR20210178794 A KR 20210178794A KR 102399900 B1 KR102399900 B1 KR 10239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er
parts
roll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병우
Original Assignee
함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병우 filed Critical 함병우
Priority to KR102021017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cuum, unde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6Stirrers shaped as cylinders, balls or rollers
    • B01F27/1163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3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neumatic pressure, overpressure or gas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5Mixing inks or to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원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배합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배합제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복수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진공믹서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혼합물의 점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점도가 조정된 혼합물을 상기 혼합기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실리콘 잉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믹서는 상기 진공믹서 내부의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게이지, 교반중인 혼합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윈도우장치 및 상기 진공믹서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제어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TING SILICONE INK USING VACUUM MIXER}
본 발명은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모자와 같이 신축성을 갖는 소재는 표면에 이미지를 인쇄할 때 소재와 동일한 성능을 갖게 하기 위해 실리콘 잉크 또는 러버 잉크를 이용한다.
실리콘 잉크 또는 러버잉크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실크스크린 기법을 이용하여 피인쇄대상에 이미지를 형성하게된다. 그런데, 실크스크린 기법을 이용해 이미지를 형성할 경우, 다양한 색상의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색상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실크스크린 인쇄를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실리콘 잉크는 기존의 잉크젯 잉크보다 균일성이 떨어지며, 복수의 색으로 제조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 균일성을 높이고 복수의 색을 가지도록 제조하기 위한 진공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5179호(2020.09.1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실리콘 원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배합제를 제작하고, 배합제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복수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작하고, 혼합물을 진공 믹서에 넣어 교반하고, 교반 된 혼합물의 점도를 조정하여 점도가 조정된 혼합물을 상기 혼합기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를 제조하는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원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배합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배합제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복수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진공 믹서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 된 혼합물의 점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점도가 조정된 혼합물을 상기 혼합기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실리콘 잉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 믹서는 상기 진공 믹서 내부의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 게이지, 교반중인 혼합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윈도우장치 및 상기 진공 믹서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제어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기는 드로우 롤러, 미들롤러 및 스크래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우 롤러 및 스크래퍼 롤러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미들롤러는 상기 드로우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드로우 롤러의 회전수보다 상기 미들롤러의 회전수가 빠르고, 상기 미들롤러의 회전수보다 상기 스크래퍼 롤러의 회전수가 빠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실리콘 잉크를 포장하는 단계 이전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비스페놀 A형 페녹시 30중량%, 감광성 액체 에폭시 20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50중량%을 포함하는 도포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 12 중량부,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4 중량부, 백금킬레이트 촉매 2 중량부, 비닐 폴리실록산 25 중량부, N-비닐 카프로락탐 10 중량부, 디알릴 에스테르 아세탈 4 중량부 및 유기실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실란은 알콕시 알코올과 폴리에테르기가 결합된 운데실기를 함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기를 이용함으로써, 실리콘 잉크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합되는 색소에 따라 복수의 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포장기를 이용하여 밀폐를 함으로써, 제작이 완료된 실리콘 잉크에 다른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잉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수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믹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실리콘 잉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실리콘 잉크를 이용하여 프린트한 결과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 방법은 배합제 제작단계(S110), 혼합물 제작단계(S120), 교반단계(S130), 점도 조정단계(S140), 실리콘 잉크 제조단계(S150) 및 포장 단계(S160)를 포함한다.
먼저, 배합제 제작단계(S110)는 실리콘 원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배합제를 제작한다.
이때, 실리콘 원료는 실리콘 수지나 촉매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리콘 수지는 반응성/기능성 소재로 용매, 무용매 액체, 또는 고체 플레이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색소는 무기안료 및 유기안료를 함께 이용한다.
먼저, 무기안료는 발색 성분이 무기질로 되어 내화학성, 내광성, 내영성, 내약품성, 내용제성등과 같은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나 선명도, 착색력은 상기한 유기안료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또한,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 색상이 선명하고, 착색력도 크고 임의의 색조를 얻을 수 있지만, 내광성과 내열성이 떨어지고, 유기 용지에 녹아서 색이 번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를 함께 포함하여, 물리적 성질 및 색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색소는 레이크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합제는 유리 프릿을 더 포함하여 전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 프릿은 비스무스(Bi), 아연(Zn), 알루미늄(Al), 리튬(Li), 칼륨(K), 나트륨(Na), 티탄(Ti), 망간(Mn),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지르코늄(Zr) 및 규소(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배합제는 전도성을 포함하여 반도체 또는 OLED 패널등을 생산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촉매는 실리콘 수지와 색소 간의 혼합 반응 속도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백금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수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실리콘 수지에 색소 및 촉매를 넣어 배합제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혼합물 제작단계(S120)는 배합제를 혼합기에 넣어 복수회 혼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혼합기(10)는 드로우 롤러(11), 미들 롤러(12), 스크래퍼 롤러(13) 및 스크래퍼(14)를 포함한다.
먼저, 혼합기(10)는 수평으로 놓인 롤러 사이의 미세한 간극으로 배합제를 통과시켜 배합제의 균질화를 하는 것으로, 인접한 드로우 롤러(11), 미들 롤러(12) 및 스크래퍼 롤러(13)가 회전함으로써, 배합제에 압력과 전단력이 가해져 혼합, 분쇄 및 분산을 통해 균질 된 혼합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기(10)는 드로우 롤러(11)와 스크래퍼 롤러(13)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미들 롤러(12)를 드로우 롤러(11)와 스크래퍼 롤러(1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배합물은 드로우 롤러(11)와 미들 롤러(12) 사이에 투입되고, 드로우 롤러(11)와 미들 롤러(12) 사이를 통과하며 미들 롤러(12)의 표면에 점착되는 시료가 스크래퍼 롤러(13)로 이동된다, 이때, 드로우 롤러(11)와 미들 롤러(12)는 서로 다른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여 드로우 롤러(11)와 미들 롤러(12) 사이의 공간에서 전단력(Shear Forces)으로 인하여 혼합, 분쇄 및 분산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드로우 롤러(11)와 미들 롤러(12)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높은 전단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분산된 시료는 스크래퍼 롤러(14)에 점착되어 스크래퍼(14)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드로우 롤러(11)의 회전수보다 미들 롤러(13)의 회전수가 빠르고, 미들 롤러(12)의 회전수보다 스크래퍼 롤러(13)의 회전수가 빠르도록 동작한다. 이때, 드로우 롤러(11), 미들 롤러(12) 및 스크래퍼 롤러(13)의 회전수 비는 1:3:9가 바람직하다.
즉, 회전수 비가 1:3:9인 경우에 혼합기의 전단력 및 압력이 최대로 발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우 롤러(11)의 회전수가 67rpm이라고 할 때, 미들 롤러(12)의 회전수는 약 200rpm이고, 스크래퍼 롤러(13)의 회전수는 약 600rpm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혼합기(10)의 동작을 복수회 진행함으로써, 배합제의 혼합, 분쇄, 분산 효과를 상승시켜, 균질화된 고품질의 혼합물을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반단계(S130)는 혼합물을 진공 믹서(20)에 넣어 교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믹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진공 믹서(20)는 압력 게이지(21), 윈도우 장치(22) 및 진공펌프(23)를 포함한다.
먼저, 압력 게이지(21)는 현재 진공 믹서(20)의 내부의 압력을 제공하고, 윈도우 장치(22)는 현재 교반중인 혼합물의 상태를 확인하며, 진공펌프(23)는 진공 믹서(20)의 내부를 진공으로 제어한다.
이때, 진공 믹서(20)의 블레이드(미도시)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교반할 수 있다. 즉, 진공 믹서(20)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실리콘 수지와 색소의 결합을 더욱 단단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도 조정단계(S140)는 교반 된 혼합물의 점도를 조정한다.
이때, 조정된 점도는 제작된 실리콘 잉크의 점도로 인쇄시 필요한 점도로 도정한다. 즉. 점도가 기준 점도보다 작게 형성되면, 인쇄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으며, 점도가 기준 점도보다 크게 형성되면, 인쇄시 인쇄 노즐을 막아 인쇄를 못 한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실리콘 잉크 제조단계(S150)는 점도가 조정된 혼합물을 혼합기(10)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로 제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실리콘 잉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에서 설명한 혼합기(10)를 이용하여 점도가 조정된 혼합물을 혼합, 분쇄 및 분산을 통해 실리콘 잉크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포장 단계(S160)는 제작된 실리콘 잉크를 포장기를 이용하여 포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포장기(30)는 프레스(31), 프레스(3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32) 및 프레스(31)의 하단에 설치되는 덮개(33)를 포함한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덮개(33)의 하면에 제작이 완료된 실리콘 잉크가 담긴 드럼을 배치시키고, 드럼의 상면에 드럼 뚜껑을 결합시키고, 프레스(31)를 이용하여 뚜껑과 드럼을 압착시킨다.
이때, 포장기(30)를 이용하여 드럼과 뚜껑을 밀착시키는 것은, 제작이 완료된 실리콘 잉크에 다른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실리콘 잉크를 이용하여 프린트한 결과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직물의 상면에 실리콘 잉크를 이용하여 프린트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잉크 사용시 접착성을 강화하기 위해 포장단계(S160)이전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친유기 성분에 의해 친수성 성분이 본체로 흡수되거나 반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쇄시 물건과 실리콘 잉크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첨가제는 비스페놀A형 페녹시 30중량%, 감광성 액체 에폭시 20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50중량%을 포함하는 도포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비스페놀A형 페녹시와 감광성 액체 에폭시는 접착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비스페놀A형 페녹시는 비스페놀F형 페녹시, 브롬화물 변성 비스페놀A형 페녹시 또는 브롬화물 변성 비스페놀F형 페녹시등으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액체 에폭시는 비스페놀A형 액체 에폭시, 비스페놀F형 액체 에폭시, 3관능성 이상의 다관능성 액체 에폭시, 고무변성 액체 에폭시, 우레탄 변성 액체 에폭시 또는 아크릴 변성 액체 에폭시등으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액의 핵심 구성인 기능성 첨가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악취 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친유기에 의해 친수성 성분이 본체로 흡수되거나 반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첨가제는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 12 중량부,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4 중량부, 백금킬레이트 촉매 2 중량부, 비닐 폴리실록산 25 중량부, N-비닐 카프로락탐 10 중량부, 디알릴 에스테르 아세탈 4 중량부 및 유기실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은, 백금 킬레이트 촉매와 교반되어 고친수성이 유지되는 이산화티타늄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활성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되고, 활성상태에서 전자와 홀이 표면으로 이동해 각각 산소, 수산기와 결합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킴으로써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은 12 중량부가 포함되고, 1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좁은 에너지 밴드 간격을 형성하기 힘들다.
다음으로 백금킬레이트는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과 교반되어 이산화티타늄을 생성하고, 유기실란과 함께 교반되어 친수성과 친유성을 함께 가지도록 알콕시 알코올과 폴리에테르기가 결합된 운데실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백금킬레이트는 2 중량부가 포함되고, 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산화티타늄의 에너지 밴드 간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한다.
디알릴 에스테르 아세탈은 경화제이고, N-비닐 카프로락탐은 친수성 단량체이고, 비닐 폴리실록산 수지와 함께 교반되어 친수성을 가진다.
이러한, 디알릴 에스테르 아세탈은 4 중량부를 포함하고, 4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화속도가 저하되며, 4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최적의 경화속도를 유지하지 못하여 경제성 저하 및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N-비닐 카프로락탐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나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는 일정 이상의 친수성을 확보하지 못한다.
유기실란은 백금킬레이트를 촉매로 이용하여 알콕시 알코올과 폴리에테르기가 함께 결합된 운데실기를 포함한다,
이때, 알콕시 알코올과 폴리에테르기가 함께 결합된 운데실기는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함께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실란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2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알콕시 알코올과 폴리에테르기가 운데실기에 결합을 못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혼합기 11: 드로우 롤러
12: 미들롤러 13: 스크래퍼롤러
14: 스크래퍼 20: 진공믹서
21: 압력게이지 22: 윈도우 장치
23: 진공펌프 30: 포장기
31: 프레스 32: 지지부재
33: 덮개

Claims (4)

  1. 실리콘 원료에 색소를 첨가하여 배합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배합제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복수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진공믹서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혼합물의 점도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점도가 조정된 혼합물을 상기 혼합기를 이용하여 실리콘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잉크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실리콘 잉크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믹서는 상기 진공믹서 내부의 압력을 확인하는 압력게이지, 교반중인 혼합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윈도우장치 및 상기 진공믹서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제어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첨가제는 비스페놀A형 페녹시 30중량%, 감광성 액체 에폭시 20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 50중량%을 포함하는 도포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아나타제 이산화티타늄 12 중량부, 하이드로전 폴리실록산 4 중량부, 백금킬레이트 촉매 2 중량부, 비닐 폴리실록산 25 중량부, N-비닐 카프로락탐 10 중량부, 디알릴 에스테르 아세탈 4 중량부 및 유기실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실란은 알콕시 알코올과 폴리에테르기가 결합된 운데실기를 함께 포함하는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는 드로우 롤러, 미들롤러 및 스크래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우 롤러 및 스크래퍼 롤러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미들롤러는 상기 드로우 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롤러의 회전수보다 상기 미들롤러의 회전수가 빠르고, 상기 미들롤러의 회전수보다 상기 스크래퍼 롤러의 회전수가 빠르도록 동작하는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4. 삭제
KR1020210178794A 2021-12-14 2021-12-14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KR10239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94A KR102399900B1 (ko) 2021-12-14 2021-12-14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94A KR102399900B1 (ko) 2021-12-14 2021-12-14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900B1 true KR102399900B1 (ko) 2022-05-18

Family

ID=8180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794A KR102399900B1 (ko) 2021-12-14 2021-12-14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523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에스아이켐 냉난방 에너지 절감효과를 갖는 무기질 수성 시온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277454B1 (ko) * 2013-04-10 2013-06-24 (주)일신엔지니어링 교반기의 샘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40105521A (ko) * 2011-12-22 2014-09-01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열전사 텍스타일 잉크
KR101692348B1 (ko) * 2015-08-27 2017-01-03 (주) 나노기술 3롤의 개별 제어를 이용한 나노입자 분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523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에스아이켐 냉난방 에너지 절감효과를 갖는 무기질 수성 시온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5521A (ko) * 2011-12-22 2014-09-01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열전사 텍스타일 잉크
KR101277454B1 (ko) * 2013-04-10 2013-06-24 (주)일신엔지니어링 교반기의 샘플 추출장치 및 방법
KR101692348B1 (ko) * 2015-08-27 2017-01-03 (주) 나노기술 3롤의 개별 제어를 이용한 나노입자 분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7964B (zh) 油墨组件、墨盒、喷墨记录方法和喷墨记录装置
CN103224735B (zh) 苯并噁嗪改性环氧树脂玻璃油墨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401669A (zh) 中低温固化粘接用双组份加成型液体硅橡胶及其制备方法
EP3875555A1 (en) Ink set and recording method for printed matter
KR102399900B1 (ko) 진공 믹서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KR102393169B1 (ko)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CN101446055B (zh) 一种无光泽彩色喷墨打印纸涂料及其制备方法
KR102417069B1 (ko) 회전형 교반기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KR102417073B1 (ko) 진공압착기를 이용한 실리콘 잉크 제조방법
CN107674457B (zh) 一种用于相纸吸墨层涂料的改性二氧化硅填料的制备方法
CN102318132B (zh) 色素敏化型太阳能电池用密封剂和色素敏化型太阳能电池
CN103589226B (zh) 高附着力的珠光银色油墨及其制备方法
JPH08295837A (ja) 顔料含有ジェットインク用ポリマー微粒子及びそれを含有するジェットインク
CN109796804A (zh) 一种紫外光固化油墨及其制备方法
DE60018184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uf eine zylinderkopfdichtung haftmindernder, abdichtender beschichtung auf basis von polysiloxane
CN107556812A (zh) 一种具有遮盖性的手机盖板玻璃用黑色油墨及其制备方法
JPH0558466B2 (ko)
CN106753210A (zh) 一种导热粘接硅胶
CN110204997A (zh) 石墨烯环氧封闭漆及其制备方法
Kawasaki et al. Extraordinarily high carbon filler-incorporating and dispersing ability of 9, 9-diarylfluorene-based polymers as matrix resins
CN115058146A (zh) 一种环保的纳米油墨制备方法
CN108250831A (zh) 一种环保水性凹版油墨及其制备方法
CN109777192A (zh) 一种紫外光固化油墨及其制备方法
CN113956790A (zh) 一种有机硅涂料及其制备方法
JP4438299B2 (ja) エレクトロデポジション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