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118B1 -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118B1
KR102396118B1 KR1020200056548A KR20200056548A KR102396118B1 KR 102396118 B1 KR102396118 B1 KR 102396118B1 KR 1020200056548 A KR1020200056548 A KR 1020200056548A KR 20200056548 A KR20200056548 A KR 20200056548A KR 102396118 B1 KR102396118 B1 KR 102396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ode
water
power generation
frame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337A (ko
Inventor
이종목
원창섭
김동찬
강명길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스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118B1/ko
Priority to US17/924,538 priority patent/US20230179139A1/en
Priority to PCT/KR2020/007884 priority patent/WO2021230416A1/ko
Publication of KR2021013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337A/ko
Priority to KR1020220034818A priority patent/KR20220041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C23F13/06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of cathodic-protection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50Processes
    • C25B1/55Photo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42Electrodes formed of a single material
    • C25B11/047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3Holders for electrodes; Positioning of the electr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2213/00Aspects of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2213/30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obj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Abstract

본 발명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중에서 산소를 자가 발생시키는 동시에 수상에서는 프레임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은 음극으로 하고 자신은 양극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면서 물과의 접촉으로 물분해를 일으키는 광전극을 구비하여 수중에서 산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물분해 시 발생하는 전자는 프레임으로 이동시켜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ECO-FRIENDLY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ONSTRUCTED ON THE WATER WITH SELF-GENERATION OF WATER OXYGEN AND PREVENTION OF FRAME CORROSION}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중에서는 산소를 자가 발생시키는 동시에 수상에서는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고자 하는 규제가 시행되고 있는바,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새로운 발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으며,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대표적이며, 최근 들어 기술의 개발 및 설치비용이 저렴해지면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발전면적 및 일조량에 따라 발전능력이 차이가 발생하는데, 넓은 면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토지의 사용으로 인하여 토지의 구입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고, 토지의 구입 또는 보상 등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대규모로 발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변 주민들의 협조를 이끌어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육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발전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열기가 발생되며,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설치된 토지로부터도 막대한 양기가 전달되는 관계로 태양전지판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문제점을 줄이면서 일조량이 풍부하고 개방된 설치면적을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 호수, 저수지, 댐 등의 수면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가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고 실제 시공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상 프레임의 부식이 육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설비에 비하여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대표적인 보완책은 Zn-Mg로 표면을 입힌 철골 소재인 포스맥을 사용하거나 알루미늄 산화막을 표면에 입힌 Al 기반 합금을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보완책들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낙수, 습기, 염분 등에 노출되는 경우, 프레임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태양광 패널의 수명이 25년인 것을 고려하면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의 부식문제와 그로부터 야기되는 수생태계 파괴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였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058호(2016.08.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분해에 의해 수중에서는 산소를 자가 발생시키는 동시에 수상에서는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을 수면 위에 위치시켜주는 플로트를 구비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음극으로 하고 자신은 양극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면서 물과의 접촉으로 물분해를 일으키는 광전극을 구비하여 수중에서 산소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전극에 의한 물분해 시 발생하는 전자는 상기 프레임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극은 표준수소전극 전위가 1.23eV 보다 큰 물질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극의 소재는 n형 반도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극의 소재는 SrNbO3, IrO2, KtaO3, BiVO4, BaTiO3, TiO2, ZnO, BaTaO2N, LaTaO2N, CaTaO2N, NaNbO2N, SrNbO2N, CdS, ZnS, MoS2, AgIn2S48,In2S3, Fe2O3, SnO2, Ta3N5, TaOH, C3N4, SiC, Cu2O 중 적어도 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극은, 서로 간에 이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되 하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고정 프레임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회전 프레임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하측에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부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제1부재의 제1결합부와 대면 접촉한 상태로 중심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되 체결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볼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한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끼움부로 이루어진 제2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광전극을 상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와 회전하면서 상기 광전극의 기울기를 조절해주는 기판 트레이;와 함께 광전극 모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를 통해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 고정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전극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서 서로 대면하는 접촉면에는 각각 다수의 일자형 마찰홈이 중앙부로부터 외측 둘레부를 향해 뻗쳐 있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상대 회전에 의해 광전극의 기울기가 조절된 후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 슬립에 의해 기울기 조절된 광전극에 불필요한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재에서 제1결합부의 접촉면과 제2결합부의 접촉면에 형성된 마찰홈이 서로 마주하여 일치하게 되었을 때 서로 마주하고 있는 양편 마찰홈에 동시에 끼워져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불필요하게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해주는 구속용 쐐기를 복수 구비하여 인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찰홈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속용 쐐기 후단부를 연결하여 일체화된 본체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시트는 플렉시블한 탄성소재로 구비되어 평상 시 평판 형태로 있으면서 복수 구비된 구속용 쐐기의 선단부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찰홈 입구에 대응하도록 하고 복수의 구속용 쐐기가 마찰홈에 삽입되면서 서로 간에 각도가 변화될 때 상기 구속용 쐐기의 각도 변화에 따라 원호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극의 예상수명을 고려하여 알람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경보를 발하도록 한 경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광전극에 의한 물분해에 의해 수중에서는 산소를 자가 발생시키는 동시에 수상에서는 전자의 이동으로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하는 이중적인 기능을 통해 수생태계를 보호하고 친환경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전극을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 가능하도록 한 모듈의 형태로 구비하여 초기 설치와 더불어 유지관리에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부분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의 분해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부분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판(30)과, 상기 태양전지판(30)을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과 결합되어 수면에 부유하면서 태양전지판(30)을 수면 위에 위치시켜주는 플로트(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경우 이에 더해 프레임(20)에 결합된 광전극 모듈(100)을 구비하는데, 상기 광전극 모듈(100)에 포함된 광전극(150)은 수중에서 물과 접촉하면서 물분해를 일으켜 산소를 자가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때 발생된 전자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레임(20)으로 이동시켜 프레임(20)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광전극에 의한 문분해 효과를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새롭게 도입한 독창적인 구성에 의하여 수생태계를 보호하고 친환경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 광전극 모듈(100)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광전극 모듈(100)에 속한 광전극(150)은 수중에서 양극이 되고 프레임(20)은 수상에서 음극이 되어 하나의 회로를 이루게 되며 이로부터 일어나는 반응은 다음의 반응식으로 정리될 수 있다.
2H 2 O → 4e - + O 2 ↑ + 4H + (양극, 광전극, 홀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
4e - + 4H + → 2H 2 ↑ (음극, 프레임, 전자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
위 반응식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광전극(150)에 의한 물분해를 통해 수중에서는 전자와 산소 및 수소가 발생하고, 이때 발생된 전자는 전선을 따라 수상에 위치한 프레임(20)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중에서는 수중생태계에 도움이 되는 산소를 얻는 동시에 수상에서는 프레임(20)이 전자를 받아들이면서 좀처럼 산화로 인한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를 받게 된다.
위 반응식과 같은 실제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광전극(150)이 프레임(20)에 비하여 이온화 경향이 크거나 산화가 먼저 일어나려는 강한 경향을 갖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광전극(150)은 최소 1.23eV 이상의 표준수소전극 전위를 갖는 소재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광전극(150)은 표준수소전극 전위가 1.23eV 보다 큰 물질인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져야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광전극(150)의 소재로는 SrNbO3, IrO2, KtaO3, BiVO4, BaTiO3, TiO2, ZnO, BaTaO2N, LaTaO2N, CaTaO2N, NaNbO2N, SrNbO2N, CdS, ZnS, MoS2, AgIn2S48,In2S3, Fe2O3, SnO2, Ta3N5, TaOH, C3N4, SiC, Cu2O 중 적어도 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은 n형 반도체 물질 중 표준수소전극 전위가 1.23eV 보다 큰 물질은 거의 모두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전극(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상의 프레임(20)은 광전극(150)과 쌍을 이루어 반응하기 좋은 소재로 구비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철골 프레임으로 충분한다. 특히 내식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현장에 실제 적용 중인 포스코사의 '포스맥'은 광전극(150)과 쌍을 이루어 활발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l2O3가 도포된 AL 프레임의 경우 밴드갭이 넓은 편이라 상기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데 일부 어려움은 있지만 충분히 가능한 소재라 할 수 있다.
상기 광전극 모듈(100) 전체를 살펴보면 광전극(150)을 비롯하여 한 쌍의 고정 프레임부재(110)와, 한 쌍의 회전 프레임부재(120), 각도조절부재(130) 및 기판 트레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부재들을 통해 광전극(15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높낮이와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110)는 서로 간에 이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20)에 대하여 하향하여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110)는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된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111)와,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111)의 하단부를 통해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 고정 프레임부재(112)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전극(1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고정 프레임부재(112)의 양측면에는 고정용 볼트가 관통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공(112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111)에도 상기 고정용 볼트가 관통 가능하도록 한 통공(111a)이 형성되어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111)에 대하여 하부 고정 프레임부재(112)가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용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120)는 각도조절부재(130)를 매개로 하여 하부 고정 프레임부재(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같은 회전 프레임부재(120)가 구비되어 광전극(150)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재(13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부재(130a)와 제2부재(1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재(130a)는 고정 프레임부재(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끼움부(131)와 상기 제1끼움부(131)의 하측에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부(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재(130b)는 제1부재(130a)의 제1결합부(132)와 대면 접촉한 상태로 중심볼트(135a)와 너트(135b)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중심볼트(135a)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결합부(134)와, 상기 제2결합부(134)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1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끼움부(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4)에서 서로 대면하는 접촉면에는 다수의 라인형 마찰홈(132a,134a)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4)의 상대 회전에 의해 광전극(150)의 기울기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4) 간 예기치 않은 슬립에 의해 광전극(150)이 불필요하게 처지지 않도록 방지해준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결합부(132)의 접촉면과 제2결합부(134)의 접촉면에 형성된 마찰홈(132a,134a)이 서로 마주하여 일치하게 되었을 때 서로 마주하는 양편 마찰홈(132a,134a)에 동시에 끼워지는 복수의 구속용 쐐기(136a)가 더 구비된다. 상기 구속용 쐐기(136a)의 경우 한 지점의 마찰홈(132a,134a)에만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인근 세 지점의 마찰홈(132a,134a)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세 개가 본체시트(136b)에 일체화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시트(136)는 상기 복수의 구속용 쐐기(136a) 후단부를 연결하여 일체화된 시트이며, 플렉시블한 탄성소재로 구비되어 평상 시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평판 형태로 있으면서 복수 구비된 구속용 쐐기(136a)의 선단부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찰홈(132a,134a) 입구에 대응하도록 하고 복수의 구속용 쐐기(136a)가 마찰홈(132a,134a)에 점진적으로 삽입되면서 서로 간에 각도가 변화될 때 구속용 쐐기(136a)의 각도 변화에 따라 원호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이처럼 일체화된 구속용 쐐기(136a)와 본체시트(136b)가 구비되면 각도조절부재(130)의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4)가 세팅된 상태에서 서로 불필요하게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광전극(150)의 예상수명을 고려하여 알람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시간이 이르게 되면 경보를 발하도록 한 경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보기는 빛이나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빛과 경보음 모두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은 경보기는 시스템의 단위유닛 수십 개가 배열되어 규모가 큰 실제 현장에서 광전극 모듈(100)을 적절한 시간에 유지 보수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광전극 모듈 110: 고정 프레임부재
120: 회전 프레임부재 130: 각도조절부재
140: 기판 트레이 150: 광전극

Claims (10)

  1.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태양전지판을 수면 위에 위치시켜주는 플로트를 구비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음극으로 하고 자신은 양극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면서 물과의 접촉으로 물분해를 일으키는 광전극을 구비하여 수중에서 산소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상기 광전극은, 서로 간에 이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되 하향하여 결합된 한 쌍의 고정 프레임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회전 프레임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하측에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결합부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제1부재의 제1결합부와 대면 접촉한 상태로 중심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되되 체결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중심볼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한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끼움부로 이루어진 제2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광전극을 상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부재와 회전하여 상기 광전극의 기울기를 조절해주는 기판 트레이;와 함께 광전극 모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극에 의한 물분해 시 발생하는 전자는 상기 프레임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극은 표준수소전극 전위가 1.23eV 보다 큰 물질을 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극의 소재는 n형 반도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극의 소재는 SrNbO3, IrO2, KtaO3, BiVO4, BaTiO3, TiO2, ZnO, BaTaO2N, LaTaO2N, CaTaO2N, NaNbO2N, SrNbO2N, CdS, ZnS, MoS2, AgIn2S48,In2S3, Fe2O3, SnO2, Ta3N5, TaOH, C3N4, SiC, Cu2O 중 적어도 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와,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부재의 하단부를 통해 상하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 고정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전극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서 서로 대면하는 접촉면에는 각각 다수의 일자형 마찰홈이 중앙부로부터 외측 둘레부를 향해 뻗쳐 있는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상대 회전에 의해 광전극의 기울기가 조절된 후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 슬립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된 광전극에 불필요한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에서 제1결합부의 접촉면과 제2결합부의 접촉면에 형성된 마찰홈이 서로 마주하여 일치하게 되었을 때 서로 마주하고 있는 양편 마찰홈에 동시에 끼워져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불필요하게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해주는 구속용 쐐기를 복수 구비하여 인근에 위치하는 복수의 마찰홈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구속용 쐐기 후단부를 연결하여 일체화된 본체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시트는 플렉시블한 탄성소재로 구비되어 평상 시 평판 형태로 있으면서 복수 구비된 구속용 쐐기의 선단부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마찰홈 입구에 대응하도록 하고 복수의 구속용 쐐기가 마찰홈에 삽입되면서 서로 간에 각도가 변화될 때 상기 구속용 쐐기의 각도 변화에 따라 원호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극의 예상수명을 고려하여 알람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경보를 발하도록 한 경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200056548A 2020-05-12 2020-05-12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96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48A KR102396118B1 (ko) 2020-05-12 2020-05-12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US17/924,538 US20230179139A1 (en) 2020-05-12 2020-06-18 Eco-friendly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functions of self-generating oxygen in water and preventing frame corrosion
PCT/KR2020/007884 WO2021230416A1 (ko) 2020-05-12 2020-06-18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220034818A KR20220041805A (ko) 2020-05-12 2022-03-21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48A KR102396118B1 (ko) 2020-05-12 2020-05-12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18A Division KR20220041805A (ko) 2020-05-12 2022-03-21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37A KR20210138337A (ko) 2021-11-19
KR102396118B1 true KR102396118B1 (ko) 2022-05-10

Family

ID=785244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48A KR102396118B1 (ko) 2020-05-12 2020-05-12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220034818A KR20220041805A (ko) 2020-05-12 2022-03-21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18A KR20220041805A (ko) 2020-05-12 2022-03-21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9139A1 (ko)
KR (2) KR102396118B1 (ko)
WO (1) WO2021230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42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몰수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104A (ja) 2002-02-18 2003-08-27 Univ Tohoku 水素生成光装置
KR101175896B1 (ko) * 2011-08-19 2012-08-21 한국수자원공사 어류 산란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JP2020006765A (ja) 2018-07-05 2020-01-16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回遊する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による回遊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735B1 (ko) * 2014-06-02 2016-02-2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81058Y1 (ko) 2016-01-11 2016-08-09 (주)남양통신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JP6750370B2 (ja) * 2016-07-27 2020-09-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水素精製システム
KR101981658B1 (ko) * 2016-08-23 2019-08-30 울산과학기술원 광전지화학 셀 및 그 제조방법, 물 전기분해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348B1 (ko) * 2018-06-27 2020-03-02 한국전력공사 태양광발전 및 해양양식 복합시스템
KR102086652B1 (ko) * 2018-07-09 2020-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석탄 자원을 이용한 독립형 에너지 생산플랜트 시스템
KR102185774B1 (ko) * 2018-10-26 2020-12-02 주식회사 레나 수면하 바지를 이용한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의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104A (ja) 2002-02-18 2003-08-27 Univ Tohoku 水素生成光装置
KR101175896B1 (ko) * 2011-08-19 2012-08-21 한국수자원공사 어류 산란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JP2020006765A (ja) 2018-07-05 2020-01-16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回遊する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による回遊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79139A1 (en) 2023-06-08
WO2021230416A1 (ko) 2021-11-18
KR20220041805A (ko) 2022-04-01
KR20210138337A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254B2 (ja)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製造方法
KR102396118B1 (ko)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JP5719555B2 (ja)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製造方法
JP5802374B2 (ja) 太陽電池一体型気体製造装置
WO2011067958A1 (ja)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製造方法
JP5676218B2 (ja) 気体製造装置、気体製造方法および気体製造装置アレイ
JP5802403B2 (ja)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製造方法
KR101232314B1 (ko) 수면 부상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07528935A (ja) 水素を直接発生し、収集するための光電池
JP3985837B2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CN116155195A (zh) 一种太阳能发电用光伏板保护装置
CN116039859A (zh) 具有水中防腐功能的漂浮支架及浮动光伏发电装置
JPH08196966A (ja) 太陽電池パネルを用いた噴水装置及び浄化装置
JPWO2004081376A1 (ja) 太陽光発電と風力発電を複合した発電装置
CN209982423U (zh) 一种太阳能光伏组件
US20060100100A1 (en) Tetrahedrally-bonded oxide semiconductors for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CN219575653U (zh) 一种太阳能光伏涂氟背板
WO2012114787A1 (ja)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製造方法
KR20120000117A (ko) 전기 발전 장치
JP3794245B2 (ja) 太陽光発電装置
CN220935067U (zh) 一种海上光伏支架
CN218678916U (zh) 一种水上光伏发电结构
CN212969254U (zh) 一种小型风力发电机的绝缘性保护罩
CN212253190U (zh) 一种水上光伏装置
JP2012021197A (ja) 気体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