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95B1 -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95B1
KR102397195B1 KR1020200080033A KR20200080033A KR102397195B1 KR 102397195 B1 KR102397195 B1 KR 102397195B1 KR 1020200080033 A KR1020200080033 A KR 1020200080033A KR 20200080033 A KR20200080033 A KR 20200080033A KR 102397195 B1 KR102397195 B1 KR 10239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essure relief
relief valve
detection sens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730A (ko
Inventor
조경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며,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시 탱크에 설치된 파열판을 파열시켜 탱크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방압 밸브와,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방압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PRESSURE REDUCTION DEVICE OF GAS INSULATION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식 능동형 스크류를 장착한 방압 밸브를 적용하여 탱크의 압력 이상 발생시 파열판을 자동으로 파열시켜서 탱크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절연 개폐기(GAS INSULATED SWITCHGEAR, GIS)는 송 변전 라인에 사용되며, 정상 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사고, 단락 등 이상 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계통을 적절히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기는 가스가 충전된 금속제 탱크의 내부에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단로기(DS, Disconnecting Switch), 접지 개폐기(ES, Earthing Switch) 등의 개폐설비와, 변류기(CT, Current Transfomer), 피뢰기(LA, Lightning Arrester), 주회로 모선(Busbar) 등을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스절연 개폐기에 설치되는 방압 밸브는 탱크의 내부에서 전기적 고장에 의해 폭발이 발생하는 경우, 폭발 압력을 탱크의 외부로 배출하여 탱크의 내부 압력을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경우, 방압 밸브를 설치함에 있어서,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시 압력에 의해 방압 밸브의 파열판이 탈락되도록 구성하거나, 압력에 의해 밀려난 파열판이 십자 모양의 칼날에 접하면서 파열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런데 파열판이 탈락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파열판이 압력 토출 커버에 걸려서 압력 분출 통로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파열판이 십자 모양의 칼날에 접하면서 파열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파열되는 부분이 작아서 압력 분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엇다.
또한, 탱크 내부의 폭발이 방압 밸브로부터 상당 부분 이격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 방압 밸브가 작동하기 전에 탱크 내부의 압력이 갑작스럽게 증가하여 탱크의 외함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437호(2013.09.30 등록, 발명의 명칭: 가스절연 개폐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전자식 능동형 스크류를 장착한 방압 밸브를 적용하여 탱크의 압력 이상 발생시 파열판을 자동으로 파열시켜서 탱크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방압 밸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탱크 내부의 지점에 열과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방압 밸브의 동작 전에 탱크의 외함이 먼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는: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며,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시 탱크에 설치된 파열판을 파열시켜 탱크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방압 밸브와,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방압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압 밸브는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는 압력 토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직선 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와,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파열판을 가압하여 파열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크류는 파열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나선형 칼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고, 방압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는 정상 표시 램프부와,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폭발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는 위험 표시 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기는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는, 전자식 능동형 스크류를 장착한 방압 밸브를 적용하여 탱크의 압력 이상 발생시 파열판을 자동으로 파열시켜서 탱크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방압 밸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탱크 내부의 지점에 열과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방압 밸브의 동작 전에 탱크의 외함이 먼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방압 밸브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방압 밸브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에 적용된 방압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방압 밸브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방압 밸브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에 적용된 방압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는 방압 밸브(100)와, 감지 센서(200)와, 제어기(300)를 포함한다.
방압 밸브(100)는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10)의 외부에 설치되며, 탱크(10) 내부의 폭발 발생시 탱크(10)에 설치된 파열판(30)을 파열시켜 탱크(10)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가스절연 개폐기는 송 변전 라인에 사용되며, 정상 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사고, 단락 등 이상 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계통을 적절히 보호하는 장치이다.
가스절연 개폐기는 가스가 충전된 금속제 탱크의 내부에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단로기(DS, Disconnecting Switch), 접지 개폐기(ES, Earthing Switch) 등의 개폐설비와, 변류기(CT, Current Transfomer), 피뢰기(LA, Lightning Arrester), 주회로 모선(Busbar) 등을 수납하여 구성되어 있다.
방압 밸브(100)는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10)의 외부에 설치되며, 탱크(10)의 내부에서 전기적 고장에 의해 폭발이 발생하는 경우, 폭발 압력을 탱크(10)의 외부로 배출하여 탱크(10)의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작동한다.
탱크(10)는 대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과 하단은 밀폐되도록 구성되고, 측면부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는 파열판(30)이 설치된다.
파열판(30)은 얇은 금속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파열판(30)이 방압 밸브(100)에 의해 파열되지 않는 한, 탱크(10)는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된다.
탱크(10)의 내부에는 절연가스가 충진되며, 탱크(10)의 내부에서 전기적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아크가 발생하면서 절연가스의 압력과 온도가 일정 크기를 초과하게 되는 폭발 현상이 발생한다.
방압 밸브(100)는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는 압력 토출관(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직선 운동하는 로드(121)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120)와, 로드(121)에 설치되며, 탱크(10)에 설치된 파열판(30)을 가압하여 파열시키는 스크류(130)를 포함한다.
압력 토출관(20)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라운드 지게 굽어진 형상이며, 탱크(10)의 하단부를 향해 굽어진 형상이 되도록 탱크(10)의 외면에 설치된다.
압력 토출관(20)은 탱크(10) 내부의 폭발 압력이 일정 방향을 따라 방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탱크(10)의 하단부를 향해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대략의 직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압력 토출관(20)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탱크(10)로부터 방출되는 폭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재질이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리니어 모터(120)를 폭발 압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외면을 감싸는 별도의 보호 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스크류(130)는 파열판(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나선형 칼날 형태로 이루어진다.
스크류(130)는 파열판(30)보다 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드릴 비트 등에 사용되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니어 모터(120)의 작동으로 로드(121)가 파열판(30)을 향해 직선 운동하여 스크류(130)의 첨단부가 파열판(30)에 접촉되면, 파열판(30)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하게 되고, 나선형 칼날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류(130)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로드(121)가 계속적으로 파열판(30)을 향해 직선 운동하게 되면, 파열판(30)에 회전하는 드릴 날을 사용한 것처럼, 파열판(30)은 쉽게 파열되고, 또한, 점점 큰 크기로 파열된다.
감지 센서(200)는 탱크(10) 내부의 폭발 발생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를 위해, 탱크(10) 내부의 열과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감지 센서(200)로는 열을 감지하는 센서와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별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열과 압력을 동시에 측정하는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탱크(10) 내부의 폭발이 방압 밸브(100)로부터 상당 부분 이격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우, 방압 밸브(100)가 작동하기 전에 탱크(10) 내부의 압력이 갑작스럽게 증가하여 탱크(10)의 외함이 폭발하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감지 센서(200)는 방압 밸브(100)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위치인 탱크(10) 내부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기(300)는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방압 밸브(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탱크(10) 내부의 압력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어기(300)는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고, 방압 밸브(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40)와,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제어부(340)에 의해 점등되는 정상 표시 램프부(310)와,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폭발 신호에 따라 제어부(340)에 의해 점등되는 위험 표시 램프부(320)와,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제어부(340)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330)와, 제1 전원부(350)를 포함한다.
정상 표시 램프부(310)는 녹색 또는 파란색 빛을 발산하는 정상 표시용 램프부재(미도시)를 포함하며, 정상 표시용 램프부재는 현장 관리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고휘도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험 표시 램프부(320)는 적색 또는 주황색 빛을 발산하는 위험 표시용 램프부재(미도시)를 포함하며, 위험 표시용 램프부재는 현장 관리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고휘도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폭발 신호에 따라 제어부(340)에 의해 위험 표시 램프부(320)가 점등되는 경우, 제어부(340)는 위험 표시 램프부(32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장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340)와 정상 표시 램프부(310) 사이에는 제1 스위치(36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제어부(340)는 제1 스위치(360)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정상 표시 램프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와 위험 표시 램프부(320) 사이에는 제2 스위치(3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폭발 신호에 따라 제어부(340)는 제2 스위치(370)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위험 표시 램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압 밸브(100)에는 리니어 모터(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140)가 연결되며, 제2 전원부(140)와 방압 밸브(100) 사이에는 제3 스위치(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300)의 제어부(340)는 감지 센서(200)로부터 감지된 폭발 신호에 따라 제3 스위치(150)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방압 밸브(100)의 리니어 모터(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00)는 방압 밸브(100) 및 감지 센서(200)와 연결됨에 있어서, 도시된 것처럼, 유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제어기(300)를 탱크(10) 및 방압 밸브(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를 이용하여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고장에 대응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10)의 내부에 전기적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감지 센서(200)는 정상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감지 센서(200)로부터 정상 작동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기(300)의 제어부(340)는 방압 밸브(100)의 리니어 모터(120)를 작동시키는 제3 스위치(150)로 오프(OFF) 신호를 전송하며, 정상 표시 램프부(310)를 작동시키는 제1 스위치(360)로 온(ON)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방압 밸브(100)의 리니어 모터(120)는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정상 표시 램프부(310)는 점등된다.
반면에,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10)의 내부에 전기적 고장이 발생하여 폭발이 발생하는 경우, 감지 센서(200)는 폭발 신호를 발생시키고, 감지 센서(200)로부터 폭발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기(300)의 제어부(340)는 방압 밸브(100)의 리니어 모터(120)를 작동시키는 제3 스위치(150)로 온(ON) 신호를 전송하며, 위험 표시 램프부(320)를 작동시키는 제2 스위치(370)로 온(ON)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방압 밸브(100)의 리니어 모터(120)가 작동하여 로드(121)는 파열판(30)을 향해 화살표(A)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며, 로드(121)에 설치된 스크류(130)의 첨단부는 파열판(30)에 접촉되면서 파열판(30)에 미세한 파열을 발생시킨다.
이후, 로드(121)는 계속적으로 파열판(30)을 향해 화살표(A)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직경이 점점 커지는 나선형 칼날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류(130)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파열판(30)은 미세한 파열이 점차 확대되면서 큰 크기로 파열되며, 폭발로 인한 탱크(10) 내부의 상승된 압력은 화살표(F) 방향을 따라 파열판(30)의 파열된 부분(S)을 통해 탱크(10)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탱크(10) 내부의 압력은 효과적으로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 능동형 스크류를 장착한 방압 밸브를 적용하여 탱크의 압력 이상 발생시 파열판을 자동으로 파열시켜서 탱크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방압 밸브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탱크 내부의 지점에 열과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방압 밸브의 동작 전에 탱크의 외함이 먼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탱크 20: 압력 토출관
30: 파열판 100: 방압 밸브
110: 하우징 120: 리니어 모터
121: 로드 130: 스크류
140: 제2 전원부 150: 제3 스위치
200: 감지 센서 300: 제어기
310: 정상 표시 램프부 320: 위험 표시 램프부
330: 경고음 발생부 340: 제어부
350: 제1 전원부 360: 제1 스위치
370: 제2 스위치

Claims (5)

  1. 가스절연 개폐기에 마련되는 탱크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시 상기 탱크에 설치된 파열판을 파열시켜 상기 탱크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방압 밸브;
    상기 탱크 내부의 폭발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방압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방압 밸브는,
    상기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는 압력 토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직선 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리니어 모터; 및
    상기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파열판을 가압하여 파열시키는 스크류;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파열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나선형 칼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방압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는 정상 표시 램프부;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폭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는 위험 표시 램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상 작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KR1020200080033A 2020-06-30 2020-06-30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KR10239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3A KR102397195B1 (ko) 2020-06-30 2020-06-30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3A KR102397195B1 (ko) 2020-06-30 2020-06-30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30A KR20220001730A (ko) 2022-01-06
KR102397195B1 true KR102397195B1 (ko) 2022-05-12

Family

ID=7934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3A KR102397195B1 (ko) 2020-06-30 2020-06-30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092B1 (ko) * 2022-07-21 2023-04-18 엔텍월드(주) 능동형 방압판 파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48B1 (ko) * 2016-10-19 2017-08-04 대영종합산기(주) 실시간 변압기 상태감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한 스마트형 방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606B1 (ko) * 1999-06-18 2001-11-01 안영희 초고압차단기용 방압변 조립체
JP5872260B2 (ja) * 2011-11-22 2016-03-01 株式会社東芝 電力用ガス絶縁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59035A (ko) * 2015-11-19 2017-05-30 한국전력공사 압력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위치 검사 장치와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48B1 (ko) * 2016-10-19 2017-08-04 대영종합산기(주) 실시간 변압기 상태감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한 스마트형 방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30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617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against explosion and fire of electrical transformers
HU225863B1 (en) Device for preventing explosions in electrical transformers and system equipped with such a device
KR101325252B1 (ko) 전기 변압기의 폭발 방지 장치
EA016282B1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вентивной защиты переключателя ответвлений под нагрузкой от возгорания и/или трансформатора от взрыва и способ
ES2375152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prevención y protección de un transformador eléctrico frente a una explosión e incendio.
US7109877B2 (en) Fault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793641B (zh) Led灯的安全操作
KR102397195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방압 장치
US4223364A (en)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protective devices
KR200296641Y1 (ko)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JP5269109B2 (ja) 真空バルブ及びタンク形真空遮断器
KR200280159Y1 (ko) 주상변압기용 순간압력저감장치
CN211010124U (zh) Esd阀门安全控制自动转换器
KR100308606B1 (ko) 초고압차단기용 방압변 조립체
KR102522092B1 (ko) 능동형 방압판 파열장치
CN205723079U (zh) 一种变压器的自动放油装置
JPS6276705A (ja) 油入電器
KR20210153491A (ko) 접촉불량 감지 전원 배선기구
KR20190133493A (ko) 지중송전 of 케이블의 화재 진압 장치 및 그 방법
JPH04282521A (ja) ガス絶縁電器の放圧装置
JPH10284215A (ja) 避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