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668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668A
KR20190017668A KR1020180091822A KR20180091822A KR20190017668A KR 20190017668 A KR20190017668 A KR 20190017668A KR 1020180091822 A KR1020180091822 A KR 1020180091822A KR 20180091822 A KR20180091822 A KR 20180091822A KR 20190017668 A KR20190017668 A KR 2019001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ole
deformation
foot
heel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374B1 (ko
Inventor
마사시 우다
켄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4Soles also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7Sole and hee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17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Abstract

신발은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발의 발바닥면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갖는 솔(sole)과, 솔에 배치되어 발을 덮는 어퍼와, 발바닥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발의 내골측으로부터 외골측에 걸쳐 덮도록 어퍼의 뒤꿈치부 영역에 배치된 힐카운터를 구비한다. 힐카운터에는, 뒤꿈치부 영역의 후측 하부에, 솔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바닥 지지부의 후부가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충격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절삭부(변형 허용부)가 배치된다.

Description

신발{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은, 착용자의 발뒤꿈치부를 덮는 힐카운터를 구비한 신발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이 특허문헌 1의 신발은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발의 발바닥면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갖는 솔(sole)과, 솔에 배치되어 착용자 발을 덮는 어퍼(upper)와, 발바닥 지지부 상측에 위치하며 발뒤꿈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힐카운터(heel counter)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8-206629호 공보
그런데, 일반적으로, 스포츠용 신발에서는, 예를 들어 경기 중에 신발을 착용한 자(이하 “착용자”라 함)의 발이 노면에 접지했을 때(이하 “접지 시”라 함), 탄성재로 이루어진 솔이 압축 변형하게 되고, 이 솔의 기능에 의해, 신발 전체적으로 쿠션성이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신발에서는, 솔보다 강성이 큰 힐카운터가 솔 후부의 발바닥 지지부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이 뒤꿈치측부터 접지했을 때, 솔이 접지면과 힐카운터 사이에서 압축 변형을 일으키나, 충분한 쿠션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즉, 특허문헌 1의 신발에서는, 힐카운터로 인해 솔의 쿠션성이 충분히 발휘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힐카운터가 솔 후부의 발바닥 지지부 바로 위에 배치되므로, 접지 시 솔의 압축 변형에 수반하는 반발력에 기인하여, 솔 바로 위에 배치된 힐카운터가 밀어 올려져 상방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특허문헌 1의 신발에서는, 착용자의 발목 후측(아킬레스건 부근)이 힐카운터의 상단부에 의해 밀어 올려져 버려, 접지 시에 발목 후측이 까지는 등의 위화감을 주었다.
추가로, 특허문헌 1의 신발에서는, 접지 시에 솔의 쿠션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은 상태에서 힐카운터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버리므로, 힐카운터가 착용자의 뒤꿈치에 피트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접지 시에 착용자의 발목이 흔들리게 되어, 안정된 접지감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솔의 쿠션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신발에 따른 것이고, 이 신발은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갖는 솔과, 솔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발을 덮는 어퍼와, 발바닥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발의 내골측(medial side)으로부터 외골측(lateral side)에 걸쳐 덮도록 어퍼의 발뒤꿈치부에 대응하는 뒤꿈치부 영역에 배치된 힐카운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힐카운터에는, 뒤꿈치부 영역의 후측 하부에, 솔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바닥 지지부의 후부가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충격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허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 형태에서는, 힐카운터에 형성된 변형 허용부에 의해, 발이 노면에 접지했을 때(접지 시), 뒤꿈치부 영역에서 솔이 압축 변형하고 또한 변형 허용부의 방향(발바닥 지지부의 상방)을 향해 굴곡 변형하게 되므로, 솔의 쿠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형 허용부에 의해, 접지 시에 솔의 압축 변형에 수반하는 반발력에 기인한 힐카운터가 밀어 올려지는 것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힐카운터는 발이 노면에 접지한 후에 바로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접지 시, 착용자의 발목 후측(아킬레스건 부근)이 힐카운터의 상단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것이 억제되어, 발목 후측이 까지는 등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 허용부에 의해 접지 시에 솔의 쿠션성이 향상되고 또한 힐카운터가 접지 후 바로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접지 시 힐카운터가 착용자의 뒤꿈치에 피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발목의 상태가 안정되고, 접지 시 발목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1 형태에서는, 솔의 쿠션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제 2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변형 허용부는, 그 상단부가 발뒤꿈치뼈의 하단부에서 뒤꿈치뼈 융기의 상단부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2 형태에서는, 변형 허용부가, 접지 시 착용자의 발목 후측(아킬레스건 부근)을 힐카운터의 상단부에 의해 밀어 올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뒤꿈치부 후측을 힐카운터로 충분히 보호하면서, 접지 시 발뒤꿈치부 후측에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3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변형 허용부는, 힐카운터의 후측 하부를 상방으로 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절삭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3 형태에서는, 변형 허용부로서의 기능을, 간이 구성으로 힐카운터의 뒤꿈치부 영역의 후측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제 4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변형 허용부는, 힐카운터보다 변형되기 쉬운 구성 또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4 형태에서는, 뒤꿈치부 영역의 후측 하부를 힐카운터보다 변형되기 쉬운 구성 또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변형 허용부에 의해 부드럽게 보호하면서, 제 1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과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5 형태에서는, 뒤꿈치부터 접지했을 때 외골측 및 내골측 중 어느 한쪽에 편중되는 접지 시의 충격을, 각종 경기 스타일에 맞추어 중점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6 형태는, 제 5 형태에 있어서,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이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6 형태에서는, 보행 중이거나 달리는 중이거나 또는 스포츠를 할 때 등의 뒤꿈치의 외골측에 편중되는 접지 시의 충격을 중점적으로 억제하고, 착용자 발의 외골측을, 발이 노면에 접지했을 때 체중 이동의 하중 궤적(이른바, 부하 경로)의 초기 단계에서 안정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다.
제 7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솔의 두께방향 중간부에는, 솔보다 경질의 박육층으로 이루어진 보강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7 형태에서는, 보강 플레이트에 의해 접지 시에 발생하는 발을 향한 국부적인 충격이 분산되어, 발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충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힐카운터의 변형 허용부에 의한 효과와 더불어 한층 더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제 8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솔에는, 어퍼의 후부를 그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피부가 형성되고, 외피부는, 상단부가 변형 허용부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8 형태에서는, 접지 시에 생기기 쉬운 어퍼 후부의 주름을 외피부로 적절히 감추어, 신발의 디자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9 형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힐카운터는, 어퍼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9 형태에서는, 힐카운터가 어퍼에 의해 덮여 신발 안에서 보호되게 되므로, 특히 뒤꿈치부 영역에서의 신발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솔의 쿠션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을 발의 골격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을 발의 골격 구조와 함께 외골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힐카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힐카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힐카운터의 구성을 외골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힐카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8은, 도 2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1의 신발을 나타내는 도 8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2의 신발을 나타내는 도 8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3의 신발을 나타내는 도 8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2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힐카운터를 나타내는 도 5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3은, 샘플1(비교예)의 신발에서 접지 후의 시간 경과에 대한 상반력 및 신발 각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샘플2(실시예)의 신발의 도 13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15는, 샘플3(실시예)의 신발의 도 13에 상당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 전체를 나타내고, 이 신발(S)은, 예를 들어 런닝, 각종 구기, 배드민턴 등의 각종 경기 스포츠용 신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운동화, 재활치료용 신발 등에 적용된다.
여기서, 신발(S)은, 왼발용 신발만을 예시한다. 오른발용 신발은, 왼발용 신발과 좌우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왼발용 신발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오른발용 신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방(상측) 및 하방(하측)이란 신발(S)의 상하방향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전방(전측) 및 후방(후측)이란 신발(S)의 전후방향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며, 내골측 및 외골측이란 신발(S)의 발의 폭방향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발(S)은 탄성재로 이루어진 솔을 구비한다. 솔은, 신발(S)을 착용한 자(이하 “착용자”라 함)의 발의 전족부(F)부터 후족부(H)에 걸친 범위에 배치된 아웃솔(1)을 갖는다. 이 아웃솔(1)은, 후술하는 미드솔(2)보다 고경도의 경질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열가소성 수지, 폴리우레탄(PU)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부타디엔 고무나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고무소재가 적합하다. 아웃솔(1) 하면에는, 노면에 접하는 접지면이 형성된다.
또한, 솔은, 전족부(F)에서 후족부(H)까지의 발바닥면을 지지하는 미드솔(2)을 갖는다. 이 미드솔(2)은, 연질의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나 그 발포체, 폴리우레탄(PU)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그 발포체, 부타디엔 고무나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고무소재나 그 발포체 등이 적합하다. 미드솔(2)은, 그 하부가 접착제 등에 의해 아웃솔(1)의 상측에 적층 배치된다. 또한, 미드솔(2)은 상하로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드솔(2)은, 상부 미드솔(3)과, 상부 미드솔(3) 하측에 적층 배치된 하부 미드솔(4)을 갖는다. 상부 미드솔(3) 상부에는,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3a)가 배치된다.
상부 미드솔(3) 및 하부 미드솔(4) 사이에는, 발의 후족부(H)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보강 플레이트(5)가 배치된다. 보강 플레이트(5)는, 상부 미드솔(3) 및 하부 미드솔(4)보다 경질의 박육층으로 이루어지고, 요철이 전후방향으로 반복된 파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5)로는, 상기 파도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부 미드솔(3)의 주연부에는, 착용자의 발을 덮는 어퍼(6)가 배치된다. 어퍼(6)는, 전족부(F)의 발가락끝 측에서 후족부(H)의 뒤꿈치부 후측까지를 덮도록 형성된다. 어퍼(6)의 하부는, 미드솔(2)의 상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어퍼(6)는, 하부 주연이 상부 미드솔(3)의 주연 전체에 접착제 등으로 일체적으로 고착된다.
어퍼(6)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어퍼(6)의 소재로는, 편물, 직물, 부직포, 합성피혁, 인공피혁, 천연피혁 등이 적합하다. 예를 들어, 어퍼(6)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실을 경편(즉, 더블라셀)으로 짠 망목상의 메시 패브릭이 바람직하다.
어퍼(6) 상부에는, 착용자의 발을 삽입하기 위한 발삽입부(6a)가 개구되고, 이 발삽입부(6a)에 연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6b)가 형성된다. 개구부(6b)에는, 끈구멍탭(7)이 봉제되거나 하여 어퍼(6) 상부에 고착된다. 끈구멍탭(7)의 좌우 연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끈구멍(eyelet)(7a, 7a, …)이 관통 형성되고, 각 끈구멍(7a)에 신발끈(8)이 삽입 관통된다. 개구부(6b)의 전측연부에는, 개구부(6b)를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설편부(9)가 배치된다. 또, 어퍼(6)의 후측 상부에는, 그 내부에 쿠션재(6c)가 매설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미드솔(3)의 발바닥 지지부(3a)의 상측에는, 어퍼(6)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안창부(6d)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3∼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발(S)은, 착용자의 발뒤꿈치부를 보호하기 위한 힐카운터(10)를 구비한다. 이 힐카운터(10)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나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PAE), ABS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에폭시 수지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천연피혁이나 합성피혁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힐카운터(10)는, 발바닥 지지부(3a)의 상방에서 어퍼(6)의 후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힐카운터(10)는, 어퍼(6)의 발뒤꿈치부에 대응하는 뒤꿈치부 영역(H)(즉, 후족부(H)에 상당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뒤꿈치부 영역(H)을 발의 내골측으로부터 뒤꿈치부 후측을 지나 외골측에 걸쳐 덮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힐카운터(10)는, 하단부의 둘레 길이 L이 100㎜ 이상 25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힐카운터(10)에는, 뒤꿈치부 영역(H)의 후측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변형 허용부가 형성된다. 이 변형 허용부는, 솔(아웃솔(1) 및 미드솔(2))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바닥 지지부(3a)의 후부가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충격 변형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3∼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허용부는 절삭부(11)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부(11)는, 배면에서 보아 힐카운터(10)의 후측 하부를 상방으로 하여 만곡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부(11)는, 측면에서 보아 힐카운터(10)의 후단부로부터 전측으로 갈수록 힐카운터(10)의 하부를 향하도록 거의 경사 형상으로 절삭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인체의 발의 뒤꿈치뼈(CB) 후단에는, 상하방향 거의 중앙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융기부(cb1), 그리고 융기부(cb1) 상방에 위치하는 상단부(cb2) 및 하방에 위치하는 하단부(cb3)가 형성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인체의 발 구조를 전제로, 절삭부(11)의 상단부(11a)가 뒤꿈치뼈(CB) 후단의 하단부(cb3)보다 하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종래의 신발의 힐카운터 구조와의 차이를 느끼기 어려워진다. 한편, 절삭부(11)의 상단부(11a)가 뒤꿈치뼈(CB) 후단의 상단부(cb2)보다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착용자의 발뒤꿈치부 후측이 힐카운터(10)로 충분히 보호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삭부(11)는, 그 상단부(11a)가 발뒤꿈치뼈(CB)의 하단부(cb3)에서 상단부(cb2)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절삭부(11)의 상단부(11a)를, 뒤꿈치뼈(CB) 후단의 융기부(cb1)가 절삭부(11)의 영역 내에 포함되는 위치에 형성하면, 발뒤꿈치부 후측을 힐카운터(10)로 보호하면서, 변형 허용부(절삭부(11))에 의한 후술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추가로,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부(11)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과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절삭부(11)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도 5에 나타내는 일점쇄선 C보다 좌측을 차지하는 영역)이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도 5에 나타내는 일점쇄선 C보다 우측을 차지하는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절삭부(11)는, 전개 상태에서 이하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절삭부(11)의 하단부(도 7에서 나타낸 점선의 위치)에서 상단부(11a)까지의 높이 h는, 5㎜ 이상 30㎜ 이하이다. 특히, 착용자의 발뒤꿈치뼈(CB) 후단의 하단부(cb3)에서 융기부(cb1)까지의 높이를 고려하여, 높이 h는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절삭부(11)의 일방의 하단부에서 타방의 하단부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 w는, 10㎜ 이상 125㎜ 이하이다. 길이 w가 125㎜를 초과한 경우(예를 들어 길이 w가 130㎜인 경우)에는, 힐카운터(10)에 의한 발뒤꿈치부에 대한 발폭방향의 홀드감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힐카운터(10)와 절삭부(11)의 관계에서, h≤w/2≤L/3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에서는, 예를 들어 경기 중에 착용자의 발이 노면에 접지했을 때(접지 시), 탄성재로 이루어진 솔(특히, 미드솔(2))이 압축 변형하게 되고, 이 솔의 기능에 의해, 신발(S) 전체적으로 쿠션성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에서는, 힐카운터(10)에 형성된 변형 허용부(절삭부(11))에 의해, 발이 노면에 접지했을 때(접지 시), 뒤꿈치부 영역(H)에서 솔이 압축 변형하고 또한 절삭부(11)의 방향(발바닥 지지부의 상방)을 향해 굴곡 변형하게 되므로, 솔의 쿠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변형 허용부에 의해, 접지 시에 솔의 압축 변형에 수반하는 반발력에 기인한 힐카운터(10)가 밀어 올려지는 것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힐카운터(10)는 발이 노면에 접지한 후에 바로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접지 시, 착용자의 발목 후측(아킬레스건 부근)이 힐카운터(10)의 상단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것이 억제되어, 발목 후측이 까지는 등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 허용부에 의해 접지 시에 솔의 쿠션성이 향상되고 또한 힐카운터(10)가 접지 후 바로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접지 시 힐카운터(10)가 착용자의 뒤꿈치에 피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발목의 상태가 안정되고, 접지 시 발목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에서는, 솔의 쿠션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변형 허용부는, 그 상단부(절삭부(11)의 상단부(11a))가 발뒤꿈치뼈(CB)의 하단부(cb3)에서 뒤꿈치뼈 융기(뒤꿈치뼈(CB)의 융기부(cb1))의 상단부(cb2)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변형 허용부는, 접지 시 착용자의 발목 후측(아킬레스건 부근)을 힐카운터(10)의 상단부에 의해 밀어 올리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발뒤꿈치부 후측을 힐카운터(10)로 충분히 보호하면서, 접지 시 발뒤꿈치부 후측에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변형 허용부는, 힐카운터(10)의 후측 하부를 상방으로 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절삭부(1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변형 허용부로서의 기능을, 간이 구성으로 힐카운터(10)의 뒤꿈치부 영역(H)의 후측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과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뒤꿈치부터 접지했을 때 외골측 및 내골측 중 어느 한쪽에 편중되는 접지 시의 충격을, 각종 경기 스타일에 맞추어 중점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이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보행 중이거나 달리는 중이거나 또는 스포츠를 할 때 신발이 노면에 접지했을 때에는, 발의 후족부(H)(뒤꿈치부 영역(H))의 외골측 부분으로부터 뒤꿈치부 영역(H)의 발폭방향의 중앙 영역, 중족부(M)의 중앙 부분 및 전족부(F)의 내골측 부분을 경유하여 발가락끝으로 향하는 체중 이동의 하중 궤적(이른바, 부하 경로)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변형 허용부의 상기 구체적 형상에 의해, 보행 중이거나 달리는 중이거나 또는 스포츠를 할 때 뒤꿈치의 외골측에 편중되는 접지 시의 충격을 중점적으로 억제하고, 발의 외골측을 상기 부하 경로의 초기 단계에서 안정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솔(미드솔(2))의 두께방향 중간부에는, 솔보다 경질의 박육층으로 이루어진 보강 플레이트(5)가 배치된다. 이 보강 플레이트(5)에 의해 접지 시에 발생하는 발을 향한 국부적인 충격이 분산되어, 발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충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힐카운터(10)의 변형 허용부에 의한 효과와 더불어 한층 더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힐카운터(10)가 어퍼(6)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힐카운터(10)가 신발(S) 안에서 보호되고, 특히 뒤꿈치부 영역(H)에서의 신발(S)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1]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의 변형예 1로서, 상부 미드솔(3)에, 어퍼(6)의 후부를 어퍼(6)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힐카운터(10)보다 변형되기 쉬운 외피부(21)가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외피부(21)는, 그 상단부가 변형 허용부의 상단부(절삭부(11)의 상단부(11a))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접지 시에 생기기 쉬운 어퍼(6) 후부의 주름을 외피부(21)로 적절히 감출 수 있게 되어, 신발(S)의 디자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2]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의 변형예 2로서, 어퍼(6)의 후부에, 변형 허용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부분적으로 절삭한 어퍼측 절삭부(22)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어퍼측 절삭부(22)에 의해, 접지 시에 어퍼(6) 후부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신발(S)의 디자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3]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의 변형예 3으로서, 어퍼(6)는, 변형 허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로스부(23)를 가져도 된다. 따라서, 접지 시에 생기기 쉬운 어퍼(6) 후부의 주름을 벨로스부(23)의 형상과 동화시켜, 신발(S)의 디자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로서, 변형 허용부가, 힐카운터(10)의 후측 하부를 상방으로 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절삭부(11)로 이루어진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형 허용부는, 힐카운터(10)보다 변형되기 쉬운 소재로 이루어진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 허용부가 형성된 힐카운터(10)를 구비하는 신발(S)에서는, 뒤꿈치부 영역(H)의 후측 하부를 힐카운터(10)보다 변형되기 쉬운 소재로 이루어진 변형 허용부에 의해 부드럽게 보호하면서, 상기 실시형태의 절삭부(11)와 동일하게, 솔의 쿠션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변형 허용부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힐카운터(10)보다 변형되기 쉬운 소재로 이루어진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허용부는, 발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소개구부(24, 24, …)로 이루어진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라도, 솔의 쿠션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접지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소개구부(24)에 대해서는, 그 하단부분이 닫히지 않은 절삭 형상의 것(도시 않음)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S)로서,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이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 허용부는,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이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배구와 같은 실내 스포츠에서, 경기 중에 좌우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사이드스텝을 행할 때와 같이 발의 내골측에 편중되는 접지 시의 충격을 중점적으로 억제하고, 발의 내골측을 안정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다. 즉, 변형 허용부가,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과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면, 외골측 및 내골측 중 어느 한쪽에 편중되는 접지 시의 충격을 각종 경기 스타일에 맞추어 중점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신발의 각 샘플에 대해, 착용자의 발이 바닥(노면)에 접지했을 때 바닥으로부터 받는 연직방향의 반력(이하 “상반력(床反力)”이라 함), 및 후술하는 신발 각도에 관한 거동을 관찰하였다.
본 측정에서는, 상반력계로서, “다성분 포스 플레이트(기초연구, 스포츠용) Type 9281E”(키슬러사제)를 이용하였다. 또한, 3차원동작 계측장치로서, “Mac 3D 시스템”(모션 아날리시스사제)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이 Mac 3D 시스템에서는, “Eagle 카메라” 타입의 카메라가 이용된다.
또한, 본 측정에서는, 비교예에 따른 신발 샘플1,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샘플2 및 샘플3을 이용하였다. 샘플 1∼3의 각각은, 모두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로 이루어진 힐카운터를 구비한 것이다. 이 힐카운터는, 후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의 높이가 53㎜이며 또한 하단부의 둘레길이(도 7에서 나타낸 둘레길이 L을 참조)가 180㎜가 되도록 형성된다.
샘플1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변형 허용부에 상당하는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은 힐카운터를 준비하였다. 한편, 샘플2 및 샘플3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절삭부가 형성된 힐카운터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샘플2에서는, 절삭부를, 힐카운터의 후측 하단부에서 절삭부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도 7의 높이 h를 참조)가 15㎜이며 또한 일방의 하단부에서 타방의 하단부까지의 길이(도 7의 길이 w를 참조)가 60㎜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샘플3에서는, 절삭부를, 힐카운터의 후측 하단부에서 절삭부의 상단부까지의 높이가 30㎜이며 또한 일방의 하단부에서 타방의 하단부까지의 길이가 100㎜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본 측정에서는, 배드민턴 경기 중을 상정하여, 상기 각 샘플을 체중이 약 50㎏인 피험자(배드민턴 상급자)에 착용시켜, 전방으로 떨어지는 셔틀콕을 당해 피험자가 받아낼 시의 발의 접지 상태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가 한쪽 발(오른발)을 한걸음만 전방으로 내딛고 또한 그 발뒤꿈치를 바닥에 접지시켜 셔틀콕을 받아내는 동작을 행했을 때, 바닥에 접지된 발뒤꿈치에 발생하는 상반력(N)을 상기 상반력계로 계측하고 또한 당해 발의 신발 각도(deg)를 상기 3차원동작 계측장치로 계측하였다. 이와 같은 계측을 각 샘플에 대해 3회씩 실시하였다. 각 샘플의 각 계측값의 평균값을 도 13∼도 15에 나타낸다.
도 13∼도 15에 관하여, 우측 종축에 나타내는 신발 각도(deg)는, 피험자가 바닥에 접지했을 때 평면에서 본 신발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발(피험자의 발)의 방향이, 피험자 신체의 바로 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를 때를 0deg로 정하였다. 그리고, 신발의 방향이 0deg보다 시계방향으로 비튼 방향일 경우를 플러스쪽 방향으로 하는 한편, 신발의 방향이 0deg보다 반시계방향으로 비튼 방향일 경우를 마이너스쪽 방향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도 13∼15에 의하면, 모두 접지 시의 횡축의 신발 각도가 약 40deg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접지 시 피험자의 발이 외골측부터 착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1에서는, 피험자의 발이 바닥에 접지하고나서 신발에 대해 최대가 되는 상반력(이하 “최대 상반력”이라 함)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이하 “피크 시간”이라 함)이 0.008sec이고, 그 때의 최대 상반력이 1,788N을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2에서는, 상기 피크 시간이 0.008sec이고, 그 때의 최대 상반력이 1,637N을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3에서는, 상기 피크 시간이 0.010sec이고, 그 때의 최대 상반력이 1,478N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샘플2에서는, 그 최대 상반력이 샘플1의 최대 상반력보다 8.5% 경감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샘플3에서는, 그 최대 상반력이 샘플1의 최대 상반력보다 17.3%나 경감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절삭부가 형성된 힐카운터를 구비하는 신발에서는,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는 힐카운터를 구비하는 신발과 비교하여 최대 상반력이 경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힐카운터의 후측 하단부에서 절삭부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최대 상반력이 한층 더 경감되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상에 의해, 절삭부(변형 허용부)가 형성된 힐카운터를 구비하는 신발에서는, 솔의 쿠션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안정된 접지감이 얻어지는 것이 실증되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런닝, 각종 구기, 배드민턴 등의 각종 경기 스포츠용 신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운동화, 재활치료용 신발로서 산업상 이용이 가능하다.
S : 신발
1 : 아웃솔
2 : 미드솔
3 : 상부 미드솔
3a : 발바닥 지지부
4 : 하부 미드솔
5 : 보강 플레이트
6 : 어퍼
10 : 힐카운터
11 : 절삭부
11a : 상단부
21 : 외피부
22 : 어퍼측 절삭부
23 : 벨로스부

Claims (9)

  1.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착용자 발의 발바닥면을 지지하는 발바닥 지지부를 갖는 솔과,
    상기 솔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발을 덮는 어퍼와,
    상기 발바닥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발의 내골측(medial side)으로부터 외골측(lateral side)에 걸쳐 덮도록 상기 어퍼의 발뒤꿈치부에 대응하는 뒤꿈치부 영역에 배치된 힐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힐카운터에는, 상기 뒤꿈치부 영역의 후측 하부에, 상기 솔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발바닥 지지부의 후부가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충격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허용부가 형성되는,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그 상단부가 발뒤꿈치뼈의 하단부에서 뒤꿈치뼈 융기의 상단부까지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상기 힐카운터의 후측 하부를 상방으로 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절삭부로 이루어지는,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상기 힐카운터보다 변형되기 쉬운 구성 또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신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과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신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형 허용부는, 외골측을 차지하는 영역이 내골측을 차지하는 영역보다 커지도록 형성되는, 신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의 두께방향 중간부에는, 당해 솔보다 경질의 박육층으로 이루어진 보강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신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솔에는, 상기 어퍼의 후부를 그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는, 상단부가 상기 변형 허용부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신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힐카운터는, 상기 어퍼에 의해 덮이는, 신발.
KR1020180091822A 2017-08-10 2018-08-07 신발 KR10208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55484 2017-08-10
JP2017155484A JP6473201B1 (ja) 2017-08-10 2017-08-10 シュー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68A true KR20190017668A (ko) 2019-02-20
KR102082374B1 KR102082374B1 (ko) 2020-02-27

Family

ID=6508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22A KR102082374B1 (ko) 2017-08-10 2018-08-07 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50825B2 (ko)
JP (1) JP6473201B1 (ko)
KR (1) KR102082374B1 (ko)
DE (1) DE102018118674A1 (ko)
TW (1) TW2019195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492B1 (ko) * 2019-09-11 2021-03-12 배효만 높이가 조절되는 신발
KR102584443B1 (ko) * 2023-04-24 2023-10-04 홍지용 안착형 힐컵을 구비하여 착용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컴포터블 샌들
KR102636441B1 (ko) * 2023-11-07 2024-02-14 주식회사 제이슈 개선된 착용감과 쿠션감을 제공하는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5898B1 (en) 2018-12-21 2019-10-29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US10617174B1 (en) * 2018-12-21 2020-04-14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doffing ledge
US10721994B2 (en) 2018-12-28 2020-07-28 Nike, Inc. Heel structure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11344077B2 (en) 2018-12-28 2022-05-31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KR102016091B1 (ko) * 2019-04-24 2019-08-29 신승래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IL302940A (en) * 2021-10-15 2023-07-01 Skechers Usa Inc Ii Locking back for easy locking and unlocking
USD992888S1 (en) 2022-05-31 2023-07-25 Skechers U.S.A., Inc. Ii Shoe upper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250B1 (ko) * 1987-05-06 1995-04-07 아디다스 슈포르트슈우파아브리켄 아디 다슬러 슈티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탄력있는 히일카운터를 구비한 스포츠슈우
JP2008206629A (ja) 2007-02-26 2008-09-11 Mizuno Corp ヒールカウンタを備えたシューズ
WO2010038267A1 (ja) * 2008-09-30 2010-04-0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踵部を保形するヒールカウンターを備えた運動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6110A (en) * 1956-02-28 hardimon
US912579A (en) * 1908-05-09 1909-02-16 Frederick W Krech Heel-pad.
US1972899A (en) * 1931-10-08 1934-09-11 William W Odell Shoe and foot-supporting device
DE3629264A1 (de) * 1986-08-28 1988-03-10 Dassler Puma Sportschuh Fersenkappe fuer einen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S5152082A (en) * 1991-12-16 1992-10-06 Culpepper Thomas C Shoe and ankle support therefor
WO1993020725A1 (en) 1992-04-09 1993-10-28 A.D. One Sports, Inc. Sport shoe and support system
EP0634387B1 (de) 1993-07-15 1997-10-2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methylcarbonat
FR2765083B1 (fr) * 1997-06-27 1999-08-27 Salomon Sa Semelle multicouche couplee a un renfort de la tige de la chaussure
US7016867B2 (en) * 2000-03-10 2006-03-21 Lyden Robert M Method of conducting business including making and selling a custom article of footwear
US7752775B2 (en) *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DK2247212T3 (en) * 2008-02-27 2017-12-04 Ecco Sko As Midsole for a running shoe
US20110119959A1 (en) * 2009-11-25 2011-05-26 Keith Bodner External stabilizing structure for work boots
EP2967183B1 (en) * 2013-03-15 2018-12-26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compris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billows structure
TWM458848U (zh) 2013-04-16 2013-08-11 New Internat Corp 鞋後踵穩定器
US9820526B2 (en) * 2015-03-23 2017-11-21 Martin Paul Poshedley, III Footwear cover system
JP2017155484A (ja) 2016-03-02 2017-09-07 株式会社丸徳基業 多軸掘削ロッドの接続方法
US10455898B1 (en) * 2018-12-21 2019-10-29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250B1 (ko) * 1987-05-06 1995-04-07 아디다스 슈포르트슈우파아브리켄 아디 다슬러 슈티프퉁 운트 콤파니 코만디트 게젤샤프트 탄력있는 히일카운터를 구비한 스포츠슈우
JP2008206629A (ja) 2007-02-26 2008-09-11 Mizuno Corp ヒールカウンタを備えたシューズ
WO2010038267A1 (ja) * 2008-09-30 2010-04-0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踵部を保形するヒールカウンターを備えた運動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492B1 (ko) * 2019-09-11 2021-03-12 배효만 높이가 조절되는 신발
KR102584443B1 (ko) * 2023-04-24 2023-10-04 홍지용 안착형 힐컵을 구비하여 착용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컴포터블 샌들
KR102636441B1 (ko) * 2023-11-07 2024-02-14 주식회사 제이슈 개선된 착용감과 쿠션감을 제공하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33797A (ja) 2019-03-07
KR102082374B1 (ko) 2020-02-27
JP6473201B1 (ja) 2019-02-20
TW201919504A (zh) 2019-06-01
DE102018118674A1 (de) 2019-02-14
US20190045884A1 (en) 2019-02-14
US10750825B2 (en)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668A (ko) 신발
US8732982B2 (en) Footwear
US9999275B2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wave-like flex channels
CN102793331B (zh) 具有可缩回牵引元件的物品
US8181365B2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improved heel structure
KR101553728B1 (ko) 보행 장비
US85670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US20030172548A1 (en) Key hole midsole
CN104320987A (zh) 构造为允许相对的脚跟/前脚运动的抑制结构
JPH01268502A (ja)
AU2007319507B2 (en) Padded shoe
US20180055139A1 (en) Ballet shoe
US20170238658A1 (en) Footwear Upper With Zonal Support Areas
JP2012501717A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KR100825435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CN217986818U (zh) 一种足球鞋
CN106455754B (zh) 具有选择性定位的衬垫的鞋类鞋面
US20160302519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0184098A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KR100864183B1 (ko) 신발 밑창의 바닥이 곡면형태인 기능성 신발
KR100802318B1 (ko) 측면홈이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용 미드솔
CN220157677U (zh) 一种具有防扭伤功能的运动鞋
KR100557344B1 (ko) 타격밸런스 유지용 운동화의 아웃소울 및 미드소울,그리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운동화
CN220212066U (zh) 一种凉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