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313B1 -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313B1
KR102397313B1 KR1020210156348A KR20210156348A KR102397313B1 KR 102397313 B1 KR102397313 B1 KR 102397313B1 KR 1020210156348 A KR1020210156348 A KR 1020210156348A KR 20210156348 A KR20210156348 A KR 20210156348A KR 102397313 B1 KR102397313 B1 KR 10239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ca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상
Original Assignee
(주)금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오전자 filed Critical (주)금오전자
Priority to KR102021015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313B1/ko
Priority to EP22205340.7A priority patent/EP4181492A1/en
Priority to US17/981,971 priority patent/US202301528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위치, 즉, 수평면에서 돌출되는 길이와 수직면과의 간격을 조절하여서, 단말기의 종류와 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종류에 무관하게 접속단자가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안전하게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단말기의 접속면을 지지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고,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를 승하강시켜서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수평면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Connector adjusting position of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위치, 즉, 수평면에서 돌출되는 길이와 수직면과의 간격을 조절하여서, 단말기의 종류와 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케이스의 종류에 무관하게 접속단자가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안전하게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IT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노트북, 네비게이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이나 다른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충전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이 사용된다.
충전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어서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본 출원인은 단말기의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커넥터로 등록특허 10-2139930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를 개발하였다.
상기 등록특허 10-2139930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는 매장에서 손님이 사용해 볼 수 있도록 전시되는 단말기를 위한 커넥터로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5)와,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3)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싱(20)과, 접속단자(15)가 구비된 삽입블럭(13)을 케이싱(20)에 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블럭(30)을 포함한다.
상기 등록특허 10-2139930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는 매장에 전시되는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3)이 구비되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접속포트와 배면 간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단자(15)가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판(23)은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블럭(13)을 케이싱(20) 내에서 이동시켜서 접속단자(15)와 지지판(23)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고가의 전자제품으로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보호케이스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호케이스의 유무에 따라, 그리고 보호케이스이 두께에 따라 접속단자(15)와 지지판(27) 간의 간격이 조절되어야 단말기의 배면이 지지판(27)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더블어, 접속단자(15)가 케이싱(20)에서 바디(21)의 상부면에서의 돌출길이가 조절되어야 단말기의 접속면(접속포트가 형성된 면)이 바디(21)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10-2139930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는 접속단자(15)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보호케이스의 유무나 보호케이스의 두께에 따라 단말기의 접속면이 바디(21)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안출된 발명으로서, 접속단자의 상하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단말기의 종류나 보호케이스의 유무 및 그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단자가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안정적으로 접속되고, 단말기는 케이싱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단말기의 접속면을 지지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고,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를 승하강시켜서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수평면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를 잡아주고,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승하강볼트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수용공간 내에서 승하강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는 단말기의 종류와 보호케이스의 유무 및 그 두께에 따라 접속단자의 위치를 조절하여서, 접속단자가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속되고, 단말기는 케이싱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접속단자의 위치는 간편하게 조절되고, 이를 위한 구성이 간단하고 단순하여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은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2의 단면 절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참고로, 종래기술로 도시한 도1에 사용된 도면부호와, 본 발명을 도시한 도2 및 도3에 사용된 도면부호는 서로 무관하다.
도2 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는 본체(10), 케이싱(20), 홀더(30), 커버(40), 고정볼트(50) 및 승하강볼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선(11)이 연결되는 몸체(13)와, 상기 몸체(13)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3)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볼트(50)가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홀은 몸체(13)을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스크류홀(18)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인서트 너트(17)를 인서트방식으로 내삽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인서트 너트(17)는 고정볼트(50)의 반복된 조임과 풀림에도 스크류홀(18) 내부의 나사산이 쉽게 무뎌지지 않아서 장기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20)은 상기 몸체(13)를 수용하고, 단말기의 접속면과 배면을 지지한다.
상기 케이싱(20)은 바디(21)와 지지판(23)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21)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1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접속단자(15)가 노출되는 노출공(212)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선이 통과하는 통공(21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조립시 몸체(13)가 수용공간(211)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2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21)의 상부면은 단말기에서 접속포트가 구비되는 접속면을 지지하는 수평면(22)이고, 상기 지지판(23)의 전면은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직면(24)이다.
상기 바디(21)의 후방에는 상기 홀더(3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26)을 형성하는 승하강벽(25)이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벽(25)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볼트(60)가 관통하는 관통공(27)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21)의 하부의 외측면에는 단차져서 상기 커버(40)가 표면이 일치되도록 끼움결합되는 단차부(215)가 형성되고, 단차부(215)에는 상기 커버(40)의 후크돌기(41)가 후크결합되는 후크홈(216)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본체(10)의 몸체(13)를 잡아주고, 상기 케이싱(20)의 수용공간(211)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몸체(1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박스(31)와, 상기 수용박스(31)의 하부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36)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박스(31)의 후방에는 상기 케이싱(20)의 가이드공(26)을 따라 승하강하는 가이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2)에는 상기 승하강볼트(60)가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홀은 가이드부(32)를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스크류홀(34)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인서트 너트(33)를 인서트방식으로 가이드부(32)에 내삽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인서트 너트(33)는 승하강볼트(60)의 반복된 조임과 풀림에도 스크류홀(34) 내부의 나사산이 쉽게 무뎌지지 않아서 장기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36)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단부에는 상기 수용박스(31)의 상단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38)가 형성된 탄성편(37)들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36)의 바닥에는 상기 고정볼트(5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홀(39)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케이싱(20)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215)에 끼움결합되고, 케이싱(20)의 하부측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커버(40)의 바닥에는 상기 고정볼트(50)의 헤드가 수용되는 수용홀(43)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는 상기 케이싱(20) 바디의 후크홈(216)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돌기(4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50)는 상기 본체(10)의 몸체(13)에 내삽된 인서트 너트(17)의 스크류홀(18)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몸체(13)를 상기 홀더(30)의 덮개(36)에 조여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볼트(50)는 조임을 푼 상태에서 상기 덮개(36)의 장홀(39)을 따라 이동하여서 상기 본체(10)의 접속단자(15)와 상기 케이싱(20)의 지지판(23)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단말기의 종류와 보호케이스의 유무 및 그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단자(15)는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며 단말기의 배면은 지지판(23)의 전면, 즉, 지지판(23)의 수직면(24)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볼트(60)는 상기 케이싱(20)의 통공(213)을 관통하여 공회전되고, 상기 홀더(30) 수용박스(31)의 가이드부(32)에 내삽된 인서트 너트(33)의 스크류홀(34)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승하강볼트(60)의 정역회전에 따라 수용박스(31)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볼트(60)를 통해 상기 홀더(30)의 수용박스(31)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수용박스(31)가 잡아주고 있는 상기 본체(10)의 몸체(13)가 함께 승하강되어서, 상기 본체(10)의 접속단자(15)가 상기 케이싱(20)의 상부면, 즉, 바디(21)의 수평면(22)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단말기의 종류와 보호케이스의 유무 및 그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단자(15)는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며 단말기의 접속면은 바디(21)의 수평면(22)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전선
13 : 몸체 15 : 접속단자
20 : 케이싱 21 : 바디
22 : 수평면 23 : 지지판
24 : 수직면 25 : 승하강벽
26 : 가이드공 27 : 관통공
30 : 홀더 31 : 수용박스
32 : 가이드부 36 : 덮개
37 : 탄성편 39 : 장홀
40 : 커버 41 : 후크돌기
50 : 고정볼트 60 : 승하강볼트

Claims (3)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단말기의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돌출되어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단말기의 접속면을 지지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되고,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를 승하강시켜서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수평면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는 승하강볼트;

    상기 몸체를 잡아주고, 상기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승하강볼트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수용공간 내에서 승하강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홀더는 상기 몸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박스와, 상기 수용박스의 하부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박스의 후방에는 상기 케이싱의 가이드공을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승하강볼트가 스크류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단부에는 상기 수용박스의 상단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탄성편들이 구비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결합되어서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KR1020210156348A 2021-11-15 2021-11-15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KR10239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48A KR102397313B1 (ko) 2021-11-15 2021-11-15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EP22205340.7A EP4181492A1 (en) 2021-11-15 2022-11-03 Connector capable of adjusting position of connection terminal
US17/981,971 US20230152853A1 (en) 2021-11-15 2022-11-07 Connector capable of adjusting position of connec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348A KR102397313B1 (ko) 2021-11-15 2021-11-15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313B1 true KR102397313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348A KR102397313B1 (ko) 2021-11-15 2021-11-15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2853A1 (ko)
EP (1) EP4181492A1 (ko)
KR (1) KR102397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439B1 (ko) * 2023-03-15 202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063Y1 (ko) * 2004-05-19 2004-08-16 코리아리프컴(주)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KR20050007231A (ko) * 2004-12-11 2005-01-17 주식회사 필톤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용 충전장치
KR101585997B1 (ko) * 2015-07-15 2016-01-15 (주)금오전자 단말기 도난방지 장치
KR101825003B1 (ko) * 2017-06-30 2018-02-02 김훈이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4183B2 (en) * 2013-08-02 2016-09-27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CN210838302U (zh) * 2016-10-07 2020-06-23 菲力尔系统公司 电子模块
KR102139930B1 (ko) 2019-11-01 2020-07-31 (주)금오전자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063Y1 (ko) * 2004-05-19 2004-08-16 코리아리프컴(주)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KR20050007231A (ko) * 2004-12-11 2005-01-17 주식회사 필톤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용 충전장치
KR101585997B1 (ko) * 2015-07-15 2016-01-15 (주)금오전자 단말기 도난방지 장치
KR101825003B1 (ko) * 2017-06-30 2018-02-02 김훈이 무선 충전부를 구비한 테이블 매립형 멀티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439B1 (ko) * 2023-03-15 202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2853A1 (en) 2023-05-18
EP4181492A1 (en)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0585B1 (en) Bracket assembly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116147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ble organizing assembly
KR102397313B1 (ko) 접속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US8002564B2 (en) Housing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784139B2 (en) Push-pull interconnection system
US8047859B2 (en) USB plug protective cover
US7766676B2 (en) Electronic device
JP5272636B2 (ja) モジュールコネクタ
CN106791306A (zh) 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US688708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shutter mechanism
CN109782398A (zh) 一种光模块的解锁机构
CN101950878A (zh) 具有接口保护盖的装置
CN210518502U (zh) 侧键fpc安装结构及终端设备
US8721357B2 (en) Electronic device connector
US9007749B2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WO2014162664A1 (ja) 電子機器、アタッチメント、及び接続ケーブル
CN209433072U (zh) 一种光模块的解锁机构
CN107896442B (zh) 显示装置及其壳体结构
US10749361B2 (en) Casing-type charging module with casing assembly and battery assembly for charging mobile device
CN219552893U (zh) 一种保护壳及终端系统
CN218383845U (zh) 一种机箱面板安装机构及机箱
CN216792793U (zh) 用于平板电脑的扩展坞
WO2021042302A1 (zh) 转接盒
CN219302444U (zh) 气体检测装置
CN219760054U (zh) 一种Type-C连接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