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446B1 - 내강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내강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446B1
KR102397446B1 KR1020200069850A KR20200069850A KR102397446B1 KR 102397446 B1 KR102397446 B1 KR 102397446B1 KR 1020200069850 A KR1020200069850 A KR 1020200069850A KR 20200069850 A KR20200069850 A KR 20200069850A KR 102397446 B1 KR102397446 B1 KR 10239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en
body portion
connecting member
bonding devic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852A (ko
Inventor
서동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20006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4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6439 priority patent/WO2021251650A1/ko
Publication of KR2021015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575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for closure at remote site, e.g. closing atrial septum defects
    • A61B2017/00606Implements H-shaped in cross-section, i.e. with occluder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9Side-to-side connections, e.g. shunt or X-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내강 접합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내강 접합 장치{Lumen approximator}
본 발명은 장치(device)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내강 접합 장치 및 내강 접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내과의 췌담도 분야는 물론 위장관 질환의 치료에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중재시술(EUS-guided intervention)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중재시술을 수행하는 경우, 위벽과 담낭 또는 위벽과 소장의 2개의 내강이 가까운 거리에서 안정되게 붙어 있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시술 도중에 2개의 내강이 서로 미끄러지거나, 거리가 멀어지거나 또는 일부만 천공 확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담즙성 복막염, 담낭 주위염, 소장 천공 및 스텐트 삽입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내강을 근접거리로 이동 및 고정함으로써 내시경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강 접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강 접합 장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강 접합 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일단에 니들부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강 접합 장치와, 상기 내강 접합 장치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내강 접합 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강 접합 장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강 접합 장치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몸체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평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절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강 접합 장치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강 접합 장치 및 내강 접합 어셈블리는 서로 떨어진 두 개의 내강을 근접거리로 이동 및 고정시킴으로써 중재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강 접합 장치의 제1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내강 접합 장치의 제2 상태에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내강 접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내강 접합 장치가 삽입된 내강 접합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b) 내지 도 2(e)는 도 2(a)의 내강 접합 어셈블리의 내강 접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강 접합 방법의 단계를 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한개의 내강 접합 장치에 의해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 및 도 4(c)는 복수개의 내강 접합 장치에 의해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내강 접합 후 시술장비가 인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강 접합 장치의 제1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내강 접합 장치의 제2 상태에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내강 접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내강 접합 장치(10)는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와, 연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강 접합 장치(10)는 내강 접합 장치(10)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 제1 상태(예를 들어, 내강 접합 장치(10)의 최초의 상태 또는 도 1(a)의 상태)와, 제1 상태의 내강 접합 장치(10)에 힘을 가하여 제1 상태로부터 변형된 상태인 제2 상태(예를 들어, 도 1(b)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는 다각면체, 원기둥, 반구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가 직육면체 형상의 플레이트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바디부(100)는 제1 바디부(100)의 일 단부에 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연결부재(300)의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선(C1)을 향해 절곡된 제1 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10)의 높이(a1)는 제1 바디부(100)의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10)는 인체 기관의 내벽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접촉면(111)에는 돌기가 구비되거나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제1 바디부(100)가 인체 기관의 내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00)는 제1 지지부(110)의 반대측 단부에 제1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0)는 연결부재(3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내강 접합 장치(10)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돌출부(120)는 연결부재(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내강 접합 장치(10)가 제2 상태인 경우 제1 돌출부(120)가 연결부재(300)의 일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120)는 제1 돌출부(120)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연결부재(30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00)는 제1 바디부(1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바디부(200)는 제1 바디부(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200)는 제2 지지부(210)와 제2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210)와 제1 지지부(110)는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합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결합부(400)에는 내강 접합 장치(10)를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3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400)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다각면체,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연결부재(300)가 플레이트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재(300)의 일단은 제1 지지부(110)의 일면에 연결되고, 연결부재(300)의 타단은 상기한 제1 지지부(110)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2 지지부(2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300)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3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연결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플랫한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00)의 일단은 제1 바디부(100)와 연결되고, 연결부재(300)의 타단은 제2 바디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는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도 1(a)의 X방향)에 수직하고 연결부재(300)의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선(C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강 접합 장치(10)가 제1 상태인 경우, 제1 바디부(100)는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도 1(a)의 X방향)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α)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제2 바디부(200)는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β)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100)가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α)와 제2 바디부(200)가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β)는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각도(α, β)는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45° 이상, 90° 이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기울어진 각도(α)는 기울어진 각도(β)와 상이할 수도 있다.
내강 접합 장치(10)는 제1 바디부(100)가 기울어진 각도(α) 또는 제2 바디부(200)가 기울어진 각도(β)를 조절하여, 내강 접합 장치(10)에 의한 두 개의 인체 기관의 접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각도(α) 또는 각도(β)가 감소하는 경우, 두 개의 인체기관의 접합거리가 줄어들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각도(α) 또는 각도(β)가 커지는 경우, 두 개의 인체기관의 접합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에 연결부재(300)의 중심을 향하여 힘을 인가하는 경우,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는 각각 연결부재(300)와 연결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는 도 1(b)의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상태인 내강 접합 장치(10)는 제2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내강 접합 장치(10)가 제2 상태인 경우,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가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돌출부(120)와 제2 돌출부(220)가 연결부재(300)에 맞닿음으로써 돌출부들(120, 220)이 돌출된 방향으로 연결부재(300)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00)는 상기와 같은 돌출부들(120, 2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유선형으로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재(300)는 제1 바디부(100)의 제1 돌출부(120) 또는 제2 바디부(200)의 제2 돌출부(220)를 향해 돌출된 가압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310)는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고 연결부재(300)의 중심을 지나는 임의의 선(C1)이 가압부(310)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돌출부(120)와 제2 돌출부(220)가 가압부(310)에 맞닿음으로써 가압부(310)와 돌출부들(120, 220)이 서로를 향해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00)는 상기와 같은 돌출부들(120, 2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유선형으로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재(300)는 인체 내부 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체내에 삽입 전 내강 접합 장치(10)는 제1 상태일 수 있으며, 내강 접합 장치(10)가 삽입되어 인체기관의 내부로 배출되면 제2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내강 접합 장치(10)는 일 예로서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체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의 내강 접합 장치가 삽입된 내강 접합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b) 내지 도 2(e)는 도 2(a)의 내강 접합 어셈블리의 내강 접합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강 접합 방법 단계를 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강 접합 어셈블리(1)는 내강 접합 장치(10)와, 몸체(20)와, 조절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강 접합 어셈블리(1)에 삽입되는 내강 접합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20)는 가요성(flexible)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다각기둥, 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20)가 원기둥 형상의 관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20)는 입구(미도시)와 출구(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미도시)는 일단에 내강 접합 장치(10) 및 조절부(30)가 삽입되는 유입로이며, 출구(22)는 내강 접합 장치(10)가 배출되는 배출로일 수 있다. 이때 몸체(20)의 내부 공간은 몸체(20)의 입구 및 출구(22)와 연통하는 이동통로일 수 있다.
몸체(20)는 출구(22)측 단부에 제1 대상체(O1) 및 제2 대상체(O2)의 벽에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니들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21)는 몸체(2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니들부(21)는 몸체(2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별개의 구조체일 수도 있다.
조절부(30)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절부(30)가 원기둥 형상의 와이어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조절부(30)는 몸체(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강 접합 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30)는 내강 접합 장치(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30)는 결합부(40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내강 접합 장치(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30)의 일단은 결합부(400)와 연결되고, 조절부(30)의 타단은 조절부(30)의 움직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유닛(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절부(30)는 사용자가 제어유닛(미도시)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부(400)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절부(30)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리일 수 있다.
내강 접합 어셈블리(1)는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를 근접하게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대상체(O1) 및 제2 대상체(O2)는 서로 떨어진 두 개의 인체기관(예를 들어, 위와 소장, 또는 위와 담낭)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 대상체(O1) 및 제2 대상체(O2)는 그 밖의 서로 떨어진 두 개의 구조체일 수도 있다.
내강 접합 어셈블리(1)를 이용하여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를 접합하는 방법(S10)은, 내강 접합 장치(10)를 몸체(20)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S11)와, 니들부(21)를 이용해 제1 대상체(O1) 및 그와 인접한 제2 대상체(O2)에 관통홀을 뚫는 단계(S12)와, 내강 접합 장치(10)를 제2 대상체(O2)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S13)와,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단계(S14)와,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강 접합 어셈블리(1)를 이용한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의 접합 과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우선, 내강 접합 장치(10)를 몸체(2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S11). 일 실시예로서, 삽입된 내강 접합 장치(10)는 몸체(20)의 내부에서 출구(22) 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20)에 삽입하기 전에 내강 접합 장치(10)에 외력을 가하여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가 평평해진 상태(예컨대, 내강 접합 장치의 제2 상태)로 변형시킨 후 내강 접합 장치(10)를 몸체(20)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강 접합 장치(10)는 제1 바디부(100)와 제2 바디부(200)가 몸체(20)의 내벽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몸체(20)의 내부에 서 제2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120)의 높이(a1) 및 제2 돌출부(220)의 높이(a2)는 몸체(20)의 내부 직경(D)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00) 또는 제2 바디부(200)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으로부터 연결부재(300)의 상부면까지의 최대 높이(b)는 몸체(20)의 내부직경(D)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니들부(21)를 이용하여 제1 대상체(O1)의 벽에 제1 관통홀(h1)을 뚫은 후, 제1 대상체(O1)와 떨어져 있는 제2 대상체(O2) 벽에 제2 관통홀(h2)을 뚫을 수 있다(S12). 일 실시예로서 제1 관통홀(h1)와 제2 관통홀(h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는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니들부(21) 및 몸체(2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대상체(O2)의 내부에 배치되고, 몸체(20)의 다른 일부는 제1 대상체(O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내강 접합 장치(10)를 제2 대상체(O2)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S13). 이때 사용자는 조절부(30)를 컨트롤하여 몸체(20) 내부에 삽입된 내강 접합 장치(10)를 몸체(20)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도 2(b)의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강 접합 장치(10)는 몸체(20)의 내부에서 제2 상태를 유지하며 제2 대상체(O2)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내강 접합 장치(10)가 제2 대상체(O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00)가 몸체(20)의 내부로부터 제2 대상체(O2)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바디부(100)는 연결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3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α)로 경사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부(200)는 몸체(20)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평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00)의 길이(L1)는 몸체(20)의 내부 직경(D)보다 길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부(100)의 길이(L1)는 대략 1cm일 수 있으며, 제2 바디부(200)의 길이(L2)는 제1 바디부(100)의 길이(L1)와 동일할 수 있다.
다음,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S14). 도 2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몸체(20)와 조절부(30)를 내강 접합 장치(1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1 바디부(100)가 제2 대상체(O2)의 내벽에 맞닿아 걸릴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10)가 제2 대상체(O2)의 내벽의 일부분에 접촉하고, 제1 돌출부(130)는 제2 대상체(O2)의 내벽의 다른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제1 바디부(100)가 제2 대상체(O2)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바디부(100)가 제2 대상체(O2)에 걸린 후, 사용자는 조절부(30)를 추가로 당겨 제1 바디부(100) 및 제1 바디부(100)가 걸린 제2 대상체(O2)를 제1 대상체(O1)를 향해 이동시켜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 사이의 거리를 제2 거리(d2)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거리(d2)는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가 접합된 상태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다음,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S15). 사용자는 제1 대상체(O2)와 제2 대상체(O2)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 후, 조절부(30)를 내강 접합 장치(10) 또는 결합부(4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조절부(30)가 분리된 후 조절부(30) 및 몸체(20)를 내강 접합 장치(1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바디부(200)가 몸체(20) 내부로부터 제1 대상체(O1)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바디부(200)는 연결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β)로 경사진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제2 바디부(200)가 제1 대상체(O1)의 내벽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210)가 제1 대상체(O1)의 내벽의 일부분에 접촉하고, 제2 돌출부(230)는 제1 대상체(O1)의 내벽의 다른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제2 바디부(200)가 제1 대상체(O1)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재(300)는 플랫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300)의 길이는, 제1 바디부(100)의 길이(L1)와 제2 바디부(200)의 길이(L2)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바디부(100)가 제1 대상체(O1)의 내벽에 지지되고, 제2 바디부가 제1 대상체(O1)의 내벽에 지지됨으로써,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는 서로 근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내강 접합 상태일 수 있다.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가 접합된 후에는, 일 실시예로 몸체(20)와 조절부(30)가 체외로 제거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조절부(30)만을 체외로 배출시켜 다른 내강 접합 장치를 연결 후 몸체(20)를 통해 체내로 추가로 삽입할 수도 있다.
도 4(a)는 한개의 내강 접합 장치에 의해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 및 도 4(c)는 복수개의 내강 접합 장치에 의해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내강 접합 후 시술장비가 인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는 적어도 하나의 내강 접합 장치(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는 한개의 내강 접합 장치(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강 접합 장치(10)는 중재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는 복수개의 내강 접합 장치(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내강 접합 장치(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시술장비(40)는 일 대상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들을 연결한 가상의 면(P)의 면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가 3개의 내강 접합 장치(10)에 의해 접합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는 제1 내강 접합 장치(10-1)와, 제2 내강 접합 장치(10-2) 및 제3 내강 접합 장치(10-3)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강 접합 장치(10-1) 내지 제3 내강 접합 장치(10-3)는, 각각의 내강 접합 장치가 인체기관을 통과하는 관통홀들을 연결한 가상의 원(C)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와 같이 제1 대상체(O1)와 제2 대상체(O2)를 접합한 후, 중재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수행하는 중재시술은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중재시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담낭배액술(EUS-guided gallbladder drainage), 담도 배액술(choledochoduodenostomy & hepaticogastrostomy) 또는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위공장 스텐트 삽입술(EUS-guided gastrojejunostom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재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시술장비(40)는 상기와 같은 가상의 원(C)의 면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시술장비(40)는 일 실시예로서 내강 접합 어셈블리(1)와 별개로 삽입된 장비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내강 접합 어셈블리(1)의 몸체(20)에 구비된 내시경과 같은 일체형 장비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내강 접합 장치(10) 및 내강 접합 어셈블리(1)는 서로 떨어진 두 개의 내강을 근접거리로 이동 및 고정시킴으로써 중재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내강 접합 어셈블리
10: 내강 접합 장치
20: 몸체
30: 조절부
40: 시술장비
100: 제1 바디부
200: 제2 바디부
300: 연결부재
400: 결합부

Claims (13)

  1.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내강 접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는, 내강 접합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내강 접합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내강 접합 장치.
  6.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일단에 니들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강 접합 장치; 및
    상기 내강 접합 장치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내강 접합 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강 접합 장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내강 접합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일 단부에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서로를 향해 절곡되는, 내강 접합 어셈블리.
  8. 삭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내강 접합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내강 접합 어셈블리.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강 접합 장치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몸체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평평한 상태로 이동하는, 내강 접합 어셈블리.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절부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강 접합 어셈블리.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강 접합 장치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복원되는, 내강 접합 어셈블리.
KR1020200069850A 2020-06-09 2020-06-09 내강 접합 장치 KR102397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50A KR102397446B1 (ko) 2020-06-09 2020-06-09 내강 접합 장치
PCT/KR2021/006439 WO2021251650A1 (ko) 2020-06-09 2021-05-24 내강 접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50A KR102397446B1 (ko) 2020-06-09 2020-06-09 내강 접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52A KR20210152852A (ko) 2021-12-16
KR102397446B1 true KR102397446B1 (ko) 2022-05-13

Family

ID=7884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850A KR102397446B1 (ko) 2020-06-09 2020-06-09 내강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7446B1 (ko)
WO (1) WO202125165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914A (ja) 2005-04-25 2006-11-02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臓器固定具セット
US20190008638A1 (en) * 2013-03-07 2019-01-10 Cedars-Sinai Medical Center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 delivery and deployment of a cardiovascular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3138A1 (en) * 2003-12-19 2005-12-08 Guided Delivery 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nchoring tissue
KR100551740B1 (ko) * 2004-07-26 2006-02-13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ATE390096T1 (de) * 2004-07-28 2008-04-15 Cordis Corp Einführvorrichtung mit einer niedrigen entfaltungskraft
EP3045201B1 (en) * 2015-01-13 2017-11-2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Ureteral stent with sideports
KR102149135B1 (ko) * 2018-01-17 2020-08-31 서울대학교병원 돼지꼬리 구조를 갖는 이종 장기 간의 연결술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6914A (ja) 2005-04-25 2006-11-02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臓器固定具セット
US20190008638A1 (en) * 2013-03-07 2019-01-10 Cedars-Sinai Medical Center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 delivery and deployment of a cardiovascular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650A1 (ko) 2021-12-16
KR20210152852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8384B2 (ja) 電解活性ポリマーを用いた組織並置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7585276B2 (en) Endoscop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endoscope
JP5449525B2 (ja) 磁気吻合装置のための送達システム
JP2007044504A (ja) 電解活性ポリマーを用いた経皮内視鏡胃造瘻術チューブ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2526624A (ja) 磁気吻合デバイス用送達システム
KR20190056395A (ko) 문합 배액 스텐트
KR102397446B1 (ko) 내강 접합 장치
JP5491084B2 (ja) 内視鏡装置
JP5208383B2 (ja) 狭窄部を拡張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7029740A (ja) 電気活性ポリマーを用いた内腔横行装置
US20160022960A1 (en) Elongated member
WO2011037068A1 (ja) 空間確保デバイス
JP5425695B2 (ja) 内視鏡装置
US72172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fixation pin to a cannula
KR20080111925A (ko) 생체 삽입용 의료기구
WO2024007467A1 (zh) 一种植入物释放机构及输送装置
KR20100026438A (ko) 혈관 치료용 마이크로 로봇의 유지 및 이동 시스템
KR20100107638A (ko) 조향모듈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시스템
US1094572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hesion
CN109862853A (zh) 包括单极型电烙尖端的支架输送系统
MXPA06007777A (es) Un metodo para interconectar cuerpos huecos.
EP3967363A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EP4289329A1 (en) Colon straightening apparatus, colon straightening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n straightening apparatus
KR20180056193A (ko) 굽힘시 고정기능을 갖는 연성 카테터
WO2007116997A1 (ja) 外科用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