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780B1 - 실내용 포충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용 포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780B1
KR102397780B1 KR1020200053842A KR20200053842A KR102397780B1 KR 102397780 B1 KR102397780 B1 KR 102397780B1 KR 1020200053842 A KR1020200053842 A KR 1020200053842A KR 20200053842 A KR20200053842 A KR 20200053842A KR 102397780 B1 KR102397780 B1 KR 10239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ticky
body portion
roll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774A (ko
Inventor
전찬민
박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클
Priority to KR102020005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7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4Spades; Shovel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6Fly paper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사용자가 더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끈끈이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유인등에 의해 근처로 유인된 해충을 더욱 확실히 흡인하여 포집할 수 있는 실내용 포충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는, 후면에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이 배치된 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측으로부터 평판 형태의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LED 모듈과 마주보게 장착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후방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끈끈이 영역 표면상의 이형지를 벗기며 권취하고, 반대로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가 인출될 때 상기 이형지를 다시 풀어 덮어주는 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실내용 포충 장치 {Interior Appraratus For Collecting Vermin}
본 발명은 실내용 포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고 빛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끈끈이로 포집하는 방식의 포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환경내에서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전염병의 매개체이기도 한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을 퇴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살충 장치 및 포충 장치 등이 제시되고 있다. 약제 살포 방식의 살충제를 이용한 살충 장치, 감전 살충 방식의 전기 살충 장치, 빛이나 냄새로 유인된 해충을 접착식으로 포집하는 끈끈이 포충 장치, 자외선 또는 냄새로 유인된 해충을 바람으로 흡인하여 가두는 팬 방식의 포충 장치 등이 그 예이다.
이같이 다양한 방식의 장치들이 이미 제시되었지만, 실내에 적합한 살충/포충 장치는 많지 않다. 약제 살포 방식의 살충 장치는 약제의 독성 혹은 약제가 용해된 용제가 건강에 해가 될 우려가 있다. 감전 살충 방식의 살충 장치는 해충이 감전되어 타 죽는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나 해충의 파편이 비산되고, 큰 소리와 냄새를 유발한다. 흡인 팬 방식의 포충장치는 강한 흡인력을 요하므로 고출력의 팬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끈끈이 포충 장치의 경우, 끈끈이에 붙은 해충이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경우가 많고, 끈끈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죽은 해충이 떨어지는 등 위생적인 관리가 어렵다.
실내에서의 포충 및 살충을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선행특허문헌을 살펴본 바에 따르면, 전면과 후면 각각의 커버 내측에 끈끈이가 삽입되고, 이들 전면 및 후면 커버 사이에 유인등이 배치되어,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끈끈이로 포집하는,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특허문헌1)가 제시된 바 있다. 앞서 언급된 다양한 살충/포충 방식 중 실내 환경에 적합한 방식을 택하고,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조명 등의 장식적 요소가 포함되었다는 측면에서도 발전된 형태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추가적인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첫째, 끈끈이 카트리지 교체 시의 사용자 편의성이 부족하다. 사용후에 해충 사체가 붙은 끈끈이 카트리지를 빼내어 버리는 과정이 사용자의 혐오감을 유발하고, 해충 잔해가 떨어지는 등 위생을 해칠 위험이 있다. 둘째, 해충 유인 수단을 유인등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장치 근처에 모여든 해충을 확실히 포집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 셋째, 유인등인 자외선 램프와 조명용 LED에서 발생하는 열이 축적되어 성능이나 효율이 떨어질 우려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922329호(2009.10.12)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기능 및 간접 조명 기능을 겸비한 끈끈이 방식의 실내용 포충 장치로서, 끈끈이 교체 시에 사용자가 더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끈끈이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유인등에 의해 근처로 유인된 해충을 더 확실히 유입하여 포집하는 것, 또는 유인등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함과 동시에 그 열을 해충 유인을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는, 전방을 향해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측으로부터 평판 형태의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LED 모듈과 마주보게 장착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후방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끈끈이 영역 표면상의 이형지를 벗기며 권취하고, 반대로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가 인출될 때 상기 이형지를 다시 풀어 덮어주는 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는 슬라이드 삽입 시 상기 이형지 중 상기 롤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에 마련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롤러 표면과의 접착력이 상기 끈끈이 영역과의 점착력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용 포충 장치는,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의 슬라이드 방향과 같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렉 구조; 및 상기 렉 구조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의 직선운동을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피니언;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몸체부 측으로 융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융기부; 상기 융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흡기구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기구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측 외곽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네 측단 중에서 상기 롤러가 배치된 쪽에 위치한 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는, 후면에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이 배치된 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측으로부터 평판 형태의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LED 모듈과 마주보게 장착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후방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끈끈이 영역 표면상의 이형지를 벗기며 권취하고, 반대로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가 인출될 때 상기 이형지를 다시 풀어 덮어주는 롤러; 를 포함한다.
상기 끈끈이 카트리지는 슬라이드 삽입 시 상기 이형지 중 상기 롤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에 마련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롤러 표면과의 접착력이 상기 끈끈이 영역과의 점착력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몸체부는, 상기 후방 몸체부 측으로 융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융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융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흡기구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형 디스플레이 기능 및 간접 조명 기능을 겸비한 끈끈이 방식의 실내용 포충 장치로서, 끈끈이 교체 시에 사용자가 더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끈끈이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고, 유인등에 의해 근처로 유인된 해충을 더 확실히 유입하여 포집할 수 있으며, 유인등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함과 동시에 그 열을 해충 유인을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내용 포충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의 외관을 보인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a)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b) 그 B-B' 단면을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후방 몸체부에 끈끈이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 몸체부 및 끈끈이 카트리지의 구성 예를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몸체부를 (a) 후면 및, (b) 측면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의 외관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는 전방 몸체부(10)와, 후방 몸체부(20), 그리고 이들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는 끈끈이 카트리지(30)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 몸체부(10)와 상기 후방 몸체부(20)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서(25) 등의 구조물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5)는 후방 몸체부(20), 전방 몸체부(30), 또는 양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몸체부(20)는 통상 벽을 등지고 설치되고, 전방 몸체부(10)가 그 앞에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전방 몸체부(10)의 정면에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11)이 배치되고, 하우징(12)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테두리를 감싸며 후면측으로 이어진다. 상기 전방 몸체부(10)의 후면측에는 LED 모듈(13)이 배치되어, 상기 후방 몸체부(20) 또는 벽을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끈끈이 카트리지(30)(이하에서는 카트리지로 약칭함)는 상기 후방 몸체부(20) 전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데, 장착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카트리지판(31)과, 상기 카트리지판(31)의 전면에 형성된 끈끈이 영역(33), 그리고 상기 끈끈이 영역(33)을 덮는 이형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형지(32)는 사용자가 새 카트리지(30)를 밀어 넣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벗겨지고, 사용된 카트리지(30)를 당겨서 빼는 과정에서 상기 끈끈이 영역(33)의 표면에 다시 덮이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a)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b) 그 B-B' 단면을 보인다.
상기 전방 몸체부(10, 도 1 참조)의 후면을 살펴보면, 하우징(12)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LED 모듈(13)이 설치된다. 상기 LED 모듈(13)에는 해충 유인 효과가 있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제 1 LED 패키지(131)가 포함되고, 조명 효과를 위한 제 2 LED 패키지(132)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LED 패키지(131)에는 예컨대 UV LED가 포함될 수 있다. UV LED에 의한 해충 유인 효과는 물론 살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 2 LED 패키지(132)에는 백색 또는 기타의 가시광 LED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2)의 후면부 일측에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융기부(12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융기부(123)의 상기 하우징(12) 후면의 중앙부에 배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융기부(123)의 일측에는 흡기구(15)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배기구(17)가 마련된다. 상기 흡기구(15)와 상기 배기구(17) 사이에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흡기구(15) 내측에 흡기팬(1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팬(14)으로는 원심팬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기구(15)와 상기 흡기팬(14) 사이에는 에어필터(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16)는 상기 기본적으로는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여과 기능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까지 걸러주는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필터(16)로 헤파(HEPA)필터를 채용함으로써, 포집된 해충의 몸에서 떨어져 나온 병원체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고, 나아가 실내용 포충 장치가 공기청정기의 역할을 겸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기구(17)는 상기 흡기구(15)보다 상기 하우징(12)의 외곽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실내용 포충 장치의 주변으로부터 상기 흡기구(15) 쪽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고, 배기구(17)로 배출되는 공기가 이러한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배기구(17)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123)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내부 공간은 상기 흡기구(15)를 통해 안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LED 모듈(13)이 설치된 부분의 안쪽 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면 부분까지 소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LED 모듈(13)에서 전도된 열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면을 통해 배출되는 열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된 각종 회로 부품에서 발생한 열이 신속하게 상기 배기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13)의 방열을 위해 상기 하우징(12)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판재로 형성된 판금물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이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둘 이상의 부재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후방 몸체부에 끈끈이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인다.
후방 몸체부(20)의 전면 일측에는 롤러(22)가 배치된다. 상기 롤러(22)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 회전축이 상기 후방 몸체부(20)의 일측에 지지된다. 상기 롤러(22)는 상기 후방 몸체부(20)와 상기 롤러(22) 사이의 틈으로 전술한 카트리지(30)가 슬라이드 삽입될 때, 상기 롤러(22)를 회전시키며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롤러(22)가 상기 카트리지(30)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후방 몸체부(20)의 전면에는 상기 카트리지(30)의 외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30)를 지지하고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30)의 전면에 부착되어 끈끈이 영역(33)을 덮는 이형지(32)의 전단부, 즉 슬라이드 삽입 시에 가장 먼저 상기 롤러(22)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접착부(321)가 마련된다. 상기 접착부(321)는 상기 이형지(32)가 상기 끈끈이 영역(33)에 점착된 점착력보다 강한 접착력으로 상기 롤러(22)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착부(321)는 예컨대 양면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21)는 상기 카트리지(30)가 상기 롤러(22) 아래로 진입할 때, 상기 롤러(22) 표면에 부착된다. 그 결과 상기 카트리지(30)가 삽입되며 상기 롤러(22)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형지(32)는 상기 끈끈이 영역(33)으로부터 분리되며 권취, 즉 상기 롤러(22)의 둘레에 감기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카트리지(30)의 사용 후에 상기 끈끈이 영역(33)에 해충들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30)를 삽입 방향의 반대쪽으로 인출하면, 상기 롤러(22)가 반대로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영역(33) 표면에 상기 이형지(32)가 다시 덮이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이형지(32)가 다시 덮인 상태로 분리된 카트리지(30)를 폐기할 수 있게되어, 해충 사체로 인한 혐오감이 생길 여지가 없고, 폐기 과정에서 사용자가 해충 잔해에 노출될 염려도 없게 된다.
상기 이형지(32)는 합성수지 필름 또는 합성수지 코팅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적층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이형지(32)가 상기 끈끈이 영역(33)보다 다소 작은 크기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이형지(32)는 상기 끈끈이 영역(33)과 같거나 그보다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후방 몸체부 및 끈끈이 카트리지의 구성 예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카트리지(30, 도 3 참조)에는 슬라이드 방향과 같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렉 구조(314, 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렉 구조(314, 314')는 카트리지판(31)의 양측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 구조(314, 314')는 전술한 롤러(22)에 대해 고정된 피니언(224)의 톱니와 맞물려, 상기 카트리지판(31)의 직선 운동을 상기 롤러(22)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한다. 그 결과 상기 카트리지판(31)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롤러(22)가 회전하며 전술한 이형지(32)를 감게 된다.
본 도면에서 부분 확대도 A는 상기 렉 구조(314)가 상기 카트리지판(31)의 표면에 일렬로 형성된 요철에 의해 구현된 예를 나타낸다. 부분 확대도 A'은 이와 달리 상기 렉 구조(314')가 상기 카트리지판(31)의 일부에 일렬로 형성된 천공에 의해 구현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 몸체부를 (a) 후면 및, (b) 측면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포충 장치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좀 더 확장된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2B)을 포함하고, 배기구(17B)가 융기부(124)의 외곽이 아니라 상기 하우징(12B) 전체의 외곽의 일측에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124)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124),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회로부(125),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AD 보드(126) 등 다수의 회로부가 포함된다. 이들 회로부에는 작동시 발열을 수반하는 다수의 반도체 부품들이 포함된다. 반도체 부품의 성능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흡기구(15)로부터 흡기팬(14) 및 배기구(17B)를 통해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이러한 부품들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주변 공기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온기를 좋아하는 해충들에 대한 유인 능력도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도 2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B)의 주변으로부터 그 중심쪽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흐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LED 모듈(13)로부터 방출된 유인광에 의해 유인되어 포충 장치 주변으로 날아 온 해충들을 끈끈이 카트리지가 배치된 부분, 즉 상기 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의 사이의 공간까지 적극적으로 흡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배기구(17B)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흡기구(15)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완전히 분리하여 해충들에 대한 흡인력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17B)는 상기 하우징(12B)의 양측단에 배치될 수도 있고, 일측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구(17B)가 일측단에 배치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카트리지(30)가 삽입되는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30)가 삽입되는 쪽은 롤러(22, 도 3, 도 4 참조)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롤러 바깥쪽에 배기구(17B)를 배치하고 나머지 세 방면으로부터 해충의 유입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 전방 몸체부
11: 디스플레이 모듈 12, 12B: 하우징
14: 흡기팬 15: 흡기구
16: 에어필터 17, 17B: 배기구
20: 후방 몸체부 22: 롤러
25: 스페이서 30: 끈끈이 카트리지
31: 카트리지판 32: 이형지
33: 끈끈이 영역

Claims (10)

  1. 전방을 향해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
    평판 형태의 카트리지판과 상기 카트리지판의 일면에 형성된 끈끈이 영역을 포함하는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측으로부터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LED 모듈과 마주보게 장착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 사이에 상기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상기 카트리지판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영역 표면에 점착된 이형지를 자동으로 벗겨 권취하고, 반대로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인출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이형지를 다시 풀어 상기 끈끈이 영역의 표면을 다시 덮어주는,
    실내용 포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는 슬라이드 삽입 시 상기 이형지 중 상기 롤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에 마련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롤러 표면과의 접착력이 상기 끈끈이 영역과의 점착력보다 큰,
    실내용 포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판의 슬라이드 방향과 같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렉 구조; 및 상기 렉 구조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카트리지판의 직선운동을 상기 롤러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피니언; 을 더 포함하는,
    실내용 포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후방 몸체부 측으로 융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융기부;
    상기 융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흡기구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을 포함하는,
    실내용 포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와 상기 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를 더 포함하는,
    실내용 포충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적어도 일측 외곽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측단에 배치된,
    실내용 포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네 측단 중에서 상기 롤러가 배치된 쪽에 위치한 측단에 배치된,
    실내용 포충 장치.
  8. 후면에 해충을 유인하는 파장대의 빛을 방출하는 LED 모듈이 배치된 전방 몸체부;
    평판 형태의 카트리지판과 상기 카트리지판의 일면에 형성된 끈끈이 영역을 포함하는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
    상기 전방 몸체부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측으로부터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LED 모듈과 마주보게 장착되는 후방 몸체부;
    상기 전방 몸체부와 상기 후방 몸체부 사이에 상기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상기 카트리지판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끈끈이 영역 표면에 점착된 이형지를 자동으로 벗겨 권취하고, 반대로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가 인출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이형지를 다시 풀어 상기 끈끈이 영역의 표면을 다시 덮어주는,
    실내용 포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끈끈이 카트리지는 슬라이드 삽입 시 상기 이형지 중 상기 롤러에 먼저 접촉하는 전단부에 마련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롤러 표면과의 접착력이 상기 끈끈이 영역과의 점착력보다 큰,
    실내용 포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몸체부는,
    상기 후방 몸체부 측으로 융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융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융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
    상기 하우징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흡기구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배기구; 및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팬; 을 포함하는,
    실내용 포충 장치.
KR1020200053842A 2020-05-06 2020-05-06 실내용 포충 장치 KR10239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42A KR102397780B1 (ko) 2020-05-06 2020-05-06 실내용 포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42A KR102397780B1 (ko) 2020-05-06 2020-05-06 실내용 포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74A KR20210135774A (ko) 2021-11-16
KR102397780B1 true KR102397780B1 (ko) 2022-05-13

Family

ID=7871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842A KR102397780B1 (ko) 2020-05-06 2020-05-06 실내용 포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7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8491A1 (ja) * 2016-06-03 2017-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329B1 (ko) 2007-12-14 2009-10-21 이은혜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101167982B1 (ko) * 2010-01-26 2012-07-24 (주)비전앤바이오테크 해충예찰 트랩장치
KR20160001863U (ko) * 2014-11-22 2016-06-01 안상준 Uv led 포충기 및 이를 이용한 uv led 광고용포충기
KR101871447B1 (ko) * 2016-04-04 2018-06-26 오석재 해충 포집 기능을 갖는 광고장치
KR20190000020A (ko) * 2017-06-21 2019-01-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8491A1 (ja) * 2016-06-03 2017-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74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8090B (zh) 送风机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KR101717518B1 (ko) 공기조화기
TWI625097B (zh) Air supply device
JP3154622U (ja) 殺虫機能付き空気清浄装置
WO2016203787A1 (ja) 送風装置
WO2004071188A3 (en) Light emitting insect trap
JP2004254523A (ja) 害虫誘引捕獲器
CN110831437A (zh) 捕虫器
JP3141997U (ja) 害虫捕獲器
EP3632206A1 (en) Mosquito killing illumination device
JP2007289122A (ja) 昆虫捕獲器
KR20130139531A (ko) 해충 포획장치
KR20180137876A (ko)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20190000020A (ko)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KR102397780B1 (ko) 실내용 포충 장치
WO2000003588A1 (en) Combination mosquito killing system and insect attractor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WO2011004782A1 (ja) 捕虫用照明器具
KR100924160B1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0895489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100007493A (ko) 해충 포획장치
JP2022086031A (ja) 捕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