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996B1 -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996B1
KR102397996B1 KR1020190023132A KR20190023132A KR102397996B1 KR 102397996 B1 KR102397996 B1 KR 102397996B1 KR 1020190023132 A KR1020190023132 A KR 1020190023132A KR 20190023132 A KR20190023132 A KR 20190023132A KR 102397996 B1 KR102397996 B1 KR 10239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thickness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1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3559A (en
Inventor
김병수
김주석
문세영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165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47374A1/en
Priority to JP2019060015A priority patent/JP6862486B2/en
Priority to US16/368,228 priority patent/US10937917B2/en
Publication of KR2019011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559A/en
Priority to KR1020210034149A priority patent/KR1023673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9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태양 전지를 밀봉하는 밀봉재가,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한다.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region in which a sealing material for sealing the solar cell is provided, and an outer region in which a reinforcement reg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central region is provided.

Description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Solar cel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 및 공정을 개선한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lar cell panel with improved structure and proc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태양 전지는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야 하므로, 태양 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패키징(packaging) 공정에 의하여 태양 전지, 밀봉재 및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형태로 제조된다. Since the solar cell has to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time,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olar cell, a sealing material, and a cover member by a packaging process for protecting the solar cell.

이와 같이 다양한 부재들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은 열과 압력을 가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하중을 크게 받는 부분에서 태양 전지 또는 커버 부재가 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밀봉재가 외부로 유출되어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밀봉재 두께가 다른 부분(예를 들어, 중앙부)보다 크게 얇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밀봉재가 원하는 밀봉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커버 부재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특히 양면에 위치하는 커버 부재가 모두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좀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었다. A solar cell panel including various members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by a lamination process that applies heat and pressure, and a problem in which a solar cell or a cover member is broken or damaged may occur in a portion that receives a large load due to th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could In addition, the sealing material may flow out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due to th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at the edge portion may be significantly thinner than other portions (eg, the central portion). Accordingly, the sealing material may not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implement a desired sealing characteristic at the edge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This problem may occur more seriously when the cover member includes the glass substrate, particularly, when the cover members positioned on both surfaces include the glass substrat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로 라미네이션 공정 중의 온도 및 압력을 저감시키고 공정 시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라미네이션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태양 전지 또는 커버 부재가 깨지거나 손상되는 빈도가 크게 줄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 국제공개특허 WO2015/182755호에서와 같이, 전면 밀봉막보다 두꺼운 후면 밀봉막을 사용하면 전체적으로 두꺼운 후면 밀봉막을 사용하여 재료 비용, 공정 시간 등이 증가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a method of reduc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and increasing the process time was used in the prior art. However, this method increases the time and cost of the lamination process, and even by this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equency of breakage or damage to the solar cell or the cover member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as in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WO2015/182755, when a rear sealing film thicker than the front sealing film is used, material cost, process time, etc. may be increased by using the overall thick rear sealing film.

특허문헌 1: 국제공개특허 WO2015/182755호(발명의 명칭: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 모듈)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2015/182755 (Title of the Inven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패널의 생산성을 향상하고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ar cell panel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solar cell panel and reducing the defect r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특히, 본 발명은 밀봉재의 사용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아 재료 비용을 절감하면서 라미네이션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태양 전지 또는 커버 부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밀봉재의 외부 유출을 고려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이 원하는 밀봉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 전지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amount of the sealing material used,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s while reducing the lamination process time, and providing a solar cell panel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damage to the solar cell or the cover member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ant t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ar cell panel that allows the edge portion of the solar panel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to implement a desired sealing characteristic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leakage of a sealing material that may occur at the edge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in the lamination proces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태양 전지를 밀봉하는 밀봉재가,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한다. 또는, 태양 전지를 둘러싸는 봉합재(encapsulant)가,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후막 영역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밀봉재는 태양 전지의 일면 위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 그리고 태양 전지의 타면 위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밀봉재 위에 위치하는 제1 커버 부재 및 제2 밀봉재 위에 위치하는 제2 커버 부재가 각기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region in which a sealing material for sealing the solar cell is provided, and an outer region in which a reinforcement reg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central region is provided. Alternatively, an encapsulant surrounding the solar cell includes a central region and an outer region provided with a thick film reg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and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region. Here, the encapsulant may include a first encapsulant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a second encapsulant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olar cell.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ver member positioned on the first sealing material and the second cover member positioned on the second sealing material may each include a glass substrate.

본 실시예에서 외측 영역은, 보강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보강 영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밀봉재의 가장자리에서의 두께가 상기 영역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영역의 두께가 중앙 영역의 두께보다 30um 이상 크거나, 또는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에 대한 상기 보강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두께 차이의 비율이 10%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region may further include an edge region located outside the reinforcement region and having an edge hav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reinforcement region. For example, the thickness at the edge of the sealing material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gio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region may be greater than 30 μm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region, or a ratio of a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reinforcing region and the central region to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region may be 10% or more.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 전지가,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태양 전지, 그리고 외측 태양 전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태양 전지를 구비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고, 보강 영역이 외측 태양 전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여 위치하고, 내측 태양 전지에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olar cell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s including an outer solar cell positioned outside and an inner solar cell positioned inside the outer solar cell, wherein the reinforcement region overl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olar cell. and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inner solar cell.

보강 영역은 외측 태양 전지의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 영역은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region may include a portion whos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edge of the outer solar cell. The edge region may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edge of the solar panel.

이에 대응하여 태양 전지 패널은,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부는, 보강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보강부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orrespondingly, the solar cell panel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an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dge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reinforcing portion and having an edge hav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reinforcing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중앙 영역이 보강 영역 및 외측 영역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region may have a larger area than each of the reinforcemen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일 예로, 태양 전지는 일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 전지 스트링을 형성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고, 외측 영역 또는 보강 영역이 일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의 양측에 위치한 양측 가장자리에서 일 방향을 따라 각기 길게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영역 또는 보강 영역이 이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이와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olar cell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one direction to form a solar cell string, and the outer region or the reinforcing region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tersecting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direction at both edges in one direction. can be followed for a long ti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region or the reinforcing region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direction or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position.

상기 태양 전지가 복수의 배선재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재의 상기 제1 폭이 250um 내지 500um이거나, 또는 상기 배선재가 원형 또는 라운드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재의 개수가 6개 내지 33개일 수 있다. The solar ce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lar cells connected in one direction by a plurality of wiring materials. The first width of the wiring member may be 250 μm to 500 μm, or the wiring member may include a circular or rounded portion. The number of the wiring members may be 6 to 3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은, 태양 전지와 제1 및 제2 밀봉재, 제1 및 제2 커버 기판을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라미네이션한다. 이때, 제1 및 제2 밀봉재 중 적어도 하나가, 베이스 부분과, 베이스 부분 위에 위치하며 태양 전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중첩부를 구비하는 보강 부분을 구비한다. 또는, 태양 전지를 둘러싸는 봉합재가,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후막 부분이 구비된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밀봉재 중 적어도 하나가 베이스 부분이 위치한 제1 구역 또는 중앙 부분보다 베이스 부분 및 보강 부분이 함께 위치한 제2 구역 또는 후막 부분이 더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밀봉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태양 전지의 일면 위에 제1 밀봉재 및 제1 커버 부재가 위치하고, 태양 전지의 타면 위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 및 제2 커버 부재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가 각기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ar cell,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and first and second cover substrates are laminated to form a laminate structure, and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hereto to laminate the solar cell.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includes a base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n overlapping portion positioned on the base portion and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ar cell. Alternatively, the encapsulant surrounding the solar cell is provided with a central portion and a thick film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and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portion. There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ants is constituted of the reinforcing sealant having a greater thickness in the second region or thick film portion in which the base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re located together than in the first region or the central portion in which the base portion is located. Here, the first sealing material and the first cover member are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olar cell.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may include a glass substrate.

이에 따라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이후에, 제1 커버 부재와 제2 커버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재가,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태양 전지 패널이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the laminating step, the sealing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comprises a central region and an outer region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egion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region. may include Alternatively, the solar cell panel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an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일 예로, 태양 전지의 폭에 대한 중첩부의 폭의 비율이 10% 이상이거나, 또는 보강 부분의 폭이 5cm 이상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to the width of the solar cell may be 10% or more, or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5 cm or more.

보강 밀봉재에서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보강 밀봉재에서 보강 부분이 적어도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In the reinforcing encapsulant, the first region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region, and in the reinforcing encapsulant,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located at least at an edge or a corn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여기서, 베이스 부분이 제1 두께를 가지고, 보강 부분이 제2 두께를 가지며, 제2 두께가 제1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Here, the base portion may have a first thickness, the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a second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may be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본 실시예에서 보강 밀봉재에서 베이스 부분과 보강 부분이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어 일체의 구조를 구성하여 보강 밀봉재가 단일의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보강 밀봉재에서 보강 부분이 베이스 부분과 다른 물질을 가지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거나 베이스 부분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때, 보강 부분이 베이스 부분보다 낮은 경도 및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reinforcing sealant, the base portio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o constitute an integral structure, so that the reinforcing sealant may have a single body. Alternatively, in the reinforcing sealant, the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base portion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or overlying the base portion.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portion may have lower hardness and higher elasticity than the base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밀봉재가 중앙 영역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을 구비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밀봉재의 두께 저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한 밀봉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압력이 집중되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태양 전지 및 커버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시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roblem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encapsulant that may occur at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may be prevented by providing a reinforcement region in which the encapsulant has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region at the edge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Accordingly, the solar cell panel may have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as a whole, and damage to the solar cell and the cover member that may occur in a portion where pressure is concentrat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may be prevented. Thereby, the reliability of a solar cell panel can be improved and the defect rate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solar cell panel can be reduced.

그리고 보강 부분에 의하여 높은 온도 및/또는 충분한 압력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바 라미네이션 공정의 공정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밀봉재의 외부 유출이 크게 문제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밀봉재의 중앙 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져 밀봉재의 재료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시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and/or a sufficient pressure by the reinforcing part, the process time of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effectively shortened. On the other hand, leakage of the sealing material to the outside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is not a major problem,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sealing material to which a relatively small pressure is applied has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so that the material cost of the sealing material can be minimized. Thereby, productivit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될 수 있는 태양 전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태양 전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적용될 수 있는 베이스 부분 및 보강 부분을 가지는 밀봉재와 태양 전지를 함께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적용될 수 있는 베이스 부분 및 보강 부분을 가지는 밀봉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되는 태양 전지 및 이에 연결된 배선재를 도시한 전면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태양 전지 및 이에 연결된 배선재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olar cell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olar cell panel shown in FIG. 1 .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3 .
5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
7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and a sealing material having a base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applicable to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aling material having a base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applicable to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hotograph of solar cell pan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plan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included in a solar cell panel and a wiring member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5 and a wiring member connected thereto.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width, etc. are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more clear, and the thickness, width,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bars shown in the drawings.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And,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ther parts are not ex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ther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Also,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on”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or plate, is "directly above" another part, it means that no other part is located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밀봉재(130)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만 도시하였고, 구체적인 형상은 추후에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1 and 2 , only the shap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and the solar cell panel 100 including the sam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pecific 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은, 태양 전지(10)와, 태양 전지(10)를 밀봉하며 태양 전지(10)의 일면 및 타면 위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를 포함하는 밀봉재(130)와, 제1 밀봉재(131) 위에 위치하며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밀봉재(132) 위에 위치하며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제2 커버 부재(120)를 포함한다. 이때, 밀봉재(130)는, 중앙 영역(도 6의 참조부호 CA, 이하 동일)과, 중앙 영역(CA)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CA)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도 6의 참조부호 EA1, 이하 동일)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도 6의 참조부호 EA, 이하 동일)을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1 and 2 ,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olar cell 10 , a first solar cell 10 sealing the solar cell 10 , and position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olar cell 10 . The sealant 130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sealants 131 and 132 , the first cover member 110 positioned on the first sealant 131 and including a glass substrate, and the second sealant 132 positioned on the and a second cover member 120 including a glass substrate. In this case, the sealing material 130 is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reference numeral CA in FIG. 6, hereinafter the same) and the central region CA and has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region CA (refer to FIG. 6 ). It includes an outer region (reference numeral EA in FIG. 6, hereinafter the same) provided with reference numeral EA1, hereinafter the sam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때, 태양 전지(10)는 광의 입사에 의하여 전자 및 정공이 생성되는 광전 변환부와, 광전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생성된 전자 및 정공을 수집하는 전극(도 3의 참조부호 42, 44, 이하 동일)을 포함할 수 있다. 광전 변환부 및 전극(42, 44)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태양 전지(10)는 양면 수광형(bi-facia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에 적용될 수 있는 태양 전지(10)의 일 예를 추후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solar cell 10 includes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generating electrons and holes by the incident light, and electrodes (reference numerals 42, 44, hereinafter the same) may be include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and the electrodes 42 and 44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the solar cell 10 may have a bi-facial structure. An example of the solar cell 10 applicable to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제1 커버 부재(110)는 제1 밀봉재(131)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전면을 구성하고, 제2 커버 부재(120)는 제2 밀봉재(132) 상에 위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후면을 구성한다. 제1 커버 부재(110) 및 제2 커버 부재(120)는 각기 외부의 충격, 습기, 자외선 등으로부터 태양 전지(10)를 보호할 수 있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ver member 110 is positioned on the first encapsulant 131 to configure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encapsulant 132 to form the solar cell. It constitutes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100 . Each of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capable of protecting the solar cell 10 from external impact, moisture, ultraviolet rays, and the like.

예를 들어, 제1 커버 부재(110) 및 제2 커버 부재(120) 각각이 우수한 내구성, 절연 특성, 방습성, 광 투과성 등을 가지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그러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양면에 유리 기판이 위치하여, 양면에서 우수한 투과성을 가질 수 있으며, 높은 강도에 의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우수한 내습성, 내자외선 특성, 절연 특성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10)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may be a glass substrat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insulating properties, moisture resistanc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like. Then, the glass substrate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can have excellent transmittance from both sides, can have high durability due to high strength, and have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UV resistance, insulation properties, etc.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and chemically protect the solar cell 10 stably.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태양 전지(10)가 인터커넥터(142) 및/또는 버스 리본(14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태양 전지(10)가 인터커넥터(142)에 의하여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하나의 열(列)로 이루어진 태양 전지 스트링(S)을 구성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 복수의 태양 전지 스트링(S)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 리본(145)은 태양 전지 스트링(S)의 단부에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웃한 태양 전지 스트링(S)을 연결하거나, 태양 전지 스트링(S)을 전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션 박스(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리본(145)이 태양 전지 스트링(S)의 인터커넥터(142)의 양끝단 교대로 연결하여 태양 전지 스트링(S)을 직렬로 연결할 수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스 리본(145)이 다양한 배치, 연결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olar cells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parallel, or series-parallel by the interconnector 142 and/or the bus ribbon 145 . For example, a plurality of solar cells 10 are connected in a first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by an interconnector 142 to constitute a solar cell string S consisting of one row, A plurality of solar cell strings S may be positioned in a second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bus ribbon 145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olar cell string S in a direction crossing it to connect the adjacent solar cell strings S or prevent electricity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solar cell strings S. It can be connected to a junction box (not shown). For example, the bus ribbon 145 may alternately connect both ends of the interconnector 142 of the solar cell string S to connect the solar cell string S in seri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s ribbon 145 may have various arrangements and connection structures.

인커커넥터(142) 및/또는 버스 리본(145)으로는 리본, 와이어 등 태양 전지(1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커넥터(142) 및/또는 버스 리본(145)은 솔더 물질을 이용한 태빙(tabbing) 공정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10) 또는 인터커넥터(142)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인터커넥터(142) 및/또는 버스 리본(145)이 도전성 접착 물질로 구성된 도전성 필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태양 전지 패널(100)이 하나의 태양 전지(10)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태양 전지(10)가 인터커넥터(142) 및 버스 리본(145) 이외에 다른 연결 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As the in-connector 142 and/or the bus ribbon 145 ,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capable of connecting the solar cell 10 such as a ribbon and a wire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interconnector 142 and/or the bus ribbon 145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olar cell 10 or the interconnector 142 using a tabbing process using a solder material. Alternatively, the interconnector 142 and/or the bus ribbon 145 may be a conductive film made of a conductive adhesive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include only one solar cell 10 , and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members other than the interconnector 142 and the bus ribbon 145 . may be connected.

예를 들어, 인터커넥터(142)는, 하나의 태양 전지(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전극(42)과 이에 이웃한 태양 전지(10)의 후면에 위치한 제2 전극(44)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이웃한 태양 전지(10)를 연결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interconnector 142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42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one solar cell 10 and the second electrode 44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djacent solar cell 10 . can b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djacent solar cells 10 may be connected in other forms.

밀봉재(13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태양 전지(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31)와, 서로 전기적으로 태양 전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가 일정한 경계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가 일체화되어 밀봉재(130)를 형성하므로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encapsulant 130 may include a first encapsulant 131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1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econd encapsulant 132 positioned at the rear face of the solar cell 10 electrically. can 6 illustrates that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have a certain boundary, but in the lamination process,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are integrated to form the sealing material 130 . Therefore,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may not be clear.

밀봉재(130)는 수분과 산소가 태양 전지(1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각 요소들을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밀봉재(130)는 투광성 및 접착성을 가지는 절연 물질을 베이스 물질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봉재(130)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EVA), 폴리비닐부티랄(PVB), 규소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아이오노머(ionomer) 등을 베이스 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구성되어, 낮은 재료 비용으로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밀봉재(130)가 상술한 설명 이외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ealing material 130 prevents moisture and oxygen from entering the solar cell 10 and chemically bonds each element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The sealing material 130 includes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as a base material. For example,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include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EVA), polyvinyl butyral (PVB), silicon resin, ester-based resin, olefin-based resin, polyethylene-based resin, ionomer, etc. as a base material. may include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are made of ethylene vinyl acetate, it is possible to have excellent properties even at a low material cos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여기서, 제1 밀봉재(131)와 제2 밀봉재(132)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하나가 전체적으로 다른 하나의 일부 또는 전체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다른 하나의 일부 또는 전체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ere,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and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may entirely include a part or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other, and at least a por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may It may also contain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other part or all.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밀봉재(130)가 중앙 영역(CA) 및 외측 영역(EA)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에 포함될 수 있는 태양 전지(10)의 일 예를 먼저 설명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은 밀봉재(1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have a central area CA and an outer area EA.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solar cell 1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and then the sealing material 13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xplain.

도 3는 도 1에 도시한 태양 전지 패널(100)에 포함될 수 있는 태양 전지(10)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태양 전지(1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olar cell 1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olar cell panel 100 shown in FIG. 1 , and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olar cell 10 shown in FIG. 3 .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태양 전지(10)는, 베이스 영역(14)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2)과, 반도체 기판(12)에 또는 반도체 기판(12) 위에 형성되는 도전형 영역(20, 30)과, 도전형 영역(20, 30)에 연결되는 전극(42, 44)을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12), 도전형 영역(20, 30) 등이 광전 변환에 관여하는 광전 변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형 영역(20, 30)은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가지는 제1 도전형 영역(20)과 제2 도전형 영역(30)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42, 44)은 제1 도전형 영역(20)에 연결되는 제1 전극(42)과 제2 도전형 영역(30)에 연결되는 제2 전극(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3 and 4 , the solar cell 10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12 including a base region 14 and a conductive region ( 20 and 30 , and electrodes 42 and 44 connected to the conductive regions 20 and 30 .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the conductive regions 20 , 30 , etc. may constitute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involved in photoelectric conversion. Here, the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and a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having different conductivity types, and the electrodes 42 and 44 have a first conductivity type. 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42 connected to the mold region 20 and a second electrode 44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반도체 기판(12)은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를 상대적으로 낮은 도핑 농도로 포함하여 제1 또는 제2 도전형을 가지는 베이스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2)의 일면(일 예로, 전면) 쪽에는 제1 도전형을 가지는 제1 도전형 영역(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2)의 타면(일 예로, 후면) 쪽에는 제2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영역(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은 베이스 영역(14)과 다른 도전형을 가지거나, 베이스 영역(14)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면서 베이스 영역(14)보다 높은 도핑 농도를 가진다.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may include a base region 14 having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ity type by including the dopant of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ity type at a relatively low doping concentration. In addition, a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having a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eg, a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In addition,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having a second conductivity typ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eg, a rear surface) sid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have a different conductivity type from the base region 14 , or have the same conductivity type as the base region 14 and have a higher doping concentration than the base region 14 . hav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또는 제2 도전형 도펀트로는 n형 또는 p형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p형 도펀트로는 보론(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등을 사용할 수 있고, n형일 경우에는 인(P), 비소(As), 비스무스(Bi), 안티몬(Sb) 등의 5족 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p형 도펀트가 보론(B)이고 n형 도펀트가 인(P)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representing n-type or p-type may be used as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ity-type dopant. As the p-type dopant, boron (B), aluminum (Al), gallium (Ga), indium (In), etc. can be used, and in the case of the n-type dopant, phosphorus (P), arsenic (As), bismuth (Bi), antimony Group 5 elements, such as (Sb), can be used. For example, the p-type dopant may be boron (B) and the n-type dopant may be phosphorus (P).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 중 베이스 영역(14)과 다른 도전형을 가지는 하나의 영역은 에미터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에미터 영역은 베이스 영역(14)과 pn 접합을 형성하여 광전 변환에 의하여 캐리어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 중 베이스 영역(14)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는 다른 하나는 전계(surface field)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전계 영역은 반도체 기판(12)의 표면에서 재결합에 의하여 캐리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계를 형성한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영역(14)이 제2 도전형을 가져, 제1 도전형 영역(20)이 에미터 영역을 구성하고, 제2 도전형 영역(30)이 후면 전계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mo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20 and 30 , one region having a conductivity ty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region 14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emitter region. The emitter region forms a pn junction with the base region 14 to generate carriers by photoelectric conversion. An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20 and 30 having the same conductivity type as the base region 14 constitutes at least a portion of a surface field region. The electric field region forms an electric field that prevents loss of carriers by recombination at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base region 14 has a second conductivity type,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constitutes an emitter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30 constitutes a rear electric field region. can d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반도체 기판(12), 또는 이에 형성된 베이스 영역(14),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은 도펀트를 포함하는 단일 결정질 반도체(예를 들어, 단일 단결정 또는 다결정 반도체, 일 예로,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 특히 단결정 실리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성이 높아 결함이 적은 베이스 영역(14) 또는 반도체 기판(12)을 기반으로 한 태양 전지(10)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반도체 기판(12)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는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반사 방지 구조(일 예로, 피라미드 형상 등을 가지는 텍스쳐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or the base region 14 formed there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are a single crystalline semiconductor containing a dopant (e.g., a single single crystal or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for example, monocrystalline or polycrystalline silicon, in particular monocrystalline silicon).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cell 10 based on the base region 14 or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having few defects due to its high crystallinity has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n anti-reflection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reflection (eg, a texturing structure having a pyramid shap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or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이 반도체 기판(12)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핑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및 제2 도전형 영역(20, 30) 중 적어도 하나가 반도체 기판(12)의 위에서 반도체 기판(12)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또는 제2 도전형 영역(20, 30)이 비정질 반도체층, 미세 결정 반도체층, 또는 다결정 반도체층(일 예로, 비정질 실리콘층, 미세 결정 실리콘층 또는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또는 제2 도전형 영역(20, 30)와 반도체 기판(12) 사이에 별도의 층(터널링층, 패시베이션층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may be configured as doped regions constituting a part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may b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separately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In this case,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20 and 30 may be composed of an amorphous semiconductor layer, a micro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 or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 (eg, an amorphous silicon layer, a microcrystalline silicon layer, or a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can In this case, a separate layer (a tunneling layer, a passivation layer, etc.)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or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s 20 and 30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그리고 적어도 반도체 기판(12)의 전면 위(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2)의 전면에 형성된 제1 도전형 영역(20) 위)에 제1 절연막인 제1 패시베이션막(22) 및/또는 반사 방지막(24)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반도체 기판(12)의 후면 위(좀더 정확하게는, 반도체 기판(12)의 후면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영역(30) 위)에 제2 절연막인 제2 패시베이션막(32)이 위치할 수 있다. and a first passivation film 22 and/or reflection as a first insulating film on at least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more precisely, o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A barrier film 24 may be positioned. In addition, a second passivation film 32, which is a second insulating film, may be positioned at least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more precisely, on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there is.

제1 패시베이션막(22), 반사 방지막(24) 및 제2 패시베이션막(32)은 개구부(102, 104)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반도체 기판(12) 위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패시베이션막(22), 반사 방지막(24) 또는 제2 패시베이션막(32)은 실리콘 질화막, 수소를 포함한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산화 질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실리콘 탄화막, MgF2, ZnS, TiO2 및 Ce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막 또는 2개 이상의 막이 조합된 다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패시베이션막(22) 및/또는 반사 방지막(24), 제2 패시베이션막(32)은 우수한 절연 특성, 패시베이션 특성 등을 가질 수 있도록 도펀트 등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2 , the antireflection layer 24 ,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32 may be formed substantially entirely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except for the openings 102 and 104 . For example, the first passivation film 22 , the antireflection film 24 , or the second passivation film 32 is a silicon nitride film, a silicon nitride film containing hydrogen,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oxynitride film, an aluminum oxide film, a silicon carbide film, MgF 2 , ZnS, TiO 2 and CeO 2 Any single lay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layers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2 and/or the anti-reflection layer 24 , and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32 may not include a dopant or the like to have excellent insulating properties and passivation properti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전극(42)은 제1 개구부(102)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면서 형성되어 제1 도전형 영역(20)에 전기적으로 연결(일 예로, 접촉 형성)되고, 제2 전극(44)은 제2 개구부(104)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면서 형성되며 제2 도전형 영역(30)에 전기적으로 연결(일 예로, 접촉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일 예로, 금속)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42 is formed while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opening 102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g, contacted) the first conductivity-type region 20 , and the second electrode 44 is formed to 2 It is formed while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10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ductivity-type region 30 (eg, a contact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re made of various conductive materials (eg, metal) and may have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도전성 물질로 은(Ag), 알루미늄(Al), 금(Au),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전극(42, 44)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전극(42, 44)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 도금, 스퍼터링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 전극(42, 44)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42)은 일정한 피치를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며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핑거 전극(4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핑거 전극(42a)이 서로 평행하며 반도체 기판(12)의 가장자리에 평행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전극(42)은 핑거 전극들(42a)과 교차(일 예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핑거 전극(42a)을 연결하는 버스바 전극(42b)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전극(42b)에는 인터커넥터(142)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 전극(42b)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전극(42a)의 피치보다 더 큰 피치를 가지면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핑거 전극(42a)의 폭보다 버스바 전극(42b)의 폭이 클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버스바 전극(42b)의 폭이 핑거 전극(42a)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silver (Ag), aluminum (Al), gold (Au), titanium (Ti), tungsten (W), and copper (Cu) us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s a conductive material. may contain on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ay be manufactured by printing, plating, sputtering, or the lik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ay be formed by various other methods. The first electrode 4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ger electrodes 42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having a constant pitch and formed in one direction. Although the figure illustrates that the finger electrodes 42a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edg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42 may include a bus bar electrode 42b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eg, orthogonal) to the finger electrodes 42a and connecting the finger electrodes 42a. An interconnector 142 may be attached to the bus bar electrode 42b. Only one bus bar electrode 42b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bus bar electrodes 42b may be provided while having a pitch larger than that of the finger electrodes 42a, as shown in FIG. 4 .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bus bar electrode 42b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nger electrode 42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bus bar electrode 42b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nger electrode 42a.

제2 전극(44)은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 및 버스바 전극(42b)에 각기 대응하는 핑거 전극 및 버스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44)의 핑거 전극 및 버스바 전극에 대해서는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 및 버스바 전극(42b)에 대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전극(42)의 핑거 전극(42a)의 폭, 피치 등은 제2 전극(44)의 핑거 전극의 폭, 피치 등과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전극(42)의 버스바 전극(42b)의 폭은 제2 전극(44)의 버스바 전극의 폭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나, 제1 전극(42)의 버스바 전극(42b)과 제2 전극(44)의 버스바 전극은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피치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44 may include a finger electrode and a bus bar electrod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nger electrode 42a and the bus bar electrode 42b of the first electrode 42 . As for the finger electrode and the bus bar electrode of the second electrode 44 , the contents of the finger electrode 42a and the bus bar electrode 42b of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applied as they are. The width and pitch of the finger electrodes 42a of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width and pitch of the finger electrodes of the second electrode 44 . The width of the bus bar electrode 42b of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width of the bus bar electrode of the second electrode 44 , but the width of the bus bar electrode 42b of the first electrode 42 may be different. ) and the bus bar electrode of the second electrode 44 may be disposed to have the same pitch at the same loc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전극(42, 44)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면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42, 4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다. 태양 전지(10)가 반도체 기판(12)의 전면 및 후면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는 양면 수광형(bi-facial)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특정한 제1 및 제2 전극(42, 44)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양면 수광형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제2 전극(44)이 반도체 기판(12)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re partially formed while having a constant pattern. Accordingly, light may be incident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re not formed. The solar cell 10 has a double-sided light-receiving type (bi-facial) structure in which light can be incident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 and 44 and may have various shapes. In addition, although the double-sided light-receiving structure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second electrode 44 being formed entire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의 밀봉재(130), 그리고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aling material 130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of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명확한 이해 및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도 5에서는 태양 전지(10)와 밀봉재(130)의 중앙 영역(CA) 및 외측 영역(EA)을 위주로 하여 도시하였다. 5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5 . For clear understanding and simplified illustration, in FIG. 5 , the central area CA and the outer area EA of the solar cell 10 and the sealing material 130 are mainly illustrat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재(130)가 중앙 영역(CA)과, 중앙 영역(CA)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CA)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EA1)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은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재(130)의 두께는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 사이의 거리(즉, 제1 커버 부재(110)의 내측면과 제2 커버 부재(12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는 제1 커버 부재(110)의 외측면과 제2 커버 부재(120)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5 and 6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CA and the central region CA, and the reinforcement region EA1 has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region CA. It may include an outer area EA provided with this. Accordingly,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an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Here,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i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120 ). distance between the sides).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120 .

중앙 영역(CA)은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심을 포함하면서 이에 연결되는 영역으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심에서의 밀봉재(130)의 제1 두께(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영역(CA)의 두께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심 부분에서의 밀봉재(130)의 제1 두께(T1)와 30um 미만 또는 10% 미만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밀봉재(130) 자체에 의한 두께 차이, 밀봉재(130)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비 등의 오차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차이이다. 이러한 중앙 영역(CA)은 복수의 태양 전지(10) 중에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외측 태양 전지(10a) 이외의 내측 태양 전지(10b)가 위치한 부분을 포함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측 태양 전지(10a)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한 최외측 태양 전지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영역(EA)은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영역(EA)이 중앙 영역(CA)의 제1 두께(T1)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EA1)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 영역(EA1) 또는 외측 영역(EA)은 외측 태양 전지(10a)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면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측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entral region CA is a region that includes a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olar panel 100 , and has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encapsulant 130 at the center of the solar panel 100 . It may mean an area with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region CA may have a difference of less than 30 μm or less than 10% from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Such a difference is a difference in a degree that may be caused by a thickness difference due to the sealing material 130 itself, errors in equipment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 and the like. The central area CA may be positioned to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inner solar cell 10b other than the outer solar cell 10a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is located among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10 . can In this specification, the outer solar cell 10a may mean an outermost solar cell closest to the edge of the solar panel 100 . And, the outer area EA is an area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area EA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central area CA. The branch includes a reinforcement area EA1. The reinforcement area EA1 or the outer area EA may be positioned near the outer sid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while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olar cell 10a.

이와 같이 밀봉재(130)가 외측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EA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시 라미네이션 공정(도 8b 참조, 이하 동일)에서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밀봉재(130)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서 밀봉재(130)가 최소한의 밀봉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태양 전지(10),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커버 부재(110) 및 제2 커버 부재(120)이 각기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100)에서,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해당 부분에서 밀봉 특성이 크게 저하되거나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를 구성하는 유리 기판이 깨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encapsulant 130 is formed to have the reinforcing area EA1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in the vicinity of the outside, the encapsulant 130 in the lamination process (refer to FIG. ) can be minimized or prevented from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n the vicinity of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due to external leakage. Accordingly, the sealing material 130 at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have a thickness capable of maintaining a minimum sealing characteristic.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olar cell 10 and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that may occur near the edge or corner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In particular, in the solar cell panel 100 in which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each include a glass substrate,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edge or corner of the solar cell panel 100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sealing property is greatly reduc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r the glass substrate constituting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is broken.

반면, 종래에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어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에서 밀봉 특성이 크게 저하되거나 태양 전지(10),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손상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제1 커버 부재(110) 및 제2 커버 부재(120)이 각기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더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edge or corn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so that the sealing property is greatly reduced at the edge or corn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or the solar cell 10, the first or The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be damaged. This problem may be more serious when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each include a glass substrate.

여기서, 라미네이션 공정 이전에 밀봉재(130)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가장자리 또는 코너 영역)을 두껍게 하더라도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 및 압력에 의하여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 가장자리 또는 코너 영역에서 밀봉재(130)의 두께가 다른 부분과 같아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재(130)의 일부 영역의 두껍게 하더라도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 태양 전지 패널(100)이 보강 영역(EA1)을 구비하지 않으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근에서 발생하는 밀봉재(130)의 유출을 방지하거나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도 밀봉재(130)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EA1)이 잔류하도록 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근에서 밀봉재(130)의 유출이 일어나더라도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서 밀봉재(130)가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가져 밀봉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영역(EA1)의 잔류로 인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일종의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를 구성하는 유리 기판이 깨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Here, even if a partial region (eg, an edge or corner reg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s thickened before the lamination process, the sealing material in the edge or corner region during or after the lamination process due to heat and pressure applied in the lamination process. The thickness of 130 may be the same as or reduced to other portions. Accordingly, even if a port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s thickened, if the solar cell panel 100 does not include the reinforcement area EA1 after the lamination process, the sealing material 130 generated near the edge or corner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 there is a difficulty in preventing the outflow or buffe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 (110, 120).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area EA1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is left on the outsid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even after the lamination process,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130 is leaked near the edge or corner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However, the sealing material 130 at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has a thickness of a certain level or more, so that the sealing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region having a thick thickness in the lamination process may act as a kind of buffering action due to the remaining of the reinforcement region EA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lass substrate constituting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from being broken in the lamination process.

이와 달리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두께로 보조 밀봉막 등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밀봉재의 외부 유출에 의하여 가장자리 부분에서 밀봉재의 두께가 원하는 두께보다 얇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uxiliary sealing film or the like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ickness for removing air bubbles,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thinner than the desired thickness at the edge portion due to the outflow of the sealing material at the edge portion.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외측 영역(EA)은, 상술한 보강 영역(EA1)과, 이 외측에 위치하며 보강 영역(EA1)의 최대 두께인 제2 두께(T2)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EA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영역(EA1)은 외측 태양 전지(10a)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보강 영역(EA1)은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외측 태양 전지(10a)의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밀봉재(13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 영역(EA2)은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밀봉재(13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영역(EA1)은 밀봉재(130)의 두께가 제1 두께(T1)로부터 점진적으로 커져서 최대 두께인 제2 두께(T2)에 도달한 부분까지로 정의될 수 있고, 가장자리 영역(EA2)은 보강 영역(EA1)은 밀봉재(130)의 두께가 최대 두께인 제2 두께(T2)로부터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서의 두께인 제3 두께(T3)까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area EA has an edg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reinforcing area EA1 and the second thickness T2 that is located outside the reinforcing area EA1 and is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area EA1. The positioned edge area EA2 may be included. Here, the reinforcement area EA1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olar cell 10a.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encapsulant 130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edge of the outer solar cell 10a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gradually decrease in the edge area EA2 toward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For example,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defined as a portion where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thickness T1 to reach the second thickness T2 that is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 edge area EA2 ) is a portion in which the reinforcement area EA1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second thickness T2, which is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to the third thickness T3, which is the thickness at the edge of the solar panel 100. can be defined.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예를 들어, 10% 이내, 일 예로, 5% 이내의 오차를 가짐)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밀봉재(13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가 비되는 외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측부는 보강부의 최대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에는 중앙부보다 외측으로 향하면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자리부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로 향하면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일 예로,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보강부에서 외측 태양 전지(10a)의 가장자리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최대 두께에 도달한 후에 가장자리부에서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is uniform (for example, with an error of within 10%, for example, within 5%)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s a whole. has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 Accordingly,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nd an outer portion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an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In this case, the out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further include an edge portion having an edge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Here, the reinforcing portion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is gradually increased while facing out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gradually decrease as the edge portion moves toward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einforcement portion toward the edge of the outer solar cell 10a to reach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n toward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from the edge portion. may decrease gradually.

여기서, 보강 영역(EA1)의 제2 두께(T2)가 중앙 영역(CA)의 제1 두께(T1)보다 30um 이상(좀더 구체적으로, 30um 내지 500um) 클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영역(EA1)의 제2 두께(T2)가 중앙 영역(CA)의 제1 두께(T1)보다 60um 이상(좀더 구체적으로, 60um 내지 300um) 클 수 있다. 또는, 중앙 영역(CA)의 제1 두께(T1)에 대한 보강 영역(EA1)의 제2 두께(T2)와 중앙 영역(CA)의 제1 두께(T1) 차이의 비율이 10% 이상(일 예로, 10% 내지 35%)일 수도 있다. 이러한 두께 차이를 가져야 보강 영역(EA1)에 의한 효과를 충분하게 구현하면서도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의 차이가 너무 크면(예를 들어, 500um를 초과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 영역(EA1)의 두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30 μm or more (more specifically, 30 μm to 500 μm) great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central area CA. For example,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60um (more specifically, 60um to 300um) than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central area CA. Alternatively, a ratio of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reinforcement area EA1 and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central area CA to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central area CA is 10% or more (one For example, 10% to 35%) may be used. Only by having such a thickness difference can the effect of the reinforcing area EA1 be sufficiently realized whil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T1 and the second thickness T2 is too large (eg, exceeds 500 μm),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deterio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실시예에서, 일 예로,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서의 밀봉재(130)의 두께인 제3 두께(T3)가 제2 두께(T2)보다 작고, 제1 두께(T1)와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밀봉재(130)의 제3 두께(T3)가 제1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보강 영역(EA1)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가장자리 부근에서의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에 의하여 밀봉재(130)의 제3 두께(T3)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라미네이션 장비를 전체적으로 변경하거나 추가적인 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제조 공정이 복잡해져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경우에도 제1 두께(T1)에 대한 제3 두께(T3)의 비율이 80% 이상(일 예로, 90% 이상)일 수 있다. 보강 영역(EA1)에 의하여 제3 두께(T3)가 제1 두께(T1)에 비하여 지나치게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였기 때문이다.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third thickness T3 ,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at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2 , and is equal to or equal to the first thickness T1 . It can be smaller than this. In particular, the third thickness T3 of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 This is because, even when the reinforcement area EA1 is provided, the third thickness T3 of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be reduced due to the outflow of the sealing material 130 near the edge. In order to prevent this, if the lamination equipment is changed as a whole or an additional member is used,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productivity may decrease.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the above-described case, the ratio of the third thickness T3 to the first thickness T1 may be 80% or more (eg, 90% or more). This is because the reinforcing area EA1 prevents the third thickness T3 from being too small compared to the first thickness T1 .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 때 보강 영역(EA1)의 폭보다 가장자리 영역(EA2)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장자리 영역(EA2)에서 밀봉재(130)의 두께가 완만하게 줄어들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 영역(EA1)의 폭이 가장자리 영역(EA2)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 때, 보강 영역(EA1)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정도(즉, 기울기의 절대값)가 가장자리 영역(EA2)에서 두께가 감소하는 정도(즉, 기울기의 절대값)와 같을 수도 있고,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일 예로, 보강 영역(EA1)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정도(즉, 기울기의 절대값)가 가장자리 영역(EA2)에서 두께가 감소하는 정도(즉, 기울기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장자리 영역(EA2)에서 밀봉재(130)의 두께가 완만하게 줄어들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edge area EA2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inforcement area EA1 when viewed in a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n the edge area EA2 is gently reduced, so that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idth of the reinforcement area EA1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edge area EA2 . When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solar panel 100 toward the edge, the degree to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in the reinforcement area EA1 (ie,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is the degree to which the thickness decreases in the edge area EA2 (ie,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 the absolute value of the slope) may be equal to, greater than, or less than. For example, the degree to which the thickness is increased in the reinforcement area EA1 (ie, the absolute value of the slope) may be greater than the degree to which the thickness is decreased in the edge area EA2 (ie, the absolute value of the slope).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n the edge area EA2 is gently reduced, so that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일 예로, 밀봉재(130)가 최대 두께인 제2 두께(T2)를 가지는 부분은 외측 태양 전지(10a)의 외측 경계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밀봉재(130)가 최대 두께인 제2 두께(T2)를 가지는 부분은 외측 태양 전지(10a)의 외측 경계에서 외측 태양 전지(10a)의 길이(일 예로, 최대 길이)의 20% 이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밀봉재(130)가 최대 두께인 제2 두께(T2)를 가지는 부분의 위치가 외측 태양 전지(10a)의 외측 경계와 일치하거나, 외측 태양 전지(10a)의 외측 경계의 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측 태양 전지(10a)의 외측 경계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having a second thickness T2 that is the maximum thickness may be located adjacent to an outer boundary portion of the outer solar cell 10a. That is, the port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2, which is the maximum thickness, is located within 20% of the length (eg, the maximum length) of the outer solar cell 10a at the outer boundary of the outer solar cell 10a. can d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ort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2, which is the maximum thickness, coincides with the outer boundary of the outer solar cell 10a, is located inside the outer boundary of the outer solar cell 10a, or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outer boundary of the outer solar cell 10a.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6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앙부, 보강부 및 가장자리부의 경계들이 각기 밀봉재(130)의 중앙 영역(CA), 보강 영역(EA1) 및 가장자리 영역(EA2)의 경계들에 각기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밀봉재(130)의 두께 차이가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에 그대로 반영되지 않아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앙부, 보강부 또는 가장자리부의 경계들이 각기 밀봉재(130)의 중앙 영역(CA), 보강 영역(EA1) 또는 가장자리 영역(EA2)의 경계들과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In FIG. 6 , the boundaries of the central part,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edge part of the solar cell panel 100 coincide with the boundaries of the central area CA, the reinforcement area EA1, and the edge area EA2 of the sealing material 130, respectively. It is exemplified to be located in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difference in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s not ref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s it is, so that the boundaries of the central portion, the reinforcing portion, or the edge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ar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sealing material 130 , respectively. (CA), the reinforcement area (EA1), or the edge area (EA2) does not perfectly coincide with the boundaries of the area may have a slight difference.

본 실시예에서 중앙 영역(CA)이 외측 영역(EA), 보강 영역(EA1) 및 가장자리 영역(EA2)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외측 영역(EA)은 태양 전지 패널(100) 또는 밀봉재(13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50% 미만의 면적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외측 영역(EA) 또는 보강 영역(EA1)은 외측 태양 전지(10a)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하여 위치하나, 내측 태양 전지(10b)에는 중첩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외측 영역(EA) 또는 보강 영역(EA1)의 면적을 줄여 밀봉재(130)의 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entral area CA may have a larger area than each of the outer area EA, the reinforcement area EA1, and the edge area EA2. That is, the outer area EA may have an area ratio of less than 50%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solar cell panel 100 or the encapsulant 130 . More specifically,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olar cell 10a but not overlap the inner solar cell 10b. Accordingly, the material cost of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area of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ing area EA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스트링(S)이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고, 외측 영역(EA)(또는 이에 포함된 보강 영역(EA1), 이하 동일)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의 양측에 각기 외측 영역(EA)이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태양 전지 스트링(S)의 양측 단부(즉, 제1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에는 버스 리본(도 1의 참조부호 145, 이하 동일)이 위치하므로 라미네이션 공정 시 압력이 가해져도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태양 전지) 등의 손상 또는 깨짐 등의 현상이 덜 심각한 반면, 제2 방향에서의 양측에는 버스 리본(145) 등이 전혀 위치하지 않아 라미네이션 공정 시 압력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 태양 전지(10) 등의 손상 또는 깨짐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영역(EA)이 제2 방향에서의 양측에서 각기 위치하도록 하여 압력에 의한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 태양 전지(10) 등의 손상 또는 깨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외측 영역(EA)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방향 또는 장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져 적은 개수의 보강 부분(132b)이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압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단축 방향으로 외측 영역(EA)이 위치하지 않아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방향에서 볼 때 밀봉재(130) 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중앙 영역(CA) 또는 중앙부보다 외측 영역(EA) 또는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보강 영역(EA1) 또는 보강부)에서 더 클 수 있다. 이와 달리 태양 전지 패널(100)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 단부에 보강 부분이 위치하면, 태양 전지 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밀봉재(130)의 두께 저감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solar cell string S is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ement area EA1 included therein), below The outer areas EA may b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o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Since bus ribbons (reference numeral 145 in FIG. 1, hereinafter the same) are located at both ends (ie, both end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olar cell string S,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the first or second cover While the phenomenon such as damage or cracking of the members 110 and 120 (solar cells), etc. is less serious, the bus ribbon 145 and the like are not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e A phenomenon such as damage or breakage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nd the solar cell 10 may easily occur. In consideration of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the solar cell 10, and the like are damaged or broken by pressure so that the outer areas EA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second direction.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area EA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lar cell string S or in a long axis direction, a small number of reinforcing parts 132b may have a sufficient area and effectively reinforce a portion where pressure is concentrated. can do. In addition, since the outer area EA is not locat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olar cell string S or the short axis direction,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In this case, when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or the solar cell panel 100 is greater than the central area CA or the central area, the outer area EA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eg, the reinforcing area EA1 ). ) or reinforcement) may be larger. Contrary to this, if the reinforcement parts are loca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it may be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that may occu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영역(EA)이 적어도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 부분에서 적어도 일부 위치할 수 있다. 일 변형예로,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영역(EA)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단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방향에서 볼 때 밀봉재(130) 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중앙 영역(CA) 또는 중앙부보다 외측 영역(EA) 또는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더 클 수 있다. 그러면, 외측 영역(EA)의 면적을 줄여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영역(EA)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길게 이어지는 프레임 형상을 가져 외측 영역(EA)에 의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및 제2 방향 각각에서 볼 때 밀봉재(130) 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중앙 영역(CA) 또는 중앙부보다 외측 영역(EA) 또는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더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영역(EA)이 태양 전지 패널(100)의 네 모서리 각각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외측 영역(EA)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서리 부근에서 일 방향에서 볼 때 밀봉재(130) 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중앙 영역(CA) 또는 중앙부보다 외측 영역(EA) 또는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더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영역(EA)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방향 또는 장축 방향에서 복수로 위치할 수도 있다. 외측 영역(EA)은 그 외에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area EA may be positioned at least partially at an edge or a corn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As a modific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7 , the outer area EA may have a shape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olar cell string S or a short axis direction. In this case, when viewed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or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greater in the central area CA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area EA or the outer portion than the central area CA. Then, the area of the outer area EA may be reduced,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7 , the outer area EA has a frame shape continuously extending along the entir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outer area EA can do. In this case, when view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or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greater in the central area CA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area EA or the outer portion than the central area CA. .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7C , the outer area EA may be partially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Accordingly, the area of the outer area EA may be minimize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encapsulant 130 or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greater in the outer area EA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portion than the central area CA or the central portion when viewed from one direction near the edge.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d) of FIG. 7 , a plurality of outer areas EA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lar cell string S or in a long axis direction. The outer area EA may have various other planar shapes.

이러한 밀봉재(130)의 중앙 영역(CA)과 외측 영역(EA)(특히, 보강 영역(EA1))의 두께 차이는,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적어도 하나가 보강 밀봉재로 구성되는 것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보강 밀봉재라 함은, 베이스 부분(도 8a의 참조부호 132a, 이하 동일)과, 베이스 부분(132a) 위에 위치하며 태양 전지(10)의 일부와 중첩되는 중첩부(OP)를 구비하는 보강 부분(도 8a의 참조부호 132b, 이하 동일)을 구비하는 밀봉재를 의미할 수 있다. 보강 밀봉재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8a 내지 도 8c,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보강 밀봉재가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압력에 의하여 눌리더라도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는 부분이 잔류되므로, 보강 부분(132b)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도록 보강 영역(EA1)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부분(132b)에 대응하도록 보강 영역(EA1)이 위치한다 함은, 보강 부분(132b)과 보강 영역(EA1)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강 부분(132b)이 존재하던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보강 영역(EA1)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영역(EA1)이 보강 부분(132b)보다 작은 영역에서 보강 부분(132b)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보강 부분(132b)과 다른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보강 영역(EA1)이 보강 부분(132b)와 같거나 그보다 큰 영역에서 보강 부분(132b)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도 있고 보강 부분(132b)과 다른 형상 및/또는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보강 부분(132b)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보강 영역(EA1)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것이고, 보강 영역(EA1) 외측에는 가장자리 영역(EA2)이 위치할 수 있다.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central area CA and the outer area EA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area EA1)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is made of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It may be due to being Here, the reinforcing sealant refers to a reinforcement having a base portion (reference numeral 132a in FIG. 8A , hereinafter the same) and an overlapping portion OP positioned on the base portion 132a and overlapping a part of the solar cell 10 . It may refer to a sealing material having a portion (reference numeral 132b in FIG. 8A, hereinafter the same). The reinforcing seala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and FIGS. 10 and 11 . If the reinforcing sealant includes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remains even when pressed by pressure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so the reinforcing region ( EA1) may be located. Here,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area EA1 to correspond to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eans that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nd the reinforcing area EA1 completely coincide with each other as well as the portion where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present. It may mean that the reinforcement area EA1 is positioned to overlap at least a part. For example,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n an area smaller tha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or may have a shape and/or area different from that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nd/or area as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n an area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nd may have a different shape and/or area tha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oves inward to extend the reinforcing area EA1 inward, and the edge area EA2 may be located outside the reinforcing area EA1.

일 예로,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방법에서 적층 공정(도 8a 참조, 이하 동일) 또는 라미네이션 공정 시 상부 쪽 또는 압력이 가해지는 쪽에 위치하게 될 제2 밀봉재(132)가 보강 밀봉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보강 부분(132b) 또는 보강 영역(EA1)에 의한 완충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밀봉재(131)가 보강 밀봉재로 구성되거나,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가 각기 보강 밀봉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부분(132b)이 제1 또는 제2 밀봉재(131, 132)에서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에 대향하는 면, 또는 이와 반대되는 면, 또는 제1 또는 제2 밀봉재(131, 132)의 양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panel 100,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r on the side to which pressure is appli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refer to FIG. 8A, hereinafter the same) or the lamination process is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can Having such a structure may maximize the buffering effect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or the reinforcing area EA1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may be formed of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or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may be formed of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dispos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 110 or 120 in the first or second sealing member 131 or 132 , or an opposite side thereof, or the first or second sealing member. It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131, 132).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밀봉재(130)의 형상에 의하여 제1 및/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일부 굴곡되거나 라운드지거나 경사진 부분을 구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영역(EA)(또는, 외측부)에서는 제2 두께(T2)를 가진 부분에서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영역(EA1)(또는, 보강부)와 가장자리 영역(EA2)(또는, 가장자리 부분)이 일종의 가우시안 분포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외측 영역(EA)은 제2 두께(T2)를 가진 부분에서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가지고 제2 두께(T2)를 가진 부분의 양측에 변곡점을 가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영역(EA)이 전체적으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Due to the shap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partially curved, rounded, or inclined portion. For example, the portion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2 in the outer area EA (or the outer portion) may have a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For example, the reinforcement area EA1 (or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edge area EA2 (or the edge part) may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a kind of Gaussian distribution. In this case, the outer area EA has a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in the portion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2 and has inflection points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having the second thickness T2 and is concavely formed. It may have a negative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area EA may have a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as a whole.

그리고 일 예로, 도 6에서는, 제2 밀봉재(132)가 보강 밀봉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는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압력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거나 공기 등으로 압력을 가하였기 때문인데, 이에 의하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강 부분(132b)이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경우에 이에 인접한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일부 굴곡되거나 라운드지거나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고, 이에 인접하지 않는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편평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As an example, in FIG. 6 , even when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is formed of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have symmetrical shapes.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is maintained below a certain level in the lamination process or pressure is applied with air or the like, thereby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djacent thereto include a partially curved, rounded, or inclined portion. and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that are not adjacent thereto may have a flat plate shape.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때, 보강 밀봉재에서 보강 부분(132b)이 베이스 부분(132a)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또는 제2 밀봉재(131, 132), 또는 밀봉재(130)가 경계 없이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어 일체의 구조 및 단일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태양 전지(10)의 일면(전면 또는 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외측 영역(EA) 또는 보강 영역(EA1)이 중앙 영역(CA)과 동일한 물질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reinforcing sealant,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se portion 132a. In this case, the first or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or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without boundaries to constitute an integral structure and a single body. Then,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have the same material as the central area CA when view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front or rear) of the solar cell 10 .

또는, 보강 밀봉재에서 보강 부분(132b)이 베이스 부분(132a)과 다른 물질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태양 전지(10)의 일면(전면 또는 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외측 영역(EA) 또는 보강 영역(EA1)의 적어도 일부가 중앙 영역(CA)과 다른 물질을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외측 영역(EA) 또는 보강 영역(EA1)에서 중앙 영역(CA)과 다른 물질을 가지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낮은 경도 및 높은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보강 영역(EA1)에서의 낮은 경도 및 높은 탄성에 의하여 완충 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분(132a)과 보강 부분(132b)의 물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밀봉재(132)가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밀봉재(132)에서 다른 물질로 구성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태양 전지(10)와 제2 커버 부재(120) 사이에서 외측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ternatively, in the reinforcing sealant,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portion 132a. Then, when view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front or rear) of the solar cell 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include a portion hav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ntral area CA. . For example, a portion hav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ntral area CA in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hardness and higher elasticity than the other portions. Then, the cushioning action may be maximized by the low hardness and high elasticity in the reinforcing area EA1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materials of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includes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t least a portion of the portion made of another material in the sealing material 132 is disposed between the solar cell 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 It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어느 하나가 보강 밀봉재로 구성되는 경우에, 보강 밀봉재의 베이스 부분(132a) 및 보강 부분(132b)은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다른 하나의 일부 또는 전체와 동일한 물질 또는 다른 물질을 가질 수 있다. Here, whe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is formed of a reinforcing sealant,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of the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are formed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 may have the same material or a different material as some or all of the other.

이하에서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밀봉재(130)의 베이스 부분(132a) 및 보강 부분(132b), 그리고 밀봉재(130)의 제1 구역(A1) 및 제2 구역(A2)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of the encapsulant 130, and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of the encapsulant 130, while describ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lar cell panel 100 in detail ( A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a 내지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에 적용될 수 있는 베이스 부분(132a) 및 보강 부분(132b)을 가지는 밀봉재(130)(일 예로, 제2 밀봉재(132))와 태양 전지(10)를 함께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8A to 8C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sealing material 130 (eg, a second sealing material 132) having a base portion 132a and a reinforcing portion 132b applicable to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solar cell 10 together.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공정에서는, 라미네이션 장치의 작업대(200) 위에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10) 및 제1 밀봉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20)를 적층한 적층 구조체(100a)를 위치시킨다. 도 8a 및 도 8b에는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10) 및 제1 밀봉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20)를 서로 이격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서로 접촉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8A , in the lamination process, the first cover member 110 ,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 the solar cell 10 and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2 on the work table 200 of the lamination apparatus, and The stacked structure 100a in which the second cover member 120 is stacked is positioned. 8A and 8B show the first cover member 110,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the solar cell 10, and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2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clear understanding. However, in reality, they may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제1 및 제2 밀봉재(131, 132) 중 적어도 하나,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밀봉재(132)가, 베이스 부분(132a)과, 베이스 부분(132a) 위에 위치하며 태양 전지(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중첩부(OP)를 구비하는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한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ealing material 132, is located on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solar cell ( 10) and a reinforcing portion 132b having an overlapping portion OP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10).

이와 같이 보강 부분(132b)이 태양 전지(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중첩부(OP)를 구비하도록 배치되면, 보강 부분(132b)에 의한 효과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부분(132b)이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적어도 외측 태양 전지(10a)와 중첩되는 중첩부(OP)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 태양 전지(10a)의 폭에 대한 중첩부(OP)의 폭의 비율이 10% 이상일 수 있다. 또는, 보강 부분(132b)의 폭(W)이 5cm 이상(일 예로, 7cm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보강 부분(132b)에 의한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때, 중첩부(OP)는 내측 태양 전지(10b)에는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disposed to have the overlapping portion OP overlapping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olar cell 10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effectively implemented. As an example,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include an overlapping portion OP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and overlapping at least the outer solar cell 10a. A ratio of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OP to the width of the outer solar cell 10a may be 10% or more. Alternatively, the width W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5 cm or more (eg, 7 cm or more). Within this range, the effect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maximized. In this case, the overlapping portion OP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the inner solar cell 10b.

그리고 보강 부분(132b) 없이 베이스 부분(132a)만이 구비된 제1 구역(A1)이 베이스 부분(132a) 및 보강 부분(132b)이 함께 구비된 제2 구역(A2)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보강 부분(132b)은 밀봉재(130)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50% 미만의 면적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강 부분(132b)의 면적을 줄여 밀봉재(130)의 재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first region A1 provided with only the base portion 132a without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area A2 provided with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together. . That is,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an area ratio of less than 50%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sealing material 13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of the sealing material 130 by reducing the area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베이스 부분(132a)이 일정한 두께(T10)을 가지고 보강 부분(132b)이 일정한 두께(T20)를 가진다. 이에 따라 보강 부분(132b) 없이 베이스 부분(132a)만이 구비된 제1 구역(A1)은 베이스 부분(132a)의 두께(T10)만을 가지고, 베이스 부분(132a) 및 보강 부분(132b)이 함께 구비된 제2 구역(A2)은 베이스 부분(132a)의 두께(T10) 및 보강 부분(132b)의 두께(T20)의 합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A1)이 100 내지 6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2 구역(A2)이 150 내지 1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 부분(132b)이 구비된 제2 구역(A2)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분(132b)은 라미네이션 공정 시 압력이 집중되어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및/또는 태양 전지(10)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두께를 증가시키는 부분으로서, 완충 작용 또는 보강 작용을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1 구역(A1)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제1 구역(A1)에서 밀봉재(130)의 부피 또는 두께를 줄여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ase portion 132a has a constant thickness T10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has a constant thickness T20 . Accordingly, the first region A1 provided with only the base portion 132a without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has only the thickness T10 of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re provided together. The formed second region A2 may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thickness T10 of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thickness T20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A1 may have a thickness of 100 to 600 μm, and the second region A2 may have a thickness of 150 to 1100 μm. Accordingly, the second region A2 in which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provided may have a relatively large thickness. As such,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partially formed in a portion where pressure is concentrat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to damage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nd/or the solar cell 10 to increase the thickness. It is a part that acts as a buffering or reinforcing part.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gion A1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he material cost may be reduced by reducing the volume or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n the first region A1 .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도 보강 부분(132b)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보강 영역(EA1)이 중앙 영역(CA)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보강 밀봉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보강 밀봉재의 보강 부분(132b)에 의하여 밀봉재(13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완충 작용을 최대화하여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및/또는 태양 전지(10)의 손상 또는 깨짐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that allows the reinforcing area EA1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to have a relatively larg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area CA may be used even after the lamination process. . Then, the sealing material 13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by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of the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nd/or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by maximizing the buffer a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solar cell 10 .

일 예로, 보강 부분(132b)의 두께(T20)가 베이스 부분(132a)의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보강 부분(132b)의 두께(T2)가 크면, 제1 구역(A1)과 제2 구역(A2) 사이의 단차가 커져서 원하지 않는 공정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 부분(132b)의 두께(T10)에 대한 베이스 부분(132a)의 두께(T20)의 비율(T20/T10)이 0.3 내지 0.8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T20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base portion 132a.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T2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large,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may increase, and thus undesirable process defects may occur. For example, the ratio (T20/T10) of the thickness T20 of the base portion 132a to the thickness T10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132b may be 0.3 to 0.8.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보강 부분(132b)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외측 영역(E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reinforcing part 132b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area EA shown in FIGS. 5 and 7 .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외측 영역(EA)에 대응하도록,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분(132b)이 태양 전지 스트링(S)이 연장되는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의 양측에 각기 보강 부분(132b)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보강 밀봉재를 사용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측 영역(EA)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EA shown in FIG. 5 , as shown in FIG. 9 ,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in which the solar cell string S extends. ), the reinforcing parts 132b may b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If the reinforcing sealant including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used, the outer area EA as shown in FIG. 5 may be formed.

그리고 일 변형예로, 도 7의 (a)에 도시한 외측 영역(EA)(또는 보강 영역(EA1), 이하 동일)에 대응하도록, 보강 부분(132b)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단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도시한 외측 영역(EA)에 대응하도록, 보강 부분(132b)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길게 이어지는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c)에 도시한 외측 영역(EA)에 대응하도록, 보강 부분(132b)이 베이스 부분(132a) 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네 모서리 각각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보강 부분(132b)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d)에 도시한 외측 영역(EA)에 대응하도록, 보강 부분(132b)이 태양 전지 스트링(S)과 평행한 방향 또는 장축 방향에서 복수로 위치할 수도 있다. 보강 부분(132b)은 그 외에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nd as a modification,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ntersects the solar cell string S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EA (or the reinforcing area EA1, hereinafter the same) shown in FIG. 7A . It may have a shape extending long in a direction or a minor axis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EA shown in FIG. 7B ,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a frame shape continuously extending along the entir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EA shown in FIG. 7C ,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partially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portion 132a or the solar cell panel 100 . can do. Accordingly, the area of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minimized.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arts 132b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r along a major axis of the solar cell string S to correspond to the outer area EA shown in FIG. 7D .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various other planar shapes.

이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는 적층 구조체(100a)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10) 및 제1 밀봉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20)를 일체화한다. 즉, 라미네이션 공정의 높은 온도에서 밀봉재(130)가 용융되어 경화되어 압력에 의하여 압착되는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의 사이 공간을 밀봉재(130)가 완전히 채우면서 태양 전지(10)를 밀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밀봉재(130)에 의하여 제1 커버 부재(110)와 제2 커버 부재(120)의 사이 공간이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태양 전지 패널(100)이 제조된다. 일 예로, 공기압을 제공하여 제1 커버 부재(110), 제1 밀봉재(131), 태양 전지(10) 및 제1 밀봉재(132) 및 제2 커버 부재(120)를 일체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태양 전지(10) 등에 큰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라미네이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B , in the lamination process, heat and pressure are applied to the laminate structure 100a to apply the first cover member 110 ,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 the solar cell 10 , and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2 .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is integrated. That is, the sealing material 130 completely fill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that is melted and hardened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lamination process and compressed by pressure. The battery 10 may be sealed. Accordingly,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110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may be completely filled by the sealing material 130 . Accordingly, the solar cell panel 100 as shown in FIG. 8C is manufactured. For example, the first cover member 110 ,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1 , the solar cell 10 , and the first sealing material 132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0 may be integrated by providing air pressure. Accordingly, the lamin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out applying a large pressure to the solar cell 10 or the like.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모두 유리 기판을 구비하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시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보강 밀봉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및/또는 태양 전지(10)의 손상 또는 깨짐 현상 등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보강 밀봉재를 사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re not used in the manufacturing of the solar cell panel 100 including the glass substrate, the reinforcing sealant having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not us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Damage or breakage of the cover members 110 and 120 and/or the solar cell 10 may be severe, and in this embodiment, a reinforcing sealant having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used to effectively prevent this.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라미네이션 공정 이후에도 밀봉재(130)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중앙 영역(CA) 및 외측 영역(EA)(일 예로, 보강 영역(EA1))을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도록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부분(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밀봉재(130)의 두께 저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및/또는 태양 전지(10)의 손상 또는 깨짐 현상을 좀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시의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after the lamination process,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include a central area CA and an outer area EA (eg, the reinforcing area EA1)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thus Correspondingly, a portion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portion in the out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provided. In this structure, it effectively prevents a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130 that may occur at the edge of the solar cell panel 100 due to the outflow of the sealing material 130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and / Alternatively, damage or breakage of the solar cell 10 may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Thereby, the defect rat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panel 100 can be reduced.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베이스 부분(132a)과 보강 부분(132b)이 서로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면서 일체의 구조를 구성하여,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보강 밀봉재가 단일의 몸체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보강 밀봉재는 압출 가공(extrusion)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티다이(T-die), 캘린더링(calendering) 등을 이용한 압출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8A to 8C,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each other and constitute an integral structure, so that the reinforcing sealant including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has a single body. . Such a reinforcing sealant may be formed by extrusion.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extrusion processing using a T-die, calendering, or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예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분(132a)과 보강 부분(132b)이 서로 다른 물질을 가지거나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분(132a)과 보강 부분(132b)은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부착되어 사용되거나, 별도의 접착층 없이 베이스 부분(132a) 위에 보강 부분(132b)을 올려놓아 적층 구조체(100a)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베이스 부분(132a)과 보강 부분(132b)이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보강 부분(132b)이 완충 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부분(132b)이 베이스 부분(132a)보다 낮은 경도 및 높은 탄성을 가져 완충 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부분(132a) 및 보강 부분(132b)은 다양한 물질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a modification, as shown in FIG. 10 ,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different materials or may be formed separately.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are attached and used by an adhesive layer (not shown), or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s placed on the base portion 132a without a separate adhesive layer to form the laminate structure 100a. It may also be used by forming a part. When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include different materials,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aximizing a buffering action. For example,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have lower hardness and higher elasticity than the base portion 132a to maximize the cushioning a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portion 132a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32b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도 11의 (a)에 본 발명의 실시예과 같이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보강 밀봉재를 구비한 태양 전지 패널을 촬영한 사진을 첨부하였고, 도 11의 (b)에 본 발명과 달리 보강 부분을 구비하지 않는 밀봉재를 구비한 비교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촬영한 사진을 첨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은 밀봉재가 보강 부분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만을 제외한 다른 구조, 물질, 특성 등이 모두 동일하였다. 도 1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서는 태양 전지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도 11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서는 태양 전지의 깨짐 현상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보강 부분(132b)을 구비하는 제1 및/또는 제2 밀봉재(131, 132)에 의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에서의 태양 전지의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 photo of a solar cell panel provided with a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having a reinforcing portion 132b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FIG. A photograph of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having a sealing material without a was attached. The solar cell panels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ad all the same structures, materials, properties, etc. except for whether or not the encapsulant had a reinforcing part. As shown in FIG. 11( a ), in the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acking of the solar cell did not occur, but as shown in FIG. 11( b ), in the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olar cell It can be seen that the battery is broken.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racking of the solar cell in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prevented by the first and/or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including the reinforcing part 132b.

그리고 보강 부분(132b)에 의하여 높은 온도 및/또는 충분한 압력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바 라미네이션 공정의 공정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 공정의 공정 시간을 20%까지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제1 및/또는 제2 밀봉재(131, 132)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 부분(132a)만을 위치시켜 밀봉재(130)의 재료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 전지 패널(100)의 제조 시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and/or a sufficient pressure by the reinforcing part 132b, the process time of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effectively shortened. For example, the process time of the lamination process can be reduced by 20%. On the other hand, in the portion of the first and/or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to which a relatively small pressure is appli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only the base portion 132a having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is positioned to reduce the material cost of the sealing material 130 .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productivit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olar cell panel 100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와 아래의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들을 서로 결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Hereinafter, solar panel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parts to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combin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a modified example thereof and the following embodiment or a modified example thereof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에서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두께가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in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include port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봉재(130)는, 중앙 영역(CA)과, 중앙 영역(CA)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CA)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EA1)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는,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외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유리 기판으로 구성되는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제조 공정에서 압연 공정 등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외측부의 두께가 중앙부보다 얇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측부가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태양 전지 패널(100)의 중앙부와 같은 두께를 가지거나 중앙부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aling material 130 includes a central region CA and a reinforcing region EA1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CA and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region CA. The provided outer area EA may be included.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and an outer portio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This is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outer portion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 110 or 120 may be thinn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due to the rolling process or the lik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 110 or 120 composed of the glass substrate. am. In this case, the outer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and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or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central portion.

도 12에서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각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외측 부분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외측 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외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외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외측 부분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보강 부분(도 8 또는 도 10의 참조부호 132b, 이하 동일), 보강 영역(EA1) 등을 위치시킬 수 있다. 12 illustrates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has an outer portion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n addition, in FIG. 12 , it is exemplified that the outer portions positioned at both edges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portion positioned at at least one of the edges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 110 and 120 may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portion (reference numeral 132b of FIG. 8 or 10 , hereinafter the same) and the reinforcing area EA1 may be positio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outer portion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100)에서는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표면(특히, 내면)에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는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 크기 등을 가지는 요철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에 의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에 입사되는 광량을 최대화하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을 향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in the solar cell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for preventing reflection on the surfaces (particularly, inner surfaces)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 ) can be formed. Th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may be formed of concavo-convex portions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capable of increasing surface roughnes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maximized by th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to improve the output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그런데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봉재(130)가, 중앙 영역(CA)과, 중앙 영역(CA)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 영역(CA)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EA1)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E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가장자리 부근에서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이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날 수 있는 구조에서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are provided, more leakag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occur due to the pressure applie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In this structur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aling material 130 includes the central area CA and the reinforcing area EA1 located outside the central area CA and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area CA. The provided outer area EA may be included. The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external leakag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rnal leakag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may occur rela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edge.

도 13에서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균일한 두께를 가져 태양 전지 패널(100)이 밀봉재(130)와 유사한 두께 형태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도 1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가 각기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내면에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또는 제2 커버 부재(110, 120)의 외면에도 반사 방지 구조(110a, 120a)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3 illustrates that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have uniform thicknesses, so that the solar cell panel 100 has a thickness similar to that of the sealing material 13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include portio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s i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2 . In addition, in FIG. 13 ,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each hav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hav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13 illustrates that th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nti-reflection structures 110a and 120a may also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or second cover members 110 and 120 .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중앙 영역(CA)보다 외측 영역(EA)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보강 영역(EA1) 또는 가장자리 영역(EA2))이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다른 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exemplified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area EA (eg, the reinforcement area EA1 or the edge area EA2) has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area C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또는 제2 밀봉재(131, 132)가 보강 밀봉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중앙 영역(CA)과 외측 영역(EA)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져 태양 전지 패널(100)의 두께가 균일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중앙 영역(CA)의 밀도보다 외측 영역(EA)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보강 영역(EA1) 또는 가장자리 영역(EA2))의 밀도가 더 크거나, 또는 도 14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패널(100)의 외측 영역에 단차(SP) 또는 두께가 변화하는 경사부가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보강 밀봉재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보강 부분(132b)이 위치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 동일한 수준으로 압축되어야 하므로, 해당 부분의 밀도가 더 커지거나, 이에 의하여 두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보강 영역(EA1)에 의한 완충 작용이 충분하지 않아 밀봉재(130)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거나 커버 부재(110, 120)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14 , even when the first and/or second sealing materials 131 and 132 are formed using the reinforcing sealing material, the central area CA and the outer area EA have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so that the solar cell The thickness of the panel 100 may be uniform. In this case, the density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area EA (eg, the reinforcement area EA1 or the edge area EA2) is greater than the density of the central area CA, or in the enlarged circle of FIG. 14 . As illustrated,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varying step SP or thickness may be loca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solar cell panel 100 . This is because, in the reinforcing sealant, the portion in which the relatively thick reinforcing portion 132b is located must be compressed to the same level as the other portions, so that the density of the portion increases or, thereby, a thickness change occurs. However, in this case,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of the sealing material 130 to the outside or damage to the cover members 110 and 120 may not be sufficient because the buffer action by the reinforcing area EA1 is not sufficient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

도 4에서는 태양 전지(10)의 일면을 기준으로 버스바 전극(42b)이 3개 구비되고 인터커넥터(142)가 3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바 전극(42b) 및 이에 일대일 연결되는 인터커넥터(142)의 개수가 2개 이상일 수 있다. 4 illustrates that three bus bar electrodes 42b are provided and three interconnectors 142 are provided based on one surface of the solar cell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bus bar electrode 42b and the interconnectors 142 connected thereto one-to-one may be two or more.

일 예로, 인터커넥터(142)가 와이어 형상의 배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패널에 포함되는 태양 전지 및 이에 연결된 배선재를 도시한 전면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태양 전지 및 이에 연결된 배선재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For example, the interconnector 142 may be formed of a wire-shaped wiring material.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 15 is a front plan view illustrating a solar cell included in a solar cell panel and a wiring member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ar cell shown in FIG. 15 and a wiring member connected thereto.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와이어 형상의 배선재는, 일 예로, 각 태양 전지(10)의 일면 기준으로 리본의 개수(예를 들어, 2개 내지 5개)보다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작은 폭에 의하여 배선재에 의하여 광 손실 및 재료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많은 개수의 배선재에 의하여 캐리어의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손실을 줄이면서도 캐리어의 이동 거리를 줄여 태양 전지(10)의 효율 및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을 향상할 수 있고, 배선재에 의한 재료 비용을 줄여 태양 전지 패널(100)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15 and 16 , the wire-shaped wiring material, for example, may be provided in a number greater than the number of ribbons (eg, 2 to 5) based on one surface of each solar cell 10 . . The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er by a large number of wiring members while minimizing light loss and material cost by the wiring member due to the small width. As described above,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10 and the output of the solar panel 100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rier while reducing the light loss,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olar panel 100 can be reduced by reducing material costs due to wiring materials. can improve

일 예로, 일면을 기준으로 버스바 전극(42b) 및 인터커넥터(142)의 개수가 각기 6개 내지 33개(예를 들어, 8개 내지 33개, 일 예로, 10개 내지 33개, 특히, 10개 내지 15개)일 수 있고,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busbar electrodes 42b and interconnectors 142 is 6 to 33 each (eg, 8 to 33, for example, 10 to 33, in particular, based on one surface) 10 to 15), and may be positioned at a uniform distance from each other.

그리고 와이어 형상의 배선재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예를 들어, 1mm 초과)을 가지는 리본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배선재의 최대 폭이 1mm 이하(일 예로, 500㎛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250 내지 500㎛)일 수 있다. 여기서, 배선재의 최대 폭은 배선재의 중심을 지나는 폭 중 가장 큰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배선재가 상술한 최대 폭을 가질 때 배선재의 저항을 낮게 유지하고 광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태양 전지(10)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shaped wiring material may have a smaller width than a ribbon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eg, greater than 1 mm). For example, the maximum width of the wiring member may be 1 mm or less (eg, 500 μm or less, more specifically, 250 to 500 μm). Here, the maximum width of the wiring material may mean the largest width of the width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ring material. When the wiring material has the above-described maximum width, it can be smoothly attached to the solar cell 10 while maintaining a low resistance of the wiring material and minimizing light loss.

이와 같이 작은 폭을 가지는 배선재의 개수를 많은 개수로 사용할 경우에 태양 전지(10)에 배선재를 부착하는 공정이 복잡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배선재는 코어층(142a)과 이의 표면에 형성되는 솔더층(142b)을 함께 구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복수의 배선재를 태양 전지(10)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는 공정에 의하여 많은 개수의 배선재를 효과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wiring material to the solar cell 10 from becoming complicated when the number of wiring materials having a small width is used in large numbers, in this embodiment, the wir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core layer 142a and its surface. It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the solder layer 142b to be formed. Then, a large number of wiring materials can be effectively attached by a process of applying heat and pressure while the plurality of wiring materials are mounted on the solar cell 10 .

이러한 배선재 또는 이에 포함되어 배선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코어층(142a)이 라운드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선재 또는 코어층(142a)의 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원형, 또는 원형의 일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의 일부,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ing material or the core layer 142a included therein and occupying most of the wiring material may include a rounded portion.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wiring member or the core layer 142a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circular, or a portion of a circle, an ellipse, or a portion of an ellipse, or a curved portion.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면 솔더층(142b)을 코어층(142a)의 표면 위에 전체적으로 위치한 구조로 배선재를 형성하여 솔더 물질을 별도로 도포하는 공정 등을 생략하고 태양 전지(10) 위에 바로 배선재를 위치시켜 배선재를 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재의 부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배선재의 라운드진 부분에서 반사 또는 난반사가 유도되어 배선재에 반사된 광이 태양 전지(10)로 재입사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태양 전지(10)로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되므로 태양 전지(10)의 효율 및 태양 전지 패널(100)의 출력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배선재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f it has such a shape, the wiring material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older layer 142b is located entirely on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142a, and the process of separately applying the solder material is omitted, and the wiring material is placed directly on the solar cell 10 to provide the wiring material. can be attached. Accordingly,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wiring member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reflection or diffuse reflection is induced in the rounded portion of the wiring material, so that the light reflected on the wiring material is re-entered into the solar cell 10 to be reused. 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solar cell 10 is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10 and the output of the solar cell panel 100 may be improv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wire constituting the wiring material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quadrangle and may have various other shapes.

본 실시예에서 배선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어층(142a)과, 코어층(142a)의 표면 위에 형성되며 솔더 물질을 포함하여 전극(42, 44)과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솔더층(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솔더층(142b)은 일종의 접착층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코어층(142a)은 Ni, Cu, Ag, Al 등을 주요 물질(일 예로, 50wt% 이상 포함되는 물질, 좀더 구체적으로 90wt% 이상 포함되는 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솔더층(142b)은 Pb, Sn, SnIn, SnBi, SnPb, SnPbAg, SnCuAg, SnCu 등의 솔더 물질을 주요 물질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어층(142a) 및 솔더층(142b)이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iring material includes a core layer 142a made of metal, and a solder layer 142b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layer 142a and including a solder material to enable soldering with the electrodes 42 and 44. may include That is, the solder layer 142b may serve as a kind of adhesive layer. For example, the core layer 142a may include Ni, Cu, Ag, Al, etc. as a main material (eg, a material containing 50 wt% or more, more specifically, a material containing 90 wt% or more). The solder layer 142b may include a solder material such as Pb, Sn, SnIn, SnBi, SnPb, SnPbAg, SnCuAg, or SnCu as a main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e layer 142a and the solder layer 142b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한편, 태빙 공정에 의하여 배선재를 태양 전지(10)에 부착하게 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10)에 부착 또는 연결된 배선재의 부분에서 솔더층(142b)의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solar cell 10 by the tabbing process, as shown in FIG. 16 , the shape of the solder layer 142b in the portion of the wiring material attached to or connected to the solar cell 10 is changed. .

좀더 구체적으로, 배선재는 솔더층(142b)에 의하여 버스바 전극(42b)(일 예로, 버스바 전극(42b)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한 복수의 패드부(422, 442))에 부착될 수 있다. 태빙 공정에 의하여 배선재가 태양 전지(150)에 부착할 때, 태빙 공정 중에 각 솔더층(142b)이 제1 또는 제2 전극(42, 44)(좀더 구체적으로, 패드부(422, 442)) 쪽으로 전체적으로 흘러내려 각 패드부(422, 442)에 인접한 부분 또는 패드부(422, 442)와 코어층(142a) 사이에 위치한 부분에서 솔더층(142b)의 폭이 패드부(422, 442)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일 예로, 솔더층(142b)에서 패드부(422, 442)에 인접한 부분은 코어층(142a)의 폭 또는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솔더층(142b)의 폭은 패드부(422, 442)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wiring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bus bar electrode 42b (eg, a plurality of pad parts 422 and 44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s bar electrode 42b) by the solder layer 142b. When the wir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solar cell 150 by the tabbing process, each solder layer 142b is formed on the first or second electrodes 42 and 44 (more specifically, the pad parts 422 and 442) during the tabbing process. The width of the solder layer 142b in a portion adjacent to each of the pad portions 422 and 442 or located between the pad portions 422 and 442 and the core layer 142a as the width of the solder layer 142b exceeds the pad portions 422 and 442. It can grow progressively as you go.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solder layer 142b adjacent to the pad portions 422 and 442 may have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core layer 142a.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solder layer 142b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ad portions 422 and 442 .

이와 같이 복수의 배선재를 포함하는 구조에서는 배선재가 태양 전지(1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위치하게 되므로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태양 전지(10)에 압력이 더 많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선재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거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우므로,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리본에 비하여 라미네이션 공정에서의 압력을 분산하는 효과가 적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선재가 구비되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의 압력 분산 효과가 크지 않아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태양 전지(10) 등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더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밀봉재(130)가 적용되어 라미네이션 공정 중에 태양 전지(10) 등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structure including the plurality of wiring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ring material is positioned close to the edge of the solar cell 10 , more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solar cell 10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wiring members have a rounded shape or have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compared to their width, the effect of dispersing pressure in the lamination process may be less than that of a ribbon having a flat shape. When the wir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is way, the pressure dispersing effect in the lamination process is not large, so that more problems such as cracks in the solar cell 10 may occur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Since the sealing material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problems such as cracks in the solar cell 10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에 의한 것으로, 과제고유번호 20163010012430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 전문기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및 과제고유번호 1415148844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의한 것입니다. This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national R&D project, and project specific number 20163010012430 (Ministry nam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search management agency: Korea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Institute) and project specific number 1415148844 (Ministry nam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search management) Specialized organization: Korea Industrial Technology Promotion Agency).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as described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mor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for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태양 전지 패널
110: 제1 커버 부재
120: 제2 커버 부재
130: 밀봉재
10: 태양 전지
CA: 중앙 영역
EA: 외측 영역
EA1: 보강 영역
EA2: 가장자리 영역
100: solar panel
110: first cover member
120: second cover member
130: sealing material
10: solar cell
CA: Central Zone
EA: outer area
EA1: Reinforcement area
EA2: Edge area

Claims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 개의 태양 전지와,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의 일면 위에 위치하고 베이스 부분과 보강 부분을 구비하는 제1 밀봉재와, 상기 태양 전지의 타면 위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와, 상기 제1 밀봉재 위에 위치하는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밀봉재 위에 위치하는 제2 커버 부재를 적층하여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층 구조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두께를 갖는 상기 베이스 부분을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위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두께와 다른 제2 두께를 갖는 보강 부분을 상기 제1 커버 부재의 모서리 또는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중 최외곽에 위치한 태양전지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최외곽에 위치한 태양전지의 일부와 중첩하는 중첩부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재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영역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영역은, 상기 보강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 영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가장자리가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을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A plurality of solar cells, a first sealing materi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having a base portion and a reinforcing portion, a second sealing material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olar cells, and a first sealing material located on the first sealing material forming a laminated structure by laminating a cover member and a second cover member positioned on the second sealing material; and
Laminating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laminated structure
including,
Forming the laminated structure comprises:
disposing the base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over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different from the first thickness is disposed between a corner or an edge reg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an outermost solar cell among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disposing over the base portion to have an overlap portion overlapping a portion;
including,
The sealing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includes a central region and an outer region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egion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region,
The outer region may further include an edge region positioned outside the reinforcement region and having an edge having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reinforcement reg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재가,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 영역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 영역이 구비되는 외측 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태양 전지 패널이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부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fter the laminating step, the sealing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is provided with a central region, and a reinforcing region located outside the central region and having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central region. comprising an outer region; or
and an outer portion in which the solar cell panel is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and provided with a reinfor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의 폭에 대한 상기 중첩부의 폭의 비율이 10%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보강 부분의 폭이 5cm 이상인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to the width of the solar cell is 10% or more, o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in which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is 5 cm or mor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의 폭에서 상기 보강 부분의 폭을 제외한 제1 구역은 상기 보강 부분의 폭에 해당하는 제2 구역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in which a first area excluding a wid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from a width of the base portion has a larger area than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두께가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in which the second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과 다른 물질을 가지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거나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놓여지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inforcing portion has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base portion or is form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or overlying the base por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과 다른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보다 낮은 경도 및 높은 탄성을 가지는 태양 전지 패널의 제조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reinforcing portion comprises a different material than the base portion;
The reinforcing por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having a lower hardness and higher elasticity than the base portion.
KR1020190023132A 2018-03-28 2019-02-27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79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65374.0A EP3547374A1 (en) 2018-03-28 2019-03-27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060015A JP6862486B2 (en) 2018-03-28 2019-03-27 Solar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6/368,228 US10937917B2 (en) 2018-03-28 2019-03-28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10034149A KR102367366B1 (en) 2018-03-28 2021-03-16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877 2018-03-28
KR20180035877 2018-03-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149A Division KR102367366B1 (en) 2018-03-28 2021-03-16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559A KR20190113559A (en) 2019-10-08
KR102397996B1 true KR102397996B1 (en) 2022-05-16

Family

ID=6820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132A KR102397996B1 (en) 2018-03-28 2019-02-27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9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717B1 (en) * 2019-09-03 2024-05-07 상라오 신위안 웨동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3298A (en) * 2004-12-15 2006-06-2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Solar cell module
JP2016181660A (en) * 2015-03-25 2016-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Solar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0295D0 (en) * 2009-06-16 2009-07-29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structure
WO2015182755A1 (en) 2014-05-30 2015-12-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KR102065170B1 (en) * 2018-01-03 2020-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olar cell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3298A (en) * 2004-12-15 2006-06-2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Solar cell module
JP2016181660A (en) * 2015-03-25 2016-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Solar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559A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36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panel
US11843062B2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JP6804485B2 (en) Solar panel
EP3826075B1 (en) Solar cell module
EP4092759A1 (en) Solar cell panel
CN110311002B (en) Interconnecting member for solar panels and solar panel comprising same
EP3091580A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KR101838969B1 (en) Solar cell panel
EP3648177B1 (en)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7996B1 (en) Solar cel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091351A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KR20170011140A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KR101890288B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US11810991B2 (en) Solar cell panel
KR102397973B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US20220077339A1 (en) Solar cell panel
KR101816154B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KR102665568B1 (en) Solar cell panel
KR20230038356A (en) SOLAR CELL,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OLAR CELL MODULE having the same
KR20210050785A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with the same
KR20190111781A (en) Interconnecting member for solar cell pane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KR20180044445A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panel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6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16

Effective date: 2021122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