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216B1 -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 Google Patents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216B1
KR102397216B1 KR1020200069506A KR20200069506A KR102397216B1 KR 102397216 B1 KR102397216 B1 KR 102397216B1 KR 1020200069506 A KR1020200069506 A KR 1020200069506A KR 20200069506 A KR20200069506 A KR 20200069506A KR 102397216 B1 KR102397216 B1 KR 10239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current transformer
terminal screw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698A (ko
Inventor
강승훈
강호주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9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2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류기의 2차측에 구비되는 단자나사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각각의 고정부에 결합되고,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자나사에 접해 단자나사와 접속되는 한 쌍의 회전부와, 한 쌍의 회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SHORTING DEVICE FOR LOW-VOLTAGE CURRENT TRANSFORMER}
본 발명은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 전력량계에 연결되는 계기용 변류기에 설치될 수 있는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공장이나 가정 및 자영업장 등에서 사용전력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게이지로, 고전류를 저전류로 변환시키는 변류기와 연결되어 선로의 전류 또는 수용처의 전기사용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전력량계의 고장, 불량 등이 발생함에 따라 전력량계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불가피하게 정전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력 판매에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전력 수용가측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불편을 피하기 위해 무단으로 전류 측 전선의 피복을 벗겨 비표준 공법으로 무정전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정전으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는 저압 무정전 교체 단자대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기존의 단자대는 기설된 전력량계를 모두 교체해야 사용이 가능하므로 현실적으로 바로 적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179호(2010.07.26 등록, 발명의 명칭: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변류기의 2차 회로를 단락시킬 수 있는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변류기의 2차측에 구비되는 단자나사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각각의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자나사에 접해 상기 단자나사와 접속되는 한 쌍의 회전부; 및 한 쌍의 상기 회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몸체; 및 상기 고정부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나사의 측면 둘레에 접해 상기 단자나사에 고정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회전부몸체; 상기 힌지부와 상기 회전부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몸체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몸체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자나사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통해 이동되는 접속부몸체; 및 상기 접속부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접속부몸체가 상기 단자나사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단자나사에 구비되는 나사홈으로 삽입되는 접속강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변류기의 2차측 회로를 단락시킴에 따라 전력량계의 무정전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변류기 2차측의 여자전류를 유기시킬 수 있어 과전압에 따른 변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고정부에 의해 회전부가 단자나사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연결부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변류기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가압부재에 의해 회전부가 반자동적으로 단자나사와 접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저압 전력량계(미도시)의 각 상에 연결되는 변류기(2)에는 변류기(2)의 2차측 회로에 연결되고, 변류기(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단자나사(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나사(3)는 통상적인 스크류 볼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자나사(3)의 상부면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홈(4)이 단자나사(3)의 내부로 함몰형성된다. 나사홈(4)은 도 1에 도시된 십(十)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장치(1)는 이러한 변류기(2)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단자나사(3)에 결합되어 변류기(2)의 2차측 회로를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장치(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1)는 고정부(100), 회전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변류기(2)의 2차측에 구비되는 단자나사(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변류기(2)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자나사(3)에 고정된다. 고정부(100)는 단자나사(3)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회전부(200)를 작동 위치 즉, 회전부(200)가 작동됨에 따라 단자나사(3)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고정부(100)는 단자나사(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단자나사(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합성 수지 등의 가요성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는 고정부몸체(110), 안착부(120)를 포함한다.
고정부몸체(110)는 회전부(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고정부몸체(110)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회전부(2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회전부(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몸체(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후술하는 회전부(200)의 힌지부(210)의 하측에 결합된다.
안착부(120)는 고정부몸체(110)로부터 연장되고, 단자나사(3)의 측면 둘레에 접해 단자나사(3)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20)는 고정부몸체(1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안착부(120)는 단자나사(3)의 측면 둘레에 접하도록 단사나사(3)의 측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다. 안착부(120)는 개구된 측을 통해 단자나사(3)의 측면으로 끼움 결합된다. 안착부(120)는 내주면이 단자나사(3)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단자나사(3)에 고정된다.
회전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한 쌍의 고정부(100)에 결합된다. 회전부(200)는 일측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자나사(3)에 접해 단자나사(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전부(200)는 변류기(2)의 2차측 단락 전류가 내부로 흐를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0)는 힌지부(210), 회전부몸체(220), 가압부재(230), 접속부(240)를 포함한다.
힌지부(210)는 연결부(300)의 단부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회전부몸체(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2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연결부(300)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11)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삽입부(211)의 타측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회전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몸체(220)는 힌지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몸체(220)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힌지부(210)의 회전축(212)의 외주면에 축결합된다. 회전부몸체(220)는 길이방향이 회전축(212)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힌지부(210)를 축으로 일측(도 5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부면이 단자나사(3)의 상부면과 마주보거나 고정부(100)의 상부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회전부몸체(220)에는 회전부몸체(22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22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2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몸체(22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고,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부(221)의 단면 형상은 원형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회전부몸체(220)에는 자력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자력부재(220)는 고정부(100)가 금속의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자기력을 통해 회전부몸체(220)를 고정부(100)와 접촉된 상태 또는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부재(250)는 막대형상을 갖는 네오디뮴 자석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자력부재(25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회전부몸체(220)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자력부재(250)는 회전부몸체(220)의 하부면이 고정부(100)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가압부재(230)는 힌지부(210)와 회전부몸체(220) 사이에 설치되고, 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부몸체(2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다압부재(230)는 회전부(200)가 단자나사(3)와 접촉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230)는 토션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재(230)는 양단이 각각 힌지부(210)의 회전축(212)과, 회전축(212)의 외주면에 축결합되는 회전부몸체(220)의 일측에 연결된다. 가압부재(230)는 회전부몸체(220)가 일측(도 5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경우 중립 상태, 즉 변형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설치된다.
접속부(240)는 수용부(221)에 설치되고, 회전부몸체(220)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자나사(3)의 상부면과 접촉된다. 접속부(240)는 단자나사(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금속 등과 같은 통전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240)는 탄성부재(241), 접속부몸체(242), 접속강화부(24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41)는 수용부(221) 내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41)는 길이 방향의 변형을 탄성에너지로 축적하는 코일 스프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241)는 수용부(221) 내에서 수용부(2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탄성부재(241)는 일단이 수용부(221)의 바닥면에 연결됨에 따라 수용부(221)상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241)의 탄성계수는 상술한 가압부재(230)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241)는 접속부몸체(242)를 단자나사(3)의 상부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회전부몸체(220)가 탄성부재(2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부몸체(242)는 일측이 탄성부재(241)에 연결되어 수용부(221)를 통해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몸체(24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부(221) 내부로 삽입된다. 접속부몸체(242)는 수용부(2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용부(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접속부몸체(242)는 수용부(22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둘레면이 회전부몸체(220)의 내주면에 접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속부몸체(242)는 회전부몸체(220)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단자나사(3)와 접촉될 수 있도록 회전부몸체(220)의 하부면이 단자나사(3)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접속부몸체(242)는 일측면(도 5 기준 상부면)이 탄성부재(241)의 타단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다.
접속강화부(243)는 접속부몸체(242)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접속부몸체(242)가 단자나사(3)와 접촉됨에 따라 단자나사(3)에 구비되는 나사홈(4)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접속강화부(242)는 단사나사(3)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접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접속강화부(242)는 나사홈(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몸체(220)가 단자나사(3)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강화부(243)는 접속부몸체(242)의 타측면(도 5 기준 하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다. 접속강화부(242)는 단자나사(3)의 나사홈(4)에 삽입 가능하도록 십(十)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접속강화부(243)의 단면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십(十)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홈(4)의 형상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연결부(300)는 한 쌍의 회전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300)는 한 쌍의 단자나사(3)에 접속된 회전부(200)에 단락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가요성의 재질을 포함함에 따라 형태의 변경이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00)는 한 쌍의 단자나사(3)의 위치,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각 회전부(200)를 단자나사(3)와 접속될 수 있는 위치로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내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케이블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300)는 양단에 힌지부(210)가 삽입됨에 따라 회전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부(300)의 외주면에는 절연을 위해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가 피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1)는 손잡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400)는 회전부(200)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손잡이부(400)는 플라스틱,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를 포함하여 단락 전류가 통전되는 회전부(200)가 사용자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400)는 회전부몸체(22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1)의 조립과정 및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우선 손잡이부(400)를 파지하여 회전부몸체(220)를 타측(도 6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100)를 단자나사(3)에 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에 구비되는 안착부(120)의 개구된 측을 단자나사(3)에 끼움 결합시켜 안착부(120)의 내주면을 단자나사(3)의 측면 둘레에 가압 고정시킨다.
이후 손잡이부(400)를 놓게 되면 가압부재(230)는 회전부몸체(220)를 일측(도 6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30)는 회전부재(220)가 타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비틀림 변형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이후 손잡이부(400)를 놓아 회전부재(22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가압부재(23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회전부재(2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몸체(220)의 하부면이 단자나사(3)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된다.
회전부몸체(220)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접속부(240)는 단자나사(3)의 상부면과 접촉되어 단자나사(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부몸체(242)는 단자나사(3)의 상부면과 접촉되고, 이와 동시에 접속강화부(243)가 단자나사(3)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나사홈(4)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후 회전부몸체(220)가 계속해서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접속부몸체(242)는 단자나사(3)와의 반발력에 의해 수용부(221)의 내부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접속부몸체(242)는 수용부(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부(221) 내부로 이동되고, 수용부(221) 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41)를 압축시킨다.
탄성부재(241)는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접속부몸체(242)와 접속강화부(243)를 단자나사(3)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또한, 탄성부재(241)의 탄성계수는 가압부재(230)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가짐에 따라 회전부몸체(220)는 타측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한편, 회전부몸체(220)에 자력부재(250)가 구비되는 경우, 자력부재(250)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부몸체(220)에 고정부(100)로 향하는 인력을 가해 회전부몸체(220)를 고정부(100)와 접촉된 상태 또는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후 어느 하나의 단자나사(3)로 유입되는 전류는 해당 단자나사(3)와 접속된 회전부(200), 연결부(300), 나머지 하나의 단자나사(3)에 접속된 회전부(200), 나머지 하나의 단자나사(3)를 순차적으로 거쳐 변류기(2)의 2차측 회로를 단락시킨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변류기의 2차측 회로를 단락시킴에 따라 전력량계의 무정전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변류기 2차측의 여자전류를 유기시킬 수 있어 과전압에 따른 변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고정부에 의해 회전부가 단자나사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연결부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변류기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는 가압부재에 의해 회전부가 반자동적으로 단자나사와 접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2 : 변류기
3 : 단자나사 4 : 나사홈
100 : 고정부 110 : 고정부몸체
120 : 안착부 200 : 회전부
210 : 힌지부 211 : 삽입부
212 : 회전축 220 : 회전부몸체
230 : 가압부재 240 : 접속부
241 : 탄성부재 242 : 접속부몸체
243 : 접속강화부 250 : 자력부재
300 : 연결부

Claims (5)

  1. 변류기의 2차측에 구비되는 단자나사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각각의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자나사에 접해 상기 단자나사와 접속되는 한 쌍의 회전부; 및
    한 쌍의 상기 회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회전부몸체;
    상기 힌지부와 상기 회전부몸체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몸체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몸체가 일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자나사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부재;
    일측이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를 통해 이동되는 접속부몸체; 및
    상기 접속부몸체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접속부몸체가 상기 단자나사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단자나사에 구비되는 나사홈으로 삽입되는 접속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부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몸체에 상기 고정부로 향하는 인력을 가하는 자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가압부재의 탄성계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몸체; 및
    상기 고정부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나사의 측면 둘레에 접해 상기 단자나사에 고정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KR1020200069506A 2020-06-09 2020-06-09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KR10239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06A KR102397216B1 (ko) 2020-06-09 2020-06-09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506A KR102397216B1 (ko) 2020-06-09 2020-06-09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98A KR20210152698A (ko) 2021-12-16
KR102397216B1 true KR102397216B1 (ko) 2022-05-12

Family

ID=7903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506A KR102397216B1 (ko) 2020-06-09 2020-06-09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2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603A (ja) * 2000-06-05 2001-12-21 Yazaki Corp バッテリターミナ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20Y2 (ja) * 1992-06-04 1995-02-08 資哲 ▲はい▼島 無停電用取替安全端子盤
KR20100056784A (ko) * 2008-11-20 2010-05-28 김상일 휴대용 초소형 usb 충전기
KR101059961B1 (ko) * 2009-02-27 2011-08-3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도전성 접속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603A (ja) * 2000-06-05 2001-12-21 Yazaki Corp バッテリターミナ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98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3498A1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transformer room of vacuum circuit breaker
US9530591B2 (en) Safety system for high voltage network grounding switch
JP2006340456A (ja) 短絡接地器具
JP7290046B2 (ja) 整定試験装置
JP6324729B2 (ja) 電力量計用無停電バイパス工具
KR102397216B1 (ko) 저압 계기용 변류기 단락 장치
CN102882027A (zh) 临时接地线夹装置
JP4869136B2 (ja) ヒューズ筒作成補助具
JP2006340457A (ja) 短絡接地器具のための操作絶縁棒
KR100805224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선의 무정전공법
KR101019744B1 (ko)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CN201985055U (zh) 电磁式后备保护装置
CN101145675A (zh) 路边设置式变压器装置的pt/ct检查用器具
CA2201809C (en) Disconnector switch for disconnecting a high-voltage arrester from ground
JP2012239363A (ja) アースフック
JP2008172924A (ja) 電線バラケ補正工具
US20150187490A1 (en) Current transformer having a short-circuit device
JP4599241B2 (ja) ユニット型開閉器
JP2018057247A (ja) 短絡接地器具
KR101608751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JP2015030290A (ja) 車両用蓄電装置および電動車両
JP4926818B2 (ja) 油入電気設備の絶縁体保護機構
KR102292778B1 (ko) 퓨즈 및 피뢰기를 구비한 인출형 진공인터럽터 부하개폐기
US20230154693A1 (en) Balance spring assembly for disconnector
JP2003324819A (ja) 電線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