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58Y1 -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58Y1
KR200481058Y1 KR2020160000168U KR20160000168U KR200481058Y1 KR 200481058 Y1 KR200481058 Y1 KR 200481058Y1 KR 2020160000168 U KR2020160000168 U KR 2020160000168U KR 20160000168 U KR20160000168 U KR 20160000168U KR 200481058 Y1 KR200481058 Y1 KR 200481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te
power generation
frame
photovolta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걸
Original Assignee
(주)남양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양통신 filed Critical (주)남양통신
Priority to KR2020160000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01G9/108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면에 부유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에 설치되는 식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면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600),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와 제1프레임(600)을 연결하고, 수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프레임(700) 및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와 제1프레임(6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식생매트(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Vegetation apparatus for sunlight generation on water}
본 고안은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로, 종래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에 식생장치가 결합되어 수상식물을 식생 가능해 수상생태계를 만들 수 있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가 고갈되어감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시급해지고 있다. 원자력에너지가 소량의 원료로 대량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대체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었지만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후쿠시마 원전사고에서 비춰보듯 원자력사고가 발생하면 그 영향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할 바가 아니다. 또한 원자력폐기물을 매립하기 위한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가 필요하다.
상기한 원인으로 원자력에너지보다는 에너지 발전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원료도 필요하지 않은 친환경에너지가 각광받고 있으며, 대한민국 또한 친환경에너지를 위한 제도 및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친환경에너지를 발전하는 방식 중 대표적인 종류로는 풍력발전, 조력발전, 수력발전, 태양열발전 및 태양광발전이 있다. 상기한 방법 중 태양광발전방식은 광전효과를 이용한 발전방식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활용이 가능하고 한 번 설치하면 정비가 필요 없어 유지비가 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태양광의 방향이 계속적으로 바뀌고, 흐린 날, 비오는 날 등 날씨에 따라서 가동이 불가능하며, 밤에는 발전할 수 없고, 태양자체의 속성 때문에 일조량 및 일정 면적이상의 부지가 필요하며, 태양광발전설비를 건축하기 위해서 관련 관공서 및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태양광발전의 단점 중 일조량은 태양광발전설비가 설치된 위도와 주변의 지형 및 인근 건물의 유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태양광발전설비가 낮은 곳에 위치할 경우 발전효율이 주변의 산이나 건물의 그림자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고, 발전설비의 허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3049호("고정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2015.01.08., 이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저수지, 호수 및 바다에 띄워 발전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이 개발되었다.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모듈은 셀의 온도가 섭씨 1도 상승할 때 발전출력이 0.5% 이내로 감소하게 되는데, 태양광발전창치가 수상에 위치하면 육지에 비해 낮은 온도로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대로 설비 설치에 따른 허가와 일정면적이상의 부지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에 대한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선행기술 1과 같은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은 일조량이 수중에 투과되는 것을 막고, 그 자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된 지역(저수지, 호수 및 바다)의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03049호("고정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2015.01.08.)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상식물의 식생이 가능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에 설치되는 식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수면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600),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와 제1프레임(600)을 연결하고, 수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프레임(700) 및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와 제1프레임(6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식생매트(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800)는 금속재질의 다공성플레이트 또는 다공성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천연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600)은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벽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700)은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며 상기 제1프레임(600)과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는 수면에 부유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중에 위치하는 센서부(200),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얻어지는 상태 데이터를 지상의 관측시설로 송신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고, 지상의 설비와 연결되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 및 상기 센서부(200), 모니터링부 및 송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횡프레임(21)과 상기 횡프레임(21)에 수직하게 교차되는 복수의 종프레임(22)을 포함하는 몸체(20), 상기 몸체(20)가 이루는 평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광판(30),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을 지지하며,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한 지지부(40),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클램프(50), 상기 클램프(50)에 끼워지는 부력체(60) 및 상기 횡프레임(21) 또는 종프레임(22)의 양끝단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외곽에 수상식물을 식생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식생매트가 천연소재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부력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클램프의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을 복수개 연결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 제1프레임(600), 제2프레임(700) 및 식생매트(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는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600)은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고, 수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1프레임(600)과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 사이의 공간은 수상식물들이 식생될 공간으로, 상기 제1프레임(600)은 수면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프레임(600)은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 일부에는 설치되지 않고 비어있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할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구성 중 제1통로(110) 때문이다. 상기 제1통로(110)로는 작업자가 탑승한 배 또는 기타 부유물이 지나가는 구성으로, 후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600)은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차단벽 구조이다. 상기 제1프레임(600)이 차단벽 구조인 것은 식생될 수상식물을 외부의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종의 벽과 유사한 구성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2프레임(700)은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과 제1프레임(60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프레임(700)의 상부에 식생될 수상식물들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프레임(700)의 상부에 식생될 수상식물들이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1프레임(600) 및 제2프레임(700)은 수면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700)은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며 상기 제1프레임(600)과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을 연결한다. 즉, 상기 제2프레임(7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어 내부에 마름모꼴을 형성하며 상기 제1프레임(600)과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을 연결한다. 상기 제2프레임(700)이 복수개가 교차되며 연결되면, 후술할 상기 식생매트(800)를 상기 제2프레임(700)의 상부에 위치시키기 용이하고, 상기 식생매트(800)를 위치시키기 전에 작업자가 작업하기도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700)이 상기 제1프레임(600)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것 보다 교차되어 마름모꼴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높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매트(800)는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과 제1프레임(6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된다. 상기 식생매트(800)는 다공성플레이트, 천연소재 또는 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식생매트(800)는 상기 제2프레임(7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상식물들이 위치하는 곳으로, 수상식물들이 발육 초기에 거치되도록 상기 다공성플레이트나, 구멍이 난 천연소재 또는 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다공성플레이트는 촘촘히 구멍이 난 금속재질의 메쉬(Mesh)망과 같은 재질이거나 흩어지지 않도록 묶어둔 짚단 또는 친환경 마 재질일 수 있다. 매쉬망일 경우 재활용이 가능하며, 천연 소재나 천 재질일 경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는 도 3에 도시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센서부(200), 모니터링부(미도시), 송전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상기 본체(100)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상기 본체(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수면에 부유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는 두 개 이상의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가 서로 결합하여 만드는 장치이다.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가 서로 결합하는 형태는 행과 열을 맞춰 복수개가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를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거나, 일부 행 또는 열을 비우는 방식으로 제1통로(110)를 형성하며 결합 가능하다. 이는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접근할 때 배 또는 다른 수단으로 접근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중에 위치하며, GPS(미도시), 수질센서(210) 및 영상장치(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200)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가 위치하는 저수지, 호수 또는 바다의 수질 및 수중 상황을 감시하고, 본 고안의 위치를 관측자에게 알리기 위한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200)는 단일개만 구비되었으나,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가 도 1에 도시된 개수인 네 개 보다 많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경우와 같이 필요한 경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센서부(200)가 동일 지역에 있더라도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면적이 넓어지면 상기 센서부(200)의 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센서부(200)에 포함되는 상기 수질센서(210)는 수질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환경정책기본법 제10조 동법 시행령 제2조에 제시된 수소이온농도(pH),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mg/l), 총유기탄소량(TOC, mg/l), 부유물질량(SS, mg/l), 용존산소량(DO, mg/l), 총인(T-P, mg/l) 및 대장균군수(MPN/100ml)를 측정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영상장치(220)는 상기 수질센서(210)가 물의 각종 수치를 측정하는 것과 달리 수중의 상태를 직접 영상으로 입력받는 구성으로, 상기 영상장치(220)는 수중에서 작동 가능한 CCTV이다. 상기 영상장치(220)를 통해 작업자는 수질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최근에 녹조현상이나 바다에서 발생하는 적조현상의 경우 상기 수질센서(210)로 측정하는 각종 수치로 확인하는 것뿐 아니라 직접 영상으로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므로, 상기 영상장치(220)와 같이 직접 영상을 입력받는 구성이 상기 센서부(200)에 포함된다.
GPS(미도시)는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홍수, 쓰나미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유실되었을 경우 다시 찾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센서부(200)에 포함되는 구성이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얻어지는 상태 데이터를 지상의 관측시설로 송신한다. 상기 본체(100)를 이루고 있는 것은 복수의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이기 때문에,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복수의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하나하나를 모니터링 하며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의 상태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지상의 관측시설로 송신한다. 이 데이터들은 서버에 기록되고, 이를 토대로 유지,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니터링부가 송신하는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의 데이터는 각각 발전장치의 발전효율, 온도, 구동전압과 같은 작동 데이터이다.
상기 송전부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고, 지상의 설비와 연결되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송전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용예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 상기 송전부는 수중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통해 지상의 설비와 연결되어 만들어낸 전력을 송전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송전부와 지상의 설비를 연결하는 수중에 위치하는 케이블은 수중에 위치해 있지만 수중의 아래에 위치한 지면에 매설되어 지상의 설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중에 위치하는 케이블은 끊어질 경우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송전부는 이를 대비하여 수중에 위치하는 케이블이 끊어질 경우 작동을 중지되며, 이를 위한 구성인 상기 제어부는 후술한다.
상기 제어부은 상기 센서부(200), 모니터링부 및 송전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은 상기 송전부가 오작동할 경우 상기 송전부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이는 상술했듯, 상기 송전부와 지상의 설비를 연결하는 수상케이블이 끊어졌을 경우를 대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과 송전부에 퓨즈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오작동을 감지하면 상기 퓨즈를 동작시켜 송전부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설명이었으며, 이하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를 이루고 있는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는 몸체(20), 태양광집광판(30), 지지부(40), 클램프(50), 부력체(60) 및 연결장치(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횡프레임(21)과 상기 횡프레임(21)에 수직하게 교차되는 복수의 종프레임(22)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몸체(20)는 상기 횡프레임(21) 네 개와 상기 종프레임(22) 세 개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횡프레임(21)과 종프레임(22)은 개수의 변동이 가능하며, 복수의 상기 횡프레임(21) 또는 종프레임(22) 각각의 간격 또한 마찬가지다. 상기 횡프레임(21)과 종프레임(22)이 교차하는 각도는 필요에 따라 수직하지 않고 다른 각도로 교차하며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은 상기 몸체(20)가 이루는 평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은 일반적인 태양광발전을 위한 구성으로,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의 광전효과를 이용한다.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은 상기 몸체(20)를 이루고 있는 상기 횡프레임(21)과 종프레임(22)이 각각 가로변과 세로변이 되어 형성하는 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태양광집광판(30)과 몸체(20)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20도로, 이 각도는 계절 및 시간에 따라서 바뀔 수 있으며, 각도를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은 후술할 상기 지지부(40)이다.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은 상기 몸체(20)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개수에 따라 상기 몸체(20)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횡프레임(21)과 종프레임(22)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개수는 두 개다.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개수뿐만 아니라 방향 또한 필요에 의해 바뀔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이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수상에 떠 있는 본 고안의 특성상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것 보다 안정감이 있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의 상부에는 상기 두 개의 태양광집광판(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통로(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80)는 작업자가 통행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작업자는 본 고안에 의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의 유지, 보수 및 점검을 위해 상기 제2통로(80)로 통행한다. 상기 제2통로(80)는 상기 두 개의 태양광집광판(30)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20)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을 지지하며,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하부에 면접하는 상부지지부(41) 및 상기 상부지지부(41)의 상단에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각도변환지지부(42)로 형성된다. 높이조절이 되는 구성은 상술했듯 상기 각도변환지지부(42)로, 내부에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된 프레임이 구비되어 상기 각도변환지지부(42)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50)는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 클램프(51) 및 하부 클램프(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술할 상기 부력체(60)는 상기 클램프(50)가 형성하는 중앙공간에 끼워진다. 즉 상기 클램프(50)는 후술할 상기 부력체(60)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부력체(60)와 결합하며, 도 7에 도시된 상부 클램프(51) 및 하부 클램프(52)는 상기 부력체(60)가 상기 클램프(50)에 용이하게 끼우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상부클램프(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반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단 끝부분은 상기 몸체(20)와 결합하기 위해 일부가 상부를 향해 굴곡된다. 상기 상부클램프(51)의 굴곡된 상단 끝부분은 상기 몸체(20)의 일면에 결합하며, 이를 통해 상기 몸체(20), 클램프(50) 및 부력체(60)가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부력체(60)는 상기 클램프(50)에 끼워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60)는 상기 클램프(50)와 맞닿는 면에 함몰면(61)이 형성된다. 상기 함몰면(61)은 상기 클램프(50)가 상기 부력체(60)와 결합했을 때 쉽게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부력체(60)는 저수지, 호수 및 바다에 띄워졌을 때 가장 직접적으로 물의 흐름, 파도 및 강풍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저항을 가장 많이 받는 구성으로, 경우에 따라 유실될 가능성이 높은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함몰면(61)은 상기 클램프(50)와 상기 부력체(60)에 맞닿는 면에 상기 클램프(50)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50)가 탈거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부력체(60)는 물에 뜨는 원료에 PE필름을 감는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PE필름에는 UV제가 첨가되어 오랜 시간 강한 태양광에 노출되어도 상기 부력체(6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50) 및 이에 끼워지는 상기 부력체(60)는 상기 몸체(20) 및 태양광집광판(30)의 크기, 개수 및 배치구조에 따라 다른 위치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작업자가 2명에서 4명 정도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하므로, 상기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든 구성의 무게 및 작업자의 체중을 고려하여 상기 부력체(60)의 용량 및 개수가 선정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장치(70)는 상기 횡프레임(21) 또는 종프레임(22)의 양끝단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장치(70)는 서로 인접하는 다른 몸체(20)의 횡프레임(21) 또는 종프레임(22)의 양끝단이 포개져 볼팅되는 형태로 결합한다. 상기 연결장치(70)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연결장치(70)는 볼팅되어 결합하는 것 외에도 서로 맞닿는 횡프레임 또는 종프레임에 끼움결합이 되도록 끼움부 및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부 이격되어 결합한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는 수중에 위치하는 굴곡된 결합용프레임(9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장치(70)중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제1통로(110)가 형성된 부분이다. 이 부분은 작업자가 배나 기타 부유물에 탑승한 채 이동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처럼 상기 횡프레임(21) 또는 종프레임(22)상에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면 배나 기타 부유물이 지나가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10 : 수상태양광 발전모듈
11 :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20 : 몸체
21 : 횡프레임 22 : 종프레임
30 : 태양광집광판
40 : 지지부
41 : 상부지지부 42 : 각도변환지지부
50 : 클램프
51 : 상부 클램프 52 : 하부 클램프
60 : 부력체 61 : 함몰면
70 : 연결장치
80 : 제2통로
90 : 결합용프레임
100 : 본체 110 : 제1통로
200 : 센서부
210 : 수질센서 220 : 영상장치
600 : 제1프레임
700 : 제2프레임
800 : 식생매트

Claims (7)

  1. 수면에 부유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에 설치되는 식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둘레 수면에 위치하고,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 구조의 제1프레임(600);
    복수개가 서로 교차되며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의 외곽과 제1프레임(600)을 연결하고, 수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프레임(700); 및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와 제1프레임(60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마 시트 또는 짚단 시트로 이루어지는 식생매트(8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1)는
    수면에 부유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중에 위치하는 센서부(200),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얻어지는 상태 데이터를 지상의 관측시설로 송신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고, 지상의 설비와 연결되어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 및
    상기 센서부(200), 모니터링부 및 송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횡프레임(21)과 상기 횡프레임(21)에 수직하게 교차되는 복수의 종프레임(22)을 포함하는 몸체(20),
    상기 몸체(20)가 이루는 평면과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집광판(30),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을 지지하며, 높이 조절을 통해 상기 태양광집광판(30)의 각도를 조절 가능한 지지부(40),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클램프(50),
    상기 클램프(50)에 끼워지는 부력체(60) 및
    상기 횡프레임(21) 또는 종프레임(22)의 양끝단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수상태양광 발전모듈(1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KR2020160000168U 2016-01-11 2016-01-11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KR200481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68U KR200481058Y1 (ko) 2016-01-11 2016-01-11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68U KR200481058Y1 (ko) 2016-01-11 2016-01-11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58Y1 true KR200481058Y1 (ko) 2016-08-09

Family

ID=5671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68U KR200481058Y1 (ko) 2016-01-11 2016-01-11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40B1 (ko) * 2017-09-29 2018-03-30 강건민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20210138337A (ko) 2020-05-12 2021-11-19 스코트라 주식회사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42B1 (ko) * 2009-05-21 2010-03-0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KR20150003049A (ko) 2013-06-28 2015-01-08 우도영 고정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133547A (ko) * 2014-05-20 2015-11-30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수상용 태양광 발전설비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42B1 (ko) * 2009-05-21 2010-03-09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장치 및 방법
KR20150003049A (ko) 2013-06-28 2015-01-08 우도영 고정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133547A (ko) * 2014-05-20 2015-11-30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수상용 태양광 발전설비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40B1 (ko) * 2017-09-29 2018-03-30 강건민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20210138337A (ko) 2020-05-12 2021-11-19 스코트라 주식회사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220041805A (ko) 2020-05-12 2022-04-01 스코트라 주식회사 수중 산소의 자가 발생과 프레임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25233B2 (en) Solar power plant
Domakonda et al. Sustainable Developments of Hybrid Floating Solar Power Plants: Photovoltaic System
KR101075161B1 (ko)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장
KR101481093B1 (ko) 친환경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175896B1 (ko) 어류 산란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GB2383978A (en) Platfor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newable energy converter systems
KR200481058Y1 (ko) 수상태양광 발전모듈용 식생장치
AU2024200320A1 (en) A solar power 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a solar power plant
KR101642445B1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용 계류장치
KR101642439B1 (ko)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00088567A (ko) 태양광발전을 위한 수상구조물
CN102664557A (zh) 基于积水露天矿坑的太阳能光伏发电装置与设置方法
WO2018169117A1 (ko) 태양광발전, 조력발전 및 풍력발전용 하이브리드 발전설비
KR102399078B1 (ko) 인공어초 어장 및 해조장 바다숲 모니터링 장치
CN103516298A (zh) 一种水面浮体光伏系统
CN216034991U (zh) 一种水渠光伏发电系统布置结构
WO2023211288A1 (en)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20230143775A (ko)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15349057A (zh) 坐底式海洋热能转换电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