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256B1 -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256B1
KR102396256B1 KR1020210135610A KR20210135610A KR102396256B1 KR 102396256 B1 KR102396256 B1 KR 102396256B1 KR 1020210135610 A KR1020210135610 A KR 1020210135610A KR 20210135610 A KR20210135610 A KR 20210135610A KR 102396256 B1 KR102396256 B1 KR 10239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box
wiring duct
floo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넘버제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넘버제로
Priority to KR102021013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매립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과, 양 측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입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마개부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면에 수납박스가 결합되고,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의 저면에는 레일홈부에 삽입되는 레일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wiring duct on the floor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매설되며 전선 또는 각종 배관을 삽입하여 외부 노출을 막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바닥에는 전기 케이블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선 덕트가 매설된다.
건축물이 업무시설로 사용되는 경우, 콘크리트 바닥에는 단자함이 매설되고 단자함에는 전기 케이블이 삽입된 배선 덕트가 연결되어 전기 케이블, 통신선, 전화선 등이 각각의 자리에 연결되게 되며, 단자함에는 상면에 덮개가 안착된다.
그러나, 배선 덕트는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시키는 경우, 거푸집이 먼저 설치된 후 철근이 배근되고 철근이 배근된 사이에 배선 덕트와 단자함이 연결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배선 덕트가 단자함과 연결된 상태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배선 덕트가 원래의 자리를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전기 케이블을 삽입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로워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90624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매립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과, 양 측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입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마개부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면에 수납박스가 결합되고, 수납박스가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의 저면에는 레일홈부에 삽입되는 레일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이 수용 및 지지되는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트레이에 수용되거나, 상기 고정 트레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트레이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이동 트레이가 수용되는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이동 트레이가 출입 가능한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트레이는, 제2 수납공간; 상기 이동 트레이의 외면에 배치되는 파지부재;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충전 케이블을 복수의 위치에서 수용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박스는, 측면에 개폐되는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자석에 의해 자착 고정되며, 상기 덮개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면 회전개폐케이스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회전개폐케이스를 회전시켜 개폐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박스 또는 회전개폐케이스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면 또는 외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되어 피막층이 형성된 것이며, 피막층은 다공질층과 베리어(BARRIER)층의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내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내부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의 회전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에서 '단열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의 회전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에서 '단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는, 바닥면에 매립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과, 양 측면이 형성된 본체(2); 상기 본체(2)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4); 상기 본체(2)의 개구부의 입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22)과, 상기 마개부(4)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22)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돌기(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동부(R);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4)는 상면에 수납박스(6)가 결합되고, 수납박스(6)가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6)의 저면에는 레일홈부(44)에 삽입되는 레일돌부(6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체(2)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 예에 따르면 상부는 개구되고 대략 '└┘'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저면과 양 측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2)는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판 삽입홈에 삽입되어 매립될 수 있다.
또는 바닥 슬라브로부터 일정 높이가 되도록 가설된 프레임에 부착되는 다수의 바닥 타일부재로 이루어진 바닥재에 본체(2)가 매립 장착되는 것일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2)는 내부의 각종 전선이 삽입되거나 냉난방에 적용되는 배관이 삽입되는 용도일 수 있다.
마개부(4)는 본체(2)의 개구부를 막도로 장착되는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마개부(4)는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마개부(4)는 회동부(R)에 의해 본체(2)와 결합되어 개폐작동될 수 있다.
마개부(4)는 일측에 회전돌기(42)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어 본체(2)의 개구부에 슬롯(22)이 형성된다. 슬롯(22)은 본체(2)의 길이에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회전돌기(42)는 부분적으로만 마개부(4)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회전돌기(42)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이에 대응하여 슬롯(22)도 원형이되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회전돌기(42)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4)는 상면에 수납박스(6)가 결합된다.
마개부(4)는 상면에 수납박스(6)가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마개부(4)는 상면에 레일홈부(44)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도록 수납박스(6)의 저면에는 레일홈부(44)에 삽입되는 레일돌부(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박스(6)는 필요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 수납박스(6)에 각종 필요한 물품을 넣고, 또는 이 수납박스(6)를 적절한 장소에 배치하게 된다.
필요한 물품은 각종 유지보수에 필요한 공구, 부품 등 일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박스(6)는, 측면에 개폐되는 덮개(52)가 힌지 결합되고, 덮개(52)는 자석(53)에 의해 자착 고정되며, 덮개(52)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면 회전개폐케이스가 노출되는 개구부(54)가 형성되고, 개구부(54)를 통해 회전개폐케이스(20)를 회전시켜 개폐작동되도록 한다.
회전개폐케이스(20)는 수납박스(6)의 내부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물품이 수납된다.
상기 수납박스(6) 또는 회전개폐케이스(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면 또는 외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되어 피막층이 형성된다.
산화피막(oxidation film)이란 금속표면을 산화시켜 생성된 산화물로 금속표면을 처리하는 것이다.
산화피막처리를 하면 금속은 내구성이 좋아지고, 부식에 강해진다. 금속을 산화피막처리하는 방법으로 양극산화법(anodizing, anodic oxidation)이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의 양극처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AL의 양극산화로 일컫는다.
양극산화피막은 일반도금 방법과 반대로 AL소지 제품을 전해액중에서 양극으로(이때 발생기 산소에 의한 산화피막형성), 음극은 납 등 불활성 재료를 사용한다.
피막은 전기저항이 크고, 경도가 높으며(내마모성) 내식성이 뛰어나며, 염색처리가 가능해 외관 장식성도 뛰어나게 된다.
피막층은 다공질층과 베리어(BARRIER)의 2중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수납박스(6)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면에 회전개폐케이스(20)가 안착되는 회전받침(30)이 포함될 수 있다.
회전받침(30)은 양측면이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면에 힌지축(40)이 결합되고, 일측에 호형의 각도제한홈(33)이 형성된다.
각도제한홈(33)에는 회전개폐케이스(20)에 결합된 각도제한돌기(41)가 결합되고, 회전개폐케이스(20)가 각도제한홈(33)의 궤적을 따라 약 90도의 회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회전받침(30)은 수납박스(6)의 내부에 결합되어 회전개폐케이스(20)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힌지축(40)은 회전개폐케이스(20) 및 회전받침(30)의 힌지축공(30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서 회전개폐케이스(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에는 고정 트레이(3)와 이동 트레이(14)가 포함될 수 있다.
고정 트레이(3)는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35)이 수용 및 지지된다.
고정 트레이(3)는 무선 충전 모듈(35) 및 이동 트레이(14)가 수용되는 제1 수납공간(310)과, 이동 트레이(14)가 출입 가능한 출입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는 고정 트레이(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 트레이(3)에 수용되거나, 고정 트레이(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트레이(14)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제2 수납공간(141)과, 이동 트레이(14)의 외면에 배치되는 파지부재(142)와, 무선 충전 모듈(35)로부터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31)을 복수의 위치에서 수용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 수용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트레이(14)는 충전 케이블(31)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케이블 롤(cable ro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열부(W);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W)는, 본체(2)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단열보드(100); 단열보드(100)에 끼워지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쐐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구획프레임(220)을 구비하는 요철부(200); 구획프레임(22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부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주입안내홀부(320)가 관통 형성되는 결합부(300); 결합부(300)가 구획프레임(220)에 결합시 주입안내홀부(320)를 통해 충전공간부에 충전되는 발포재(400); 결합부(300)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결합부(300)를 노출 방지되도록 커버하는 커버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열부(W)는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단열부(W)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PE 또는 PP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가 혼합되어 내열성과 탄성력을 갖는 발포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요철부(200)는 단열부(W)에 강제적으로 끼워지도록 일측에 복수개의 쐐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구획프레임(220)을 구비한다.
요철부(200)와 단열부(W)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요철부(200)를 단열부(W) 측으로 가압하면 쐐기(210)가 단열부(W)에 강제 삽입되어 요철부(200)는 단열부(W)에 가거치된다.
단열부(W)와 요철부(20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열기 또는 냉기가 단열부(W)를 통과시 열기 또는 냉기가 내부로 유입 방지되게 머무를 수 있게 된다.
구획프레임(220)은 요철부(200)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추후에 설명될 충전공간부(310)를 구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탄성결합부(23)에 의해 요철부(200)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결합부(23)는 요철부(200)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230a) 및 관통홀부(230a)의 주변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구획프레임(220)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후크부(230b)를 포함한다.
걸림후크부(230b)를 관통홀부(230a)에 삽입시키면 걸림후크부(230b)는 관통홀부(230a)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오므라지면서 삽입되다가 관통홀부(230a)를 통과하는 순간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관통홀부(230a)의 주변에 걸림 고정된다.
결합부(300)는 구획프레임(220)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충전공간부(310)를 형성하고, 충전공간부(310)에 연통되는 주입안내홀부(320)가 복수개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재질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슬라이드결합부(330)에 의해 구획프레임(22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결합부(330)는 구획부(22)에 함몰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330a) 및 슬라이드홈부(330a)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결합부(300)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부(33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결합부(300)는 구획프레임(220)에 간편하게 슬라이드 조립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요철부(200)는 처짐방지보강부(600)에 의해 구획프레임(220)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처짐방지보강부(600)는 내벽(500)에 고정 설치되고, 체결홀부(610a)를 구비하는 고정브라켓(610) 및 슬라이드홈부(330a)에 삽입된다.
슬라이드홈부(330a)에 삽입시 요철부(200)와 단열부(W)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체결홀부(610a)에 체결되는 체결지지볼트(620)를 포함한다.
구획프레임(220)이 요철부(200)에 탄성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지지볼트(620)가 고정브라켓(610)의 체결홀부(610a)에 체결되면 구획프레임(220)은 요철부(200)에서 이탈 방지되는 동시에 내벽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철부(200)로 하중 전달 방지되어 요철부(200)의 쐐기(210)가 단열부(W)에서 빠지면서 단열부(W)를 손상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포재(400)는 결합부(300)가 구획프레임(220)에 결합시 주입안내홀부(320)를 통해 충전공간부(310)에 충전된다.
발포재(400)는 소음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단열부(W)와 더불어 베이스 기판(211)의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베이스 기판(211)의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열기 또는 냉기를 단열부(W)가 1차적으로 차단하고, 발포재(400)가 2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에 의한 특성으로 단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발포재(400)는 충전공간부(310)의 70% 내지 90%의 범위로 충전되어 공기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부(500)는 결합부(300)에 접착제(미도시)로 고정되어 결합부(300)를 노출 방지되도록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부(500)는 결합부(300)의 표면을 마감 처리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본체 4 : 마개부
22 : 슬롯 42 : 회전돌기
44 : 레일홈부 61 : 레일돌부
6 : 수납박스 52 : 덮개
53 : 자석 54 : 개구부
30 : 회전받침 20 : 회전개폐케이스

Claims (3)

  1. 바닥면에 매립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며 저면과, 양 측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입구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마개부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면에 수납박스가 결합되고, 수납박스가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박스의 저면에는 레일홈부에 삽입되는 레일돌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이 수용 및 지지되는 고정 트레이;
    상기 고정 트레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 트레이에 수용되거나, 상기 고정 트레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트레이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듈 및 상기 이동 트레이가 수용되는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이동 트레이가 출입 가능한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트레이는,
    제2 수납공간;
    상기 이동 트레이의 외면에 배치되는 파지부재; 및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을 복수의 위치에서 수용 및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는, 측면에 개폐되는 덮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덮개는 자석에 의해 자착 고정되며,
    상기 덮개를 측방으로 개방시키면 회전개폐케이스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통해 회전개폐케이스를 회전시켜 개폐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박스 또는 회전개폐케이스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면 또는 외면에 흑색 양극산화피막 처리되어 피막층이 형성된 것이며,
    피막층은 다공질층과 베리어층의 2중 구조이고,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KR1020210135610A 2021-10-13 2021-10-13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KR10239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610A KR102396256B1 (ko) 2021-10-13 2021-10-13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610A KR102396256B1 (ko) 2021-10-13 2021-10-13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256B1 true KR102396256B1 (ko) 2022-05-31

Family

ID=8178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610A KR102396256B1 (ko) 2021-10-13 2021-10-13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2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148U (ja) * 1998-05-19 1998-11-24 栄浩 平沼 電気機器取り付け一体形配線ダクト
KR200328547Y1 (ko) * 2003-06-26 2003-09-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를 위한 덕트 구조
JP2004159389A (ja) * 2002-11-01 2004-06-03 Seiwa Electric Mfg Co Ltd 配線ダクト
KR100690624B1 (ko) 2006-12-22 2007-03-12 대일이엔씨기술(주) 건축물 전기 바닥배선 덕트구조
KR20200135297A (ko) * 2018-03-28 2020-12-02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알루미늄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148U (ja) * 1998-05-19 1998-11-24 栄浩 平沼 電気機器取り付け一体形配線ダクト
JP2004159389A (ja) * 2002-11-01 2004-06-03 Seiwa Electric Mfg Co Ltd 配線ダクト
KR200328547Y1 (ko) * 2003-06-26 2003-09-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보호를 위한 덕트 구조
KR100690624B1 (ko) 2006-12-22 2007-03-12 대일이엔씨기술(주) 건축물 전기 바닥배선 덕트구조
KR20200135297A (ko) * 2018-03-28 2020-12-02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알루미늄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4922A1 (en) Hinge device and ultra-deep freezer using the same
KR102396256B1 (ko) 건축물 바닥의 배선덕트
KR20140062422A (ko) 빌트인 전기 가전 기기와 가전 기기 조립체 및 가전 기기를 위한 빌트인 가구 유닛
CN106320817A (zh) 推拉锁
JP2016056578A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KR102352328B1 (ko) 슬라이드식 포장 박스
JP2022097456A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機構
KR100970596B1 (ko) 선상이동이 가능한 도어벽체 구조
KR101887926B1 (ko) 건축용 판넬의 고정캡
US7227083B2 (en) Thermostat and panel cover
KR200457657Y1 (ko) 코너 클램프
KR101208476B1 (ko)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JP3203772U (ja) 屋外ロッカー
KR102003836B1 (ko) 결로방지 기능이 구비된 분리형 도어 시스템
ES2798248T3 (es) Casete subterráneo para aparatos de instalación eléctricos
KR101217542B1 (ko) 공동주택의 창호시설 보호장치
KR20150003919U (ko) 창호용 철물 브라켓에 사용하는 결로방지부재
KR200442019Y1 (ko) 전자석 도어락용 전자석코어 보호커버
KR10074319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밀봉장치
KR20080004001U (ko) 건축물의 차음부재
JPH0341584Y2 (ko)
JP2011094447A (ja) 移動式壁
KR100978226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선용 덕트
JP2012041735A (ja) 玄関ドアのロック装置
KR100634877B1 (ko) 건축물 창문틀 받침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