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43B1 -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643B1
KR102399643B1 KR1020200031415A KR20200031415A KR102399643B1 KR 102399643 B1 KR102399643 B1 KR 102399643B1 KR 1020200031415 A KR1020200031415 A KR 1020200031415A KR 20200031415 A KR20200031415 A KR 20200031415A KR 102399643 B1 KR102399643 B1 KR 10239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lodor
compound
compon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523A (ko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이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호 filed Critical 이대호
Priority to KR102020003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6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는 악취 제거 화합물은 유동성 액체와 혼합하면서 부유물 형태로 만드는 균질 모듈(12); 부유물 형태의 제거 화합물을 흡입하여 액체 성분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흡입 모듈(13); 흡입 모듈(13)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악취 제거 성분의 체류 공간을 형성하는 체류 모듈(14); 및 체류 모듈(14)로부터 악취 제거 성분을 외부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A Guiding Apparatus for a Chemical to Remove a Bad Smell}
본 발명은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악취 제거를 위한 성분이 악취를 포함하는 스트림 또는 유동 공기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도되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주로 유기 성분을 포함하고, 이로 인하여 세균 또는 박테리아와 같은 유해물로 인하여 환경 또는 사람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악취는 필터, 클러스터 형태의 미립자에 의한 포집 또는 분해와 같은 다양한 방법 또는 수단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악취의 제거를 위한 다양한 수단 또는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05-0081036은 악취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또한 특허등록번호 10-1970499는 악취 제거용 흡착 탈취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악취 제거를 위하여 악취 제거를 위한 유기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악취 제거 성분이 효과적으로 악취를 포함하는 유동 스트림에 혼합될 필요가 있다. 또한 악취 제거 성분이 악취 포함 스트림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유도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10-2005-0081036(주식회사 기술환경, 2005.08.18. 공개) 악취 제거 장치 및 방법 특허문헌 2: 특허등록번호 10-1970499((주)한길산업 외, 2019.04.19. 공고) 악취제거용 흡착탈취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흡착탈취제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악취 제거 성분을 악취 성분과 혼합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악취 유동 스트림으로 유도하는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는 악취 제거 화합물을 유동성 액체와 혼합하면서 부유물 형태로 만드는 균질 모듈; 부유물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흡입하여 액체 성분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흡입 모듈; 흡입 모듈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악취 제거 성분의 체류 공간을 형성하는 체류 모듈; 및 체류 모듈로부터 악취 제거 성분을 외부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균질 모듈(12)은 회전 분리 유닛 및 회전 분리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악취 제거 화합물을 균질 모듈의 외부로 유도하는 분리 유도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모듈(13)의 한쪽 벽면은 악취 제거 화합물로부터 액체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시키는 마찰 벽면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는 악취 제거를 위한 성분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켜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유동 스트림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만든다. 유도 장치는 또한 그와 같이 만들어진 악취 제거 성분이 효과적으로 유동 스트림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는 휘발성 악취 제거 성분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가 휘발성 악취 제거 성분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에 의하여 휘발성 악취 제거 성분이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유동 스트림으로 유도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는 악취 제거 화합물을 유동성 액체와 혼합하면서 부유물 형태로 만드는 균질 모듈(12); 부유물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흡입하여 액체 성분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흡입 모듈(13); 흡입 모듈(13)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악취 제거 성분의 체류 공간을 형성하는 체류 모듈(14); 및 체류 모듈(14)로부터 악취 제거 성분을 외부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를 포함한다.
균질 모듈(12)은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1)은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 실린더 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균질 모듈(12)은 수용 케이싱(121); 수용 케이싱(121)의 내부에 배치되는 균질 유닛(122); 및 수용 케이싱(121)의 한쪽 벽면에 형성된 부유 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케이싱(121)은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균질 유닛(122)이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케이싱(121)은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수용 케이싱(121)의 내부에 균질 유닛(122)이 배치될 수 있다. 균질 유닛(122)에 의하여 악취 제거 화합물이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균질 유닛(122)은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로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로터리의 둘레 면 또는 위쪽 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홀이 균일하게 형성된 유동 분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균질 유닛(122)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내부에 원심 분리기와 유사한 기기가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균질 유닛(122)의 내부에서 회전 로터리가 회전되면서 악취 제거 화합물이 부유물 상태가 될 수 있다. 균질 유닛(122)의 내부로 물과 같은 용매가 악취 제거 화합물이 투입될 수 있다. 악취 제거 화합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요소, 글리세린, 솔비톨, 구연산 또는 레시틴과 같은 화합물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양이 조절되면서 균질 유닛(122)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고, 이와 함께 물과 같은 용매가 균질 유닛(122)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균질 유닛(122)에 의하여 악취 제거 화합물과 용매가 균질하게 혼합되면서 일부가 미립자 형태 또는 부유물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유물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은 균질 유닛(122)의 위쪽으로 이동되어 수용 케이싱(121)의 위쪽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용 케이싱(121)의 한쪽 벽면에 부유 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고, 부유 출구(123)로부터 분리 유도 경로(131)가 연장될 수 있다. 분리 유도 경로(131)는 기체 형태의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분리 유도 경로(131)의 다른 끝이 흡입 모듈(13)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모듈(13)은 밀폐 구조를 가지는 박스 형상이 되면서 내부에 배치된 흡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수단은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입 팬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분리 유도 경로(131)를 통하여 부유물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흡입 모듈(13)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흡입 모듈(13)에 배치된 흡입 수단에 의하여 분리 유도 경로(131)를 따라 이동되는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은 흡입 모듈(13)의 뒤쪽 벽에 충돌이 되면서 용매와 분리되어 미립자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유동성이 큰 기체 형태로 될 수 있다. 충돌 과정에서 분리된 물과 같은 용매는 아래쪽을 떨어져 용매 수집 용기(16)에 수집되고,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은 흡입 모듈(13)의 측면에 형성된 체류 모듈(14)로 유도될 수 있다. 체류 모듈(14)의 흡입 모듈(13)의 측면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유동성 악취 제거 화합물이 기체 형태로 체류할 수 있는 박스 형상이 될 수 있다. 체류 모듈(14)의 위쪽 면에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가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를 통하여 악취 제거 성분이 악취 포함 스트림으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를 통하여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으로 악취 제거 성분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악취 제거 성분에 의하여 공기에 포함된 악취가 분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가 적절한 유도관에 의하여 악취 포함 스트림의 유동하는 도관으로 유도되어 악취 포함 스트림과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이 되어 유동되면서 악취 제거 성분에 의하여 악취가 분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악취 제거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를 통하여 다양한 악취 발생 또는 악취 유동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가 휘발성 악취 제거 성분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균질 모듈(12)은 회전 분리 유닛 및 회전 분리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악취 제거 화합물을 균질 모듈(12)의 외부로 유도하는 분리 유도 유닛(21)을 포함한다.
균질 모듈에 적어도 하나의 균질 유닛(122)이 배치될 수 있고, 균질 유닛(122)의 위쪽 부분에 균질 유닛(122)에 의하여 작은 입자 형태로 만들어진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분리 유도 유닛(21)이 결합될 수 있다. 분리 유도 유닛(21)은 균질 유닛(122)의 위쪽을 밀폐시키면서 균질 유닛(122)의 내부에서 생성된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균질 유닛(12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 개의 유동 홀(211 내지 21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유동 홀(211 내지 21n)을 통하여 균질 유닛(122)의 외부로 유도된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은 분리 유도 경로(131)를 따라 흡입 모듈(13)로 이동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균질 유닛(122)의 내부 및 흡입 모듈(13)의 내부에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수단의 작동에 따른 진동을 제거하기 위한 진동 흡수 수단(22)이 유동 경로를 비롯한 하우징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모듈(13)은 밀폐 구조를 가지면서 뒤쪽 면은 충돌 면이 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모듈(13)의 한쪽 측면에 체류 모듈(14)이 연결되어 충돌에 따라 분리된 휘발성 악취 제거 성분이 기체 형태로 만들어져 체류 모듈(14)로 유도될 수 있다. 체류 모듈(14)은 충돌에 따라 유동성이 향상된 악취 제거 성분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에 의하여 휘발성 악취 제거 성분이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유동 스트림으로 유도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의 외부에 작동 조절 수단(31)이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이 출구(15a, 15b)가 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작동 조절 수단(31)에 의하여 균질 모듈로 투입되는 악취 제거 화합물의 양, 구동 수단의 작동 수준 또는 출구(15a, 1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악취 제거 성분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에 조절 탭(32)이 결합될 수 있고, 조절 탭(32)에 의하여 출구(15a, 1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악취 제거 성분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탭(32)은 개폐 수준의 조절이 가능한 밸브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조절 탭(32)에 연결 도관(33)의 한쪽 끝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도관(33)의 다른 끝은 스크러버와 같은 악취 제거 장치와 연결되는 악취 유동 도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도관(33)을 통하여 배출되는 악취 제거 성분은 유동 도관(34)을 통하여 유동되는 악취 포함 스트림에 혼합되어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다. 악취 제거 성분은 다양한 방법으로 악취 포함 스트림으로 유도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장치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41)에 의하여 유도 장치의 전체 작동이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심 분리 모듈(42), 흡입 및 분리 모듈(43) 및 유도 모듈(44)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원심 분리 모듈(42)은 위에서 설명된 균질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원심 분리 모듈(42)은 악취 제거 성분과 용매를 희석시키면서 원심 분리 과정에서 둘레 면에 혼합 성분을 충돌시키면서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혼합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41)에 의하여 원심 분리 모듈(42)로 투입되는 악취 제거 화합물과 물과 같은 용매의 양이 조절될 수 있고, 회전 로터리 유닛의 회전 속도 또는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 유닛(41)은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흡입 및 분리 모듈로 흡입되는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혼합 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은 출구의 개폐 수준을 조절하여 유도 모듈(44)을 통하여 배출되는 미립자 형태 또는 기체 형태의 악취 제거 성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유도 장치의 작동 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하우징 12; 균질 모듈
13: 흡입 모듈 14: 체류 모듈
15a, 15b: 출구 16: 용매 수집 용기
21: 분리 유도 유닛 22: 진동 흡수 수단

Claims (3)

  1.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악취 제거 화합물을 유동성 액체와 혼합하면서 부유물 형태로 만드는 균질 모듈(12);
    부유물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흡입하여 액체 성분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흡입 모듈(13);
    흡입 모듈(13)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악취 제거 성분의 체류 공간을 형성하는 체류 모듈(14); 및
    체류 모듈(14)로부터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으로 악취 제거 성분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5a, 15b)를 포함하고,
    균질 모듈(12)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케이싱(121); 수용 케이싱(121)의 내부에 배치되고 균질 유닛(122)의 내부에서 악취 제거 화합물을 부유물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회전 로터리를 포함하는 균질 유닛(122); 및 수용 케이싱(121)의 한쪽 벽면에 형성된 부유 출구(123)를 포함하고,
    균질 유닛(122)의 위쪽 부분에 결합하고 균질 유닛(122)의 내부에서 생성된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을 균질 유닛(12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 개의 유동 홀(211 내지 21n)을 포함하는 분리 유도 유닛(21)을 더 포함하고, 다수 개의 유동 홀(211 내지 21n)을 통하여 균질 유닛(122)의 외부로 유도된 부유 형태의 악취 제거 화합물이 부유 출구(123)으로부터 연장되는 분리 유도 경로(131)를 따라 흡입 모듈(13)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흡입 모듈(13)의 한쪽 벽면은 악취 제거 화합물로부터 액체 성분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시키는 마찰 벽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KR1020200031415A 2020-03-13 2020-03-13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KR10239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15A KR102399643B1 (ko) 2020-03-13 2020-03-13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15A KR102399643B1 (ko) 2020-03-13 2020-03-13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23A KR20210115523A (ko) 2021-09-27
KR102399643B1 true KR102399643B1 (ko) 2022-05-18

Family

ID=7792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15A KR102399643B1 (ko) 2020-03-13 2020-03-13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027A (ja) 2002-08-23 2004-03-18 Nippo Kagaku Kk 畜舎の臭気除去方法および畜舎の臭気除去装置
US20140224899A1 (en) 2011-12-20 2014-08-14 Eun Soo JEON Sprayer
KR101559427B1 (ko) 2015-02-26 2015-10-12 박 정 악취 제거 장치
KR101940568B1 (ko) 2017-11-10 2019-01-21 장성진 축분발효용 악취저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915A (ja) * 1990-04-27 1992-01-16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清浄機
KR930007893Y1 (ko) * 1990-07-09 1993-11-24 최영모 유리섬유로 된 맷트에 소디움실리케이트를 도포한 단열보온재
KR960013724A (ko) * 1994-10-31 1996-05-22 배순훈 공기조화장치의 악취 및 곰팡이 제거장치
KR100317977B1 (ko) * 2000-01-21 2001-12-22 조 수 환 오존수 생성장치
KR100540217B1 (ko) * 2003-02-10 2006-01-10 보성환경산업(주)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0524387B1 (ko) 2004-02-12 2005-10-28 주식회사 기술환경 악취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970499B1 (ko) 2018-08-14 2019-04-19 (주)한길산업 악취제거용 흡착탈취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흡착탈취제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027A (ja) 2002-08-23 2004-03-18 Nippo Kagaku Kk 畜舎の臭気除去方法および畜舎の臭気除去装置
US20140224899A1 (en) 2011-12-20 2014-08-14 Eun Soo JEON Sprayer
KR101559427B1 (ko) 2015-02-26 2015-10-12 박 정 악취 제거 장치
KR101940568B1 (ko) 2017-11-10 2019-01-21 장성진 축분발효용 악취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23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0593B1 (en) Centrifugal separator for cleaning gases
JP5102360B2 (ja) 遠心分離機および気体を浄化する方法
US491982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and liquids from an effluent stream
KR101527101B1 (ko) 원심회전력을 이용한 싸이클론 타입의 가습기 겸용 습식 공기 정화장치
US9061230B2 (en) System to remove contaminants from air stream
KR20180041352A (ko) 멀티 사이클론 스크러버
KR20150052707A (ko) 원심분리형식의 습식 공기정화기
KR102095107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399643B1 (ko) 악취 제거 성분의 유도 장치
US3645070A (en) Gas washer apparatus
KR100484563B1 (ko) 유해가스 및 미세분진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배출가스정화용 스크러버 장치
US5149345A (en) Centrifuge purifier for a gas flow
KR101066985B1 (ko) 탈취장치
US7077886B2 (en) Emis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5032260A (en) Eductor system for water ring vacuum pump
KR101584242B1 (ko) 기체 내 오염물질처리장치
KR20210132190A (ko) 입자로부터 공기 흐름을 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3424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190008452A (ko) 유해가스 분진 제거장치
RU2263457C2 (ru) Всас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фильтрацией воды
EP01343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thdrawing fluid from a zone
JP7322312B1 (ja) 脱臭装置および脱臭システム
CN117191653B (zh) 一种烟气监测设备、方法
JP2671115B2 (ja) 空気浄化装置
JPH1176730A (ja) 気体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