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289B1 -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289B1
KR102397289B1 KR1020177009758A KR20177009758A KR102397289B1 KR 102397289 B1 KR102397289 B1 KR 102397289B1 KR 1020177009758 A KR1020177009758 A KR 1020177009758A KR 20177009758 A KR20177009758 A KR 20177009758A KR 102397289 B1 KR102397289 B1 KR 10239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sink device
delay information
data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423A (ko
Inventor
김도균
이현재
박장웅
임진권
양현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6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Signal processing at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MI(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며, 리시버(Receiver)로부터 데이터 출력을 위한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1 지연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리시버의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2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싱크기기의 지연(latency)를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리시버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HDMI}
본 발명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사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시버(Receiver)와 싱크 기기 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를 송수신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HDMI는 개인용 컴퓨터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인 DVI(Digital Visual Interface)를 AV 전자제품용으로 개발한 인터페이스/규격으로, HDMI는 영상/음성을 압축하지 않고 플레이어에서 디스플레이 기기 측으로 전송하므로 소스(source) 기기와-싱크(sink) 기기간의 지연(Latency)이 거의 없으며, 별도의 디코더 칩이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아 포맷 호환성이 높다. 또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컨트롤 신호가 케이블 하나로 전송되기 때문에 복잡했던 AV 기기들의 배선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암호와 기술(HDCP: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을 지원하여 저작권 보호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HDMI를 통해서 싱크 기기와 리시버간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DMI를 통해서 싱크 기기와 리시버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DMI를 통해서 리시버로부터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전송 받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싱크(Sink)를 맞추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DMI를 통해서 디바이스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처리로 인한 지연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를 맞추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HDMI(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방법은, 리시버(Receiver)로부터 데이터 출력을 위한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1 지연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리시버의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2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싱크기기의 지연(latency)를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리시버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기기에 기 설정된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획득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가 온(ON)인 경우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연 정보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시버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 기기로 데이터 출력을 위한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1 지연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리시버의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2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싱크기기의 지연(latency)를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싱크 기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연 정보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싱크 기기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HDM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HDMI 송신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및 상기 HDMI 송신기 및 상기 출력 유닛을 컨트롤 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싱크 기기는, 리시버(Receiver)로부터 데이터 출력을 위한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1 지연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리시버의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2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싱크기기의 지연(latency)를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리시버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싱크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싱크기기에 기 설정된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획득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가 온(ON)인 경우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리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연 정보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리시버(Receiver)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HDM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HDMI 송신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및 상기 HDMI 송신기 및 상기 출력 유닛을 컨트롤 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리시버는, 싱크 기기로 데이터 출력을 위한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1 지연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리시버의 지연(latency)을 나타내는 제 2 지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싱크기기의 지연(latency)를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시버는, 상기 싱크 기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 상기 제 2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연 정보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싱크 기기와 리시버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HDMI를 통해서 싱크 기기와 리시버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HDMI를 통해서 리시버로부터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전송 받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싱크(Sink)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HDMI를 통해서 디바이스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처리로 인한 지연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를 정확히 맞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시스템 및 HDMI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채널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DID 스트럭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EDID 익스텐션 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EC를 이용하는 HDMI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EC 메시지의 스트럭처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HDMI를 통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를 송수신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를 송수신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EC 메시지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 시스템 및 HDMI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채널들을 나타낸다.
HDMI를 사용하여 비디오/오디오/컨트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기들을 함께 HDMI 시스템이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HDMI 시스템은 소스 기기(1010)와 싱크 기기(1020) 및 HDMI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HDMI 시스템에서, HDMI를 통해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가 소스기기(1010)에 해당하고, HDMI를 통해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기가 싱크 기기(1020)에 해당하며, 두 기기를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HDMI 케이블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 소스기기(1010)는 리시버(Receiver), 리피터(Repeater), 증폭기(amplifier, AMP)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HDMI 케이블 및 커넥터들은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데이터 채널 및 TMDS 클럭 채널을 제공하는 4개 채널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TMDS 데이터 채널들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auxiliary)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HDMI 시스템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DDC(Display Data Channel)를 제공한다. DDC는 하나의 소스 기기와 하나의 싱크 기기간의 구성(Configuration) 및 상태(status) 정보 교환에 사용된다. CEC 프로토콜은 사용자 환경의 다양한 오디오 비주얼 제품들 간의 하이-레벨의 컨트롤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옵셔널(optional)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옵셔널 HEAC(HDMI Ethernet and Audio Return Channel)는 TMDS로부터 반대 방향에서 ARC(Audio Return Channel) 및 연결된 기기들 간의 이더넷(Ethernet) 호환 데이터 네트워킹을 제공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3개의 TMDS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수신될 수 있다. TMDS 클록은, 통상적으로 비디오 픽셀 레이트를 운용(run)하며, TMDS 클럭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TMDS 클록은 HDMI 수신기에서 3개의 TMDS 데이터 채널들에서의 데이터 리커버리(recovery)를 위한 기준 주파수(frequency reference)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소스 기기에서, TMDS 데이터 채널 당 8비트의 데이터는 10비트의 DC 밸런싱된, 트랜지션(transition)이 최소화된 시퀀스로 변환되어, TMDS 클럭 주기(period) 당 10 비트의 레이트(rate)로 시리얼하게 전송될 수 있다.
TMDS 채널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HDMI는 패킷 구조를 사용한다. 오디오 데이터 및 컨트롤 데이터를 위한 높은 신뢰도(reliability)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는 BCH 에러 정정 코드 및 에러 감소 코딩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10비트의 워드로서 전송될 수 있다.
소스 기기는 DDC(Display Data Channel) 싱크 기기의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판독하여 싱크 기기의 구성 정보 및 가능한 기능을 알아낼 수 있다. E-EDID는 이하에서 EDID 정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유틸리티 라인은 HEAC와 같은 옵셔널한 확장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를 나타낸다.
HDMI 시스템에서, HDMI를 통해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기가 소스기기(2100)에 해당하고, HDMI를 통해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기가 싱크 기기(2200)에 해당한다.
소스 기기(2100; source device)는 디스플레이 유닛(211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2120), 비디오 인코딩 유닛(2130; Video Encoder), 컨트롤 유닛(2140), HDMI 송신기(2150), 메모리 유닛(2160), 스토리지 유닛(2170), 멀티미디어 유닛(2180), 또는 파워 공급 유닛(2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싱크 기기(2200)는 EDID EEPROM(2210), 비디오 디코딩 유닛(2220), 디스플레이 유닛(223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2240), HDMI 수신기(2250), 컨트롤 유닛(2260), 파워 공급 유닛(2270), 메모리 유닛(2280) 또는 멀티미디어 유닛(22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유닛에 대한 설명은 중복하지 않도록 한다.
소스 기기(2100)는 스토리지 유닛에 저장된 컨텐트를 싱크 기기(2200)로 전송하거나 스트리밍하는 물리적 장치를 나타낸다. 소스 기기(2100)는 싱크 기기에 요청(request) 메시지를 보내거나 싱크 기기로부터 수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2100)는 전송한 요청 메시지에 대해 싱크 기기(2200)가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스 기기(2100)가 디스플레이 유닛(211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UI를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수 있다.
싱크 기기(2200)는 소스 기기(2100)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며, 소스 기기(2100)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소스 기기로부터(2100) 수신한 메시지를 처리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싱크 기기(2200) 역시 소스 기기(2100)로부터 수신하하는 응답 메시지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싱크 기기(2200)가 디스플레이 유닛(223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UI를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수 있다.
소스 기기(2100) 및 싱크 기기(2200)는 사용자의 액션 또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유닛(2120, 2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120, 2240)는 리모트 컨트롤러, 음성 수신/인식 장치, 터치 입력 센싱/수신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2160, 2280)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휘발적 성격의 물리 장치를 나타낸다.
스토리지 유닛(2170)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성격의 물리적 장치를 나타낸다.
EDID EEPROM(2210)은 EDID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EEPROM을 나타낸다.
상술한 메모리 유닛, 스토리지 유닛, EDID EEPROM은 모두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칭하여 메모리 유닛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110, 2230)은 HDMI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또는 컨텐트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 및 UI 등을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유닛을 나타낸다.
멀티미디어 유닛(2180, 2290)은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재생을 수행한다. 멀티 미디어 유닛(21180, 2290)은 컨트롤 유닛(2140, 2260)과 별도로 구현되거나, 컨트롤 유닛과 하나의 물리적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파워 공급 유닛(2190, 2270)은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 및 이들에 포함된 서브 유닛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HDMI 송신기(2150)는 소스 기기(2100)에 구비되어 HDM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닛으로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기간의 커맨드, 요청, 액션, 응답 등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비디오 인코딩 유닛(2130)은 HDMI 송신기(2150)를 통해 전송할 영상 데이터를 압축한다.
HDMI 수신기(2250)는 싱크 기기(2200)에 구비되어 HDM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닛으로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기기간의 커맨드, 요청, 액션, 응답 등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비디오 디코딩 유닛(2130)은 HDMI 수신기(2250)를 통해 수신한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압축해제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HDMI에서 제공하는 채널, 데이터 구조, 기능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DMI 시스템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정의한 모니터 및 컴퓨터 그래픽 어댑터 간의 디지털 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표준인 DDC(Display Data Channel)를 제공한다. DDC를 통해 HDMI 기기들은 모니터에서 지원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드 정보를 그래픽 어댑터에 전송하고, 그래픽 어댑터는 이에 맞춰 모니터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DDC 표준이 제정되기 전, VGA 표준에서는 모니터 타입을 인식하기 위해 아날로그 VGA 커넥터의 4가지 핀(Pin 11, 12, 4, 15)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Pin 11, 12, 4만이 사용되고 7 종류의 모니터 타입을 인식할 수 있었다. DDC에 대한 버전 별 내용은 이하와 같다.
** DDC 버전 1 (1994년 제정)
-모니터링 정보를 기술하는 바이너리 파일 포맷인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정의함.
-핀 12를 데이터 라인으로 사용하며 128 바이트의 EDID 블록을 연속적으로 모니터에서 컴퓨터로 전송함.
** DDC 버전 2 (1996년 제정)
-EDID를 DDC에서 정의하지 않고 병행하는 독립적인 표준으로 정의함.
-I2C 시리얼 버스를 기반으로 정의되며 Pin 12는 I2C 버스의 데이터 라인, Pin 15는 I2C 버스의 클록 라인으로 사용함.
Pin 9는 모니터 전원이 오프되어 있어도 EEPROM에 저장된 EDID를 읽기 위해 컴퓨터에서 모니터로 5V DC 전원(50mA까지)을 인가하는 용도로 사용됨.
-8비트 데이터 오프셋으로 28 바이트~256 바이트까지의 EDID 저장 용량을 허용.
** E-DDC
-DDC 버전 1 및 2를 대체하는 표준으로서 199년에 버전 1이 제정되었으며 E-EDID(Enhanced EDID) 사용을 위해 디스플레이 정보 저장 용량을 32Kbyte까지 허용함.
-8비트 세그먼트 인덱스(0x00~0x7F)를 사용하는 새로운 I2C 어드레싱 스킴을 적용하여 128 세그먼트(1세그먼트=256바이트)를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32 바이트까지 액세스 가능함.
-2004년 E-DDC 버전 1.1이 제정되었으며 CE 기기 및 VGA 이외에 HDMI 같은 비디오 인터페이스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됨.
-2007년 E-DDC 버전 1.2가 제정되었으며, 디스플레이 포트 및 디스플레이 ID 지원 내용이 포함됨.
이하에서는 DDC를 통해 제공되는 EDID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DID 스트럭처를 나타낸 도면이다.
EDID는 VESA에서 정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스트럭처로서, DDC 채널을 통해 소스 기기로 전송되거나 소스 기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EDID의 경우 버전 1.3의 데이터 스트럭처가 IT 디스플레이 장치, CE 디스플레이 장치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HDMI)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EDID 데이터 스트럭처에서, 각각의 어드레스에서 나타내는 정보들을 간략히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EDID 익스텐션 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각 도 4는 EDID 익스텐션(Extension) 블록을, 도 5(a)는 비디오 데이터 블록을, 도 5(b)는 오디오 데이터 블록을 및 도 5(c)는 스피커 할당(allocation) 데이터 블록을 나타낸다.
EDID에 기술된 타이밍 정보는 IT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위한 것으로서 CE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타이밍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CEA-861에서 정의한 EDID 1.3 익스텐션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버전 3의 CEA 익스텐션 블록은 CEA-861B 표준에서 정의되었으며, 4개의 옵셔널 데이터 블록(비디오, 오디오, 스피커 할당, 벤더 특정(Vendor Specific)을 명시한다.
도 5(a)의 비디오 데이터 블록에서, Short Video Descriptor는 CEA-861에서 정의한 비디오 식별 코드(Video Identification Code)를 나타낸다. 도 5(b)의 오디오 데이터 블록에서, Short Audio Descriptor는 CEA-861에서 정의한 오디오 포맷 코드(Audio Format Code)를 나타낸다. 도 5(c)의 Speaker Allocation Data Block Descriptor는 CEA-861에서 정의한 데이터 블록 페이로드(Data Block Payload)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HDMI Forum)-VSDB(Vendor- Specific Data Block)을 나타낸다.
도 6의 HF-VSDB는 벤더-특정 데이터가 정의될 수 있는 데이터 블록으로, HDMI는 이 데이터 블록을 사용하여 HDMI 특정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다. HF-VSDB는 싱크 기기의 E-EDID에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되는 경우 싱크 기기의 E-EDID 내의 CEA 익스텐션 버전 3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의 HF-VSDB에 포함된 필드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와 같다.
- Length 필드: 데이터 블록의 전체 길이(total length)로서 최소값은 7, 최대값은 31임.
- IEEE OUI 필드: IEEE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로서 HDMI 포럼에 할당된 OUI는 0xC45DD8임.
- Version 필드: HF-VSDB (HDMI Forum-VSDB)의 버전 넘버로서 값은 1임.
- Max_TMDS_Character_Rate 필드: 지원하는 maximum TMDS Character Rate를 나타내며 싱크 기기가 340 Mcsc 이상을 지원하지 않으면 0으로 세팅하고 지원하면 1로 세팅.
- 3D_OSD_Disparity: 1로 세팅 되면 Sink 기기가 3D_OSD_Disparity Indication 수신을 지원함을 나타냄.
- Dual_view: 1로 세팅되면 싱크 기기가 Dual_view 시그널링 수신을 지원함을 나타냄.
- Independent_view 필드: 1로 세팅되면 싱크 기기가 3D independent view 시그널링 수신을 지원함을 나타냄.
- LTE_340Mcsc_scramble 필드: 1로 세팅 되면 싱크 기기가 TMDS character rate 340Mcss 이하에서 스크램블링을 지원함을 나타냄. 그리고 SCDC_Present가 0으로 세팅되면 이 flag 또한 0으로 세팅 되어야 함.
- RR_Capable 필드: 1로 세팅 되면 Sink 기기가 SCDC 판독 요청(read request)을 개시(initiating)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냄. 그리고 SCDC_Present가 0으로 세팅되면 이 flag 또한 0으로 세팅 되어야 함.
- SCDC_Present 필드: 1로 세팅 되면 Sink가 SCDC 기능을 지원함을 나타냄.
- DC_48bit_420, DC_36bit_420, DC_30bit_420: 1로 세팅 되면, Deep Color 4:2:0 픽셀 인코딩을 컴포넌트(component)당 10 bit/12bit/16bit를 지원함을 나타냄.
본 발명에서는 EDID의 HF-VSDB를 통해 싱크 기기의 제스처 정보(Gesture Information) 처리 능력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EC 메시지의 스트럭처를 나타낸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CEC는 HDMI를 통해 연결된 CEC 가능한 기기를 리모컨 하나로 조작 가능하게 한다. HDMI가 연결되면 각각의 기기들은 물리 주소(Physical address)를 가지게 되고, CEC를 지원하는 기기들은 추가로 논리 주소(Logical address)를 가지게 된다.
각각의 기기들은 이벤트 발생 시 CEC Line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메시지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 One Touch Play: 버튼 한번 클릭으로 재생이 시작되고 기기가 active source 상태로 변경됨.
- Routing Control: CEC Switch가 사용되고 있을 때 HDMI 네트워크의 Routing을 제어함.
- System Standby: 모든 연결된 기기들을 대기 모드로 전환.
- One Touch Record: TV에 나오는 내용을 녹화하는 기능 컨트롤
- Preset Transfer: tuner channel의 설정을 다른 TV set으로 전송
- Timer Programming: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의 타이머를 설정
- System Information: 기기에서 TV와 동일한 OSD와 메뉴 언어를 사용하도록 세팅
- Deck Control: 재생 기기를 타 기기에서 제어
- Tuner Control: 다른 기기의 tuner를 제어
- OSD Display: 기기에서 TV 세트의 화면에 띄우기 위해 텍스트를 전송
- Device OSD Name Transfer: 설정되어 있는 기기 이름을 TV set으로 전송
- Device Menu Control: TV 리모컨으로 기기의 메뉴들을 제어 가능하도록 함
- Remote Control Pass Through: 리모컨에서 입력 받은 내용을 다른 기기로 전송함
- Vendor Specific Commands: 제조사가 정의한 명령어
CEC 메시지는 CEC 프레임을 통해서 전송되며, CEC 프레임은 상기 도 9에서와 같이 시작 비트(Start bit), 헤더 블록(Header Block), 제 1 데이터 블록 및 제 2 데이터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블록 하나의 크기는 10bits 이며, 시작 비트를 제외하고 최대 메시지의 크기는 16*10 bits이다
상기 도 7의 (c) 및 상기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헤더 블록은 소스 기기의 주소와 목적지의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블록은 옵코드(Opcode)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블록은 오퍼랜드(operand)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옵코드(opcode)란 메시지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름을 의미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든 데이터 블록과 헤더 블록은 정보 비트(information bits)필드, EOM(End Of Message) 필드 및 ACK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비트(information bits) 필드는 데이터, 옵코드 또는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OM(End Of Message) 필드는 메시지의 마지막 블록인지를 알려주는 비트로써, 예를 들어, 상기 EOM(End Of Message) 필드 값이 0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블록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1이면 메시지가 완료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EOM 필드가 전송된 이후 메시지가 추가 데이터를 포함한다 하더라도 메시지를 받는 디바이스는 이를 무시해야 한다.
상기 ACK 필드는 이니시에이터에서 ‘1’로 세팅해서 보내며, 팔로우어에서 ‘0’으로 표기하여 메시지를 받았음을 의미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소스 기기(1010) 및 싱크 기기(1020)가 HDMI 케이블로 연결되면, 상기 소스 기기(1010)는 5V의 전력 라인을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하고 전류를 인가한다(S9010). 이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1010)는 상기 싱크 기기(1020)의 EDID 정보가 저장된 EEPROM 및 관련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싱크 기기(1020)는 HPD(Hot Plug Detect) 라인을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볼로 전환하여,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고, EDID 관련 회로가 활성화 되어 EDID 정보의 액세스가 가능함을 상기 소스 기기(1010)에게 알려줄 수 있다(S9020).
이후, 상기 소스 기기(1010)는 상기 싱크 기기(1020)로 DDC를 통해 EDID 정보 판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9030). 상기 싱크 기기(1020)는 상기 EDID 판독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소스 기기(1010)에게 DDC를 통해 RRPROM에 저장된 EDID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04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EDID 정보는 상술한 VSDB로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소스 기기(1010)와 상기 싱크 기기(1020)는 DDC를 통해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키 교환 절차를 통해서, 암호화 프로토콜을 수행한다(S9050).
상기 싱크 기기(1020)는 CEC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1020)에게 상기 싱크 기기(1010)의 데크(Deck)를 온 시키기 위한 CEC 메시지인 <Give Deck Status>[“on”] 메시지를 전송한다(S9060). 상기 소스 기기(1020)는 데크(Deck)를 온(ON)시키고 <Deck Statu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싱크 기기(1010)에게 상기 소스 기기(1020)의 Deck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S9070).
이후, 상기 싱크 기기(1010)가 사용자로부터 A/V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싱크 기기(1010)는 CEC를 통해 <Play>를 전송하여 상기 소스 기기(1020)가 A/V 데이터를 재생하게 할 수 있다(S9080). 상기 소스 기기는 CEC를 통해 <deck Status>[“Play”] 메시지를 상기 싱크 기기(1020)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소스 기기(1010)의 데크 상태가 재생 중임을 알릴 수 있다(S9090).
이후, 상기 소스 기기(1010)는 TMDS를 통해 상기 싱크 기기(1020)에게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인포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9100). 상기 싱크 기기(101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명령, 예를 들면, 다음 쳅터(Next Chapter)라는 명령을 수신하고, CEC를 통해 <Dec Control>[“Skip Forward”]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소스 기기(1010)가 현재 챕터를 스킵(Skip)하게 할 수 있다(S9110). 현재 챕터를 스킵한 상기 소스 기기(1010)는 <Deck Status>[“Skip Forward”]를 전송하여 데크(Deck)의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S9120).
이후, 상기 소스 기기는 TDMS를 통해서 상기 싱크 기기(1010)에게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인포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9130).
도 10은 HDMI를 통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를 송수신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리시버(10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싱크(Sink)를 맞추기 위해서 싱크 기기(1020)로부터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전송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시버(1030)와 싱크 기기(1020)가 HDMI를 통해서 연결되게 되면(S10010),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싱크 기기(1020)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소요 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싱크 기기(1020)에게 상기 영상 데이터의 처리 시간을 나타내는 지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10020).
상기 싱크 기기(1020)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에 상기 지연 정보가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1’ 또는 ‘2’인 경우 상기 리시버(1030)로 상기 지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030).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는 상기 싱크 기기(1020)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0’ = N/A
‘1’ = Audio output is delay compensated
‘2’ = Audio output is not delay compensated
‘3’ = Audio output is partially delayed
이후,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싱크 기기(1020)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지연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S10030),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는 상기 싱크 기기(1020)의 영상 데이터 처리로 인한 지연 시간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지연 정보의 값을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지 않고 출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는 상기 싱크 기기(1020)의 영상 데이터 처리로 인한 지연 시간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지연 정보의 값을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리시버(1030)로부터 발생하는 지연은 고려되지 않고 재생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간의 싱크가 어긋날 수 있다. 예를 들면, Latency Margin이 부족하여 임계값(Threshold)에 걸쳐 있는 경우,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간의 싱크가 어긋나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싱크 기기의 지연뿐만 아니라 리시버로부터 발생되는 지연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를 송수신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리시버(10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싱크(Sink)를 맞추기 위해서 자신의 지연 정보를 싱크 기기로 전송하고, 싱크 기기(1020)는 상기 리시버의 지연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지연 정보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를 싱크 기기로부터 전송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시버(1030)와 싱크 기기(1020)가 HDMI를 통해서 연결되게 되면(S11010),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싱크 기기(1020)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소요 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향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싱크 기기(1020)에게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지연을 나타내는 지연 정보(제 1 지연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020).
이때,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리시버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나타내는 제 2 지연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1020)의 ‘Physical Address’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싱크 기기(1020)는 상기 도 10에서 살펴본 파라미터인 “Audio Output Compensated”를 ‘1’ 또는 ‘2’로 설정하여 상기 리시버(103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2 지연 정보의 값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지연을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의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싱크 기기(102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리시버(103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1030)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 1 지연 정보,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 파라미터 및 상기 싱크 기기의 ‘Physical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싱크 기기(1020)로부터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S10030), 스피커를 통해서 상기 음향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되어 있음을 나타내므로,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지 않고 출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므로, 상기 리시버(1030)는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상기 리시버(1030) 및 상기 싱크 기기(1020)는 상기 리시버(1030)로부터 발생되는 지연을 고려하여 음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싱크를 정확히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싱크 기기 및 리시버는 각 기기에 의해 발생되는 지연을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간의 싱크를 정확히 맞출 수 있다.
먼저, 단계(S12010) 및 단계(S12020)은 상기 도 11의 단계(S11010) 및 단계(S1102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싱크 기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의 계산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가 온(ON) 또는 오프(OFF)인지 여부를 확인하여(S12030), 상기 모드가 온(ON)인 경우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계산하고(S12040), 오프(OFF)인 경우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계산된 경우,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고,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계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지연 정보의 값은 고려하지 않고, 상기 싱크 기기의 지연을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의 값만을 음향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S12050).
이후,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상기 제 1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제 3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리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S12060).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리시버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이미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 또는 상기 제 2 지연 정보의 값이 적용되었으므로, 추가적인 지연 값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1207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2와는 다르게 싱크 기기가 음향 데이터에 지연 정보의 값을 적용하지 않고 리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리시버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지연 정보의 값을 적용하여 출력하게 된다.
먼저 단계(S13010) 내지 단계(S13040)은 상기 도 12의 단계(S12010) 내지 단계(S1204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 또는 상기 제 3 지연 정보의 값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음향 데이터 및 상기 제 1 지연 정보 또는 상기 제 3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리시버에게 전송한다(S13050, S13060).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리시버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 또는 상기 제 3 지연 정보의 값이 적용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 또는 상기 제 3 지연 정보의 값을 상기 음향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13070).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싱크 기기는 리시버 및 상기 싱크 기기에서 발생하는 지연 값을 계산하여 리시버에게 전송하고, 리시버는 전송 받은 지연 값을 기초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단계(S14010) 및 단계(S14020)은 상기 도 12의 단계(S12010) 및 단계(S1202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리시버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제 2 지연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지연을 나타내는 제 3 지연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제 1 지연 정보 및 음향 데이터를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리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4030).
이때,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적용할 수 도 있고, 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이후, 상기 리시버는 상기 싱크 기기로부터 전송 받은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를 바로 출력하고,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적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적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S14040).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EC 메시지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11내지 상기 도 14의 실시예에서 싱크 기기와 리시버가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앞에서 설명한 CEC를 통해 전송되는 CEC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CEC 메시지에서 오퍼레이터(operator)는 CEC 명령어를 보내는 커맨드를, 옵코드(opcode)는 CEC 메시지를 식별하는 명칭을, 오퍼랜드(operand)는 CEC 명령어/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들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오퍼랜드는 특정 옵코드에 대응되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도 15는 요청 메시지에 대한 CEC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요청 메시지의 옵코드는 <Request Current Latency>로써, 상기 싱크 기기로 지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도 16는 응답 메시지에 대한 CEC 메시지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요청 메시지의 옵코드는 <Report Receiver Latency>로써, 상기 리시버로 지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도 15 및 상기 도 16에서 정의하는 CEC 메시지는 해당 동작에 관한 설명으로서 정의되는 것이며 반드시 동일한 신텍스(syntex)로 정의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오퍼랜드의 일 예를 나태내는 것으로써, 상기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오퍼랜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Receiver Delay]
- Receiver의 지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오퍼랜드
[Receiver Delay Mode]
- Receiver의 지연 정보 유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오퍼랜드
- ‘0’인 경우, 오프(OFF)를 나타내며, Receiver의 지연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냄.
- ‘1’인 경우, 온(ON)를 나타내며, Receiver의 지연 정보가 존재함을 나타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를 통해서 지연 정보(latency information)을 송수신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18을 참조하면, 리시버 및 싱크 기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적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먼저, AMP(Amplifier)가 BD Player로부터 HDMI를 통해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 받으면, 상기 AMP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싱크기기인 TV로 전송한다(S18010).
상기 AMP는 상기 TV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지연 정보(제 1 지연 정보)를 CEC 메시지를 통해서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AMP의 지연 정보(제 2 지연 정보)를 상기 요청시 함께 상기 TV로 전송할 수 있다(S18020).
상기 TV는 앞에서 살펴본 파라미터인 “Audio Output Compensated” 값을 ‘1’ 또는 ‘2’로 셋팅하는 경우, 상기 제 2 지연 정보 및 상기 TV의 지연 정보(제 3 지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연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지연 정보의 값이 20 ms 이고, 상기 제 3 지연 정보의 값이 100 ms인 경우,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은 80 ms가 된다.
이후, 상기 TV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을 적용하여 Display unit을 통해서 출력하고, 상기 제 1 지연 정보,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를 CEC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AMP에게 전송할 수 있다(S18030).
상기 AMP는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적용된 것이므로 상기 음향 데이터에 추가적인 지연 값을 적용하지 않고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Audio Output Compensated”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정보의 값이 적용되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음향 데이터에 상기 제 1 지연 값을 적용하여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일련의 HDMI 분야에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HDMI(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를 이용한 싱크 기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증폭기(amplifier)로부터, 상기 증폭기의 음성 지연(audio latency)을 나타내는 제 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1 지연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영상 지연(video latency)를 나타내는 제2 지연 정보에 기반하여, 음성 데이터(audio data)에 적용될 제3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증폭기로, 상기 획득된 제2 지연 정보가 적용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지연 정보와 상기 싱크 기기의 상기 영상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지연 정보 간의 차이(difference)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지연 정보는,
    밀리초(millisecond) 단위로 표현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지연을 나타내는 1바이트(byte)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은, 상기 증폭기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기기의 상기 영상 지연은, 상기 싱크 기기에서의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싱크 기기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지연 정보의 획득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가 온(ON)인 경우에 수행되는 방법.
  6. HDMI(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를 이용한 증폭기(amplifier)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싱크 기기로, 상기 증폭기의 음성 지연(audio latency)을 나타내는 제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싱크 기기로부터, 상기 싱크 기기에 의해 제2 지연 정보가 적용된 음성 데이터(audio data)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연 정보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제1 지연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영상 지연(video latency)을 나타내는 제3 지연 정보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연 정보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지연 정보와 상기 싱크 기기의 상기 영상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3 지연 정보 간의 차이(difference)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지연 정보는,
    밀리초(millisecond) 단위로 표현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지연을 나타내는 1바이트(byte)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은, 상기 증폭기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기기의 상기 영상 지연은, 상기 싱크 기기에서의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연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지연 정보의 획득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가 온(ON)인 경우에 획득되는 방법.
  11. HDMI(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싱크 기기에 있어서,
    HDM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HDMI 송신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및
    상기 HDMI 송신기 및 상기 출력 유닛을 컨트롤 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싱크 기기는,
    증폭기(amplifier)로부터, 상기 증폭기의 음성 지연(audio latency)을 나타내는 제1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지연 정보 및 상기 싱크 기기의 영상 지연(video latency)를 나타내는 제2 지연 정보에 기반하여, 음성 데이터가 적용될 제3 지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증폭기로, 상기 획득된 제3 지연 정보가 적용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싱크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지연 정보와 상기 싱크 기기의 상기 영상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지연 정보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제3 지연 정보를 획득하는 싱크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지연 정보는,
    밀리초(millisecond) 단위로 표현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지연을 나타내는 1바이트(byte)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기기는,
    상기 증폭기의 상기 음성 지연은, 상기 증폭기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싱크 기기의 상기 영상 지연은, 상기 싱크 기기에서의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지연을 포함하는 싱크 기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연 정보는,
    상기 싱크 기기에서 미리 설정된 상기 제1 지연 정보의 획득 여부를 나타내는 모드가 온(ON)인 경우에 획득되는 싱크 기기.
KR1020177009758A 2014-10-14 2015-10-14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97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3405P 2014-10-14 2014-10-14
US62/063,405 2014-10-14
PCT/KR2015/010848 WO2016060474A1 (ko) 2014-10-14 2015-10-14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423A KR20170066423A (ko) 2017-06-14
KR102397289B1 true KR102397289B1 (ko) 2022-05-12

Family

ID=5574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758A KR102397289B1 (ko) 2014-10-14 2015-10-14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2338B2 (ko)
EP (1) EP3209016A4 (ko)
KR (1) KR102397289B1 (ko)
WO (1) WO2016060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7852B2 (en) * 2015-10-06 2020-03-1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10319336B2 (en) * 2016-02-16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24616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수행 방법
US10142521B2 (en) 2017-03-22 2018-11-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DMI arc for estimating latency
KR102411287B1 (ko) * 2017-11-22 2022-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A3118044A1 (en) * 2018-10-24 2020-04-3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ource devices, sink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CN109587546B (zh) * 2018-11-27 2020-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6389794A (zh) * 2019-02-20 2023-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启用超高清联盟指定参考模式(uhda-srm)的技术
FR3100412B1 (fr) 2019-09-04 2021-08-06 Sagemcom Broadband Sas Procédé de décodage d’un flux d’entrée audio/vidéo
US11882533B2 (en) 2019-09-18 2024-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udio data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323766B2 (en) * 2019-10-03 2022-05-03 Dolby International Ab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dio/video content to a rende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7106A (ja) 2011-07-06 2013-01-24 Sharp Corp 映像音声復調回路、テレビ受像機、テレビ受信チューナ及び動画再生装置
US20140160351A1 (en) 2005-04-28 2014-06-12 Panasonic Corporation Repeater being utilized between a source and sink device for lip-syncing in an hdmi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6025441A1 (ja) * 2004-09-02 2008-05-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音声処理装置、画像音声供給装置、及び画像音声処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音声同期方法
US7907530B2 (en) * 2007-09-20 2011-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link costs
JP5050807B2 (ja) * 2007-11-22 2012-10-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表示装置、再生方法および表示方法
KR20100060717A (ko) * 2008-11-28 2010-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음성 출력 동기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451868B2 (en) * 2009-04-15 2013-05-28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edia content via digital radio broadcast transmission for synchronized rendering by a receiver
JP5291532B2 (ja) * 2009-05-21 2013-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Avシステム、オーディオ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装置
US8717443B2 (en) * 2012-08-01 2014-05-0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temporal latency in device having optical sensing component and touch-sensitive display component
US8925003B2 (en) * 2013-03-08 2014-12-30 Silicon Image, Inc. Mechanism for facilitating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between multiple media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0351A1 (en) 2005-04-28 2014-06-12 Panasonic Corporation Repeater being utilized between a source and sink device for lip-syncing in an hdmi system
JP2013017106A (ja) 2011-07-06 2013-01-24 Sharp Corp 映像音声復調回路、テレビ受像機、テレビ受信チューナ及び動画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2338B2 (en) 2019-09-10
EP3209016A4 (en) 2018-02-28
US20170244927A1 (en) 2017-08-24
EP3209016A1 (en) 2017-08-23
WO2016060474A1 (ko) 2016-04-21
KR20170066423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7289B1 (ko) Hdm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115617B2 (en) Audio device for HDMI
US1008505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KR102272983B1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US1099955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4742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HDMI
WO2015137716A1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WO2015137751A1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US101627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DMI
US11818499B2 (en) Recep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US20190050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human interface device (hid)-based data using high-speed interface
US94078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0096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bject-based audio data using high-speed interface
JP2020036135A (ja) 映像送信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199246A1 (en) Video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high-speed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