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228B1 - 하우징 터미널 - Google Patents

하우징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228B1
KR102398228B1 KR1020210121241A KR20210121241A KR102398228B1 KR 102398228 B1 KR102398228 B1 KR 102398228B1 KR 1020210121241 A KR1020210121241 A KR 1020210121241A KR 20210121241 A KR20210121241 A KR 20210121241A KR 102398228 B1 KR102398228 B1 KR 102398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contact
connection part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KR102021012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 형성되며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어 상기 전선과 상기 웨이퍼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터미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우징 터미널{HOUSING TERMINAL}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하우징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이 장착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에 삽입되는 방식 또는, 상대 터미널의 일부와 서로 접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의 일부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에서,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간에 별도의 체결 구조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커넥터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간의 접점이 떨어지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또한, 터미널을 장착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상대 고정물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을 상대 고정물에 고정시키는 위한 조립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커넥터의 체결 구조에 대한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하우징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대 터미널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하우징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터미널은,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 형성되며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어 상기 전선과 상기 웨이퍼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하며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단 사이에 벤딩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벤딩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가압 시에, 상기 벤딩부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의 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가 가압되는 방향상에서 서로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에 의해 감싸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는,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라운드지게 벤딩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토퍼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고정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대향하는 제1 내면과 제2 내면 중 상기 제2 내면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내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1 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면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제2 벤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벤딩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벤딩부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벤딩부는, 가압 시에 상기 제1 스토퍼에 맞닿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내면에 맞닿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1 벤딩부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스토퍼에 맞닿은 이후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제2 스토퍼에 맞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벤딩부의 상기 제1 부분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스토퍼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2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면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는 하우징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터미널은,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를 양측에서 덮도록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몸체부의 타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는 제1 벤딩부와, 상기 제1 벤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는 제2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1 벤딩부와 맞닿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와 맞닿는 제2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는,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하우징 터미널은, 제2 연결부의 일측이 몸체부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된다. 여기에서, 하우징 터미널의 몸체부에는,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제2 연결부가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맞닿아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 터미널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연결부의 타측이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된 상태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2 연결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웨이퍼 터미널과의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연결부의 일부가 탄성 변형 시에 지지부에 닿아 지지됨에 따라, 하우징 터미널의 제2 연결부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에 마련되는 지지부가 제2 연결부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각각 지지하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로 이루어져, 제2 연결부의 가압 시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제2 연결부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가 커넥터 수용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안착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안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대 커넥터가 안착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된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탄성 변형부가 내측으로 가압 시에 변형되는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이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에 가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하우징 터미널(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터미널(100)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가 커넥터 수용부(2)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전기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는 하우징 터미널(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하우징 터미널(100)과 하우징(2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기 커넥터(10)는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의 일측은 팬(fan; 3)과 전선(3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의 타측은 상대 커넥터(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대 커넥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4)의 일면상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팬(3)과 회로 기판(4)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 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 구조가 구비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대 커넥터(1)가 전기 커넥터(10)의 상부에 얹혀짐에 따라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전기 커넥터(1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1)가 안착되기 전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1)가 안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대 커넥터(1)가 안착된 전기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된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대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0)는 하우징 터미널(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하우징 터미널(100)은, 전선(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대 커넥터(1)의 웨이퍼 터미널(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상대 커넥터(1)는, 웨이퍼 터미널(1a)과 웨이퍼 터미널(1a)이 장착되는 웨이퍼(1b)를 구비할 수 있다. 웨이퍼(1b)는 상대 커넥터(1)의 몸체를 형성한다. 웨이퍼(1b)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 터미널(100)은 몸체부(110), 제1 연결부(120) 및 제2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하우징(200)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개구부(210a)가 형성된다.
제1 연결부(120)는, 몸체부(110)에서 연장되며 전선(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는 전선(3a)의 서로 다른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제1 고정부(121)와 제2 고정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몸체부(110)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연결부(1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연결부(130)는 하우징(200)의 개구부(210a)를 통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개구부(210a)를 통해 돌출되는 부분이 상대 커넥터(1)의 웨이퍼 터미널(1a)과 접촉되어, 전선(3a)과 웨이퍼 터미널(1a)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연결부(130)의 일측은 하우징 터미널(100)의 몸체부(110)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제2 연결부(130)의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 연결부(130)는 웨이퍼 터미널(1a)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131)와, 접촉부(131)와 제2 연결부(130)의 상기 고정단 사이에 벤딩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벤딩부(132)와, 접촉부(131)에서 몸체부(11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접촉부(131)와 함께 제2 연결부(130)의 상기 자유단을 형성하는 연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터미널(100)의 몸체부(110)에는, 제2 연결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제1 스토퍼(111a)와 제2 스토퍼(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11)와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 터미널(100)을 수용하고, 커넥터 수용부(2)의 체결 개구를 통해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장착된다.
하우징(200)은 하우징 바디(210), 탄성 변형부(220) 및 리테이너(23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210)는 하우징(200)의 외관을 형성하고, 합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10)는 상기 하우징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탄성 변형부(220)는 하우징 바디(210)의 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하우징 바디(210)의 측면 간에 빈 공간(220a; 도 9a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변형부(220)는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걸림되는 걸림턱(223)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223)은 탄성 변형부(220)의 길이 방향 양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220)는 커넥터 수용부(2)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b; 도 11 참조)를 지나면서 탄성 변형되어 걸림턱(223)이 돌출부(2b)에 걸리면서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2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 바디(2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220)는, 커넥터 수용부(2)에 삽입되는 방향(D1)을 기준으로 걸림턱(22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변형부(221)와 걸림턱(223)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변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23)은 제1 변형부(221)와 제2 변형부(222)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수용부(2)의 돌출부(2b)와 마주하는 걸림턱(223)의 일면에는 요철 형태를 갖는 요철부(22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걸림턱(223)이 상기 돌출부(2b)에 걸림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2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리테이너(230)는 상기 하우징 터미널(100)이 하우징(2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200) 밖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리테이너(230)는, 하우징 바디(210)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터미널(100)의 일부와 맞닿아 하우징 터미널(100)을 지지함으로써, 하우징 터미널(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리테이너(230)는 하우징 터미널(100)의 전방부, 후방부 또는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30)는 하우징 터미널(100)의 후방부를 지지하여, 하우징 터미널(100)의 후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리테이너(230)는 하우징 바디(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삽입구(210b)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10)의 상기 삽입구(210b)를 통해서 하우징 터미널(100)의 일부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리테이너(230)는 전면부(231)와 측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31)는, 하우징 터미널(100)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231a)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231a)는 전면부(231)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231)는 하우징 바디(21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210b)에 삽입될 수 있다. 전면부(231)는 삽입구(210b)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232)는, 하우징 바디(210)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하우징 바디(210)에 걸림되게 형성되는 고정 후크(23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230)의 전면부(231)와 측면부(232)의 구조에 의하면, 리테이너(230)는 전면부(231)에 구비되는 걸림부(231a)화 측면부(232)에 구비되는 고정 후크(232a)에 의해 하우징 바디(210)에 체결되어, 하우징 바디(210)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변형부(221)의 내측면에는 리테이너(230)의 상기 측면부(232)를 덮도록 분기된 형태로 연장되는 리테이너 가이드(221a)가 구비될 수 있다. 리테이너 가이드(221a)의 구조에 의해 탄성 변형부(220)가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걸림된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220)와 리테이너 가이드(221a)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200)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는 상대 커넥터(1)와 마주하는 일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1)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240a)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a)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에 마련되는 상기 수용 공간(240a)상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는 상대 커넥터(1)가 상기 수용 공간(240a)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1)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벽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의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a)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기 수용 공간(240a)이 측벽부(241)의 구조에 의해 감싸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의 수용 공간(240a)상에서,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a)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241)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240a)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4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의 조립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1)가 상기 수용 공간(240a)으로 이동시에, 상기 경사부(241a)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는, 측면이 상기 하우징 바디(21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저면(241b)이 상기 커넥터 수용부(2)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2a; 도 12 참조)의 일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의 저면(241b)이 상기 안착부(2a)에 지지되어, 하우징(200)이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가 보다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는 바닥면(242)과 안착면(24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닥면(242)은 하우징 터미널(100)이 돌출되는 하우징(200)의 개구부(210a)가 마련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즉, 커넥터 수용부(240)의 바닥면(242)은 개구부(210a)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a)은 상기 바닥면(242)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면(243)은 상기 바닥면(242)의 외측에 바닥면(242)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웨이퍼 터미널(1a)이 장착되는 웨이퍼(1b)가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안착면(243)은 상기 바닥면(24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 공간(240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안착면(243)은 바닥면(242)을 중심으로 바닥면(242)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닥면(242)과 안착면(243)을 구비하는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의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a)의 서로 접하는 접점이 바닥면(242)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 터미널(1a)의 저면이 상기 바닥면(242)에 직접 닿아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의 개구부(210a)를 통해 돌출되는 하우징 터미널(100)의 제2 연결부(130)가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웨이퍼 터미널(1a)과 접촉하는 제2 연결부(130)의 단부가 하우징(200)의 개구부(210a)를 통해 일정 부분 돌출되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변형부(220)는 하우징 바디(210)의 일단부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탄성 변형부(220)의 일측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의 연결되고, 탄성 변형부(220)의 타측은 하우징 바디(210)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변형부(220)의 구조에 의하면, 탄성 변형부(220)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와 하우징 바디(210)의 측면부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우징 바디(210)뿐만 아니라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가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2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탄성 변형부가 내측으로 가압 시에 변형되는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가 접속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변형부(220)가 내측으로 가압 시에, 탄성 변형부(220)의 일부는 리테이너(23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30)의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탄성 변형부(220)의 제1 변형부(221)가 커넥터 수용부(2)로 삽입 시에 리테이터(230)에 지지되면서 걸림턱(223)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230)와 탄성 변형부(220)의 구조에 의하면, 탄성 변형부(220)의 변형 발생 시에, 리테이너(230)와 마주하는 제1 변형부(221)의 측면이 리테이너(230)와 맞닿으면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변형부(220)가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변형부(221)가 리테이너(23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제1 변형부(221)의 탄성 변형이 억제되어 탄성 변형부(220)의 걸림턱(223)이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걸림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리테이너(230)는, 하우징 터미널(100)을 하우징(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탄성 변형부(220)의 제1 변형부(210)를 탄성 변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탄성 변형부(220)의 제1 변형부(221)보다 제2 변형부(222)의 탄성 변형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므로,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200)을 커넥터 수용부(2)에 고정시키는 조립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와 마주하는 제1 변형부(221)의 내측면에는 리테이너 가이드(221a)가 구비될 수 있다.
리테이너 가이드(221a)는 상기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와 마주하는 제1 변형부(221)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리테이너 가이드(221a)는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에 맞닿거나,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와 미세한 갭을 유지한 상태로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를 덮도록 배치되어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를 지지하거나, 리테이너(230)의 측방향으로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 가이드(221a)는 리테이너(230)의 상기 측면부(232)를 덮도록 분기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 가이드(221a)와 제1 변형부(221)의 내측면 사이에는,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200)이 커넥터 수용부(2)에 조립되거나 분리될 때 제1 변형부(221)가 내측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221a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 가이드(211a)의 구조에 의하면, 제1 변형부(221)와 리테이너(230)의 측면부(232)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변형부(221)와 하우징 바디(210)의 측면 간의 상기 빈 공간(220a)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변형부(221)의 탄성 변형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탄성 변형부(220)의 상기 걸림턱(223)이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걸림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리테이너 가이드(221a)와 제1 변형부(221)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이격부(221a1)의 구조에 의해,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200)을 커넥터 수용부(2)에 조립하는 과정이나, 재작업(rework)을 위하여 하우징(200)을 커넥터 수용부(2)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조립 및 분리에 필요한 제1 변형부(221)의 변형을 안정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변형부(220)의 제1 변형부(221)는 커넥터 수용부(2)에 삽입되는 방향(D1)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변형부(221)의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200)이 커넥터 수용부(2)에 삽입 시에, 제1 변형부(221)에서 커넥터 수용부(2)의 돌출부(2b)에 가압되는 영역이 일부 줄어들게 된다. 결과적으로, 하우징(200)을 커넥터 수용부(2)에 삽입하는 조립 과정에서 소요되는 힘이 줄어들어, 커넥터 수용부(2)에 전기 커넥터(10)를 조립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탄성 변형부(220)의 걸림턱(223)은, 하우징(200)이 커넥터 수용부(2)에 삽입되는 방향(D1)을 기준으로 리테이너(23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턱(223)의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200)이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삽입 시에, 탄성 변형부(220)의 제1 변형부(221)는 리테이너(230)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이 억제되면서도, 걸림턱(223) 부분에서의 탄성 변형은 리테이너(230)의 구조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 이에 따라, 커넥터 수용부(2)의 내부에 하우징(200)이 삽입되는 조립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하우징 터미널(1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1)가 접속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100)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100)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 터미널(100)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2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 터미널(100)의 몸체부(110)는, 전선(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0)와 웨이퍼 터미널(1a)과 접촉되는 제2 연결부(130)를 연결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30)의 일부를 양측에서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20)는 전선(3a)의 코어부(3a1)가 연결되는 제1 고정부(121)와, 전선(3a)의 피복부(3a2)가 연결되는 제2 고정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121,122)는 전선(3a)의 코어부(3a1)와 피복부(3a2)를 각각 감싸 압착하는 방식으로 코어부(3a1)와 피복부(3a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130)는, 고정부(130a), 제1 벤딩부(132a), 제2 벤딩부(132b) 및 접촉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0a)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벤딩부(132a)는 고정부(130a)에서 몸체부(110)에 대향하는 몸체부(110)의 타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벤딩부(132a)는, 제2 연결부(130)의 상기 고정단에서 연장되며, 하우징(200)에서 대향하는 제1 내면(220a)과 제2 내면(200b) 중 제2 내면(200b)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제2 내면(200b)에 맞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벤딩부(132b)는 제1 벤딩부(132a)에서 연장되며, 제1 벤딩부(132a)와 반대로, 몸체부(110)의 일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벤딩부(132b)는, 제1 벤딩부(132a)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내면(200a)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제1 내면(200a)에 맞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벤딩부(132b)는 제2 스토퍼(111b)와 하우징(200)의 상기 제1 내면(200a)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상기 제1 벤딩부(132a)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111a)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벤딩부(132a)는, 가압 시에 상기 제1 스토퍼(111a)와 맞닿는 제1 부분(132a1)과 하우징(200)의 상기 제2 내면(200b)에 맞닿는 제2 부분(132a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부(131)는, 제2 벤딩부(132b)에서 연장되고, 몸체부(110)에서 돌출되어 웨이퍼 터미널(1a)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터미널(100)의 몸체부(110)에는 지지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몸체부(110)상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웨이퍼 터미널(1a)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2 연결부(130)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된다. 지지부(111)는, 제2 연결부(130)가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가압 시에, 제2 연결부(130)의 일부와 맞닿아 제2 연결부(13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지지부(111)는 몸체부(110)에서, 제2 연결부(130)의 기설정된 변형이 이루어진 이후 제2 연결부(130)의 일부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 터미널(100)의 구조에 의하면, 하우징 터미널(100)과 상대 커넥터(1)의 웨이퍼 터미널(1a)이 접촉되어, 전기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10) 및/또는 상대 커넥터(1)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130)의 타측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 간에 미세한 상대적 거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의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전기 커넥터(1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 터미널(100)의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2 연결부(130)가 탄성 변형 시에, 제2 연결부(130)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111)에 닿아 지지됨에 따라, 하우징 터미널(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 터미널(100)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타측에서 발생하는 기설정된 크기의 탄성 변형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제1 스토퍼(111a)와 제2 스토퍼(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토퍼(111a)는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제2 연결부(130)의 접촉부(131)가 가압 시에, 벤딩부(132)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제2 스토퍼(111b)는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제2 연결부(130)의 접촉부(131)가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133)의 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11)의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가 제2 연결부(130)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각각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제2 연결부(130)가 가압 시에, 제2 연결부(130)에 가해지는 응력이 제2 연결부(130)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하우징 터미널(10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스토퍼(111a)와 제2 스토퍼(111b)는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제2 연결부(130)가 가압되는 방향상에서 서로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130)의 벤딩부(132)의 일부는,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 사이에 배치되어 몸체부(110)와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에 의해 감싸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130)의 일부가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에 의해 감싸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가 커버 역할을 하면서, 제2 연결부(130)의 일부가 몸체부(110)에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130)의 접촉부(131)는, 가압 시에 연장부(133)가 하우징(200)의 일측 내면에 맞닿도록, 하우징(200)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가압 시에 제2 연결부(130)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연결부(130)의 연장부(133)의 단부에는, 라운드지게 벤딩 형성되어 제2 스토퍼(111b)에 구름 접촉(rolling contact)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 접촉부(13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 접촉부(133a)의 구조에 의하면, 제2 연장부(133)의 단부가 제2 스토퍼(111b)에 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장부(133) 및/또는 제2 스토퍼(111b)의 파손을 방지하고, 연장부(133)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저항 및/또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단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연결부(130)의 일측 단부에는, 하우징 터미널(100)의 몸체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후크(134)와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후크(134)가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홀(210c)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터미널(100)의 일측은 리테이너(230)의 전면부(231)에 구비되는 걸림부(231a)에 걸림되고, 하우징 터미널(100)의 타측은 후크(134)에 의해 하우징 바디(2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홀(210c)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하우징 터미널(100)의 일측과 타측은 리테이터(230)의 걸림부(231a)와 상기 걸림홀(210c)에 걸림되는 후크(134)에 의해 하우징(200)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130)의 접촉부(131)는,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 터미널(1a)의 가압 시 웨이퍼 터미널(1a)의 일면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접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30)의 상기 접촉부(131)에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1a)과 마주하는 일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웨이퍼 터미널(1a)과 접촉하는 돌기부(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31a)의 구조에 의하면, 접촉부(131)의 마찰 면적을 감소시켜, 접촉부(131)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전기 커넥터(10)에 상대 커넥터(1)가 장착됨에 따라 하우징 터미널(100)과 웨이퍼 터미널(1a)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터미널(100)이 상대 커넥터(1)의 웨이퍼 터미널(1a)에 가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우징 터미널(100)의 제2 연결부(130)는,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가압 시에, 제1 벤딩부(132a)의 제1 부분(132a1)이 제1 스토퍼(111a)에 맞닿은 이후 연장부(133)의 단부가 제2 스토퍼(111b)에 맞닿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토퍼(111a)와 상기 제1 벤딩부(132a)의 상기 제1 부분(132a1)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스토퍼(111b)와 연장부(133)의 단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30)의 접촉부(131)는,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가압 시에 연장부(133)가 하우징(200)의 일측 내면에 맞닿도록, 하우징(200)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 터미널(100)의 구조에 의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2 연결부(130)의 접촉부(131)에 상대 커넥터(1)의 웨이퍼 터미널(1a)이 접촉하여 가압되기 시작하면, 제2 연결부(130)의 연장부(133)가 하우징(200)의 제2 내면(200b)에 닿아 지지되면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후, 웨이퍼 터미널(1a)이 하우징 터미널(100)을 향하여 더 이동하면, 제1 벤딩부(132a)의 제1 부분(132a1)이 먼저 제1 스토퍼(111a)에 맞닿아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대 커넥터(1)의 웨이퍼(1b)가 상대 커넥터 수용부(240)에 완전히 안착되면, 제2 연결부(130)의 연장부(133)의 단부가 제2 스토퍼(111b)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우징 터미널(100)의 구조에 의하면, 웨이퍼 터미널(1a)에 의해 하우징 터미널(100)의 제2 연결부(130)가 가압됨에 따라, 제1 벤딩부(132a)의 제1 부분(132a1)과 연장부(133)의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스토퍼(111a,111b)에 닿아 지지된다. 이와 함께, 연장부(133)와 제1 벤딩부(132a)의 제2 부분(132a2)는 하우징(200)의 제2 내면(200b)에 맞닿가 지지되고, 제2 벤딩부(132b)는 하우징(200)의 제1 내면(200a)에 맞닿아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130)의 탄성 변형 시에, 제2 연결부(130)에 가해지는 응력이 각각 지지되는 부분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연결부(130)에 탄성 변형 시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제2 연결부(130)를 구비하는 하우징 터미널(10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 : 상대 커넥터
1a : 웨이퍼 터미널
1b : 웨이퍼
2 : 커넥터 수용부
2a : 안착부
2b : 돌출부
3 : 팬
3a : 전선
3a1 : 코어부
3a2 : 피복부
4 : 회로기판
10 : 전기 커넥터
100 : 하우징 터미널
110 : 몸체부
111 : 지지부
111a : 제1 스토퍼
111b : 제2 스토퍼
120 : 제1 연결부
121 : 제1 고정부
122 : 제2 고정부
130 : 제2 연결부
130a : 고정부
131 : 접촉부
131a : 돌기부
132 : 벤딩부
132a : 제1 벤딩부
132a1 : 제1 부분
132a2 : 제2 부분
132b : 제2 벤딩부
133 : 연장부
133a : 스토퍼 접촉부
134 : 후크
200 : 하우징
200a : 제1 내면
200b : 제2 내면
210 : 하우징 바디
210a : 개구부
210b : 삽입구
210c : 걸림홀
210d : 전선 삽입구
220 : 탄성 변형부
220a : 빈 공간
221 : 제1 변형부
221a : 리테이너 가이드
221a1 : 이격부
222 : 제2 변형부
223 : 걸림턱
223a : 요철부
230 : 리테이너
231 : 전면부
231a : 걸림부
232 : 측면부
232a : 고정 후크
240 : 상대 커넥터 수용부
240a : 수용 공간
241 : 측벽부
241a : 경사부
242 : 바닥면
243 : 안착면

Claims (15)

  1.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 형성되며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어 상기 전선과 상기 웨이퍼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하며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단 사이에 벤딩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벤딩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가압 시에, 상기 벤딩부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의 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가 가압되는 방향상에서 서로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에 의해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라운드지게 벤딩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토퍼에 구름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토퍼 접촉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터미널.
  8.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1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 형성되며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어 상기 전선과 상기 웨이퍼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하며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단 사이에 벤딩 형성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벤딩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몸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을 형성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고정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대향하는 제1 내면과 제2 내면 중 상기 제2 내면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내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1 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면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면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제2 벤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벤딩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벤딩부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는, 가압 시에 상기 제1 스토퍼에 맞닿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내면에 맞닿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터미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1 벤딩부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스토퍼에 맞닿은 이후 상기 연장부의 단부가 상기 제2 스토퍼에 맞닿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벤딩부의 상기 제1 부분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스토퍼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2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내면 사이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13.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의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는 하우징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터미널은,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부를 양측에서 덮도록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대향하는 몸체부의 타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는 제1 벤딩부;
    상기 제1 벤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벤딩 형성되는 제2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웨이퍼 터미널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제1 벤딩부와 맞닿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웨이퍼 터미널에 의해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와 맞닿는 제2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가압 시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면에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터미널.
KR1020210121241A 2021-09-10 2021-09-10 하우징 터미널 KR102398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41A KR102398228B1 (ko) 2021-09-10 2021-09-10 하우징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41A KR102398228B1 (ko) 2021-09-10 2021-09-10 하우징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228B1 true KR102398228B1 (ko) 2022-05-17

Family

ID=8179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41A KR102398228B1 (ko) 2021-09-10 2021-09-10 하우징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2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58A (ja) * 2000-05-19 2001-11-30 Tokai Rika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7091781A (ja) * 2015-11-09 2017-05-2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58A (ja) * 2000-05-19 2001-11-30 Tokai Rika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7091781A (ja) * 2015-11-09 2017-05-2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及び、コネクタ装置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2411B2 (en) Connector assembly
US9997854B2 (en) Movable connector
US10128614B2 (en) Movable connector
KR101738337B1 (ko) 커넥터
CN102904086B (zh) 连接器及包括该连接器的性能板、母板、半导体测试装置
US6183270B1 (en) Electrical connector
TWI712227B (zh) 浮動連接器及連接機構總成
US11223148B2 (en) Floating connector
US8672712B2 (en) Shield and circuit board module having the same
US9166333B2 (en) Connector
KR102398228B1 (ko) 하우징 터미널
KR102398229B1 (ko) 전기 커넥터
KR100993105B1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US7556530B2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KR102131128B1 (ko)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CN110911873B (zh) 连接端子
KR2022007788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732271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1158963B2 (en) Connector device
JP6943917B2 (ja) コネクタ
JP6814051B2 (ja) コネクタ
KR102336593B1 (ko) 플로팅 구조 커넥터
KR1006232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US6988835B2 (en) Fiber-optic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JP7164947B2 (ja) 可動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