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44B1 - 덧신 - Google Patents

덧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44B1
KR102397144B1 KR1020210132479A KR20210132479A KR102397144B1 KR 102397144 B1 KR102397144 B1 KR 102397144B1 KR 1020210132479 A KR1020210132479 A KR 1020210132479A KR 20210132479 A KR20210132479 A KR 20210132479A KR 102397144 B1 KR102397144 B1 KR 10239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cover
string
disposed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고은
황승현
Original Assignee
한고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고은 filed Critical 한고은
Priority to KR102021013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6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having friction increa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바텀커버(10); 상기 바텀커버(1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프론트커버(20); 상기 바텀커버(10) 및 프론트커버(2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는 리어커버(30); 상기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삽입구(40); 및 상기 삽입구(4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이너마찰부재(60);를 포함하고, 이너마찰부재가 배치되어 벗겨짐을 최소화할 있고, 바텀마찰부재가 배치되어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덧신{Short socks}
본 발명은 덧신에 관한 것이다.
덧신은 여성들이 구두나 단화와 같은 신발을 착용할 경우, 신발과 접촉되는 살갗 부위인 발등이나 발가락 또는 발뒤꿈치 등이 상기 신발과의 마찰에 의한 상처 또는 물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고 있다.
또한 덧신은 상기와 같이 상처나 물집 발생을 방지함과 더불어 구두나 단화 착용 시 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도록 하면서도 편안하고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종래 덧신은 짧은 높이로 인해 걸을 때, 신발 내에서 벗겨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363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6591호
본 발명은 벗겨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덧신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바텀커버(10); 상기 바텀커버(1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프론트커버(20); 상기 바텀커버(10) 및 프론트커버(2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는 리어커버(30); 상기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삽입구(40); 및 상기 삽입구(4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이너마찰부재(60);를 포함하는 덧신을 제공한다.
상기 바텀커버(10)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바텀마찰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발바닥의 아치(15) 전방에 위치한 제 1 바텀마찰부재(701); 및 발바닥 아치(15)의 후방에 위치한 제 2 바텀마찰부재(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마찰부재(701)는 중족골( metatarsal bones)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마찰부재(702)는 뒷꿈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은 이너마찰부재가 배치되어 벗겨짐을 최소화할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은 바텀마찰부재가 배치되어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은 바텀마찰부재 내부에 배치된 완충유체를 통해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재, 본 발명에 따른 덧신은 탄성율이 더 큰 스트링을 통해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착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덧신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덧신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착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착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덧신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덧신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덧신(100)은 전체가 원피스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덧신(100)은 양말 직조기를 통해 원피스로 제작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덧신(100)은, 사용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바텀커버(10)와, 상기 바텀커버(1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프론트커버(20)와, 상기 바텀커버(10) 및 프론트커버(2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는 리어커버(30)와, 상기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삽입구(40)를 포함한다.
상기 바텀커버(10),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는 일체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높이는 사용자의 복숭아뼈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덧신(100)의 각 부 구성은 경계가 모호하기 때문에, 삽입구(40)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래서 상기 덧신(100)은,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40)와, 상기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바텀커버(10),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덧신(100)은 상기 삽입구(4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이너마찰부재(60)와, 상기 바텀커버(10)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바텀마찰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마찰부재(60)는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보다 마찰력 및 탄성력이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마찰부재(60)는 인체에 무해하고(biocompatible), 탄력성 있고(flexible), 질기며(tough), 적절한 형태로 성형하기 유리한 합성수지 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합성수지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합성수지는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발레레이트(PHBV),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s),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s), 폴리오르쏘에스테르(Polyorthoesters),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락트산(PLA),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PBA),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드(PBAT),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옥수수대, 사탕수수대, 마직물, 건초, 녹말,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콜라겐, 알부민, 젤라틴 및 덱스트란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것 수 있다.
상기 이너마찰부재(60)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상기 생분해성 합성수지가 1:10 내지 10:1, 더욱 구체적으로는 2:8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 탄성부재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3:2의 중량비로 혼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폴리락트산(PLA)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PBA)가 4:7의 중량비로 혼합된 생분해성 수지가 2:8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마찰부재(60)를 통해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너마찰부재(60)가 생분해성 합성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덧신의 폐기 후에도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이너마찰부재(60)는 복숭아뼈를 기준으로 프론트커버(20) 측에 배치되는 제 1 이너마찰부(61)와, 상기 제 1 이너마찰부(61)와 연결되고, 복숭아뼈를 포함하여 뒷꿈치를 감싸게 배치되는 제 2 이너마찰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너마찰부(61) 및 제 2 이너마찰부(62)는 연결되어 연속된 형태이다. 상기 제 1 이너마찰부(61) 및 제 2 이너마찰부(62)는 삽입구(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은닉된다.
상기 제 1 이너마찰부(61)의 폭(t1) 보다 상기 제 2 이너마찰부(62)의 폭(t2)이 더 넓게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이너마찰부(61) 및 제 2 이너마찰부(62)의 연결부분은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너마찰부(62)의 폭(t2)을 더 넓게 배치하여 덧신(100)의 뒷꿈치 쪽에서 더 강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바텀커버(10)의 하측면에 배치되고, 마찰을 통해 미끄러짐을 최소화한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바텀커버(10)에서 발가락 쪽에 배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발바닥의 아치(arch, 15)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아치(15)는 발바닥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발바닥 앞쪽의 볼(ball) 부분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해부학적으로 발을 구성하는 중족골( metatarsal bones)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중족골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걸을 때 신발과 덧신(100) 사이에서 마찰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의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꽃문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한붓그리기 또는 1획으로 형성된 문양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마찰부재(70)는 나선형으로 말려 형성되고, 바텀마찰부재(70)의 폭 사이로 바텀커버(10)가 노출된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직조된 바텀커버(10) 보다 마찰력이 높은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덧신(100)은 바텀마찰부재(70)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바텀커버(10)에 부착되는 어퍼부재(71)와, 상기 어퍼부재(71)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로어부재(72)와, 상기 어퍼부재(71) 및 로어부재(72) 사이의 완충공간(73)에 충진되는 완충유체(75)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부재(71) 및 로어부재(72)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일 수 있다.
상기 완충유체(75)는 상기 어퍼부재(71) 및 로어부재(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어퍼부재(71) 또는 로어부재(72)를 팽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닥을 디뎌서 상기 바텀마찰부재(70)의 어느 한쪽에 압력을 가할 경우, 상기 완충유체(75)가 압력이 적은 쪽으로 유동되면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발바닥의 아치(15) 전방에 위치한 제 1 바텀마찰부재(701)와, 발바닥 아치(15)의 후방에 위치한 제 2 바텀마찰부재(702)와, 상기 제 1 바텀마찰부재(701) 및 제 2 바텀마찰부재(70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마찰부재(703) 및 제 2 연결마찰부재(70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마찰부재(701)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중족골( metatarsal bones)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마찰부재(702)는 뒷꿈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마찰부재(703)는 제 1 바텀마찰부재(701)의 일측과 제 2 바텀마찰부재(702)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마찰부재(704)는 제 1 바텀마찰부재(701)의 일측과 제 2 바텀마찰부재(702)의 타측을 연결한다.
상기 제 1 연결마찰부재(703) 및 제 2 연결마찰부재(704)를 통해 완충유체(75)가 제 1 바텀마찰부재(701) 및 제 2 바텀마찰부재(702)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마찰부재(701)가 한붓그리기 또는 1획의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연결마찰부재(703) 및 제 2 연결마찰부재(704)를 통해 용이하게 완충유체(75)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제 1 연결마찰부재(703) 또는 제 2 연결마찰부재(704) 중 1개만 배치될 경우, 완충유체(75)가 어느 한쪽으로 유동된 회수되기 어렵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덧신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착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덧신은 상기 바텀커버(10) 및 리어커버(3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1 스트링(80)과, 상기 바텀커버(10) 및 프론트커버(2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2 스트링(90)을 포함한다.
제 1 스트링(80) 및 제 2 스트링(90)은 바텀커버(10) 및 리어커버(30)의 탄성율 보다 1.5 내지 2배의 탄성율을 갖는다. 제 1 스트링(80) 및 제 2 스트링(90)을 고탄성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리어커버(30) 및 프론트커버(20)를 발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스트링(80)은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게 배치되고, 리어커버(30)의 벗겨짐을 억제한다.
상기 제 2 스트링(90)은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게 배치되고, 프론트커버(20)이 밀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 1 스트링(80)은 바텀커버(1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1-1 스트링부(81)와, 상기 제 1-1 스트링부(81)의 양단과 연결되어 리어커버(30)의 상측을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1-2 스트링부(82)를 포함한다.
제 1-1 스트링부(81)가 아치에 배치되고, 제 1-2 스트링부(82)가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트링부(82)이 최상단은 이너마찰부재(60) 및 리어커버(30) 사이를 경유하게 배치된다. 제 1-2 스트링부(82)가 이너마찰부재(60) 및 리어커버(3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피부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트링(90)은 바텀커버(1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2-1 스트링부(91)와, 상기 제 2-1 스트링부(91)의 양단과 연결되어 프론트커버(20)의 상측을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2-2 스트링부(92)를 포함한다.
제 2-1 스트링부(91)가 아치에 배치되고, 제 2-2 스트링부(92)가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2 스트링부(92)이 최상단은 이너마찰부재(60) 및 프론트커버(20) 사이를 경유하게 배치된다. 제 2-2 스트링부(92)가 이너마찰부재(60) 및 프론트커버(3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피부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트링부(82) 및 제 2-2 스트링부(92)는 발바닥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아치(15)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2 스트링부(82)가 제 2-2 스트링부(92)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아치(15)에 제 1-2 스트링부(82)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스트링(80)이 발뒷꿈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치(15)에 제 2-2 스트링부(92)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스트링(90)이 발등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텀커버 20 : 프론트커버
30 : 리어커버 40 : 삽입구
60 : 이너마찰부재 70 : 바텀마찰부재
80 : 제 1 스트링 90 : 제 2 스트링

Claims (5)

  1. 사용자의 발바닥을 감싸는 바텀커버(10);
    상기 바텀커버(1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프론트커버(20);
    상기 바텀커버(10) 및 프론트커버(2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사용자의 뒷꿈치를 감싸는 리어커버(30);
    상기 프론트커버(20) 및 리어커버(3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삽입구(40);
    상기 삽입구(4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이너마찰부재(60);
    상기 바텀커버(10)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바텀마찰부재(70);
    상기 바텀커버(10) 및 리어커버(3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1 스트링(80);
    상기 바텀커버(10) 및 프론트커버(2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2 스트링(90);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커버(10)는,
    상기 발바닥의 아치(15) 전방에 위치한 제 1 바텀마찰부재(701); 상기 발바닥 아치(15)의 후방에 위치한 제 2 바텀마찰부재(702); 상기 제 1 바텀마찰부재(701) 및 제 2 바텀마찰부재(70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마찰부재(703) 및 제 2 연결마찰부재(704);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마찰부재(70)는,
    상기 바텀커버(10)에 부착되는 어퍼부재(71); 상기 어퍼부재(71)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로어부재(72); 및 상기 어퍼부재(71) 및 로어부재(72) 사이의 완충공간(73)에 충진되는 완충유체(7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텀마찰부재(701)의 상기 완충유체(75)가 상기 제 1 연결마찰부재(703) 및 제 2 연결마찰부재(704)를 통해 상기 제 2 바텀마찰부재(702)로 유동되고,
    상기 제 1 스트링(80)은,
    상기 바텀커버(1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1-1 스트링부(81);
    상기 제 1-1 스트링부(81)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리어커버(30)의 상측을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1-2 스트링부(8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트링(90)은,
    상기 바텀커버(10)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2-1 스트링부(91);
    상기 제 2-1 스트링부(91)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커버(20)의 상측을 경유하게 배치되는 제 2-2 스트링부(9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2 스트링부(82)이 최상단이 상기 이너마찰부재(60) 및 리어커버(30) 사이를 경유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스트링부(92)이 최상단이 상기 이너마찰부재(60) 및 프론트커버(20) 사이를 경유하게 배치되는 덧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2479A 2021-10-06 2021-10-06 덧신 KR10239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479A KR102397144B1 (ko) 2021-10-06 2021-10-06 덧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479A KR102397144B1 (ko) 2021-10-06 2021-10-06 덧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144B1 true KR102397144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479A KR102397144B1 (ko) 2021-10-06 2021-10-06 덧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4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00Y1 (ko) * 2012-06-05 2012-11-06 손동준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KR101376591B1 (ko) 2013-05-20 2014-03-20 박영수 벗겨짐 방지형 덧신
JP2014101587A (ja) * 2012-11-16 2014-06-05 Yukari Kk ソックス
US20180235836A1 (en) * 2017-02-23 2018-08-23 Carrie Green Pressure point sleep garment
KR20180096928A (ko) * 2017-02-22 2018-08-30 고미화 다이어트용 덧신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3559B1 (ko) * 2018-06-19 2019-08-23 (주)렉시 양말의 양면 넌슬립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KR102236349B1 (ko) 2020-06-29 2021-04-05 김태효 실리콘 박막 필름을 이용한 벗김 방지 덧신
KR20210085687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제이패션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500Y1 (ko) * 2012-06-05 2012-11-06 손동준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JP2014101587A (ja) * 2012-11-16 2014-06-05 Yukari Kk ソックス
KR101376591B1 (ko) 2013-05-20 2014-03-20 박영수 벗겨짐 방지형 덧신
KR20180096928A (ko) * 2017-02-22 2018-08-30 고미화 다이어트용 덧신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80235836A1 (en) * 2017-02-23 2018-08-23 Carrie Green Pressure point sleep garment
KR102013559B1 (ko) * 2018-06-19 2019-08-23 (주)렉시 양말의 양면 넌슬립 부착방법 및 그 부착구조
KR20210085687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제이패션 기능성 무재봉 덧신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2236349B1 (ko) 2020-06-29 2021-04-05 김태효 실리콘 박막 필름을 이용한 벗김 방지 덧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8972B2 (en)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US20210177070A1 (en) Method including footwear and sock having aligning indicia
US1174432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durometer outsole
US11944154B2 (en) Method of making footwear with interlocking midsole
US10750825B2 (en) Shoes
JP2023101652A (ja) 足首の非対称襟を有する履物品
CN102215710A (zh) 具有中底结构的鞋类物品
US20150107133A1 (en) Flexible shoe sole
US20200068993A1 (en) Articles of footwear with wear-resistant toe shield and manufacturing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KR20070049648A (ko) 깔창 및 이것을 구비하는 풋웨어 시스템
KR20110008168A (ko) 보행 장비
JPS59144401A (ja) 運動靴
WO2009087398A1 (en) A sole for footwear
US4813161A (en) Footwear
JP2020505156A (ja) ソール構造
JPS59149101A (ja) 運動靴
US7832122B2 (en) Shoe heel cup and shoe equipped with one such heel cup
KR102397144B1 (ko) 덧신
WO2006077606A1 (en) Inner lining shoe for sport footwear having substantially rigid shell and leg-piece
US20230284748A1 (en) Footwear heel counter for easier foot entry or removal
KR20210032322A (ko) 축구 경기용 적응가능한 신발류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US11857026B2 (en) Footwear
JP3234721U (ja)
JP5538615B1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